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Personal Mobility 공유서비스 이용의향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최민혜,정헌영 대한교통학회 2020 대한교통학회지 Vol.38 No.1

        Currently, diverse efforts are being made to improve the accessibility of public transportation. However, in the case of Busan Metropolitan City, it is difficult to expand accessibility of urban railroads due to the geographical complexity. In this situation, this study proposed the Personal Mobility (PM) sharing service as a means of expanding the connecting modes to enhance accessibility of urban railroads, specifically targeting electric-bicycles and electric-scooter. In this study, we set up a hypothetical scenario assuming the use of PM sharing service as a connecting modes of urban railway, and reviewed the influence factors on the intention to use PM sharing service using the multi-level ordered logistic regression model. For objective analysis, we constructed a travel route between the respondent’s origin and the nearest urban railway station through network analysis to extract their travel distance and average slope.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74.1 percent of bus users and 62.1 percent of private and taxi users were willing to switch to urban railways when PM sharing service was activated. Second, the lower the fare (-), the allowance of the bike path (+), and the clearer weather (+), the more people prefer PM. Third, the higher the age and income (+), the more likely they were to use it in order of bussiness, commuting and leisure travel. In addition the use of walking and bicycle (-), the farther the trip distance (+) and the higher the average slope (+), the higher the intention to use. Fourth, the main effect of the local characteristic variable was not significant, but there was a significant effect in the interaction with other variables.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used as basic data for enhancing the utilization rate of urban railways and preparing for new transportation modes measures through the utilization of PM sharing service in the future. 현재, 대도시에서는 대중교통의 접근성 향상을 위한 다각도의 노력이 시행 중이나 부산광역시의 경우 배산임해의 지형적 특성으로 도시철도 접근성 확충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도시철도 접근성 강화를 위한 연계교통수단 확충방안으로 Personal Mobility (PM) 공유서비스 도입을 제안하고, 구체적으로 전기자전거 및 전동킥보드를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철도 연계교통수단으로 PM 공유서비스 도입을 가정한 가상의 시나리오를 설정하고, 다수준 순서형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활용하여 PM 공유서비스 이용의향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검토하였다. 객관적인 분석을 위해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응답자의 출발지 및 가까운 도시철도역 간의 이동 경로를 구축하여 이동 거리 및 평균 경사를 추출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로 첫째, 버스 이용자 중 74.1%, 자가용 및 택시 이용자 중 62.1%가 PM 공유서비스 활성화 시에 도시철도로 전환 의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요금이 낮을수록(-), 자전거도로를 허용할수록(+), 날씨가 맑을수록(+) PM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령과 소득이 높을수록(+), 업무, 통근 ‧ 통학, 여가 통행의 순서로 이용할 확률이 높았으며, 또한 도시철도 연계교통수단으로 도보 및 자전거를 이용할수록(-), 이동 거리가 멀어질수록(+), 평균 경사가 높아질수록(+) 이용할 의향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지역 특성 변수의 주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다른 변수와의 상호작용에서는 유의한 영향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PM 공유서비스의 활용을 통한 도시철도의 이용률 제고와 신교통수단의 대응방안 마련에 기초적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상권 활성화 성공 요인 분석 및 정책 방향 - 18개 상권 르네상스 사업 대상지를 중심으로 -

        정은애,김영기 한국주거환경학회 2022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Vol.2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major factors affecting the satisfaction of customers visiting commercial districts in which commercial district revitalization projects are in progress, and to suggest how policy measures should be established in order for the commercial district revitalization project to succeed in the future. The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out that the factors of customer characteristics, such as age, residence, number of purpose of visit, and number of methods of knowing commercial districts influenced customer satisfaction. Second, governance factors such as organizational operation type, number of local government officials, win-win agreement ratio, and number of projects linked to other ministries affected customer satisfaction. Third, it was found that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digital-related businesses rather reduced customer satisfaction. Fourth, the number of single-person households increased customer satisfaction, while the complexity of housing types decreased. Finally,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businesses within a 1km radius reduced customer satisfaction.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customer-tailored strategies, organizational operation and participation methods, and design direction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hinterland were presented. In addition, it was suggested that continuous management and monitoring of local governments are necessary for commercial districts to be activated. 본 연구는 계속되는 노력과 지원에도 불구하고 상권이 활성화되지 못하는 문제에 대하여 고객과 거버넌스, 주변 환경 측면에 집중하여 실제 사업이 진행되고 있는 상권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1~4차까지 상권르네상스 사업이 진행되고 있는 18개 상권활성화구역을 대상으로 고객·상권·주변 환경 요인과 방문 방문고객 만족도와의 관계를 다수준 순서형 로짓 분석을 활용하여 사업 성공 요인을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미한 변수는 총 12개이다. 유의수준 0.01에서는 40·50대 고객, 방문목적 수, 지자체담당자 수, 상생협약 비율, 디지털사업 수 변수가 채택되었으며, 유의수준 0.05에서는 20·30대 고객, 상권인지경로 수, 조직운영형태, 타부처타부서사업수, 주택유형복합지수(HUM6) 변수가 채택되었다. 유의수준을 0.1까지 확장하였을 경우에는 거주지유·무, 배후지 사업체 수 변수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배후지 특성을 고려한 고객맞춤 전략, 조직운영 및 참여방법, 설계방향 등을 제시하였다. 또한 상권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지자체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와 모니터링이 필요함을 강조한다.

      • KCI우수등재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