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식콘텐츠 이용 경험자에게 형성된 한식호감도가 한류호감도, 국가이미지, 한국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지선(Jisun Lee),정라나(Lana Chung)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7

        본 연구는 한식콘텐츠 이용 후 형성된 한식에 대한 호감도가 한류호감도, 한국의 국가이미지, 그리고 한국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한식콘텐츠를 ‘한국 음식과 관련된 각종 정보나 내용물’로 정의하고, 한식 레시피 콘텐츠, 한식 식문화 콘텐츠, 한식 레스토랑 가이드, 한식 미디어 콘텐츠의 4가지 콘텐츠 유형으로 제시한 뒤 한 가지 이상의 한식 콘텐츠 이용 경험이 있는 2030 베트남 젊은층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LS-SEM 기반의 구조방정식 모델링 기법을 이용하여 가설을 검증하였고, 그 결과, 한식 콘텐츠 이용 후 형성된 한식호감도는 국가이미지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끼치거나 또는 한류호감도를 매개로 한국의 국가이미지나 한국 방문의도 모두에 정(+)의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한국 방문의도에 직접적인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유의성이 입증되지 않아 기각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한식 콘텐츠의 이용경험은 한식호감도, 한류호감도, 국가이미지, 방문의도 등 국가 브랜드 제고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었다. 따라서 한류 콘텐츠로서 양적 성장뿐만 아니라 독립적이며 전문적인 질적 성장까지 체계화시키고 고도화시켜 나간다면, 한식 세계화의 미래 방향성을 견인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s of Korean food contents influence to the Korean wave favorability, country image, and visit intention to Korea. Korean food contents are defined as that information or contents related with Korea food. In this survey, total 4 type of Korean food contents, Korean food recipe contents, Korean food culture story contents, Korean food restaurant guide contents and Korean food media contents were explained. The respondents were 147 young Vietnamese in residing in Ho Chi Minh city. The data were analyzed by PLS-SEM to explore influence of Korean food favorability with Korean food contents usage. After using Korean food contents, Korean food favorability influence country image and visit intention to Korea, mediating with Korean wave favorability. While Korean food favorability was not shown to influence visit intention directly. This study would contribute to make strategic Korean food contents and distribution, further accord with Hansik Globalization.

      • KCI등재

        한류소비자가 지각한 국가이미지, 한류호감도, 심리적 거리가 태도 및 K-Food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8개국을 대상으로

        강선아,이수범 (사)한국조리학회 2020 한국조리학회지 Vol.26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cceptance and development possibility of K-food according to the halo effect of Korean wave by connecting Korean wave that is developing around the world with K-food. To this end, this study intended to verify the effects of national image, Korean wave favorability, and psychological distance according to Korean wave on attitude and acceptance intention for K-food through an empirical analysis. Also, this study intended to suggest specific and differentiated method to expand consumption of K-food and effective globalization strategy of K-food by categorizing the Korean wave index. For an empirical study, this study selected 8 countries considering Korean wave index, distribution of korean restaurants, and level of awareness of Korean food, and conducted a survey on locals who have experienced Korean wave culture and K-food. This study conducted a hypothesis testing based on the final 800 samples, and suggested implications based on the verification resul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