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미의 고유성 규명을 위한 비교미학적 고찰

        이주영 ( Joo Young Lee ) 한국미학예술학회 2014 美學·藝術學硏究 Vol.41 No.-

        이 연구는 그간 한국미 연구를 통해 가장 중요하게 거론된 미적 관점들을 서양미학의 중심내용과 비교해 보면서 한국미의 고유성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한국인들이 지향했던 자연관, 세계관과 이를 기반으로 한 고유한 미의식을 더 분명하게 부각시키고자 했다. 이를 위해 한국미의 범주체계를 새롭게 구성해 보고자 했다. 서양미학에서 거론되는 대표적인 미적 범주는 ‘미’, ‘비장’, ‘골계’, ‘숭고’, ‘우아’, ‘추’, 그 밖에 ‘특성미’ 등이다. 한국미의 중심 개념 중에서 ‘한(恨)’과 ‘해학’은 ‘비장’과 ‘골계’에 유사하게 대응하나 그 밖의 개념들은 서양미학의 범주로는 포괄이 안되는 독특한 미적 가치를 지닌다. 그것이 ‘멋’, ‘무심’, ‘일탈’, ‘신명’, ‘풍류’, ‘고졸’, ‘씻김’ 등이다. 이러한 한국미의 범주들은 중심에 자연을 두고 수직적인 방향과 수평적인 방향으로 순환하며 전체는 ‘구(球)’형과 같은 3차원의 체계를 이루고 있다. 이에 비해 서양미학의 범주구조에서 가장 많이 거론되는 데스와의 원환적 범주체계는 서로 성격이 다른 범주들이 마주보고 있는 평면적인 도식을 이루고 있다. 또 그의 범주체계에서 서로 마주보고 있는 범주들의 중심지대는 자연보다는 인간에 중점이 놓이는데 비해 한국미의 모든 범주들을 포괄하는 바탕은 자연이다. 한국미의 중심 범주들은 인간이 갖고 있는 모든 정서적 세계의 소우주속에서 위치하고 유동한다. 이 소우주는 수직계로 순환하는 원환과 수평계로 순환하는 원환으로 나뉜다. 또 각각의 원환은 정서의 밝은 쪽과 어두운 쪽으로 나뉘는데, 중심에 생명력으로서의 자연을 품고 있기 때문에 그 생명력의 힘으로 어두운 쪽에서 밝은 쪽으로 이행하고자 하는 운동성을 가진다. 수직계 순환범주로는 ‘한’, ‘해학’, ‘흥’, ‘신명’, ‘씻김’ 등이 있고 수평계 순환범주는 ‘풍류’, ‘멋’, ‘일탈’, ‘고졸’, ‘무심’ 등이 있다. 수직계 순환범주는 음악이나 연극, 문학 등 시간예술에서 주로 많이 나타나는데, 시간의 순차적 배열에 따라 정서가 운동하며 인간의 성정을 강하게 자극한다. 수평계 순환범주는 조형예술에서 주로 나타나며, 평온한 정서로 표현되면서도 유동적인 자연의 생명력을 담는다. 조형예술은 공간과 정지된 시간성 속에 모든 것을 담아야 하므로 극단적인 정서가 중화되고 대립과 모순이 화해된 자연 그대로의 상태를 표현하게 된다. 그러므로 조형예술은 자연성을 바탕으로한 관조적 미감이 지배적이다. 수직계 순환범주는 인간과 사회의 관계 속에서 발현되는 정서의 성격이 강하며 수평계 순환범주는 그 미적 특성이 자연 쪽에 더 가깝다. 이 전체 범주는 하나의 총체성의 체계 속에서 유동하기 때문에 다른 범주들과의 영역이 명확히 분리되는 것은 아니나 각각의 중심위치의 성격은 뚜렷이 지닌다. 이를 통해 도출된 한국미의 고유성은 범주들이 상호통섭하면서 복합적인 미의식으로 나타난다는 것이다. 그럼으로써 미의식은 삶의 총체성을 더 깊이 있게 보여줄 수 있게 된다. 이렇게 미적 범주는 순환하며 모든 정서를 총체성 속에 녹여내며, 슬픈 것과 기쁜 것, 속된 것과 성스러운 것, 일상적인 것과 초월적인 것, 아름다움과 추함, 늙음과 젊음 등은 함께 교호하거나 결합하여 전체의 미를 볼 수 있는 심미적 차원을 깊게 한다. 이러한 통일된 미의식은 정합적인 차원에서 닫혀있는 것이 아니라 순환적으로 움직이는 미의식이다. This research derived the peculiarities of Korean beauty by comparing the significant components of Korean aesthetics with those of Western aesthetics. In doing so, I tried to emphasize the standpoint to the nature, to the world and aesthetic consciousness of Korea. This aim required the establishment of a new set of Korean aesthetic categories. The representative aesthetic categories of Western aesthetics are Beauty, Tragic, Comic, Sublimity, Grace, Ugliness, and Characteristics. The Korean aesthetic categories Han and Humor are similar to Tragic and Comic, but the following Korean categories have no Western counterpart: Mut, Indifference, Deviation, Shinmung, Pungryu, and Shikim. The categories of Korean aesthetics circulate in both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horizontal direction. Together they form a three-dimensional spherical system. In contrast, the circular categorical system of Dessoir forms a two-dimensional plane in which certain categories oppose each other. In his categorical system, the central point between opposing characteristics accentuates humanity, whereas the basis of the Korean aesthetic categories is nature. The central categories of Korean beauty exist and move in the microcosmos of the human emotional world. The microcosmos is divided into vertical and horizontal circular categories. Each of these circles is then divided into bright and dark aspects of emotion. The latter moves toward the bright aspect from the dark aspect, embracing nature as a vital power. Han, Humor, Heung, Shinmung, and Shikim are the vertical categories. Pungryu, Mut, Deviation, Archaic, and Indifference are horizontal circular categories. The vertical categories appear often in art that is based on tempo, stimulating human nature by moving emotion by the passage of time. The horizontal circular categories mainly in the formative arts, holding the floating life force of nature, are expressed by tranquil emotion. The formative arts have to embody every motive in space and the stopping moment, so they express the state of nature itself, in which extreme emotions are neutralized, and conflict and contradiction are reconciled. So in the formative arts, the contemplative sense of beauty is dominant, based on naturalness. The vertical circular categories are characterized by the emotion that aris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s and society.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the horizontal circular categories are nearer to nature. No individual category can be divided clearly into a specific categorical domain, by reason of floating in a system of totality, but they distinctly reflect the character of their main position. To conclude, the peculiarity of Korean beauty appears as a complex aesthetic consciousness through the mutual interchange of categories. Therefore, the aesthetic consciousness deeply reflects the totality of life. In this way, the aesthetic categories circulate and melt the individual emotions into totality. Sadness and pleasure, worldliness and the divine, daily life and transcendence, beauty and ugliness; they all alternate each other together, and deepen the aesthetic dimension to reveal beauty as a whole. This unified aesthetic consciousness is circular and moving, not enclosed in a fixed system.

      • KCI등재

        북한미학의 미적범주론

        홍지석(Hong, Ji Suk),전영선(Jeon, Young Sun)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4 통일인문학 Vol.57 No.-

        이 글에서는 북한미학의 미적범주론을 고찰하고 이를 토대로 북한미학과 북한문예의 상관성을 관찰한다. 북한미학(또는 이른바 주체미학)이 내세우는 미적범주론의 특성은 대략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북한미학은 미적범주를 “사람의 자주적 요구와 지향”이라는 기준과의 일치 여부에 따라 긍정범주(아름다운 것, 숭고한 것, 영웅적인 것, 비극적인 것)와 부정범주(추한 것, 저속한 것, 희극적인 것)로 나눈다. 다음으로 긍정범주는 “사람들의 자주적 요구를 어느 정도 반영하고 있으며 또 그 요구의 어느 측면을 주로 반영하고 있는가”에 따라 아름다운 것, 숭고한 것, 영웅적인 것으로 구분된다고 주장한다. 특히 ‘행동성’을 특징으로 하는 영웅적인 것을 독자적인 미적범주로 다루고 있는 것이 북한미학의 큰 특징이다. 이러한 미적범주론은 소비에트 미학의 가치론적 관점을 자기 나름의 방식으로 수용, 변화시킨 것이다. 둘째, 북한미학의 미적범주론은 생리적, 감각적인 것들이 대부분 배제된 의식적-사상미학적 수준에서 구성된다. 즉 감각적 快, 공포, 생리적 죽음, 생리적 웃음은 간과되거나 무시되고 대신 사상의식발전에 기여하는 것, 착취 계급에 대한 분노, 낡고 반동적인 것에 대한 조소 같은 것들이 미적범주론의 핵심을 구성한다. 그런 의미에서 북한미학의 미적범주론은 감각보다는 이데올로기-도덕(윤리)를 내세우는 엄숙하고 금욕적인 성격이 매우 강하다고 할 수 있다. 셋째, 둘째와 같은 이유에서 북한의 문예에는 감각에 직접 호소하는 예술 장르나 형식이 발전될 수 없다. 예를 들어 감각적인 묘사에 치중하는 詩, 공포영화, 슬랩스틱처럼 웃음자체를 겨냥하는 희극을 북한에서는 거의 찾아 볼 수 없다. 대신 애국심에 호소하는 진지한 비극, 풍자극, 경희극 같은 것들이 북한문예의 주류를 이룰 것이다. 이것은 미적담론이 체제의 이데올로기적 요구에 따라 형식/장르의 구성/배치에 관여한 매우 독특한 사례다. This paper studied aesthetic categories of North Korean aesthetics and observed interrelationship between North Korean aesthetics and North Korean literature based on the study. North Korean aesthetics (or so-called “Ju-che” aesthetics) can be summarized in three features. Firstly, North Korean aesthetics classify aesthetic categories into positive category (beautiful, sublime, heroic, and tragic) and negative category (hideous, vulgar, and comic) by the criteria of independent demand and aim of human being. Positive category can be subdivided into beautiful, sublime, and heroic by considering how many independent-demands of human beings and what aspects of the demands are reflected. Especially North Korean aesthetics consider heroic with action as independent aesthetic category. Such categorization is acceptation and alteration of Soviet aesthetics’ axiological perspective in North Korea’s own way. Secondly, conscious-ideological aesthetic level, which excludes most of sensual parts, composes aesthetic categories of North Korean aesthetics. The core of aesthetic categories are composed with one contributes the development of ideology, wrath towards exploiting class, and derision to old and unprogressive things; sensual resentment, fear, or physiological death/laughter is rather passed over or ignored. In that sense, it might be said that aesthetic categories of North Korean aesthetics are strongly solemn and abstinent based on ideology-ethic rather than sensual approach. Thirdly, therefore, sensual genre or form of art cannot be developed in North Korean literature. Poetry focused on sensual description, horror movie, or slapstick comedy for laughter itself does not exist in North Korea, for instance. The mainstreams of North Korean literature are serious tragedy appeal for patriotism, satirical drama, or light comedy. This is very unique case that aesthetic categories participate in composition/arrangement of formation/genre in accordance with system’s ideological demands.

      • KCI등재후보

        한국 전통미 특질에 대한 제설(諸說)의 유가,도가 미학적 고찰

        조민환 ( Min Hwan Jo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2 韓國思想과 文化 Vol.65 No.-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aesthetic beauty of the East and that of the West? How is the aesthetic beauty of Korea different from that of China and Japan? Up to the present, these have been central questions for those pursuing studies in Korean aesthetic beauty. While there have been only rare studies on Korean aesthetics, a useful place to begin for understanding how Korean art developed an aesthetic is in Korean philosophy, and related articles on Korean Buddhism, Korean Confucianism and Korean Taoism. Buddhism, Confucianism, Taoism, and other religious elements influence the unique nature of the Korean character together with shamanism. They play a decisive role in determining the Korean mentality or consciousness. For Koreans, nature is a mirror of the self and a world of meditation which gives life, restoring all things to their proper state. Korean art also tends to be devoid of an artificial movement and this reflects dislike of disturbance, deformation and convention. Naturalism is an attribute of Korean art because of Koreans` indigenous view of nature, I. e. the view of holding communion with nature. A distinguishing characteristic of Korean art is not naturalist in the western sense of the term. The western meaning of naturalism is the science oriented term. And, if the tradition of Korean art is set against the background of a "return to nature". Especially Ko Yu-seup, the renowned art historian, once said Korean art was characterized by its "lack of refinement" and "nonchalance". He concluded that its lack of meticulous detail enabled it to be embraced by a wholeness larger than art and hence emanate a warm, comforting ambience. Ko`s view is a simple but eloquent descrip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Korean art. Korean art as a whole is characterized by vitality, spontaneity and unconcern for technical perfection. Korean art has been characterized by submission to the nature, and the lack of the artificial consciousness. Thus it has developed within the framework of naturalism. Naturalism as such is a vague term. To make it more precise, we must consider the Korean"s basic philosophy lies not in a man-oriented idealism but in a naturalism oriented by nature. It is evident that such peaceful and beautiful natural surroundings nurtured love of nature in the minds of Koreans. 한국전통미의 특질 및 고유성에 관한 논의는 다양한 시도가 있었다. 기존의 디트리히 젝켈(Dietrich Seckel), 안드레 에카르트(Andre Eckardt), 야 나기 무네요 시(柳宗悅) 등 외국인이 본 한국전통미 특질과 고유섭, 김원용, 윤희순, 조요한, 최순우 등 한국인이 본 한국전통미 특질이 있는데, 보는 관점에 따라 한국전통미의 특질은 달리 이해되었다. 한국전통미 특질을 분석하는 방법론으로는 디트리히 젝켈의 "대립적 변이들"에 주목하는 사유와 텐느(Hippolyte A. Taine)가 말한 지리적 결정론, 한국인의 자연관과 문화유전자를 통해 보는 등 다양한 방법론이 적용되었다. 서양과 달리 동양에서는 기교의 능숙함과 관련된 神品보다는 작가의 정신성을 우선시하고 기교와 법도 및 形似에 얽매이지 않는 無爲自然性의 逸品 혹은 逸格을 더 우선시 하는 사유를 보인다. 따라서 이런 점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가 있을 때 동양미술 혹은 한국 전통미술에 담긴 미의식을 제대로 이해하고 평가할 수 있다. 즉 서양의 눈으로 보느냐 아니면 동양의 눈으로 보느냐, 그리고 동양의 눈으로 보더라도 동양미학의 근본지향점을 알고 보느냐 그렇지 않느냐에 따라 동일한 유물이라도 판단 기준이 달라질 수 있다. 더 나아가 이런 점은 한, 중, 일 삼국에서 자연에 순응하는 성격이 강한 한국전통미술을 평가하는데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이런 사유에 근간하여 분석한 한국전통미의 가장 큰 특징으로는 자연미를 꼽고 있다. 이런 자연미에 대한 인식에는 유가와 도가의 사유가 동시에 담겨 있다. 한국전통미를 탐구하는 많은 인물들이 한국의 자연환경을 거론함에 특히 가을 하늘의 밝음, 맑음과 관련 지어 이해하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고요함(靜)"과 "물러남(退)"을 상징하는 가을과 그 가을 하늘의 밝음, 맑음 말고도 가을이 갖는 인생의 원숙한 맛을 누구보다도 잘 알았던 민족이 한국인이었다. 되돌아옴을 상징하는 가을의 미학은 老境의 미학에 속한다. 가을이란 계절이 주는 상징성으로서의 枯淡과 물러남의 미학, 겸손함의 미학, 덜어냄의 미학, 疏散簡遠의 미학을 더욱 긍정적으로 본다. 이런 노경의 미학은 유가의 차원과 도가의 차원으로 이해할 수 있다. 오랜 시간과 경험의 축적에 의해서만 완성될 수 있고 또 이해될 수 있는 노경의 미학은 일단 도가적 경향성이 매우 강한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굳이 나누어보면, 먼저 유가적 차원에서는 노경의 미학은 "理發"의 미학으로 나타났다고 본다. 중국과 일본에서는 그다지 심도 있게 나타나지 않은 맑은 심성 및 인품론과 관련된 "理發"적 사유는 한국전통미에서의 雅美로서의 淡泊과 瀟灑함을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냈다고 본다. 도가적 차원에서 보면, 노경의 미학은 中庸이란 원칙을 정하고 擇善固執의 分別 智에 의한 미추판단과는 일단 거리가 멀다. 노자 식으로 말하면 玄同의 미학이고, 愚, 忘, 損의 미학이다. 무기교의 기교, 구수한 큰 맛, 무계획의 계획도 결국 노경미학의 결과물이다. 한국전통미의 특질을 규명하는 것과 깊은 관계가 있는 老境의 미학은 유가와 도가의 사유가 묘합되어 있다.

      • 한국미학의 어젠다(agenda)에 관한 고찰

        임성원(Lim Sung-won) 민족미학회 2015 민족미학 Vol.14 No.1

        이 논문의 목적은 한국미학의 어젠다를 통해 한국미학의 쟁점이 무엇인지 고찰하는 데 있다. 한국미학의 어젠다는 시대순에 따라 국문학계의 `멋`, 한국미래 학회의 `멋과 한국인의 삶`, 《교수신문》의 `우리 시대의 미를 논한다`, 《교수신문》의 `한국미론을 재검토한다`, 한국미학회 학회지, 한국미학예술학회 학회지, 한국민족미학회 학회지를 선정해 차례로 분석했다.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는 한국미학의 어젠다가 한국적 미의식과 한국미에 집중되어 있다는 점이다. 둘째는 어젠다가 다양한 영역에서 분출되었는데, 이는 `미적 삶의 문제`를 연구하는 미학이 가진 대중성과 간학문적·통섭적 학문 성향을 뒷받침한다 하겠다. 셋째는 미학의 매스 커뮤니케이션 친화적인 경향이 확인되었다는 점이다. 넷째는 미학 학회 어젠다의 경우 서구 중심의 미학 교육과 학회 활동으로 한국미학과 관련한 논문의 비중이 크게 낮았다는 점이다. 끝으로 현실적인 삶에 기반을 둔 로컬미학을 통해 한국미학의 실천적인 전개양상을 풍부하게 함으로써 한국미학의 전망을 더욱 밝게 할 수 있다는 숙제를 남기고 있다는 점이다. 부산미학 광주미학 제주미학 등의 로컬미학이 자리를 잡을 때 그 총화로서 한국미학 혹은 민족미학이 제 모습을 드러낼 것으로 기대되기 때문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what the issues of Korean aesthetics through the research of agenda of Korean aesthetics. The Korean aesthetic agenda was selected from the following publications: Korea literary publications dealing with "Mut" , "Mut and the life of Korean" of "The Korean Society of Future Studies" , "Argues the beauty of our era" of `Professor newspaper` , "Reread the beauty of Korea" of `Professor newspaper`, "Mihak-The Journal of Aesthetics", "The Journal of Aesthetics and Science of Art", "MinjokMihak-The Journal of Aesthetic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agenda of Korean aesthetics is focused on the Korean aesthetic and the Korean beauty. Second, the agenda was shown in a variety of areas, which will be supporting the popularity with aesthetics to study the `the issue of aesthetic life` and the inter-disciplinary nature of aesthetics. Third, it is confirmed that aesthetics has a mass communication-friendly trend. Fourth, in case of the agenda of Aesthetics Society, the proportion of papers relating to Korean aesthetics i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activities of the Western Aesthetics. The suggest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When the local aesthetics is to be built which background is the life of locality such as Busan, Gwangju, Jeju, it is expected to reveal its first appearance as the sum of Korean aesthetics or Minjok Mihak.

      • KCI등재

        우현(又玄)과 이경(怡耕)의 한국미(韓國美) 인식

        신응철(Shin, Eung-Chol)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16 한국문학과 예술 Vol.18 No.-

        한국미에 대한 인식을 서양인의 눈이 아닌 동양인의 눈, 더 구체적으로, 우리 한국인의 시각에서 담아내려고 시도한 최초의 인물은 바로 우현(又玄) 고유섭(高裕燮1905-1944)이다. 고유섭은 ‘무기교의 기교’, ‘무계획의 계획’, ‘구수한 큰 맛’ 등의 수식어를 통해 한국미를 비로소 체계적으로 담아내는데 성공하였다. 우리는 고유섭의 그와 같은 미(美) 인식을 한마디로 〈질박(質朴)의 미학〉이라 이름 붙인다. 한국미에 대한 고유한 인식을 고유섭의 질박의 미학에서 그 시발점을 찾을 수 있다면, 최근 들어 한국 예술철학계 및 미학계에서는 그 종착점으로 이경(怡耕) 조요한(趙要翰1926-2002)의 이름을 한결같이 언급하고 있다. 조요한의 한국미의 인식을 간명하게 말하자면 〈고졸(古拙)의 미학)〉이라 부를 수 있다. 이런 그의 미 인식의 방식은 물론 고유섭의 생각을 터 삼아 진척된 것이라 할 수 있다. 필자는 본 논문에서 한국미를 주체적으로 인식하고자 한 고유섭의 논의를 확인해 보고, 이를 토대로 고유섭의 한국미 인식의 방식이 어떤 방식으로 한국 미학사에 영향을 미치게 되었는지를 규명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 부분에서 조요한의 美 인식의 특징을 고유섭의 그것과 상호 비교함으로써 한국미 인식의 계보를 확인하고자 한다. 끝으로 고유섭과 조요한이 한국 미학사에 기여한 바를 근대미술의 담론이라는 관점, 우리 미학의 정체성의 관점, 미적 가치의 관점에서 논의하면서 마무리하고자 한다. The first man who was grasped a concept of the Korean Beauty not western viewpoint but oriental viewpoint in discourse of the korean aesthetic is Woohyun(又玄) Ko Yu-Seup(1905-1944). He described the Korean Beauty as an untechnical technic, unplanned plan, and excellent savory taste. We called his concepts as an Aesthetic of Simplicity. On the other hand, the last man who was creatively grasped a concept of the Korean Beauty is Yikyung(怡耕) Zo Yo-Han(1926-2002). He described the Korean Beauty as a beauty of folk arts, beauty of simplicity, and things of shamanism. We called his concepts as an Aesthetic of Naivety. In this context, we will deal with Ko Yu-Seup and Zo Yo-Han’s viewpoint about the Korean Beauty and compare with the way of perception about the Korean Beauty among them. And we will elucidate status of them in terms of identity of korean aesthetic, aesthetic value, and history of korean aesthetic.

      • KCI등재

        연구 논문 : 조요한 예술철학 연구 시론

        이인범 ( Ihn Bum Lee ) 한국미학예술학회 2010 美學·藝術學硏究 Vol.32 No.-

        철학자 조요한(1926-2002)은 생전에 『예술철학』(1973)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1988), 『한국미의 조명』(1999), 『예술을 사랑하는 마음』(1993), 『지혜를 사랑 하는 마음』(1993)같은 저작들을 발표했다. 식민지시대에 성장기를 보내고 6·25 한국전쟁을 거치며 그는 난파당한 현실에서 초월을 체득하는 길을 열어준 칼 야스퍼스와 키에르케고르의 실존철학의 영향 속에서 영원을 향하는 소크라테스와 예수 그리스도, 그리스철학과 기독교를 출발점으로 철학하는 길에 접어들어 학사학위청구논문으로 「키에르케고르와 실존」(1954)을 제출하였다. 이어 석사학위청구논문으로 「초기 회랍철학에 있어서의 동방사고의 영향」(1958)을, 박사학위청구논문으로「Aristoteles 철학에 대한 해석상의 문제」(1975를 제출하며 청년기의 관심사였던 그리스철학과 기독교 사이의 ‘대치 점과 상관관계’에 관한 철학적 관심을 심화시켜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철학자 조요한은 1973년 『예술철학』을 자신의 첫 저작으로 발표였으며, 작고하기 3년 전인 1999년에는 단행본 『한국미의 조명』을 마지막 저서로 발간하고 있다. 그런 점에서 예술철학은 그가 처음 철학적 과제로 설정했던 그리스철학이나 기독교 이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필자의 이 논문은 철 학자 조요한의 예술철학 연구 업적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본격적인 연구에 착수 하기에 앞선 예비적 시론으로서, 이 글은 그 동안 발표된 조요한의 철학 텍스트들에 대한 서지학적 조사연구와 더불어 그의 예술철학이 지닌 근본문제들이 무엇인지 그리고 그의 전 철학체계 안에서 어떠한 위상을 지니는지를 밝힌다. 『예술철학』은 미학강의 노트에 근거한 제l부 ‘예술철학의 기초개념’과 제2부 ‘현대예술의 과제’와 제3부 ‘예술이론의 몇 가지 문제’으로 구성된다. 제l부는 일제 강점기에 고유섭에 의해 미학이 근대적 학문으로서 시작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에 미학과 예술론 텍스트가 부재하던 시절 미와 예술(fine arts) 개념을 철학적으로 정초하고 있다. 반면, 제2부와 제3부의 논문들은 1960년대에서 1970년대 초에 이르는 기간 동안 잡지들에 발표된 논문들로서 이 시기 한국의 사회 현실과 예술현장의 현안문제들에 대한 철학적 대응이다. 이 각각의 글들은 발표상의 선 후 관계나 구조연관을 밝힘으로써 같은 기간 동안 사회 현실이나 예술현장의 이슈들에 어떻게 그가 조응하고 있는지 알 수 있다. 조요한의 예술철학은 이후 30여 년 가까이 아리스토텔레스 철학 연구나 근대기 기독교와 서구철학의 수용에 관한 연구, 비교예술학이나 미술사방법론 같은 방법론적 반성을 거치며 『한국미의 조명』으로 귀결되고 있다. 1999년에 간행된 이 책은 『예술철학』에 실렸던 논문 「한국 조형미의 성격」(1968)에서 시작되는 한국예술의 정신에 관한 철학적 해명 작업의 결정판이다. 조요한은 동양과 서양의 미의식 비교, 한국·중국·일본의 조형미의 비교 등 비교예술학적 방법 그리고 한국예술과 종교·철학 사이의 연관관계에 대한 탐구를 통해 자신이 평생 과제로 설정했던 한국예술의 정신에 대한 철학적 해명을 심화시키고 있다. 여기서 그는 한국의 음악미는 무교에, 조형미는 불교에, 생활미는 유교에 근거해 한국예술의 근원적 동인을 탐색하고 있다. 그리고 한국예술정신의 근저에 깔려있는 자연순응의 인생관과 무속신앙을 해명하는 것이 남은 과제 가운데 하나라고 말한다. Throughout life of Yohan Zoh (1926-2002), the philosopher had released several books and essays like Philosophy of Art (1973), The Philosophy of Aristotle (1988), an Articulation of Love for Art (1993), An Articulation of Love for Philosophy (1993) and An Exploration of Korean Aesthetic Beauty (1999). By spending his period of growth in the era of the Japanese colonization and experiencing the Korean War soon after, the philosophy of Søren Kierkegaard and Karl Jaspers captured his attention, and led him to the field of existentialist theory inevitably. As a consequence, he submitted a dissertation, Kierkegaard and Existence (1954) for his BA, which denotes his future interest of Greek philosophy and Christianity toward the Eternal. Since then, Zoh submitted The Influence of Eastern Thought on Early Greek Philosophy (1958) for his master`s degree and The Analytical Problem of Aristotelian Philosophy (1975) for his doctorate. Both study reveals how he the deepened philosophical relationship of his early interest by exploring its contraposition and correlation. Despite of his philosophical subject matter in academic dissertations that he submitted, his first publication was in fact Philosophy of Art, and the last publication released three years before his death was An Exploration of Korean Aesthetic Beauty. In this respect, philosophy of art is bibliographically as important as his accomplishment in Greek philosophy or Christianity. Therefore, this preliminary study is to give a light on Zoh`s achievement in art before the fully fledged research take a place. Philosophy of Art is Consist of three chapters. The first chapter, ``The Basic Concept of Philosophy of Art``, is based on his given aesthetics talks between the 60`s and the early 70`s. Although the most of up to date art theories and text were yet not introduced in Korean academic field since the early death of Yu-seob Ko, the chapter is strongly anchored to the use of traditional terms of aesthetics and fine arts of time. The second and the third chapter are entitled as ``The Task of Modern Art`` and ``Some Problem with Art Theories` respectively. Each chapter is written on the basis of his several texts on art, that were also produced during the same period above. On the contrast to the first, these two chapters are philosophical analyses of the Korean art praxis. His last book, An Exploration of Korean Aesthetic Beauty, thus can be seen as a conclusive answer for one of the text that is included in Philosophy of Art, ``The Character of Korean Aesthetic Value.`` As a philosopher, Zoh picked up the thread that was left out for many years, and dedicated his entire life to elucidate the spirit of Korean art. He methodologically chose comparative science of arts for his investigation, giving examples of contrasting nature between the eastern and the western aesthetic, as well as comparing Korean aesthetic value with the art of neighbor countries like China and Japan in sequence. His academic path clearly shows that his love of art and philosophy are conflated in An Exploration of Korean Aesthetic Beauty.

      • KCI등재후보

        특집 : 식민지 시기 "예술" 개념 수용과 문학장의 변동; 1920년대 초 동인지 문인들의 예술론에 나타난 예술과 자아의 관계 -예술의 미적 절대성의 획득과 상실의 과정-

        박슬기 ( Seul Ki Park ) 한림과학원 2013 개념과 소통 Vol.0 No.12

        이 글은 동인지 문인들의 예술론이 근대적 미적 주체의 기원이며, 이 과정이미적 자율성에 의거하여 절대적 자아를 산출하는 데 집중되어 있었다는 기왕의 견해에 의문을 제기한다. 자아의 절대성과 미적 자율성의 일치란 결국 미라는 보편성 속에서 자아가 소멸되는 딜레마에 빠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미적 자율성의 획득이 예술을 창조하는 주체의 소멸에 근거하고 있다면, 근대적 개인의 내면 표현이자 고백이라는 근대예술의 내적 기원은 증명 가능한것인가. 따라서 이 글은 동인지 예술론을 재검토하면서, 미적 절대성의 획득과 상실이라는 두 가지 과정이 절대적 자아와 근대적 사유 주체라는 두 자아의 탄생과 결부되어 있다는 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This paper questions the received wisdom that the aesthetic theories of early modern Korean writers, published in literary or artistic special interest magazines from the 1920s, constitute the origin of the modern conception of aesthetic subjectivity in Korean literary history. It also doubts whether these writers focused their theoretic endeavors upon characterizing the absolute self, which is considered to derive from the idea of aesthetic autonomy. This widely accepted argument is unconvincing in that the exact correspondence between the absolute self and aesthetic autonomy ironically entails the annihilation of the self in its defense of the universality of aesthetic beauty. Thus, it is hard to argue that modern art originates from the modern conception of the individual, defined as the subject who confesses and expresses that which arises in his or her interiority, while simultaneously maintaining that aesthetic autonomy is produced in the annihilation of aesthetic subjectivity. Through a re-evaluation of the aesthetic theories developed in the coterie magazines from 1920s Korea, the twofold process of producing and then losing aesthetic absoluteness is shown to correspond to the birth of two modern conceptions of the self: absolute selfhood and the modern subject of thought.

      • KCI등재

        왜, 다시 산수시조인가?

        김창원(Kim Chang-Won) 한국시조학회 2009 시조학논총 Vol.31 No.-

        오늘, 우리에게 산수시조는 무엇인가? 산수시조를 통해서 우리가 시대 및 동시대 인간들과 시도하고 있는 대화는 무엇인가? 아니, 산수시조 속에는 그와 관련된 문제의식이 존재하는가? 존재한다면, 그것은 무엇인가? 산수시조는 인간과 자연과의 조화로운 삶을 노래하는 시조라고 할 수 있다. 그것은 작은 규모의 경제의 실천이다. 조선시대 산수시조는 산림경제의 소산이요, 임원경제의 소산이다. 즉 크게 보아 산수시조는 건축문화의 산물이요, 주거문화의 산물이다. 따라서 우리는 산수시조를 원림문화 또는 건축문화, 주거문화의 큰 틀 속에서 바라볼 필요가 있다. 조선시대 원림은 그 기저에 「소(小)의 미학」이 바탕하고 있다. 즉, 「작은 것이 아름답다」는 미학이 원림의 밑바탕에 깔려 있는 근본 이념이라고 할 수 있다. 요즘 우리는 작은 것으로부터 혁명을 꿈꾸는 시대에 살고 있다. 역사학계에서 이른바 미시사는 작은 것 혹은 일상적 현상으로부터 커다란 연관관계나 본질적인 구조를 발견하고자 한다. 미시세계를 통해 거시세계를 바꾸어 가려는 나노기술은 정보기술, 생명공학기술, 환경에너지기술 등의 핵심적인 기술로서 우리 삶의 여러 분야에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미시사나 나노과학은 하나의 모래알에서 세계를 발견하거나 하나의 물방울로부터 대양을 보고자 한다. 그렇다면 우리는 산수시조에서 발견되는 이같은 「작은 것이 아름답다」는 미학을 통해 시조나 시학적 관심을 넘어서 이를 학제간의 열린 대화로 발전시켜 나갈 수 있지 않을까? 우리는 「작은 것이 아름답다」는 미적 원리를 매개로 하여 공학과 철학, 예술과 문학 사이의 학제간 소통을 시도하여 새로운 인문학적 담론을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건축은 미학을 매개로 하여 철학과 만나 그것이 보다 인문적으로 이해되어질 수 있는 가능성을 열고, 철학은 미학을 매개로 하여 공학 혹은 자연과학과 소통의 폭을 넓힐 수 있다. 그리고 문학과 예술은 미학을 매개로 건축과 소통함으로써 그것을 살아있는 지식으로 만들 수 있는 길을 발견할 수 있다. What is Korean landscape verses to us today? What kind of conversation are we trying to make with other human beings in different or same periods through Korean landscape verses? Or, is there a related critical mind in Korean landscape verses? If so, what is that? Korean landscape verses are verses singing harmonious life of human beings with nature. It can be considered as a realization of a small economy. Korean landscape verses of Joseon Dynasty period are the products of forest economy and garden economy. In a wider view, Korean landscape verses are the outcome of architectural culture and residential culture. Therefore, we need to look at Korean landscape verses in a large frame of plantation culture or architectural culture and residential culture. 'The aesthetics of smallness' lies in the basis of Joseon plantation. In other words, 'small things are beautiful.' is the basic concept of the plantation. We are living in a world dreaming of innovations of small things. In the academic world of history, the history of micros is trying to find enlarged relations or essential structures from small things or day's happenings. Nano technology, trying to change macro world with micro world, is the core technology is used in various fields of our lives including information technology, biotechnology and environmental energy technology. The micro history and the nano science is trying to find a world from one grain of sand or to see an ocean from one waterdrop, Then, wouldn't it be possible that the aesthetics of I small things are beautiful. I seen in Korean landscape verses can lead us to open discussions between different educational systems without being limited to poetic interests? We expect the aesthetic principle of r small things are beautiful' to create new literary discussions as a medium for trying the communications between different educational systems of engineering and philosophy and art and literature. The architecture may open the possibility of being understood literally by being incorporated in philosophy with a medium of aesthetics, and philosophy will widen the communication with engineering or earth science with a medium of aesthetics. Literature and art will find a way to make themselves alive knowledge by communicating with architecture with a medium of aesthetics.

      • KCI등재

        방한 중국인의 뷰티관광에 관한 탐색적 연구

        양삼 ( Shan Yang ),최기탁 ( Kee Tag Choi ) 한국항공경영학회 2014 한국항공경영학회지 Vol.12 No.1

        최근 신 한류열풍의 영향으로 성형, 피부, 미용관련 시술을 받고자 하는 중국인 뷰티관광객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중국여성 뷰티관광객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지만 그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방한 중국 여성관광객을 뷰티관련 특성집단별(성형관광객, 스파관광객, 미용관광객)로 분류하여 뷰티관광 선택속성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향후 중국인 뷰티관광객을 위한 뷰티관광상품의 개발과 활성화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설정하였다. 뷰티문헌으로부터 설문항목을 추출하고, 한국에서 뷰티관광을 경험한 방한 중국인 여성 300명(유효응답 293부)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방한 중국 여성뷰티관광객들 중 20대 회사원의 비중이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전반적으로 월평균소득이 4,000위안 이상의 중산층과 부유층들의 한국뷰티관광에 대해 관심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국 여성뷰티관광객들은 공통적으로 ‘품질 및 서비스’ 그리고 ‘시설 및 분위기’를 가장 중요한 선택속성으로 인식하였다. 셋째, 성형관광객들은 ‘프로그램의 안정성 및 전문성’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넷째, 스파관광객들은 ‘우수한 기술’ 및 ‘테라피 효과의 우수성’을 중요시 하였다. 마지막으로, 미용관광객들은 대부분 ‘우수한 기술’을 주요 선택속성으로 평가하였다. Recently, as the impact of new Hallyu fashion and the concern for Korean culture, more Chinese are coming to the South Korea to take plastic surgeries, skin care and cosmetic surgeries. Although research issues about Chinese beauty tourism are raised but their research is still at the elementary level. This study focuses on identifying what factors Chinese female tourists consider and what are the differences among visitors for plastic surgeries, SPA, or aesthetic.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uggest its implications to exploit Korean beauty items and the beauty tourism industry for Chinese. For this research,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300 Chinese female tourists who had experienced beauty tourism in Korea (293 valid respon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More rich Chinese tourists, business women at their 20s, are coming to Korea for beauty tourism. Secondly, most Chinese female tourists considered “quality and service” and “facilities and atmosphere” we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for beauty tourism. Thirdly, in the aspect of the plastic surgery tourism, the factor “stability and professional of the program” was considered most important. Fourthly, Chinese spa tourists evaluated the factor “outstanding technology” and “the excellence of therapy effect” as key factors. Finally, Chinese tourists for aesthetic tourism, the factor “outstanding technology” was considered as most critical.

      • KCI등재

        고산(孤山) 윤선도(尹善道) 시조(時調)의 미적(美的) 성취(成就)와 그 가치(價値)

        김학성 ( Kim Hak-sung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8 어문연구(語文硏究) Vol.36 No.2

        이 연구는 孤山 尹善道의 時調를 대상으로 그가 이룩한 美學的 成就를 구체적으로 탐구하고 그 位相과 價値를 온당하게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그 결과 고산의 삶과 문학의 관계를 辨證法的 논리로 이해해서는 안 된다는 점과, 그의 時調 美學은 樂人으로서의 儒家的 歌樂觀을 바탕으로 접근해야 올바로 드러낼 수 있음을 밝혔다. 작품의 엄격한 形式規律은 높은 정신세계와 情感 鍛鍊의 양식화를 보인 것이고, 儒家的 道와 理念을 예술적으로 승화시켜 ‘典雅한 아름다움’을 텍스트 美學으로 창출했음을 살폈다. 連時調라는 독특한 樣式을 창조하고, 순수국어미를 활용함으로써 理念경험과 美感경험이 일체화된 美의 최고 경지에 도달했음을 밝혔다. 고산의 시조는 退溪나 松江, 李鼎輔와는 달리 言志나 載道, 緣情의 세 가지 詩的 要素의 어느 쪽에도 치우치지 않는 絶妙한 융합을 보임으로써 儒家美學이 보일 수 있는 최고의 品格을 구현했음을 규명했다. This thesis which dealt with Gosan(孤山) Yoon, Sundo(尹善道)'s shijo(時調) brilliant in our literary history tried to concretely explore his aesthetic achievement and examine its phase and value reasonably. For that, it overcame the problems of existing studies and tried to give a new interpretation on it. As a result, it clarified that the relation between his life and literature should not be understood with dialectic logic and that his shijo aesthetics could correctly be revealed only if it is approached based on his Confucian view of song and music as a musician. It indicated that the strict formal rules in his works showed stylizing high spiritual world and sentiment training and that he created 'elegant beauty' as textual aesthetics by sublimating Confucian way and ideology artistically. Also, it made clear that he reached the highest stage of beauty where an ideological experience was united with an aesthetic one by creating a peculiar style called Yunshijo(連時調) and using pure Korean beau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