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영화 <이끼>에 나타난 이영지의 권력 획득 과정과 그 의미

        권도영(Kwon, Do-Young) 서사와문학치료연구소 2010 영화와문학치료 Vol.4 No.-

        영화 <이끼>는 웹사이트에 연재되었던 만화를 영화화한 것이다. 영화에서는 이영지라는 인물에 좀 더 주목하여 원작 만화에는 없던 장면을 추가함으로써 반전의 효과를 높이고자 하였다. 이와 같이 원작에 비해 달라진 결말에 대해서 여러 견해들이 있는데, 감독의 의도가 어찌되었든 달라진 이야 기에서 읽어낼 수 있는 의미를 밝혀서 그것이 우리 삶에 어떤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인지를 차분히 생각해 볼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원작과 영화의 차이를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이때 ‘권력’을 핵심어로 하였는데 그 이유는 논의의 초점이 된 이영지가 원작과 영화에서 결정적으로 달라지는 지점이 권력 획득의 유무를 기준으로 하여 드러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이영지라는 인물이 권력을 갖추게 되는 과정을 원작과 비교하고, 이를 토대로 하여 영화 <이끼>에서 드러나는 권력이 갖는 의미를 밝혀 보고자 하였다. 이에 영화와 원작의 줄거리를 모두 정리하고 이를 비교하면서 이영지의 행위나 태도가 달라진 부분과 그 양상을 살펴본 결과 원작의 이영지는 조력자의 역할에 불과한 반면 영화의 이영지는 스스로 주도하여 계획을 실행한 결과 권력을 얻은 주체가 되었다는 점을 밝힐 수 있었다. 이것은 영화의 마지막 장면을 통해서 드러난다. 마을에서 절대 권력을 행사하던 이장이 자신의 비리가 세상에 드러나게 되자 스스로 목숨을 끊었고, 이후에 마을에는 새로운 세상이 만들어지게 되었다. 이때 새로 들어선 마을의 지도자가 이영지가 된다는 설정에서 결국 이영지가 새로운 권력의 주체로 떠오르면서 영화가 마무리되는 것이다. 그런데 이때 영화에서 이영지가 획득한 권력이라는 것은 일차적으로는 이영지라는 인물이 갖는 특수성에서 문제를 갖는 것이고, 이차적으로는 이영지에 의해 마련된 권력을 받아들이는 입장에서 제기된다. 이영지는 마을 남자들의 성적 대상이 되어 살아가고 있었는데 이는 이영지가 믿고 따르던 구원의 대상인 류목형의 허망한 삶과, 자신을 농락하고 폭력적으로 지배해온 천용덕에 대해 복수하기 위해 계획적으로 선택한 삶이었다. 그러나 이것이 복수를 넘어선 구원으로 나아가지 못한 것이라는 점에서 문제가 되는 것이 다. 또한 끈질긴 복수를 통해 결국 모든 권력 관계를 뒤엎고 새로운 권력을 생성하는 모습으로 나타남으로써 권력의 부정적인 속성을 드러내는 것이라고 하겠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를 토대로 했을 때, 영화 <이끼>는 문제를 해결하거나 건강성을 회복하는 이야기와는 거리가 먼 이야기라고 할 것이다. 굳이 마을에서 유일한 여성이었던 영지를 새로운 주체로 내세우고자 했다면 그녀가 이루는 긍정적인 구원을 이루는 방향으로 나아갈 가능성도 충분히 있었던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이야기를 분석하여, 우선 그것이 갖는 문제점과 의미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이해함으로써 문제적 서사라는 점을 인식하는 것은 그 반대편에 있는 건강한 이야기를 찾는 초석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것이다. The movie <Moss> is the film organized from a cartoon work serialized on wet site. The movie focuses the character of Lee, Young-Ji more than her in original cartoon work. So the movie added some new scenes to increase the movie"s reverse effect. Concerning the movie"s different ending from the original cartoon work, there are many assumptions. Whatever the movie director"s intention was, we need to identify the different ending"s meaning and to think over what influences it may affect on our lives. For this purpose, I first tried to analyze the movie"s differences from the original work. At analyzing the both works, I set the "power" as the key word. Lee Young-Ji was the target of this study"s discussion, and she decisively changes at the point when she acquire the power. Therefore, this study compares the original work with the movie about the character of Lee Young-Ji"s power possessing way. And based on it, this study tried to identify the power"s meaning in the movie <Moss>. Summarizing and comparing the movie"s synopsis with the original"s, I intensively focused on Lee Young-Ji"s usual behaviors, attitudes and changing parts in them. As the result of investigating her changes, I could find that Lee Young-Ji in the original cartoon work was an assistant, but in the movie, she became the leader getting the power resulting from having led to execute her plan. It is revealed in the final scene of the movie. The village chief had exercised absolute power in the village but he killed himself when his illegal acts were revealed. After his suicide, a new world was created in the village. The movie ends with informing the fact that Lee, Yoing-Ji eventually emerged as a new power"s leader by being the village"s leader. But the power which Lee, Young-Ji acquired was primarily problematic from the terms of her unique condition. Secondarily the power was problematic concerning her attitude accepting the power by set herself. In the village, she had suffered as a sexual partner for the village men. But her miserable life was planned and selected by herself for revenging against Chun, Yong-Duck, the village chief having making her such miserable life and Ryu, Mok-Hyung"s unreal life and death. But the fact that her power"s acquisition didn"t go into the salvation beyond a revenge became a problem. Also the new power"s creation after upsetting all power relationships via a persistent revenge reveals the power"s negative aspect. Based on this analyzing result, the movie <Moss> may not be a story solving problems or recovering moral health. If the movie"s director tried to make Young-Ji, only women in the village as the new leader, he should have had enough possibility to develop the story"s direction for positive salvation which she wanted to achieve. But the movie is meaningful in that we understand its story"s problems and meanings, get aware of the movie as a problematic epic through its analysis, so the movie can be a cornerstone for searching healthy stories from its opposite side.

      • KCI등재

        시문학파의 문학사적 의미망과 정지용

        최동호 한국시학회 2012 한국시학연구 Vol.- No.34

        1930년 3월 『시문학』 제1호가 간행되었다. 창간 당시 이 낯선 문예지의 파괴력을 그렇게 크지 않았다. 문학사에 기록될 이 동인지에는 김영랑, 정지용, 이하윤, 박용철, 정인보 등이 참여해 27편의 창작시와 5편의 번역시가 수록되었다. 박용철이 주도적으로 기획하고 김영랑의 시가 13편으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정지용은 여기에 4편의 시를 발표했는데 그 대부분은 이미 발표한 작품들이었다는 점에서 그는 초기에 소극적인 참여자였다고 여겨진다. 뒤이어 『시문학』2호는 김현구가 동참해 동년 5월에 발간되었으며 제3호는 해를 넘겨 1931년 10월에 간행되었다. 신석정이 제3호에 참가했지만 『시문학』의 발간은 순조롭지 않아 더 이상 간행되지 못했다. ‘시문학파’라는 용어는 처음 동인지로부터 시작하여 1935년 시문학사에서 간행한 두 권의 시집인 『정지용』시집과 『영랑시집』으로 인해 문학사적 의미를 확실하게 갖게 된다. 시문학파의 문학적 운동이 처음에는 동인지를 중심으로 한 작은 집단의 움직임에 불과한 것이었다고 하더라도 시대의 압력을 이겨내고 대를 이어 퍼져나가면서 커다란 물살을 만들어 역사적 의미를 갖게 되었다는 것은 여러 문학사가에 의해 평가되고 있다. 한국근대문학사는 카프파와 순수문학파의 대립과 길항을 통하여 문학적 긴장을 형성해 왔던 까닭에 시문학파의 문학사적 의미도 카프파와 대립하는 순수문학의 문학적 기지로서 중요성을 갖는다고 할 것이다. 시문학파의 문학적 성과는 ‘변설이 아니라 시’를 지향한 일군의 시인들이 ‘민족 언어의 완성’이라는 목표를 성취한 빛나는 문학적 전통의 확립이라고 할 수 있다. 박용철을 필두로 하여 특히 정지용과 김영랑은 한국현대 문학사의 전개에서 서정시의 중심 줄기를 형성하는데 커다란 기여를 한시인들이었으며 독자적 개성을 유감없이 보여 준 순수문학파의 대표적 선두주자라고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The first issue of Simunhak was published in March 1930. At the time when it was first published, the influential power of this new magazine was not such great. Evaluated as one of the major literary magazines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the first issue included 27 poems and 5 translated poems by Kim, Young-rang, Jeong, Ji-yong, Lee, Ha-yun, Park, Yong-cheol, Jeong, In-bo, etc. Park played a major role in editing the magazine and Kim, Young-rang published 13 poems. Jeong, Ji-yong published 4 poems which had been published in other magazines before. This means that Jeong was a rather inactive participant of the magazine. Kim, Hyun-gu joined in the second issue in may 1930 and the third issue was published in october 1931. Though Shin, Seok-jeong participated in the third issue, the publishment was not in favorable situation and it could no longer be issued. The terminology ‘Simunhakpa’ began with coterie magazine Simunhak and came to have important meaning in literary history with the publishment ofJeong Ji-yong Sijip and Young-rang Sijip. Though literary movement of Simunhakpa was a minor one by small group from coterie magazine, the fact that it endured the pressure of the period and made a influential wave spreading through several generations is highly evaluated by several researchers of literary history. Since the history of modern Korean literature had been formed literary tension through confrontation and antagonism between KAPF group and pure literature group, historical meaning of Simunhakpa also lies in as the literary home for pure literature confronting with KAPF group. Important literary achievement of Simunhakpa is in that group of poets who intended to write ‘a poem not eloquence’ established a brilliant literary tradition by achieving the purpose of ‘accomplishing the national language’. With Park, Yong-cheol as the head of the group, Jeong, Ji-yong and Kim, Young-rang were poets who contributed greatly to the forming of central flow of lyric poetry in the history of modern Korean literature. They can be assessed as the representative front-runners of pure literature group and poets who showed a unique individuality most satisfactorily.

      • KCI등재

        하날님에서 한울님으로 - 동학․천도교에서의 천명(天名)의 변화 -

        조성환,이우진 대동철학회 2022 大同哲學 Vol.100 No.-

        It was June 1911 when the first major change began to take place in the name of Heaven in Cheondogyo. At this time, the use of ‘Han-eul’ and ‘Han-eul-nim’ appeared for the first time in the writings of Jong-Il Lee and Ji-Young Oh in Cheon Dokyohoiwolbo. And since then, this notation has been established. This is the first case in the history of Chondogyo to change the name of Heaven. The second change occurred after 3 months. This is because ‘Han Euinim’ appears in the 14th issue of the Cheon Dokyohoiwolbo. published in September 1911, with the letter ㄹ omitted from ‘Han Eul-nim’. Lee Jong-il was the first to write ‘Han-eui-nim’. After that, all the other authors started writing ‘Han Eui-nim’. And two months later, in December of 1911, Oh Ji-young and Lee Jong-il started writing ‘Hanwoonim’. Lee Jong-il started using ‘Hanul’ for the first time. Then, from April 1920, Oh Ji-young began to use ‘Hanul-nim’ in earnest. It is not that there were no examples of Hanul-nim before, but it was only used a few times in 8 years.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current name of Heaven in Chondogyo began in December 1911(Hanul) and May 1920 (Hanulnim). 1860년 최제우에 의한 ‘동학’의 탄생에서 1905년 손병희에 의한 ‘천도교’로의 전환이지니는 사상사적 의미는 여러 측면에서 고찰할 수 있다. 그 가운데 하나는 궁극적 존재를지칭하는 천명(天名)의 개칭을 지목되고 있다. 즉 ‘님’에서 ‘한울님’으로 최고 존재를지칭하는 한글 명칭의 변화이다. 그러나 이 변화는 천도교의 탄생과 함께 시작된 것이 아니었다. 이후의 천도교 사상가들에 의한 것이었다. 천도교의 천명에 처음으로 변화가 나타난 시기는 1911년 6월이다. 이 때 천도교회월보 에 실린 이종일과 오지영의 글에 ‘한을’과 ‘한을님’의 용례가 처음으로 등장한다. 그 이후로 이 ‘한을’과 ‘한을님’의 표기가 정착되었다. 이것이 천도교 역사상 최초로 천명(天名) 을 개명(改名)한 사례이다. 두 번째 변화는 이로부터 3개월 뒤에 나타났다. 1911년 9월에 나온 천도교회월보 14 호에 ‘한을님’에서 ㄹ이 탈락된 ‘한으님’이 등장한 것이다. 이 ‘한으님’이란 명칭을 쓴 이는이종일이다. 이후 천도교회월보 의 다른 저자들도 이종일을 따라 모두 ‘한으님’을 쓰기시작한다. 그리고 3달 뒤 1911년 12월에 오지영과 이종일이 ‘한우님’을 쓰기 시작하였는데, 특히 이종일은 ‘한울’이라는 명칭을 처음으로 사용하기 시작했다. 그 뒤로 다른 저자들도 일제히 ‘한울’이라는 천명을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따라서 ‘한울’이라는 명칭은 1911년12월에 이종일에 의해 정착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또 1920년 4월부터 오지영은 ‘한울님’이란 명칭을 본격적으로 사용하기 시작한다. 이전에도 한울님의 용례가 전혀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8년 동안 단 몇 차례 사용된 것이 전부였다. 따라서 현재 천도교의 천명(天名)은1911년 12월(한울)과 1920년 5월(한울님)부터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1931년 천도교 사상가 이돈화가 신인철학(新人哲學) 이라는 최초의 천도교 철학서를간행하는데 그 내용은 ‘한울’ 개념에 관한 철학적 논의에서 출발하고 있다. 따라서 1911년‘한울’이라는 명칭의 정착은 이돈화의 한울철학의 전사(前史)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재일 디아스포라 작가들의 불안과 극복의 모색 ─김사량, 김학영, 이양지 소설의 언어 의식을 중심으로─

        정보람 동서대학교 일본연구센터 2012 次世代 人文社會硏究 Vol.8 No.-

        A sense of identity was deep-rooted in the Korean diaspora writers in Japan while they created literary works written in Japanese in Japan. This thesis analyses masterpieces of Kim Sa Ryang(金史良), Kim Hak Young(金鶴泳), and Lee Yang Ji(李良枝) underlying that the identity issue provoked as being laid on between Japan and Korea is surfaced to their language consciousness. As the anxiety of identity deepened, their language consciousness is embodied in a negative direction. Language is used as means of disguise themselves, being silence on account of communication failures, and evasion of obsession to be assimilated into the community. The channel, however, is also founded in the language consciousness to reverse the anxiety of identity. In Kim Sa Ryang's case, he disrupted the order of rank among Korean people through bilingualism in Korean and Japanese and acting as a mediator. For Kim Hak Young, he overcame the impossibility of communication by saying continuously with a stammering, instead of keeping silence. Lastly, Lee Yang Ji leapt over the rift between Korean and Japanese by written language. It is to realize communication and solidarity between two conflictive identities.

      • KCI등재후보

        재일 디아스포라 작가들의 불안과 극복의 모색 -김사량, 김학영, 이양지 소설의 언어 의식을 중심으로-

        정보람 ( Bo Ram Jeong ) 동서대학교 일본연구센터 2012 次世代 人文社會硏究 Vol.8 No.-

        A sense of identity was deep-rooted in the Korean diaspora writers in Japan while they created literary works written in Japanese in Japan. This thesis analyses masterpieces of Kim Sa Ryang(金史良), Kim Hak Young(金鶴泳), and Lee Yang Ji(李良枝) underlying that the identity issue provoked as being laid on between Japan and Korea is surfaced to their language consciousness. As the anxiety of identity deepened, their language consciousness is embodied in a negative direction. Language is used as means of disguise themselves, being silence on account of communication failures, and evasion of obsession to be assimilated into the community. The channel, however, is also founded in the language consciousness to reverse the anxiety of identity. In Kim Sa Ryang`s case, he disrupted the order of rank among Korean people through bilingualism in Korean and Japanese and acting as a mediator. For Kim Hak Young, he overcame the impossibility of communication by saying continuously with a stammering, instead of keeping silence. Lastly, Lee Yang Ji leapt over the rift between Korean and Japanese by written language. It is to realize communication and solidarity between two conflictive identities.

      • KCI등재

        Coevolution of Conventions and Korean New Wave: Korean Cinema in the 1970s and 80s

        이효인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2019 Korea Journal Vol.59 No.4

        Changes in Korean cinema during the 1970s and 80s served as the foundation for its takeoff in popularity in the 1990s. During this period, traditional Korean film production ideology and conventions were present, and the Korean New Wave can be said to be the result of the coevolution achieved while competing against such conventions. In this paper, I designate the main trends and films in Korean film history during the 1970s and 80s as the “Korean New Wave.” Korean New Wave encompasses the entire activities of the film movement group and the Korean film directors from the late 1980s to the mid-1990s. I discuss Gwang-su Park, Myung-se Lee, Sun-woo Jang, and Ji-young Jung as representative directors. However, Korean New Wave is not a sudden occurrence but rather a social and historical consequence. Its pre-history comprises Yeongsang sidae (The Age of Image) centered on director Gil-jong Ha of the 1970s as well as the New Wave prequel represented by Chang-ho Bae, Jang-ho Lee, and Kwon-ta Im in the 1980s. Beginning as a prelude to the New Wave, Barambuleo joeun-nal (A Fine Windy Day, 1980) by Jang-ho Lee and continuing with Neoege nareul bonaenda (To You from Me, 1994) by Sun-woo Jang, or even to the establishment of the B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in 1996, Korean New Wave was a consequence of co-influences, collaboration, competition, and struggle between the old system of Korean cinema and the new challenges it faced. However, the elements of New Wave were made obsolete by the topographical changes of the film industry and audience culture that came after the mid-1990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曺兢燮의 金澤榮 諸家文評 비판과 그 비평사적 의의

        송혁기(Song Hyok ki)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06 동양한문학연구 Vol.22 No.-

        金澤榮(1850~1927)의 산문비평 언급들은 그간 산문사 연구에 큰 영향을 끼쳐왔다. 본고는 當代의 曺兢燮(1873~1933)이 가한 비판을 통해, 김택영의 우리 산문사 인식 자체를 상대화하여 이해할 필요가 있음을 밝히고자 했다. 특히 조긍섭이 지적한 지점들 각각이 현 단계 산문사 연구에서 석연하게 정리되지 않는 몇 대목과 직접 연관된다는 점에서 재고가 필요하다. 첫째 李穡 이래 조선 전기 산문의 평가 문제이다. 이제현 이후 장유ㆍ이식 이전의 모든 작가를 배제한 김택영의 견해는 독특한 경우에 속하는 것임을 조긍섭의 지적에서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조선 전기 산문사는 그것대로 새롭게 조명할 필요가 있고, 한편으로는 왜 조선전기를 산문사의 공백기로까지 치부하는지의 문제를 본격적인 연구대상으로 삼음으로써 조선 중기 산문사 전변의 실질을 구명할 필요가 있다. 둘째 擬古派의 존재와 崔?의 산문사적 위상 문제이다. 최립이 전후 칠자와 연관되어 비판적으로 거론된 것은 영향의 실제 여부를 떠나 문체의 유사성을 근거로 후대에 이르러 성립된 것이다. 그가 당송문 일변에서 진한문으로 전범대상을 전이ㆍ확장하는 데 중요한 몫을 한 것은 사실이지만, 작법으로서의 ‘의고’ 혐의는 전범대상과는 분리해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 최립 당대로서는 오히려 그가 주력한 전범 학습과 수사 단련 자체가 산문이 추구할 수 있는 문예미의 기본으로서 특필되기도 했다. 조긍섭은 최립 산문의 전칠자 연원과 의고성을 지적하면서도 그 나름의 산문적 성취와 산문사적 위상을 제기함으로써, 당송문 편향인 김택영의 작가 선정에 이의를 제기하였다. 셋째 朴趾源 문학에 대한 평가와 古文의 개념 문제이다. 조긍섭이 생각한 古文의 요건은 전통적인 ‘辭理具備’였는데, 이때의 理는 여전히 주자성리학적 세계관 안에 있었으며, 辭가 지나치면 오히려 理를 가리게 되며 그 대표적 경우를 박지원으로 들었다. 반면 김택영은 절묘하고 기발한 辭를 통해 문학적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고 생각하고 修辭의 측면에서 박지원 산문을 조명하고자 했다. 김택영의 古文觀을 唐宋文이나 明代 唐宋派, 혹은 이전 시기 고문가들의 그것과 비교?대비하여 새롭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 Kim Taek-young"s literary criticism has been influenced on the study of prosaic history. This paper aim at the new understanding of his literary criticism by Cho Keung-sub"s comments on him. Especially Cho"s comments have related matters with following some doubtful questions in the study of prosaic history. First, the standpoint about the estimation of the very former term of Chosun dynasty. Kim excluded almost all writers before Chang Yoo and Lee Sik. Cho admitted Kim"s opinion as an unique thing. Since we may illuminate that period itself, meanwhile we may illuminate that period leaning Kim"s opinion. Second, the group of writers who pursued the pseudoclassical literate style and the position of Choi Lib in the prosaic history. Choi Lib was so meaningful in the field of writing style at that time. Kim only focused on the writers who wrote Tang-Song style literatures while Cho noticed the writers who wrote Qin-Han style literatures. Cho called in questions that kind of Kim;s views. Third, the estimation of Park Ji-won and the classical literate style. Cho put more values on the principles more that the rhetoric, while Kim stood on the opposite position. Cho suggested Park Ji-won as a suitable writer but Kim regarded him as one of novel writers.

      • KCI등재

        이미지즘의 동양 시학적 가능성 고찰 : 언어관과 자연관을 중심으로

        전미정 우리말글학회 2003 우리말 글 Vol.28 No.-

        Imagism is not to proceeds from Western but from Oriental poetry. But studies about Imagism in Korean modern poetry have argued that it is a mode derived from influence of England and America. It not good to study like that. The aim of this paper is to compare Jung Ji-yong' versification with Ezra Pound'. Similarity as they are, they assentially have a different property. The different property itself shows all importence, which is Oriental property of Jung'poem. This paper will about to expound Oriental versification through Lee Kyu-bo' versification. Accurately, through Lee' view of word and nature. Because concretly a view of word and mature reflects Oriental poetic.

      • KCI등재

        오디세우스 마스터플롯의 여성적 전도 과정 - 「무진기행」의 대항서사들을 중심으로

        손정수(Son, Jeong-soo) 한국현대소설학회 2020 현대소설연구 Vol.- No.78

        This thesis defines the odysseus masterplot combining Peter Books’s plot model with Freud’s discussion on the masculine sexual desire. It is thought that the masterplots have been maldistributed in modern korean narratives and the difference in them can explain the contemporary characteristic of that period. On that premise, I compared the odysseus masterplot in “Mujingiheng”(A Journey to Mujin(霧津)) with its counter narratives, such as Gong Ji-young’s Dogany(melting pot), Kim, Keum-hee’s “Ojik Han Saramui Chaji(only one person’s possession)”, Kang Wha-gil’s Dareun Saram(the next person), Lee Ju-ran’s “Neon Swipge Malhaetjiman (though you said simply)” and got to confirm that the change of gendered consciousness was projected in the transition of the masterplo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