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럽 문화의 교차로 리옹

        김남연 국제언어인문학회 2013 인문언어 Vol.15 No.2

        Lyon: The Crossroad of the European Cultures Nam Youn Kim (Kangwon National University) The main focus of historical studies has traditionally been on historical events, the result being that regional qualities were only thought of as a simple backdrop. In France, for example, no other cities other than Paris has been the subject of serious research. The present paper intends to put forward another city, Lyon, as one just as important in French history. This study, however, does not simply mean to take up regional issues but at the same time purports to consider cultural issues in a broader perspective. Lyon comprises all the attributes that are associated with France, Rome, and such Celtic lands as Gaul. In the ancient Roman times Lyon was the focal point and was more important to Rome than Paris as it was perceived as the crossroad of Europe. Lyon, due to its favorable location, saw developments in regional industry, economy and culture, thereby becoming the hub of Christianity. Until the 12century, the city enjoyed the same stature as Paris as a major metropolis of Christianity. The cultural significance of Lyon can be deduced when you take into consideration the fact that Francois Rabelais, one of the literary giants of France, published his manuscript at Lyon. After Lyon was incorporated into the French Kingdom, it still maintained its premium as the second city only to Paris. Lyon's strong point lies in the fact that it was not only the crossroad of many different cultures but also a geographical location which functioned as a natural transportation hub so that it was also an economical crossroad. This geographical attribute brought about a renaissance in cuisinary art, and one can actually proclaim that it is Lyon and not Paris that should be acclaimed as the European cuisinary capital. Lyon, while guarding the traditional cuisine, embraced the internationalized cuisine of Paris and became the representative of French cuisine. While Paris is known as the birth place of cinema, the honor should actually be given to Lyon, since it was in Lyon that the brothers Lumière first invented the cinematography. Today Lyon, taking notice of the name Lumière which means ‘light,’ is standing tall once more in the world stage by hosting the annual “Festival of Lights.” In this respect, too, Lyon is a city comparable to Paris, as a rival city. Paradoxically enough, Lyon's defeat to Paris has contributed to strengthening the city's competitiveness. Lyon survived and kept its identity intact throughout the historical events which overwhelmed the city: the defeat to Paris, the Roman invasion and the rule of the Saracens. The hero of 2nd World War was Charles de Gaulle, but it was Lyon's Jean Mullen who lead the resistance in France during the occupation. Lyon also has the human resources to meet and adapt to the demanding needs that, in the long run, clearly function to establish the city as the true carrefour where different cultures converge. The citizens of Lyon guard their identities while changing slowly to meet the needs of the changing culture, demonstrating that they are truly the cultural representatives of the 'one-Europe' doctrine.

      • KCI등재후보

        공공미술 프로젝트를 통한지역 공동체 이미지 개선을 위한 연구-대전 대동마을과 프랑스 리옹(Lyon) 벽화 마을 사례

        박문규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2013 글로벌문화콘텐츠 Vol.0 No.1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ays toward imagifying or brandifying of local communities by utilizing community regeneration programs through public art project strategies. To pursue the research in relation to the comprehensive local connection, this study selected the case of Dae Dong village near Daejeon and analyzed the case through written materials and on-site investigation side by side, and this study also compared it with the case of the city, Lyon in France. As a result of analysis,it was found that the community regeneration program executed in Dae Dong village in Daejeon had a significant effect in the beginning. The so-called “Rainbow project” executed in Daedong village helped the local villagers to stay in the community and it improved residential environment, which received the support from whole village, thus showed the potential of the community rebirth. It also signifies the possibility of small local communities near cities being able to be brandified using culture. It is more clearly proved in the case of Lyon in France. The problem, however, is how to implement a consistent managing system. The stagnation of Dae Dong village after initial success explains the problem. In other words, a sufficient storytelling strategy about contents needs to be set up to continue the communities to be consistent educational,hands-on, and touring places by preventing them from being stagnant. The storytelling program will be a key strategy to make the brand value of the community developed consequently.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 미술 프로젝트 전략을 통한 지역 재생 프로그램을 활성화 하여 지역 커뮤니티의 이미지화 내지는 브랜드화에 대한연구를 구체적으로 모색하여 보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를 종합적인 지역 연계성과 관련 지어 추진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대전 근교 대동마을 사례를 문헌연구와 현지 조사법을 병행하여 분석해 보았고, 프랑스 Lyon시(市) 사례를 들어 비교 연구를 시도하였다. 사례를 통한 연구결과, 일차적으로 대전 대동마을 지역 재생 프로그램은 초창기에 상당한 효과를 거두었음을 알 수 있다. 대동 마을에서 행하여진 일련의 ‘무지개 프로젝트’는 주민들을 외지에 보내지 않고 주거 환경을 개선하였고, 이는 마을 전체의 지지를 받음으로서 새로운 도심 재생의 가능성을보여주었다. 이른바 도시 근교 소규모 지역 커뮤니티가 문화를 통한 브랜드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시사하는 부분이라 할 것이다. 특히 이는 프랑스 Lyon지역 마을 사례에서 보다 극명하게 드러나고 있다 할 것이다. 그러나 문제는 지속적인 관리체계의 정립에 있다 할 것이다. 향후 대동마을의 정체성 문제가 바로 그것이다. 다시 말해, 지역의 정체성 문제를극복하고 지속적인 관광 가능성과 체험의 공간을 제공하여 교육적 기회의 장으로 승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콘텐츠에 대한 충분한 스토리텔링 전략수립이 필요하다 할 것이다. 이러한 스토리텔링 연계 프로그램은 결과적으로 지역의 브랜드 가치를 발전시키는 가장 중요한전략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정보사회·감시·사회운동 : 데이빗 라이언의 ‘감시사회론’을 중심으로

        김원동 지역사회학회 2004 지역사회학 Vol.5 No.2

        이 글의 목적은 데이빗 라이언의 감시사회론에 대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검토를 통해 정보사회, 감시, 사회운동 등에 대한 이론적 이해의 지평을 넓혀보고자 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이 글에서는 무엇보다도 그의 주요 논문과 저작들, 특히 『정보사회 : 쟁점과 환상』, 『전자감시사회』, 『감시사회』로 이어지는 3개 주요 저작의 원문들에 준거해 그의 핵심적 논지를 충실하게 재구성하는데 역점을 둔다. 이 과정에서 라이언이 제기하고 있는 감시사회의 주요 쟁점과 그의 핵심 논지 및 대안 등을 검토해 보고자 한다. 라이언에 의하면, 사회변화는 기술과 사회 간의 복잡하고도 미묘한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한다. 따라서 정보기술의 사회적 결과를 이해하고자 할 때에도 낙관론이나 비관론 중 어느 한편에설 것이 아니라 균형 잡힌 시각을 견지하고 접근해야 한다. 현대사회는 정보기술의 발달에 기초한 ‘감시사회’라는 특징을 갖는다. 네트워크화된 데이터베이스를 토대로 한 ‘탈육체화된 감시’가 사회의 모든 영역으로 확산되고 일상화되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감시추세에 대한 도전으로서의‘역감시’도 ‘프라이버시 법’이나 ‘사회운동’ 등의 형태로 진행되어 왔다. 그런데 라이언이 보기에 문제는 정보기술의 발달 속도나 감시의 확산 속도, 운동의 조직성이나 지속성 등에 비추어볼 때 이러한 것들이 근본적인 역감시의 수단이 되지 못한다는 점에 있다. 따라서 라이언은 정보기술에 기반을 둔 지금의 감시체계를 ‘참여’, ‘개성’, ‘목적’이라는 개념에 기초해 참여자의 관점에서‘다시 형태가 부여된 개인’이라는 관념이 반영될 수 있도록 재구성해 보자고 제안한다. 이와 같은 라이언의 분석과 주장들은 사회운동과 프라이버시 법 간의 개념적 위상의 재설정, 감시사회에 대한 사회운동 차원에서의 다양한 대응 방안의 모색 등에 의해 보완된다면, 현대사회의 정보사회적·감시사회적 특성을 이해하는데 있어 좀더 체계적이고 유연한 분석 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This paper aims to deepen a theoretical understanding of information society, surveillance and social movement through the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review of David Lyon’s view of the surveillance society. I am currently focusing on reconstruction of Lyon’s main arguments in his papers and books, especially in The Information Society : Issues and Illusions, The Electronic Eye : the rise of surveillance society, and Surveillance Society : Monitoring everyday life. According to Lyon, social change is "the result not of mere ‘technological impacts’ but of a subtle and complex interplay between technology and society." Therefore, when we want to understand the social results of technological change, we should have a balanced view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formation technology and society. A feature that is characteristic of modern society is ‘surveillance society’ on the basis of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Our everyday life is now subject to monitoring and checking by many agencies including various companies and the state, which have collected personal data in our daily life spheres. At the same time, many challenges have attempted as a kind of response to surveillance, which have taken on ‘privacy law’ and ‘social movement’. They are called as‘counter-surveillance’. But, the problem is that they are not able to operate as a fundamental means of counter-surveillance compared with the speed of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of the diffusion of surveillance or the duration of movement. So, Lyon argue that we need to reconstruct our surveillance system based on information technology in the light of participants in order to reflect the concept of‘re-embodying persons’. If these Lyon’s analyses and arguments are complemented by coordination of the conceptual relation between social movement and privacy law, and new strategies of social movements, they will be able to become more systematic and flexible framework for understanding of surveillance society.

      • KCI등재

        벽화를 통한 리옹의 문화적 기억 보존⋅활용 연구

        노시훈 전북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0 건지인문학 Vol.0 No.27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centering on murals of CitéCréation, what Lyon's case of using murals successfully in cultural urban re- generation suggests from the contents of cultural memories and the role of preserving and utilizing actors. Closely linked to Lyon's place, figure, and event, the majority of the co-operative's murals exclude 'memory' as 'pre- sent life' and rely too much on 'history' as 'expression of the past' in order to maintain the city's reputation, thus it can be said that the cultural mem- ory shows a serious imbalance. In order to remedy this imbalance, it is necessary to restore the residents' memory by making the depictions of their current lives main in the murals. Among the actors of memory pres- ervation and utilization, artists(CitéCréation) discovered and expressed local cultural heritage and developed expertise, residents participated as charac- ters or actively led the creation of murals, and local governments set up policies and made subsidies to make murals possible. Therefore, when pro- moting urban regeneration and revitalization using murals, the involved such as artists, residents, and local governments should play an active role together as in Lyon.

      • KCI등재후보

        바뇰레 국제안무대회와 리옹 댄스비에날을 통해서 본 한국현대무용의 비평적 수용

        오선명 한국무용예술학회 2008 무용예술학연구 Vol.24 No.-

        In 1990’'s, Rencontres chorégraphiques internationales de Bagnolet Seine- Saint-Denis. renowned as one of the highly valued festivals in Europe, was the major stages where the Korean contemporary dances began to uncover its’' veil before it attracted international viewers at the 2000 Dance Biennale in Lyon. Choreographies staged at Rencontres chorégraphiques internationales de Bagnolet Seine-Saint-Denis in 1990’'s are ‘'Ssit-Kim’'(1992), ‘'The Empty Space’'(1994), ‘'The 11th Shadow’'(1998) by Ahb Ae-soon Dance Group which has been called as forerunner in the Korean contemporary dance scene., ‘'Love, far away’' by Kim Won’'s Dance troupe and ‘'Warning Moon’' 1996) by Lee Yun-kyung Dance Group. ‘'Moon Looking Dog’' and ‘'Deja vu’' of Dance Theatre On were invited to the stages of Lyon Dance Biennale. For the European Viewers, those dances have been considered as creative ones with new style but as of the having ritual, spiritual, folklore or religious theme well matched with traditional or classic musics. In brief, they were reflecting the modernity of the Orient. Accordingly, encounter between European audiences and contemporary dances from ‘'the country of morning calm’' was not simply contradictory so called modernity of the West vs. tradition of the Oriental culture. Then, how do the Europeans view Korean contemporary dances exposed at Rencontres chorégraphiques internationales de Bagnolet Seine-Saint-Denis and Lyon Dance Biennale? On what elements are they focusing? At the Bagnolet stages, contemporary dances groups explored modernity implemented in the Korean sentiment combining with tradition of its own but in Lyon, they unveiled their own individual thoughts rather than unique feeling of the Koreans.

      • KCI등재
      • KCI등재

        프랑스 리옹(Lyon)시의 ONLYLYON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전략 연구: 도시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전략의 시각기호학적 분석을 중심으로

        전형연 ( Hyeong Yeon Jeon ) 한국기호학회 2013 기호학연구 Vol.36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ONLYLYON brand communication strategies influence the people`s interpretation of regional representations by the visual symbols in the city slogans visualized. Our interest includes the domain of visual semiotics, which examines the subject from an iconic and plastic perspective of the slogan that is visualized. In this study, visual semiotic tools are used for defining and analyzing city brand identity by using regional representative image, "lion" which are familiar to the public. This study concentrates on the rhetorical significance of visual slogans from formal and structural dimensions to semiotic dimensions, in order to understand their communication strategy through the slogan culture of Lyon. In this context, this study could find that the use of particular visual slogan styles helps to draw attention to and gives inspiration about the identity of regions, and the regional model of humans oriented through the shape and colors. In the results, this study found that many Lyon government should be looking for ways to promote his unique identity and character through his visual slogan, ONLYLYON. Therefore, we argue that these semiotic figure analyses can be expected to have two primary perceptions: the conceptualization of a slogan phrase and the creation of visual elements of slogans visualized for the regions.

      • KCI등재

        썩지 않는 몸(caro incorruptibilis): 리옹의 이레나이우스의 저작에서 나타나는 불멸(ἀφθαρσία)의 의미에 관한 연구

        김근호 한국교회사학회 2024 韓國敎會史學會誌 Vol.67 No.-

        본 연구는 리옹의 이레나이우스(Irenaeus of Lyons)의 저작에 나타나는 불멸(ἀφθαρσία)의 의미를 구체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레나이우스는 2세기 후반의 대표적인 교부로서, 신학사적으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점한다. 특히 그가 사용한 불멸은 그의 작품에서 핵심적인 개념으로 나타나며 교의사적으로도 주요한 주제로 평가되지만, 중의적으로 사용되어 모호한 의미를 가진다. 그러므로 이레나이우스가 사용한 불멸의 의미를 구체화하기 위해, 본 연구는 먼저 그의 생애와 사상을 소개하고, 이와 함께 그의 집필활동의 이유가 된 영지주의의 사상을 발렌티노스파(Valentinianism)를 중심으로 논한다. 그리고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로부터 그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을 이레나이우스의 이전 시대의 교부들까지의 불멸의 용례를 논함으로써, 그가 불멸을 어떠한 의미로 이해하였을지 추론한다. 그리하여 그가 불멸을 핵심 논제로 사용한 세 가지 주제, 즉 성서 해석, 영지주의 논박, 경륜(οἰκονομία)을 중심으로 불멸의 구체적인 의미를 각각 하나님의 모상과 닮음의 회복, 몸의 부활, 신화(deification)로 규명한다. This study aims to explain the meaning of incorruptibility (ἀϕθαρσία) as it appears in the works of Irenaeus of Lyons. Irenaeus, a prominent Church Father in the late second century, holds a very important position in the history of theology. Notably, I analyze the term ἀϕθαρσία, which emerges as a central concept in his works and is considered a major theme doctrinally, yet its use is often ambiguous and the meaning vague. Therefore, in order to clarify the meaning of incorruptibility used by Irenaeu s, I f irst examine h is life and thou ghts a s a part o f this s tu dy, a long with the Gnosticism that motivated his writing, focusing on Valentinianism. Then, by discussing the usage of incorruptibility as seen by the ancient Greek philosophers and the Church Fathers of the previous era, I infer what incorruptibility might have meant to Irenaeus. Thus, I identify the specific meanings of incorruptibility around the three main themes used by Irenaeus as central arguments: the biblical interpretation, the refutation of Gnosticism, and the economy of God, respectively, as the restoration of the image and likeness of God, the resurrection of the body, and deification.

      • KCI등재후보

        프랑스 문화정책의 분권화와 시장화

        오창룡(Oh, Changrhyong) 한양대학교 평화연구소 2017 문화와 정치 Vol.4 No.1

        본 연구는 프랑스 제5공화국의 정부 주도 문화정책이 분권화 및 시장화 경향을 띠게 된 맥락을 분석한다. 프랑스 정부는 문화 민주화를 목표로 문화와 예술을 대중적으로 보급하는 중앙집권적인 정책을 추진했으나, 1990년대 이후 문화부문 재정과 행정권한이 지방자치단체로 위임됐다. 이와 관련하여 기존 연구들은 거시적 측면에서 프랑스 문화정책의 연속성에 주목하는 입장을 취하고 있으나, 본 연구는 리옹의 창조도시정책 사례를 중심으로 1990년대 문화정책 분권화가 갖는 단절적인 특징에 주목한다. 리옹 사례는 문화정책을 통한 사회통합과 지역 산업 육성이 어떠한 맥락에서 결합할 수 있었는가를 잘 드러냈다. 리옹이 지방자치단체 차원에서 육성한 댄스 비엔날레와 문화협력헌장은 기본적으로 사회적 소수자의 발언권을 확대하는 취지로 기획되었으며, 동시에 창조산업 육성과 투자에 필수적인 문화 인프라를 구축하는 데에 기여했다. 이러한 맥락에서 문화의 도구화 및 시장화라는 비판에도 불구하고, 문화기구참여연맹(UFISC)은 사회연대를 추구하는 문화정책이 국가와 시장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지속 가능한 발전의 대안이 될 수 있다고 본다. This article analyzes the context in which the government-led cultural politics of French Fifth Republic has shown a general tendency towards decentralization and marketization. The French government has promoted centralized policies to extend public cultural arts, which aim at cultural democracy, but since 1990s the cultural finance and administrative authority were delegated to local government. In this regard, the study focuses on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cultural politics in 1990s through the Creative City politics of Lyon, whereas the existing studies have been examining about continuity of French cultural policies with a macroscopic view. Lyon’s case clearly reflects how social cohesion by cultural policies conjoins local industry promotion: Dance Biennial and Cultural Cooperation Charter supported by Lyon as a local government were basically designed to extend a voice of social minorities, and furthermore contributed to build up essential cultural infrastructure for development and success of the creative industry. In this context, despite of criticisms) on instrumentalization and marketization of culture, The Union for Intervention of Cultural Structures (UFISC) expects that cultural policies seeking for social solidarity are a sustainable alternative to go beyond market failure and government intervention.

      • 프랑스 리용(Lyon)시의 자치경찰제에 관한 연구 : 제주자치경찰제와 비교를 중심으로

        신현기 한국자치경찰학회 2010 자치경찰연구 Vol.3 No.1

        본 연구는 프랑스에서 파리시 다음으로 인구가 많은 거대 도시이면서 인터폴 (Interpol)의 본부가 위치하고 있는 리용(Lyon)시의 기초자치단체에서 도입 운 영되고 있는 자치경찰제를 살펴보고 또한 동시에 우리나라 제주특별자치도에서 2006년 7월 1일 도입되어 운영 중인 제주자치경찰제에 대해 단순 비교해 봄으로써 우리가 얻을 수 있는 시사점은 무엇인지를 찾아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우리나라의 자치경찰제 도입에 관한 논의는 역대 수많은 정부에서 시도 되었던 사안이고 매번 국가안보의 중요성에 밀려 국가경찰제를 유지함이 바람 직하다는 여론이 우위를 점함으로써 제자리에 머물러 오다가 제주특별자치도의 출범과 함께 세상의 빛을 보게된 것이다. 그러나 제주특별자치도의 자치경찰제는 광역도의 장인 제주도지사가 자치경찰의 임명권자라는 사실이며 여기 에서 단순비교해보는 프랑스 리용시의 경우는 기초자치단체라는 점이 큰 차이 점이다. 그러나 제주도가 광역자치단체임에도 불구하고 기초자치단체인 리용시 의 경우보다 오히려 인구수가 더 적다는 차이점이 존재한다. 원래 제주특별자치도에서 2006년 7월에 자치경찰제를 도입할 때 이것이 프랑스의 자치경찰제 에 가장 가까운 모델이었다는 점은 우리에게 익히 알려진 사실이다. 그 당시에 우리나라 자치경찰제 도입을 위해 관여했던 전문가들은 하나같이 프랑스, 스페인, 이탈리아를 방문해 유럽에서 도입운영 중인 자치경찰제 모형을 벤치마킹하고 돌아와 완성한 제도라는 점을 부인하기 어렵다. 위에서 소개한 유럽 3국은 국가경찰제를 그대로 운영하면서 별도로 기초자치단체장의 책임하에 별도로 자체예산을 마련해 자치경찰제를 운영하고 있음에 착안했던 것이다. 따라서 국가경찰제는 기존대로 유지되는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 본 논문은 서술적 방식 에 의해 양 지역의 자료를 활용하여 단순비교함으로써 우리나라 제주자치경찰 제와 큰 차이점은 무엇이고 그로부터 얻을 수 있는 시사점을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