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클림트 회화 문양을 응용한 니트 웨어 디자인 연구 - 패치워크 기법을 중심으로 -

        김정혜,노희정 한국니트디자인학회 2009 패션과 니트 Vol.7 No.2

        This study designed knit wear using patterns in the paintings of Gustav Klimt known as a master in art nouveau, selecting those painted during his best days. Klimt’s paintings not only express expressionistic and symbolic images but also produce a mysterious power through elegance and liberality. In particular, various lines and geometric decorations of art nouveau style used by Klimt have formative features applicable also to fashion imag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materials of unique and rich texture by applying the patterns and using techniques such as stitching, pelting, knitting and patchwork, and to expand the expression area of highly formative knit wear design by imaging the artistic patterns of Klimt’s paintings in harmony with knit wear. As to the contents and methods of this study, first, we examined Klimt’s life and the characteristics, colors and patterns of his paintings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borrowed motifs from various patterns and colors of Klimt’s paintings. Furthermore, as a part of general review of knit wear, we studied cases of recent patterning techniques including hand knitting, machine knitting, patchwork, embroidery, and printing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Internet materials. Then, literature on manufacturing techniques such as patchwork and applique were studied, and today’s trends were surveyed and analyzed, and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four pieces of knit wear were created. This study designed knit wear using patterns in the paintings of Gustav Klimt known as a master in art nouveau, selecting those painted during his best days. Klimt’s paintings not only express expressionistic and symbolic images but also produce a mysterious power through elegance and liberality. In particular, various lines and geometric decorations of art nouveau style used by Klimt have formative features applicable also to fashion imag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materials of unique and rich texture by applying the patterns and using techniques such as stitching, pelting, knitting and patchwork, and to expand the expression area of highly formative knit wear design by imaging the artistic patterns of Klimt’s paintings in harmony with knit wear. As to the contents and methods of this study, first, we examined Klimt’s life and the characteristics, colors and patterns of his paintings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borrowed motifs from various patterns and colors of Klimt’s paintings. Furthermore, as a part of general review of knit wear, we studied cases of recent patterning techniques including hand knitting, machine knitting, patchwork, embroidery, and printing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Internet materials. Then, literature on manufacturing techniques such as patchwork and applique were studied, and today’s trends were surveyed and analyzed, and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four pieces of knit wear were created.

      • KCI등재

        니체의 몸철학으로 본 클림트의 유디트

        김무아 유럽문화예술학회 2019 유럽문화예술학논집 Vol.10 No.1

        평생 여성만을 탐구의 대상으로 삼았던 클림트의 예술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 ‘여성’은 빠질 수없는 주제이다. 클림트의 여성들은 도발적이고 노골적인 성적 표현에도 불구하고 여성들에게조차 거부할 수 없는 환상적 분위기를 자아낸다. 19세기의 사회적, 정신적 와해 속에서, 근대 남성 예술가들은 아름답고 도발적이며 악마적인 여성을 통해 시대에 대한 저항의식을 드러내곤 했다. 클림트 역시이러한 맥락 속에 있던 화가이며, 그의 작품에 대한 이해는 에로티시즘과 팜므파탈이라는 측면에맞춰져 왔다. 본 연구는 그동안 클림트 예술에 대한 분석이 여성이라는 소재로 인해 성적인 측면에만 편중되어온 점에 문제의식을 느끼며, 새로운 관점으로 인간 클림트에 대한 이해를 시도해 보고자 한다. 19세기에 인간의 몸을 철학의 중심으로 복권시킨 니체의 철학은 클림트의 여성 이미지를 인간의 몸이라는 관점으로 새롭게 보고 존재론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근거가 되어 주었다. 특히 본 연구는 클림트의 예술 창작 시기 중 가장 저항적인 시기였던 분리파 시기에 중요성을 두고, 그 시기의 대표작 <유디트 Ⅰ>을 집중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은 클림트 예술 이해의 새로운 접근 방식이 될 뿐 아니라예술 속에 표현된 몸을 바라보는 데 있어 보다 확장된 시각을 제공해 줄 것이다. In understanding of Klimt's art, 'woman' is an indispensable theme. Woman was the object which has fascinated Klimt for his lifetime. Despite provocative and erotic body images, the women in Klimt's artworks show fantastic atmosphere that even female appreciators can not deny. In the social and mental breakdown of 19th century, many European male artists expressed their resistance against the times through beautiful, provocative and evil woman images. The concept of femme-fatale in art was formed in this surroundings. Klimt is also a painter in this context, and understanding of his work has been adapted to the aspects of eroticism and femme-fatale. With raising a problem about the common analysis which has been concentrated only on the sexual side of his art, this study will attempt to understand Klimt's art from a new point of view. Nietzsche philosophy, which rehabilitated 'human body' as the center of philosophy at the 19th century, provided a basis for analyzing Klimt's female images from an ontological point of view. Especially, this study focused on the period of "The Vienna Secession" which was the most resistive time for Klimt and analyzed <Yudith Ⅰ> as a representative work of the time. The analysis will not only be a new approach to Klimt's art, but will also provide a broader view of body images in art.

      • KCI등재

        누가 「클림트의 그림」을 소유하는가?

        송호영 한양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법학논총 Vol.35 No.1

        The Belvedere Museum in Vienna, Austria, is famous for exhibiting Klimt’s art collection, including the portrait of Adele Bloch-Bauer, known as the “Woman in Gold”. In 2006, Klimt five paintings, including the portrait of Adele Bloch-Bauer, were transferred from Belvedere to Maria Altman, who lived in the United States. This paper analyzes the legal dispute between Maria Altman, who is known as heir of the Klimt paintings, and the Austrian government that possessed the paintings. In the title of this paper, “Klimt paintings” is an expression of five works by Gustav Klimt, the object of a lawsuit filed against the Austrian government by a heir of pre-owner Maria Altman, who fled to the United States to avoid the persecution of Nazi. In terms of this research topic, “Klimt paintings” symbolizes the Holocaust cultural properties of the Jews which were looted by the Nazis during World War II. The Altman case were taken by two-step processes: a trial procedure in the US court and a subsequent arbitration procedure in Austria. The issue in US courts was whether a private person in the United States can file a civil lawsuit in US courts against other country(here Austria). The issues at the Austrian Arbitration Court were whether the testament of Adele Bloch-Bauer had binding effect to her heirs, and “Klimt paintings” could be subject to the 1998 Austrian Restitution Act which aims restitution of properties confiscated by the Nazi. This paper seeks some implications from the result of this case for the solution of legal disputes that involved Korea in relation to restitution of cultural properties which were illegally exported during the colonial period. 오스트리아 비엔나에 소재하는 벨베데레 미술관은 이른바 ‘우먼 인 골드’로 알려진 아델레 블로흐-바우어의 초상화를 포함한 클림트의 미술 컬렉션이 전시되어 있는 곳으로 유명하다. 그런데 2006년 아델레 블로흐-바우어의 초상화를 포함한 클림트의 다섯 작품들이 벨베데레를 떠나 미국에 거주하는 마리아 알트만에게로 넘어갔다. 본고는 클림트 그림의 상속인으로 알려진 마리아 알트만과 그림의 소유권을 주장하는 오스트리아 정부 사이에 벌어진 법적 분쟁에 대해 분석한 것이다. 본 논문의 제목에서 「클림트의 그림」은 나찌의 박해를 피해 미국으로 망명한 마리아 알트만이 오스트리아 정부를 상대로 제기한 소유권소송의 목적물인 구스타프 클림트(Gustav Klimt)가 그린 다섯 작품을 나타내는 표현으로서, 본 연구주제와 관련하여서는 2차 세계대전 당시 나찌에 의해 약탈당한 유대인들의 홀로코스트(Holocaust) 문화재를 상징한다. 알트만 사건은 미국 법원에서의 판결절차와 이후 오스트리아에서의 중재절차 등 2단계의 과정을 겪게 된다. 하나는 미국 법원에서의 소송과 다른 하나는 오스트리아 중재판정부에서의 중재이다. 미국법원에서의 쟁점은 미국에 거주하는 私人이 다른 나라 정부(오스트리아)를 상대로 미국법정에서 소를 제기할 수 있는가 하는 것이다. 오스트리아 중재판정부에서의 쟁점은 그림의 원소유자였던 아델레 블로흐-바우어의 유언의 효력에 관한 문제와 나찌에 의해 몰수된 재산의 반환을 위해 1998년 제정된 반환법의 적용대상이 되는가 하는 점이다. 본고는 미국 법정에서의 쟁점과 오스트리아 중재판정부에서의 쟁점에 대해 논구함으로써, 이 사건을 통해 식민지시대에 문화재의 불법 출의 쓰라린 경험을 갖고 있는 우리나라가 향후 문화재환수와 관련하여 외국과 부닥치게 될 법적 분쟁에서 참고할만한 시사점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 스케치에서 모자이크까지: 구스타프 클림트(Gustav Klimt)의 <스토클레 프리즈 Stoclet-fries > 디자인 전개과정 연구

        김동현 미술사문화비평학회 2018 미술사문화비평 Vol.9 No.-

        본 연구는 구스타프 클림트의 <스토클레 프리즈>의 디자인 전개과정을 살펴본다. 먼저 스토클레 저택과 스토클레 가문에 대해서 고찰하고, 이어서 클림트의 <스토클레 프리즈>를 위한 디자인 스케치부터 완성된 모자이크까지의 형식과 구성을 검토할 것 이다. <스토클레 프리즈>는 스토클레 저택의 다이닝룸 벽을 장식했던 모자이크 작업이다. 벨기에 브뤼셀에 위치한 스토클레 저택은 비엔나 공방이 추구했던 “총체예술 (Gesamtkunstwerk)”의 실현물로서 2009년에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스토클레 프리즈>를 주문했던 아돌프 스토클레는 은행업과 철도사업을 운영했으며 20세기 전반기 중요한 예술후원가였다. 1905년, 아돌프 스토클레와 수잔 스토클레 부부는 요셉 호프만에게 스토클레 저택의 건축을 의뢰했다. 이후 스토클레 저택은 호프만의 지휘 아래 건물과 실내장식부터 식기까지 20세기초 새로운 모더니즘 경향의 예술품과 물건들로 장식되었다. 1905년, 클림트는 호프만을 통해 스토클레 저택의 다이닝룸 벽화장식 주문을 받았다. 이어서 클림트의 디자인 작업은 다음과 같이 세 단계에 걸쳐 진행되었다. 먼저 여러 점의 구상 스케치들이 1908년도에 제작되었다. 이후 완성 모자이크 벽화에 등장하게 되는 형식적 특징들이 초기 스케치들에서 이미 나타난다. <스토클레 프리즈> 디자인이 결정된 후, 클림트는 이 디자인 구상을 총 9장의 실물크기의 작업드로잉으로 확대, 제작했다. 클림트는 모자이크 재질과 색상의 농도 등 실물 벽화제작을 위한 상세한 지시사항 들을 1910/11년 제작된 작업드로잉 위에 직접 적어 놓았다. 작업드로잉들은 곧 모자이크 제작을 위해 모자이크 공방과 비엔나 공방으로 전달되었고, 그 결과물이 바로 비엔나 공방의 “총체예술”의 이상의 실현이자 구스타프 클림트의 황금시기를 대표하는 <스토클레 프리즈>(1910-1912)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design development of Klimt’s Stoclet Frieze, from the beginning of the sketch to its completed form, ‘mosaic’. Stoclet Frieze is decorating the wall of dining room in Palais Stoclet, which was built for the Stoclet family in Brussels, and has been considered as the epitome of “Gesamtkunstwerk”, the ideal of Wiener Werkstätte. Adolf Stoclet, who commissioned the frieze, was an industrial magnate and also generous art patron of the late 19th and the early 20th century. In 1905, Adolf stoclet and his wife Suzanne commissioned Jesef Hoffmann to build their house in modern style and to employ famous contemporary artists, under his direction to design it all details, which resulted in Palais Stoclet. In 1905, Gustav Klimt first received the commission to design the wall frieze of the dining room in Palais Stoclet via Hoffmann, and developed its design into three stages. First, early several sketches which were produced in 1908 already started to procast the forms and characteristics of Stoclet Frieze. Once the design was set, Klimt transfered the sketch into the form of full-scale cartoons on transparent paper. Klimt’s years of work on this project resulted in nine full-scale cartoons on paper, designed in 1910/1911. He provided detailed instructions for their transposition as a mosaic directly onto the paper. For the production of the frieze at the Wiener Werkstätte and at Leopold Forstner’s Wiener Mosaikwerkstätte, Klimt gave numerous instructions regarding the materials to be used and the shades of color in the mosaic. He wrote these by hand directly onto the cartoons. Finally, the mosaic process was proceeded by collaboration of numerous artists and resulted in Stoclet frieze (1910/1912), the realization of an ideal of Wiener Werkstätte, and a major work of Klimt’s golden phase.

      • KCI등재

        클림트(Gustav Klimt) 회화의 표현특성을 응용한 아트마스크 디자인 연구

        박소정,오인영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회 2015 일러스트레이션 포럼 Vol.16 No.44

        최근 뷰티분야에서는 사람의 얼굴과 헤어 및 신체를 치장하는 행위뿐만 아니라 미적 요소와 조형예술적인 요소를 접목하여 새로운 시각예술로서 범위를 확장하고 있다. 사람의 얼굴과 신체가 기술로 인해 아름답게 보이기 위한 1차적인 목적을 확대하여 예술적인 표현의 도구와 공간으로 활용되는 것이다. 특히 메이크업의 아트마스크(art mask)는 메이크업이미지 뿐만 아니라 기존의 미술사조에 나타난 조형성과 색채를 응용하거나 주제에 따라 다양한 오브제를 이용하여 전시 가능한 독자적 예술작품으로 영역을 확대시키고 있다. 본 연구는 혁신적이고 진보적인 미술운동을 전개하였던 클림트(Gustav Klimt)의 작품에 나타난 시각적 특징들을 분석하고 응용하여 새로운 차원의 예술적인 아트마스크의 디자인 개발과 다양한 표현기법을 발전시키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의 방법은 선행연구 및 문헌 등을 중심으로 아트마스크와 클림트의 작품세계에 관한 자료를 고찰하고 클림트 작품의 시각적 특징들을 분석한 후 아트마스크를 제작하였다. 분석결과 클림트 작품에는 아방가르드적 상징주의 양식을 기조로 다양한 패턴과 화려한 장식과 색채, 관능적인 요소들이 아트마스크 디자인의 체계적이고 개성적인 예술적 모티브로 활용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area of beauty industry has extended its range as a new visual art by combining beauty and plastic art factors as well as developing it as an act to decorate human face, hair and body beautifully. As human face and body have been extended from the primary goal to beautify them with beauty technique and utilized as the instrument and space of artistic expression, it has opened a possibility as the dimensional formative design of a new aspect. Art mask in the makeup area, in particular, has widened its area as an independent art work which can be exhibited through the application of forms and colors shown in the trend of existing art or the use of various objects depending on theme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and apply the visual features shown in the works of Gustav Klimt who developed innovative and advanced art movement and develop artistic art mask of a new dimension and various expression techniques. It investigated materials of art mask and Klimt's works with the preceding studies and literatures, analyzed visual features of Klimt's works and produced art mask.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Klimt's works applied various patterns, splendid decorations and colors and sensual factors based on the avant-garde symbolism style as systematic, characteristic and artistic motive of art mask design.

      • KCI등재

        구스타프 클림트의 작품을 응용한 헤어 장신구 디자인

        김현진 ( Kim Hyun-jin ),김성남 ( Kim Sung-nam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4 한국디자인포럼 Vol.43 No.-

        아르누보(Art Nouneau)의 주도적 역할을 하였으며 상징적이고 장식적이며 신비롭기까지 한 구스타프 클림트(Gustav Klimt)의 회화는 현재까지도 대중들에게 폭넓은 인기를 누리고 있다. 그는 아름다운 곡선과 기하학적 형태로 원과 사각, 삼각을 이용하여 화려하면서도 장식적인 작품을 제작하였다. 이러한 그의 작품들은 의상디자인, 패키지 디자인 등의 다양한 디자인 영역에 아이디어를 제공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구스타프 클림트의 작품 세계를 고찰하고 그의 작품에 나타난 상징주의적이고 아르누보적인 패턴을 변형, 생략, 재구성하여 헤어 장신구에 접목시킴으로써 헤어 장신구 표현의 다양성을 모색하고 나아가 미용예술 분야 중 헤어 작품의 완성도를 높이는 헤어 장신구를 개발하였다. 클림트와 헤어 장신구에 관한 이론적 연구는 국내 외 선행논문과 문헌 등을 중심으로 고찰하고, 작품제작으로는 클림트의 미적특성을 대표하는 작품을 1점씩 선택하여 이를 모티브로 총 4점의 일러스트레이션과 헤어장신구로 제작한 작품 4점을 제시하였다. 작품Ⅰ에서는 < 생명의 나무, Tree of Life >를 모티브로 일러스트레이션과 나선형의 헤어핀을 제작하였고, 작품Ⅱ에서는 < 기다림, Expectation >을 모티브로 일러스트레이션과 함께 삼각핀을 제작, 작품Ⅲ에서는 < 성취, Fulfillment >를 모티브로 일러스트레이션과 원형의 헤어핀을 제작하였다. 마지막으로 작품Ⅳ는 < 여성의 세 시기, Three Ages of Woman >를 모티브로 일러스트레이션과 함께 사각형태의 헤어핀으로 제작하였다. 또한 그의 화려한 금빛 색조를 표현하기 위하여 황동을 소재로 하여 장식적이며 예술성 있는 헤어장신구를 제작하였다. The paintings of Gustav Klimt, which have played a leading role in Art Nouveau and are symbolic, decorative, and even mystic, have enjoyed a wide public popularity to date. Using beautiful curves as well as circles, squares or rectangles, and triangles in a geometric form, he created brilliant yet decorative works. These works have offered ideas in various design fields including fashion design and package design. This study aims to seek variety in the expression of hair accessories by considering the world of Gustav Klimt`s works; transforming, omitting, and restructuring symbolic and Art Nouveau style patterns shown in his works; and applying them to hair accessories. Furthermore, it aims to develop hair accessories that raise the degree of perfection of hair works in the beauty art field. Regarding theoretical research into Klimt and hair accessories, the study considers this focusing on existing papers and literature at home and abroad, and selects one piece of each of the representative works in terms of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Klimt; thus, it proposes a total of 4 pieces along with illustrations. In workⅠ, the study prepares a hair pin with the motive of “Tree of Life”, while in work Ⅱ, the study prepares a triangular pin with the motive of “Expectation”. Meanwhile, in work Ⅲ, the study prepares a circular hair pin with the motive of “Fulfillment”. Finally, in work Ⅳ, the study prepares a square hair pin with the motive of “Three Ages of Woman”. In order to express his brilliant golden hue, the study prepares decorative and artistic hair accessories with the use of brass.

      • KCI등재

        구스타프 클림트 작품을 모티브로 한 헤어디자인 연구

        이영미 ( Young-mi Lee ) 한국미용예술경영학회 2021 미용예술경영연구 Vol.15 No.3

        현대사회는 헤어스타일이 이미지를 결정하는 요소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런 고객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개성 있고 독창적인 헤어스타일의 다변화를 위하여 새로운 아이디어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를 위하여 예술 분야와 디자인 분야의 교류와 협력을 통한 새로운 헤어디자인이 요구되고 있으며 예술 작품의 접목을 통하여 창의적이고 예술성 있는 헤어디자인을 개발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구스타프 클림트 작품의 특징과 색채를 분석하고, 이를 모티브로 하여 헤어 작품을 제작함으로써 다양한 아이디어의 모티브를 제공하고, 헤어 작품을 제작하는 과정을 통해 개성 있고 창의적인 헤어디자인의 방향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구스타프 클림트 작품과 헤어디자인에 대한 문헌, 정기 간행물, 인터넷 자료, 선행논문 등의 자료를 바탕으로 고찰하였고, 구스타프 클림트의 특징적인 표현법이 잘 나타나는 활동 시기를 분류하여 대표 작품의 특징과 색채를 분석하였다. 이를 모티브로 설정하여 유기적인 곡선 2작품, 기하학적인 도형 2작품으로 하여 총 4작품의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구스타프 클림트의 작품을 활용하여 헤어컬러링이나 헤어스타일링에 관한 헤어디자인 연구는 미비한 실정으로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헤어디자인으로 체계화한 것과 창의적인 헤어디자인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작가들의 회화작품과 시대사조를 모티브로 하여 헤어디자인 한다면 좀 더 다양하고 창의적인 아이디어 발상의 계기가 될 것이다. 더하여 구스타프 클림트 작품을 활용한 헤어디자인 분야별로 좀 더 깊이 있게 연구한다면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확장할 기회가 될 것이라 기대한다. In modern society, hairstyle occupies a very important position as an element that determines image. Currently, new ideas are needed for the satisfaction of customer needs and for the diversification of their hairstyles. For this, new hair designs are being demanded through the mutual exchange and cooperation of the fields of art and design and creative and artistic hair designs are being developed through the grafting of artworks. At th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colors of Gustav Klimt’s works, produce hair works using his works as motifs, provide motifs for diverse ideas through creative hair design, and present unique and creative directions for hair design through the process of producing hair works. Examinations were made based on material such as literature, periodicals, internet data, and previous papers on the works of Gustav Klimt and hair design, and after activity periods which represent the characteristic expression methods of Gustav Klimt were classified,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characteristics and colors of his representative works. This was established as a motif and research was conducted on a total of four works including two with organic curves and two with geometric figur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ystemized creative ideas into hair designs in a state in which there is little research on hair design utilizing the works of Gustav Klimt and it presents direction for creative hair design. If hair is designed using the paintings of artists and the trends of the times as motifs in future research, this will allow for more diverse and creative ideas. In addition, more in-depth research conducted by each hair design field utilizing the work of Gustav Klimt will provide opportunities to expand creative ideas.

      • KCI등재

        에로티시즘이 회화에서 표현되고 있는 색채와 그 배색의 특징에 관한 연구

        김명순(MyungSoon Kim) 한국색채학회 2014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8 No.3

        본 연구는 인간의 가장 말초적인 감각을 다루는 주제인 에로티시즘이 회화에서 표현되고 있는 색채와 그 배색의 특성에 관한 연구로서 구스타프 클림트의 작품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클림트를 본 연구의 대상으로 삼은 이유는 그가 특유의 관능성과 도처에 존재하는 에로스를 대중에게 보여주었기 때문이다. 게다가 그의 작품은 근대적인 섹슈얼리티의 에로틱한 출발이었으며, 이러한 섹슈얼리티는 표현주의와 초현실주의에 지속적인 영향력을 주게 되었다. 그의 작품은 관능적인 여성 이미지와 찬란한 황금빛, 화려한 색채를 특징으로 한다. 그는 성과 사랑, 죽음에 대한 풍부하고도 수수께끼 같은 알레고리로 많은 사람들을 매혹시켰다. 섹슈얼리티를 자극하는 가장 적극적인 요인으로 색채를 사용한 그의 작품에 나타난 결과를 추적하는 일은 매우 흥미롭게 여겨진다. 육체에 대한 탐닉은 일종의 생존본능이며, 누구나 에로틱한 감성을 지니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한 감성을 자극하는 요인의 하나로 색채가 작용하고 있음을 학문적으로 확인하는 것이 이번 연구의 목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클림트 회화 속에 주로 나타나고 있는 색의 배합 및 경향은 에로티시즘 회화에 대한 미술사학적 기존연구를 바탕으로 하고 있으며, 색채학적 관점에서 육안 측색을 원칙으로 하여 클림트의 작품 샘플을 설정하고 주요색을 분리하였으며, 각 작품의 주조, 보조, 강조 및 배경색을 나열하여 그 배색의 기법 및 방법을 연구하였다. 그래서 이러한 표현기법이 결과적으로 감성을 자극하는 채색 및 배색 기법에 원인이 있음을 분석하고, 이들의 특성을 밝히는데 의의가 있다. 결론적으로 클림트의 에로티시즘은 검정의 주조색과 노랑의 보조색을 사용하여 강한 명도대비와 면적대비를 극대화시킨 배색특징을 보이며, 고채도의 색상들이 상호 유사색상 혹은 보색대비를 보인다. 그리고 화려한 황금색의 화면을 더욱 극적이고 장식적인 효과를 높이는 다색 배색에 있다. This study, focusing on works drawn by Gustav Klimt, sets up colors in which eroticism which deals with human distal is being expressed through pain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color arrangement as the subject matter. Gustav Klimt introduced particular sensuality and Eros which are imbued every here and there into public. This is why I focus on him for this study. Besides, works drawn by him were the erotic starting point of modern sensuality, influence of which has covered expressionism and surrealism. His works features female’s sensuality image, brilliant golden light, fancy colors. He has attracted lots of people through plentiful and mysterious allegories related with sex, love, and death. Tracing the result expressed in his works in which the colors is the most positive factor that stimulate sensuality is viewed as very interesting. It is the fact that indulging in body is a sort of survival sense and everybody has an erotic aspect in emotional sen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cademic confirmation that the colors are playing a role as one of sensory stimuli factors to the emotional sense. For achieving the purpose, this study, based on existing researches in accordance to eroticism paints in art history when finding out color arrangement and its tendency revealed in Klimt’s works, extracts samples from Klimt’s works and classifies major colors with a principle of naked-eye observation to the colors from colorimeter viewpoint, and lists dominant color, assort color, highlight color and background colors depending on each work, and proceeds to the extent of exploring technique and method for the color arrangement. Through the course abov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e sense that it is finding out the reason why such expression technique can act a stimulus to emotional sense lies in the technique for coloring and painting and is revealing w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m are. As a result, in terms of Klimt’s eroticism, making strong contrast contrary and maximizing area contrast which was derived from employing ‘black’ as dominant color and ‘yellow’ as assort color with delight image can be found as background characteristics. As well as, similar colors’ array and complementary colors’ array created by harmony of high chroma colors can be found. Furthermore, the secret which allows fancy golden light screen to take more dramatic and decorative effect can be found in multicolor arrangement.

      • KCI등재

        몰입형 전시로서 ‘빛의 채석장 (Carrière de lumière)’에 대한 연구

        배은석(Bae, Eun Sok),송희영(Song, Hee-young) 인문콘텐츠학회 2016 인문콘텐츠 Vol.0 No.43

        급변하는 사회 환경의 변화는 예술 창작과 보급 과정에까지 혁신을 촉구하고 있다. 테크놀로지와 결합한 예술은 시간과 공간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실험을 끊임없이 시도하면서 창작자와 향유자와의 소통의 폭을 한층 확장시켜 나가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좀 더 가까이서 명작을 만나고 그를 생생하게 느끼고 싶어 하는 대중들의 욕구와 맞물려 뮤지엄의 개념과 전시 방식에 까지 영향을 끼치고 있다. 그렇다면 이러한 시도의 결과로 만들어진 산물은 단지 흥미로운 전시일 뿐인가? 아니면 미래뮤지엄의 한 예시인가?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를 제기하면서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수용자의 감각의 자극을 극대화하여 원작이 주는 감동을 유도하는 ‘몰입형 전시’를 새롭게 시도하고 있는 프랑스 프로방스-알프스 코트 다쥐르 주(洲) 부쉬 뒤 론느(Bouches-du-Rône) 도(道)에 소속된 레 보 드 프로방스(Les Beaux de Provence)에 위치한 멀티미디어 영상전시 ‘빛의 채석장(Carrières de lumières)’의 2014년도 기획전시 <클림트와 비엔나 -황금과 색채의 세기(Klimt et Vienne-Un siècle d’or et de couleurs)> 사례를 연구하였다. <클림트와 비엔나-황금과 색채의 세기>는 구스타프 클림트와 비엔나 분리파의 활동과 그에게 영향을 받은 에곤 실레, 훈데르트바서에 이르기까지 비엔나의 회화 100년 사를 일곱 개의 시퀀스에 집약하여 보여준다. 기존의 뮤지엄 전시가 대중과 오브제 간의 간극을 매우기 위한 장치로 전시장 벽에 붙인 설명문이나 도슨트의 해설을 중시하는데 비해, 예술과 테크놀로지가 결합한 <빛의 채석장>이 시도하고 있는 몰입형 전시는 원작에 대한 충실한 연구를 바탕으로 가상의 오브제를 활용한 다양한 융복합 작업을 통해 재구성된 가상현실을 통하여 관람객들의 공감각을 통한 체험이라는 새로운 유형의 전시 방식을 추구한다. 영상전시로 하여금 대중들이 원작을 보다 가까이서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빛의 채석장’의 전시 활동은 고도의 디지털 기술과 기획자의 다양한 해설을 활용한 관람자의 체험을 중시하는 몰입형 전시라는 미래 뮤지엄의 한 예시를 제안하고 있다는 점에서 논의의 가치가 있다. Rapidly changing society and environment are urging museums to change. Art, being combined with technology, is broadening its scope overcoming time and space constraints. And this phenomenon is also shown in museums. The public wants to meet masterpieces more closely and feel them more vividly. Various experimental trials using art and technology is expanding the area of art in concert with this needs of the public. Then, are the products as the outcome of these trials just an interesting exhibition? Or an example of future museums? This paper starts the present study, raising a question about this. This paper studied 〈Klimt and Vienna - Century of gold and color〉, a multimedia video exhibition of ‘quarry of light’ located in Les Baux de Provence, which makes the public approach more closely to the original works by interpreting the original works through the utilization of technology in this context. This video exhibition, which is composed of 7 sequences, intensively shows the 100 years of activities of Gustav Klimt and Vienna Secession and also the activities of Egon Schiele and Hundertwasser, who were influenced by Klimt. This video exhibition is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it is an immersive exhibition which helps viewers to feel the impression of original works by maximizing the sensory stimulation through use of technology. This study looked into the difference between this video exhibition of ‘quarry of light’, where art and technology were combined, and existing museum exhibitions. The existing museum exhibitions focused on object. Meanwhile, this video exhibition utilizes various explanations to convey the experts’ interpretations to viewers through exhibition technology. The explanatory notes attached on the wall or docents guiding the exhibition hall are the device to narrow the gap between the public and object. Immersive exhibition is the experienced person-centered exhibition. Immersive exhibition pursues the experience made through the viewer’s five senses through the virtual object in a virtual reality which has been interpreted and reconstructed. As a non-profit permanent institute which contributes to society and its development, museum is opened to the public and collects, preserves, studies, exchanges and exhibits tangible and intangible heritages about mankind and its environment for education, research and recreation. The activities of ‘quarry of light’ which shows to viewers a beautiful video exhibition, which was created through the convergence of various experts based on faithful studies on the original works, and provides viewer with the opportunities to experience the original works more closely, can be assured to be an example of future museum.

      • KCI등재

        클림트회화에 나타난 집단화원리를 이용한 발(髮) 아트

        김정희 ( Jeong Hee Kim ) 한국미용학회 2015 한국미용학회지 Vol.21 No.5

        At this time when some academic areas are converging and areas of art have been expanding and changing, this study attempted plane work with hair by analysing the principle of grouping represented in Klimt`s painting. Through abstraction, imitation, and reproduction, such plane work was applied for my hair work to achieve an artistic field in bal art. There have been few studies on plane work using hair. Therefore, this study analysed the principle of grouping represented in Klimt`s painting and reorganized it for plane work using hair. As a result, it was discovered that the organic, symbolic, and geometric patterns in Klimt`s painting which formed a leading role in the art nouveau style were suitable as a motive for bal art. Fanciness and artistic beauty were expressed through diverse patterns and rich colors, and the cubic effect was represented through relief. All of these techniques could be satisfactorily used for plane work and it is expected that bal art using them will become a genre in contemporary ar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