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독일어 수업에서 iPad의 활용

        주미경 한국독일어교육학회 2016 외국어로서의 독일어 Vol.39 No.-

        Digitale Medien spielen im Alltag der Jugendlichen eine zunehmend wichtige Rolle, wahrend mobiles Lernen im Deutschunterricht in Korea kaum wahrgenommen wird . obwohl es schon viele Lern-Apps fur Smartphones und Tablets gibt, die Moglichkeiten der Nutzung digitaler Medien im Unterricht anbieten. Fur den Einsatz von iPads kann diese Studie als ein Beispiel dienen, in dem einfache Apps fur Lernende auf dem Sprachniveau A1 eingesetzt werden, um kreativ mit einem Lernstoff umzugehen und autonom zu handeln. Dabei muss der Lehrer keine herkommliche Rolle ubernehmen, sondern er soll als Begleiter fungieren. Er braucht also nicht mehr viel zu reden, sondern er kann verschiedene Unterrichtsmethoden ausprobieren, um die Lernenden mehr in das Unterrichtsgeschehen miteinzubeziehen und einen abwechslungsreichen Unterricht zu gestalten. Das bedeutet, er sollte in der Lage sein, seine Angste vor der Technik und einer moglichen Blamage aufgrund mangelnder Medienkompetenz zu uberwinden. Im Unterricht muss er nur erklaren und informieren, welche Apps welche Funktionen haben. Alles andere schaffen die Lernenden von sich aus. Als konkrete Beispiele fur den Einsatz von iPads werden zwei Miniprojekte aus dem Lehrwerk studio d A1, Lektion 4 und 11, ubernommen, indem das Sammeln von Informationen und das Schreiben kleiner Texte mit iPads in Gruppenarbeit durchgefuhrt werden. Die Ergebnisse, die man durch diese Zusammenarbeit gewonnen hat und dabei auch online publizieren kann, werden zum Abschluss von allen Gruppen im Plenum prasentiert. 논문은 디지털 시대에 교육의 목표와 내용이 변화해야 한다는 시대적 요청에서 출발하였다. 이에 대한 방안으로 iPad 기반의 앱을 활용한 수업 예시를 부분적으로 제시함으로써 태블릿을 자유자재로 사용하는 학습자들에게 자기 주도적이고 창의적인 학습의 장을 마련해 줄 수있다고 보았다. 이러한 시도는 최근 독일문화원에서(2016년 11월18일) 워크숍을 한리머 Claudia Riemer 교수가 제안한 행위 지향적, 프로젝트 중심적 수업의 한 부분이라고 볼 수 있다.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주역이 될 학습자들을 위한 미래의 교육은(독일어 수업을 포함) 전공과목에 대한 지식 탐구와 더불어 일반지식을 겸비한 사회적 능력까지 교육의 내용에 포함해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교육의 목표와 방법은 단순히 정보와 지식을습득하는 단계를 넘어서 문제 해결 능력을 갖출 때 타인과 함께 팀을 이루어 작업을 수행하고 완성할 수 있는 능력 개발까지 내포하는 것이다. 이런 의미에서 독일어 수업도 기본적인 의사소통에 국한될 것이 아니라타문화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에 대한 호기심을 자극하고 열린 태도로이해하는 역량을 키우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으로 본다.

      • KCI등재

        외국어 교육자료 편집을 위한 교수법 기반에 대한 연구

        하수권 한국독일어교육학회 2001 외국어로서의 독일어 Vol.9 No.-

        Bei der vorliegenden Arbeit handelt es sich um eine theoretische Auseinandersetzung mit der fremdsprachendidaktisch fundierten Einsatzmo¨glichkeit audio-visueller und multimedialer Medien im universita¨ren Deutschunterricht in Korea. Dabei wurden vor allem die folgenden ierntheoretischen Grundpositioen zur Betrachtung einbezogen: a) Kognitivismus und Konstruktivismus in der Fremdsprachendidaktik b) Autonomes und kreatives Lernen c) Optimierung effektiver Problemlo¨sungsprozesse als ein fremdsprachendidaktisches Lernziel d) Fo¨rderung der Medienkompetenz durch den Fremdsprachenunterricht Auch in Korea gibt es zwar viele wissenschaftliche Vero¨ffentlichungen, die sich mit neuen Medien im DaF-Unterricht bescha¨ftigen. Aber in den meisten Arbeiten handelt es sich um die Anwendungsmo¨glichketen. Es gibt bis heute nur wenige wissenschaftliche Auseinandersetzungen mit der Frage, welche lerntheoretische Positionen fu¨r solchen Unterricht zur Kenntnis genommen werden sollen. Der Schwerpunkt dieser Arbeit bezieht sich auf die folgenden beiden Punkte; a) Warum sollen die oben genannten vier lerntheoretischen Grundpositionen in Zusammenhang mit dem audio-visuellen und mutimedialen Medieneinsatz im DaF-Unterricht untersucht werden? b) Welche Inhalte sind zur Optimierung des didaktischen Designs notwendig?

      • KCI등재

        인터넷 기반 교수 학습 과정의 문화적 차이 -한국의 DaF 수업에서 “페이스북”을 활용한 이러닝

        강태호 ( Tae Ho Kang ),디륵슐로트만 ( Schlottmann Dirk ) 한국독어독문학회 2012 獨逸文學 Vol.124 No.-

        이 논문은 2011년 3월 2일부터 한국교원대 독어교육과의 전공수업들에 활용하고 있는 ‘페이스북’ 프로젝트인 ‘Spielplatz Deutsch’의 연구 진행과정과 결과들을 소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선 최근 교수-학습 이론에 본격적으로 도입되기 시작한 웹 2.0과 소셜 네트워크, 특히 그 중심에 서 있는 ‘페이스북’에 대해 개괄한다. 그리고 ‘페이스북’ 프로젝트 ‘Spielplatz Deutsch’의 본격적인 연구에 관한 기술 부분에서는 ‘페이스북’의 기술적인 설정과정과 보안 조치 등에 대해 설명한 후, 독일어 수업에서 이러닝을 위한 소셜 네트워크의 도입이 어떠한 의미가 있으며 어떤 콘텍스트에서 의미를 지니는지 기술한다. 그리고 이 ``Spielplatz Deutsch`` 프로젝트의, 잠정적으로 중간보고 형태를 취할 수밖에 없는 첫 번째 분석에서는 가상 공동체는 반드시 오프라인 환경을 배경으로 고찰해야 한다는 점을 분명하게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한국의 인터넷 사용자들과 독일의 인터넷 사용자들 사이의 소셜 네트워크를 비롯한 인터넷 환경에 대한 수용태도의 차이를 밝혀본다. 소셜 네트워크의 의미 또는 무의미에 대한 최근 논쟁들은 웹 2.0이라는 혼란스러운 키워드로 대변되는 새로운 디지털 세계의 사회적 수용이라는 문제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이러한 수용의 문화적 차이는 한국의 페이스북이 독일의 페이스북과 동일하지 않다는 점을 보여준다. 그러므로 수업에 소셜 네트워크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교수자와 학습자의 미디어 교수법적 능력뿐 아니라 사회인류학적, 사회적 요소들에 대한 고려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