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스포츠 허스토리”: 한국 여성 체육사 연구 동향과 과제, 2007~2016

        최여미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2018 체육과학연구 Vol.29 No.1

        [Purpos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in Korean women’s sport history and provide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by reviewing journal articles conducted in the last ten years (2007-2016). [Method] The articles were selected from the Korean Journal of History for Physical Education, Sport, and Dance, which is the only, representative sport history journal in South Korea. 66 articles identified as studies of women’s (or women-related) sport history were analyzed in five categories, including a) period, b) theme/topic, c) purpose, d) method, and e) country. [Results] Specifically, the analysis by period showed that 90% of the research focused o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while only 7% of the research was set in pre-modern history. According to the analysis by theme/topic, genre has been studied most often with 36%, followed by figure (20%) and facility/institution/organization (15%). By the criteria of purpose, it was found that the majority of the research (48%) focused on historical evolution and transition, while the research on comparison/relation was of little scholarly interest. Regarding the category of method, textual analysis was used most often, with 70% followed by oral life history (27%). By the criteria of country, the largest ratio of papers studied Korea (75%) while only 3% of studies examined other East Asian countries, such as China or Japan. Comparative, diasporic, or transnational studies were the second most popular subcategory (11%). [Conclusion] According to the results, it was acknowledged that there has been a significant lack of interest in women’s sport history by Korean scholars and “sport herstory” is largely underresearched. In addition, the excessive concentration on a specific period or a particular theme was also exposed. To rectify the biased research practice and promote scholarly growth and enhancement in both academia of Korean women’s sport history and Korean sport history,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expansion of historical materials, application of new methodology, cross-disciplinary conversation, and theorization in studying women’s sporting experiences. [목적] 본 연구는 지난 10년 동안 수행된 체육사 연구 중 여성 관련 체육사 연구의 현황을 살펴보고 이를 기반으로 향후 과제와 연구의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기획하였다. [방법] 2007년부터 2016년까지 한국 체육사 분야의 유일한 전문 학술지인 『한국체육사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으며, 이를 연구 대상 시기, 연구 주제, 연구 목적, 연구 방법, 연구 대상 국가 등 5가지 범주로 분류하여 살펴보았다. [결과] 연구 분석 결과, 282편의 논문 가운데 23%에 해당하는 66편의 연구들이 여성 체육 관련 연구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시기별 분석 결과에 따르면, 전체의 90%에 해당하는 연구가 근대와 현대시기에 집중되어 있으며, 전근대시기를 대상으로 삼은 연구는 전체의 7%에 불과했다. 주제별 검토에서는, 종목/장르에 포함되는 연구가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으며(36%), 다음으로 인물(20%), (교육)제도/정책/대회(15%) 순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연구 목적을 분류 기준으로 살펴본 결과, 다수의 연구들이 연대기적 접근 방식을 통해 고찰되었음(48%)을 알 수 있었으며, 상대적으로 지역간 혹은 시대간 비교사적 접근을 통한 여성 체육사 연구는 적었다. 연구 방법적인 측면에서는, 문헌고찰 방식의 연구가 전체의 70% 비중을 차지했으며, 구술/생애사적 연구가 27%로 그 뒤를 이었다. 연구 대상 국가별 분석 결과에 따르면, 전체의 약 4분의 3에 해당하는 연구(75%)가 한국을 대상으로 수행되었으며, 국가간 비교연구나 디아스포라 관련 연구가 11%로 두 번째로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미국과 유럽에 관한 연구(9%)나 동아시아에 대한 연구(3%)에 대한 관심도는 낮은 편이었다. [결론]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여성 체육사 분야에 대한 학계의 근본적 관심이 여전히 부족함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연구의 주제적, 시대적 편중화를 해소하기 위해, 사료 확장, 새로운 방법론의 적용, 학제간 교류, 이론화 등이 요구되었다. 여성의 주체화를 전제로 한 이와 같은 다양한 연구 전략에 대한 모색은 한국 여성 체육사는 물론이고 한국 체육사 전반을 보다 풍성하게 만드는 데에 효과적으로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한국체육사의 회고와 전망 -『체육사학회지』 (2006~2015)를 중심으로 -

        심승구 ( Seung-koo Shim ),최여미 ( Yeomi Choi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16 체육과학연구 Vol.27 No.4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 of sport history by analysing published research articles over the last decade in the Korean Journal of History for Physical Education, and suggest directions of research in sport history based on the results. We have reviewed a total of 264 articles relying on the analytic framework including the criteria of time period, method, nation, theme/topic, and purpose.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post-Liberation period has been studied most often with 45.3%, followed by the Japanese Colonization period (20.2%), the Joseon Dynasty period (11.4%), the diachronic research (8.8%), the period from ancient times through Goryeo (8.1%), and the period of Enlightenment (6.2%). The results indicate that most recent studies in the journal unilaterally focus on the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with 71.7%.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by research method, second, more than 90% of the studies have been conducted using qualitative methods while only 0.6% of the papers have adopted quantitative methods. The qualitative methods include textual analysis, participant observation, oral life story, and focus group interview. Textual analysis has been used most often with 74.5%. Oral life story has been second (22.5%), followed by participant observation (2.1%) and focus group interview (0.3%). The findings from this category show that it is still necessary to diversify research methods and vitalize interdisciplinary research. Third, in terms of nation, over 70% of the papers have studied about Korea, and European countries are the second most frequent region in the research trend (8.3%). The nation that follows is China with 6.4%. Although we analysed a Korean journal in sport history, the result exposes the lack of scholarly attention in the studies of sport history to world sport history reflecting comparative perspectives. By the criteria of theme/topic, fourth, genre has been studied most often with 31.7%, followed by figure (14.1%), facility/institution/organization (14.0%), system/policy/event (12.8%), philosophy/ideology/theory (6.7%), remains/relics/documentary material (6.3%), and domestic regions (5.4%). The results show that the recently published research articles have attempted to include a variety of genres in sports, play, and dance. While the topics for figure and facility/institution/organization also receive significant interest, it is limited that the studies mostly focus on male sport figures but female figures are barely explored. Even when female figures are researched, the attempts are observed only in the studies of dance. Fifth, the largest ratio of papers has had the research purpose of historical evolution (37.6%), followed by value/significance (20%), type/characteristic (15.5%), thoughts/ideology/theory (9.1%), origin (6.6%), suggestion/proposal/prediction (5%), comparison/correlation (5%), and concept/terminology (1.2%). The results expose that the studies tend to concentrate on historical evolution relying on chronological description while the research on concept/terminology is of little scholarly interest. Based on what we have found, it is identified that the recent studies in sport history have mostly focused on the historical evolution of a specific sport genre in the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using textual analysis. Consequently, the results suggest that researchers in sport studies need to put in additional effort to expand research topics and methods, and invite comparative perspectives involving inter/cross-national studies. 이 글은 2006년부터 2015년까지 『체육사학회지』에 게재된 체육사 분야 연구 논문들을 분석하여 최근10년간의 연구동향을 살펴보고, 그 결과를 토대로 향후 체육사 연구에 방향성을 가늠해 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서 해당기간 동안 게재된 총 264편을 분석하였으며, 이것을 연구시기, 연구방법, 연구대상국가, 연구주제, 연구목적 등 5가지 분석틀로 구분하여 그 동향을 살펴보았다. 첫째, 연구대상 시기는 해방이후가 45.3%로 가장 높았고, 일제강점기 20.2%, 조선시대 11.4%, 통사8.8%, 고대·고려 8.1%, 개화기 6.2%의 순이다. 이 같은 분석 결과는 최근 체육사의 연구대상 시기가 50%가까이 집중된 사실을 말해준다. 이를 개화기와 일제강점기를 포함해서 언급한다면, 근현대 시기가 모두71.7%로 확인되어 체육사 연구의 경향이 여전히 근현대에 집중되어 있음을 뚜렷이 확인하게 된다. 둘째, 연구방법은 양적연구 0.6%로 대부분 질적연구에 집중되어 있다. 질적연구방법으로는 크게 문헌고찰, 참여관찰, 구술/생애사, 초점집단연구 등으로 구분된다. 그 가운데 문헌고찰 74.5%로 가장 높았고, 구술/생애사 22.5%, 참여관찰 2.1%, 초점집단연구 0.3%의 순이다. 물론 질적연구방법으로는 한 가지 이상의 연구방법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 점도 특징이지만, 여전히 연구방법의 다양화와 학제간 연구에 대한 실천적 노력이 필요해 보인다. 셋째, 연구대상의 국가별 연구동향은 한국이 71.9%로 가장 높았고, 유럽 8.3%, 중국 6.4%, 해당없음(국가가 없는 경우) 6.1%, 북미 3.4%, 비교연구 2%, 기타 1.1%, 일본 0.8%의 순이다. 이 같은 결과는 분석대상이 한국체육사학회지라는 성격과 관련이 밀접하게 있다고 판단된다. 그럼에도 체육사 분야가 국제교류나 다른 나라의 체육사에 대한 연구가 크게 취약하다는 점을 보여준다. 넷째, 연구대상 주제별 논문동향은 종목/장르가 31.7%로 가장 높았고, 인물 14.1%, 시설/기관/단체14.0%, 제도/정책/대회 12.8%, 기타 9.0%, 철학/이념/이론 6.7%, 유적/유물/기록물 6.3%, 지역 5.4%의 순이다. 이 같은 분석 결과는 최근 연구주제가 스포츠, 놀이, 무용 등의 다양한 종목과 장르를 소개하거나 다루려는 경향이 비교적 높다는 사실을 말해준다. 또한 인물의 비중이 시설/기관/단체와 함께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보아 특정 인물과 단체에 대한 기초적 연구가 집중되는 경향을 드러낸다. 그러면서도 남성 체육인을 중심으로 한 연구가 지배적인 특징을 보이되, 여성을 다룬 경우는 주로 무용 영역에 한정되는 경향을 보인다. 다섯째, 연구목적에 대한 연구동향은 역사적 전개과정 37.6%로 가장 높았고, 가치/의의/의미 20%, 유형/특성 15.5%, 사상/이념/이론 9.1%, 기원/유래 6.6%, 제안/제언/예측과 비교/연관성이 각각 5%, 개념/용어 1.2%의 순이다. 이 같은 연구결과는 체육사 연구가 연대기에 입각한 역사적 전개과정에 집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개념/용어와 같은 연구는 관심도가 매우 낮은 사실을 보여준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체육사 분야가 한국의 근현대 스포츠 종목과 장르를 대상으로 문헌고찰을 중심으로 과거로부터 이어져 온 연대기적인 역사적 전개과정에 집중하고 있는 사실을 확인하게 된다. 반면에 다양한 연구주제나 연구방법, 비교 검토나 국제사회 속의 체육사에 대한 접근은 약하다는 점을 시사해 준다. 물론 구술/생애사와 관련한 연구가 늘어나고는 있지만, 전반적으로 연구주제나 연구방법에 대한 새로운 모색의 결여는 자칫 학문적 질과 역량의 저하를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체육사의 향후 과제로서 새로운 체육사에 대한 사학사적 접근과 함께 연구주제와 연구방법에 대한 새로운 모색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한국의 체육사 연구의 동향 및 과제

        박귀순 ( Cindy Park ) 한국체육사학회 2014 체육사학회지 Vol.19 No.4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체육사 연구 동향의 파악을 위해 3시기로 구분해서 각 시기별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서 향후 한국의 체육사 연구의 과제를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제1기(1953년-1993년)에는 나현성을 필두로 한국의 체육사 연구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졌으며, 1953년 한국체육학회의 창립과 학회지의 창간 및 체육사 분과위의 설립 등으로 체육사 연구의 기반이 조성되었다. 제2기(1994년-2004년)에는 1994년 한국체육사학회의 창립과 학회지의 창간 및 다양한 국제 교류 세미나 등의 활동이 이루어지면서 체육사 연구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졌다. 제3기(2005년-현재)에는 한국체육사학회 창립 20주년을 맞이하면서, 체육사 연구는 비교적 안정기에 들어서게 되었다. 향후 한국의 체육사 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모색하기 위해서 첫째, 체육사 연구 주제의 다양화, 둘째, 체육사 연구방법의 체계화 및 확립, 셋째, 학회 회원의 관리 및 확보, 넷째, 다양한 관련 학계와의 교류 강화 내용의 당면 과제를 제시했다. The present study purposed to clarify of trend of the sport history research in Korea, it was divided into three period. and through it presented a assignment for future research of the sport history in Korea. The first period(1953-1993) was a research done in earnest, 1953 establishment of the KAHPERD of Korea, Journal has been founded etc. The second period(1994-2004), 1994 establishment of KSHPESD, Journal has been founded, through various international exchange activities and seminars, sport history research was a sudden increase. The third period(2005-present), the KSHPESD celebrated its 10th anniversary, sport history research has become to stable relatively. In order to explore a new paradigm for the future Korean sport history research presented the following assignments; diversification of sport history research topic, systematic methods of sport History research, management society members, strengthen academic exchanges with various rela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