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60년대 김종삼 메타시와 `참여`의 문제 ― 말라르메와 사르트르의 영향을 중심으로

        홍승진 ( Hong Seung-jin ) 한국비교문학회 2016 比較文學 Vol.0 No.70

        본고는 1960년대 김종삼 시의 특성을 그 이전 시기와 변별하고, 말라르메와 사르트르의 영향 사이에서 메타시 형식으로써 모색한 시적 참여의 문제를 설명하고자 한다. 한편으로 「십이음계의 층층대」의 개작 과정은 사르트르에 관한 김종삼의 관심을 보여주었다. 다른 한편으로 김종삼은 메타시 「앙포르멜」에서 시에 관한 자신의 태도를 말라르메와 사르트르의 병치로써 암시하였다. 이 작품이 말라르메와 사르트르를 동시에 호명한 것은 세계문학사의 중층적 관계망 속에서 시적 참여 문제를 제기한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1960년 4월 민주화 혁명과 이듬해 박정희 군사정변 무렵, 김종삼이 발표한 작품들은 당대 역사적 맥락과 알레고리적 관계를 맺고 있다. 이 작품들에서 올페, 즉 오르페우스모티프는 죽은 아이 등의 영혼 기호와 악기 등의 음악 기호가 결합된 것으로서, 역사의 폭력에 의하여 희생된 인간의 영혼과 그에 관한 기억을 불러오는 예술적 실천을 의미한다. 그리고 오르페우스 모티프가 활용된 김종삼의 시편은 자신의 시적 태도를 드러내는 메타시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오르페우스가 가져오는 `휴식`은 인공적인폭력의 역사가 정지하고 자연적인 상태의 인간에게 내재해 있는 근원적 사랑이 회복됨을 뜻한다. 이러한 역사적 상황에 대응하여 김종삼은 시의 참여를 고민하였다. 김종삼의 시 「검은 올페」는 사르트르가 프랑스 식민 지배를 받던 알제리 흑인 시인들의 작품에 관하여 쓴 비평 「검은 오르페」와 영향 관계를 갖는다. 사르트르는 『문학이란 무엇인가』에서 시의 참여 불가능성을 주장했으나, 그의 비평 「검은 오르페」에서 자신의 입장을 바꿔 흑인시를 중심으로 시의 참여 가능성을 옹호하였다. 김종삼의 시「검은 올페」는 거울 속 영혼 세계에 대한 오르페우스의 관점을 통하여 아이와 같이 순수한 인간의 죽음을 숨바꼭질 놀이로 형상화했다. 김종삼의 「검은 올페」와 사르트르 비평에서 언급된 흑인시는 모두 아이라는 시적 소재로써 순수한 영혼 회복을 표현하며, 식민 지배 또는 냉전 체제로 인한 서구와 제3세계 사이의 위계를 넘어 진정한 보편성을 추구하였다. 하지만 사르트르가 강조한 흑인시의 자연적 육체성 및 말라르메적 초현실주의와 달리, 김종삼 시는 인간의 영혼에 내재한 사랑과 영원성의 기준을 통해 현실적 삶의 가치를 탐문케 한다. 김종삼 시에서 거울과 음악의 모티프는 말라르메의 메타시에서와 같이 시인 자신의 시론을 드러내는 알레고리다. 말라르메 시론의 초점은 현실적 의미를 탈각하여 사물의 이데아를 포착하는 데 있다. 사르트르의 비평 「말라르메의 참여」는 이러한 말라르메의 순수시론과 `무(無)` 개념에 근거하여 산문과 다른 시 고유의 참여 가능성에 주목하였다. 반면에 김종삼 시에서 시의 비유가 되는 모티프는 인류 역사 전체의 메커니즘을 인간의 폭력적 희생으로 형상화하며, 그 속에서 상실된 인간을 애도하는 시적 참여의 알레고리다. 말라르메와 사르트르가 시와 산문을 철저히 구별했던 것과 달리, 김종삼은 시의 참여에 관한 나름의 모색을 통해 시와 산문의 경계를 넘어서는 형식으로 나아갈 수 있었다. This research interprets the poetic engagement of Kim Jong Sam`s meta-poetry in 1960s, by focusing on the influences of Stephan Mallarme and Jean-Paul Sartre. From Kim Jong Sam`s poem “The Stairs of Twelvenotes Scale”, his concentration on the literary works of Sartre can be distinguished, and his poem “The Informal” can be classified as a meta-poetry since the poem allegorizes his own attitude about writing poetry by juxtaposing Sartre with Mallarme. This juxtaposition can be interpreted as Kim Jong Sam`s inquiring of poetic engagement since Sartre summoned Mallarme`s poetic works with respect to engagement of poetry. Kim Jong Sam`s thinking of poetic engagement in his meta-poetry started during the April democratic revolution and Park Jeong Hee`s military coup in the 1960s by allegorizing the Orpheus motif. This motif combines the signs of innocent soul with the signs of music, indicating that the artistic practice is to remember and recall the human souls who had lost their lives from the violent history. In addition, the Orpheustic symbol of `holiday` implies the standstill of violence in history and the restoration of human beings` inherent of love. Therefore, Kim Jong Sam agonized about the possibility of the poetic engagement, confronting the Korean historical situations. There is a relationship of influence between Kim Jong Sam`s poem, “The Black Orpheus”, and the Sartre`s criticism, “Orphee noir (Black Orpheus)”. In the criticism, Sartre have changed his insistence that poetry is an impossible genre for engagement and advocated the possibility of engagement in Algerian “black poetry”, which expressed the oppression of French colonialism. “The Black Orpheus” written by Kim Jong Sam compared the death of innocent human to hide-and-seek from the perspective of Orpheus in mirror which reflects the sprit world. From the Sartre`s criticism and Kim Jong Sam`s poem, the common theme is the restoration of innocent soul and additionally both pursued the authentic universality, apart from the order of rank between Western and the Third World. However, Kim Jong Sam`s poem interrogated value of life in accordance with inherent love and eternity of human soul unlike Sartre emphasized “black poetry” focusing on erotic corporeality and Mallarme`s surrealistic style. The motifs of mirror and music in Kim Jong Sam`s poetry relates to Mallarme`s meta-poetry. In their poetry, these two motifs are shared allegories that suggest their own attitude about creating poetry. Mallarme`s poetry aspired to grasp an absolute and pure idea, by extricating itself from realistic meaning. Based on Mallarme`s theory of pure poetry and his concept of “nothingness”, Sartre wrote “Engagement of Mallarme”, a critical essay that scrutinized proper possibility of engagement not to prose but to poetry. On the contrary, the motifs in Kim Jong Sam were allegories of poetic engagement that delineates mechanism of whole human history as violent destruction of lives and mourns the lost humanity in the historical mechanism. Consequently, Kim Jong Sam could discover his distinctive method of poetic engagement by mingling features of poetry and prose, unlike Mallarme and Sartre have completely distinguished the two categories.

      • KCI등재

        김종삼 시에 나타난 존재인식의 시적 효과 연구

        김인옥 ( Kim In-ok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8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59

        김종삼은 1950년대의 전통주의와 모더니즘, 1960년대의 순수시와 참여시로 양분된 시단의 경향으로부터 일정한 거리를 지키며 김종삼만의 독특한 시세계를 구축하였다. 30여 년의 시력에도 불구하고 김종삼의 내면 인식과 그 시세계는 큰 변화를 찾기 어렵다. 따라서 김종삼 시 전반에 나타난 시인의 존재인식을 파악하는 일은 김종삼 시세계를 밝히는 일이 된다. 이에 본고에서는 김종삼 시에 나타난 존재인식의 시적 효과를 두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먼저, 시적 표현 방식의 양상을 기존의 은유와는 달리 의미 변용된 표현으로서의 묘사적 효과를 분석한 뒤, 반복적 구조 변주와 환언을 통한 서술적 효과를 분석하여 그에 따른 시적 효과를 파악하였다. 김종삼에게 있어 존재론적 은유의 사용은 창작에 구체성을 부여하여 관념적인 내면의 대상을 삶 속으로 끌어들여 새로운 의미를 만들어 내는 창조적 글쓰기로 실현되었다. 자신의 개인적 경험인 과거 회상을 이야기로 풀어내는 김종삼 시의 서술적 성향은 하나의 구조로 반복되거나 환언되고 있다. 이는 문장의 리듬감을 살려 음악성을 강화하고 시의 표층적 도상성을 부여하여 회화성을 드러내며, 의도적으로 반복되는 어휘는 정보성을 높여 시인의 내면을 객관적으로 표면화하여 시적 메시지를 강조하는 동시에 시인의 존재인식을 확고하게 드높이는 효과를 자아낸다. 김종삼 시에 나타난 존재론적 은유를 살피는 일은 시적 비유의 기능과 문학적 역할을 파악하고 텍스트 전체의 유기성을 살피는 일이 되었다. 나아가 내적 의미를 독자적 표현을 통해 표면화 해낸 기법상의 특성 분석을 통해 김종삼만의 실험적 시세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Kim Jong-sam implemented the poetic world peculiar to Kim Jong-sam while keeping a certain distance from the tendency of poetical circles with a division into two of traditionalism and modernism in the 1950s and of pure poetry and participation poetry in the 1960s. Despite the poetic history for about 30 years, a big change is difficult to be found in Ki m Jong-sam's internal awareness and poetic world. Accordingly, graspin g the poet's existence cognition, which appeared in Kim Jong-sam'swh ole poetry, comes to be what clarifies Kim Jong-sam's poetic world. Hence, this study examined a poetic effect of existence cognition, which was indicated in Kim Jong-sam's poetry, in two aspects. First of all, the aspect of a poetic expression method was understood a poetic effect according to it after analyzing a depictive effect as the expression with the meaning alteration unlike the existing metaphor, and then analyzing a descriptive effect through the repetitive structural variation and paraphrase. As for Kim Jong-sam, the use of ontological metaphor was realize d as the creative writing, which makes a new meaning through giving concreteness to creation and then drawing the ideological inner object into life. The descriptive tendency in Kim Jong-sam's poetry, which talks about retrospection as own individual experience, in addition to short poetry, is being recurred or paraphrased as one structure. In terms of this, reviving a rhythmic sense of a sentence leads to strengthening musicality. Assigning outer iconicity leads to revealing pictoriality. The recurred vocabulary increases information, leads to emphasizing a poetic message through objectively externalizing a poet's inner side, and simultaneously evokes an impact of firmly raising the poet's existence cognition. Figuring out ontological metaphor, which was shown in Kim Jong-sa m's poetry, came to be what grasps a function and a literary role in po etic simile and what figures out the organic in the whole text. Moreover, Kim Jong-sam's unique experimental poetic world could be confirmed through analyzing a characteristic in light of technique, which externaliz ed the inner meaning through an independent representation.

      • KCI등재

        김종삼 중기시 연구 : 반복되는 표상의 실패와 주체 인식을 중심으로

        장예영(Jang Yeyeong)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9

        본 논문은 김종삼의 중기시를 반복되는 표상의 실패와 주체 인식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지금까지 김종삼 시의 주체 연구는 미비했다고 할 수 있다. 비교적 최근 연구는 초기에 집중되어 있으며, 후기와 관련된 연구도일부 진행되어 왔다. 하지만 김종삼 중기시 주체 관련 연구는 찾아볼 수 없는데, 이는 기존의 연구에서 김종삼 시세계에 대한 명확한 시기 구분이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본 논문은 김종삼의 중기시를 1964년작품 「나의 本籍」에서 1973년 「올페」까지로 보고 있다. 본 연구는 본격적으로 ‘나’에 대한 규정과 본적에 대한 물음이 출현하는 점, 이러한 동일시의 시도가 반복적으로 실패하는 지점에서 주체가 출현한다고 보았다. 김종삼의 1964년 작품 「나의 本籍」은 제목에서 알 수 있듯, 본격적으로 ‘나’와 ‘본적’에 대한 물음을 가지며 동일시를 시도한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이후 시편들에서 ‘나’에 대해끊임없이 정의 내리고 표상하려는 반복을 보이는 것이 특징적이다. 이와 같은 점을 비추어 「나의 本籍」을 기준으로 초기시와 중기시를 구분하고 있다. 또한 본고는 「올페」에서 드러난 실패의 고백을 통한 주체 인식을 기준으로 중기시와 후기시를 나누고 있다. 김종삼은 1973년 산문 「먼 「시인의 영역」」에서 직접적으로 시인이라는 영역에 도달할 수 없음을 고백한다. 이러한산문의 고백은 그의 시 「올페」에서 “나는 죽어서도 나의 직업은 시가 못된다”라는 실패의 고백과 연결해 생각해볼수 있다. 이처럼 김종삼 시의 시적 주체는 자신이 표상하며 상정하고 있는 시인의 영역에 결코 도달할 수 없음을고백하고 있다. 위와 같은 구분의 근거와 관련한 이론적 배경은 ‘상징적 동일시’와 주체의 실패를 통해 남겨진 공백이라는 관점이다. 이는 주체가 자기 자신에 대한 표상을 목표로 하지만 실패하고, 이러한 실패에 의해 남겨진 공백이라는 입장이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1964년 작품 「나의 本籍」에서 1973년 「올페」까지의 본적에 대한 동일시의 시도와반복되는 표상의 실패를 통한 주체 인식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앞서 살펴본 실패의 고백은 후기시에 해당하는1982년 작품 「누군가 나에게 물었다」에서도 반복된다. 종합해보자면, 김종삼 중기시의 특징은 수많은 ‘나’와 ‘본적’에 대한 동일시의 시도 및 반복되는 표상의 실패와이를 통한 주체 인식과 구성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실패를 산문과 「올페」에서 직접적으로 발화하고 있다는 점이 중요하다. 이러한 톺아보는 작업을 통해 초기시와 후기시를 이으며, 김종삼의 시 세계를 ‘반복과 실패’를 통한‘주체 인식’이라는 키워드로 관통할 수 있는지에 대한 하나의 가능성을 타진해 볼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attempted to examine Kim Jong-sam s middle period poetry, focusing on the repeated failure of representation and the perception of the subject. Until now, there are not so many researches on the perception of the subject from Kim Jong-sam. Relatively recent researches are concentrated on his early poetry, and some researches related to the latter stage has also been conducted. However, there is no research on the subject of Kim Jong-sam s middle period poetry, which is because the previous studies did not clearly divide Kim Jong-sam s works into 3 periods. This thesis sees Kim Jong-sam s middle period poems as My Hometown in 1964 to Orpheus in 1973. This study assumed that the subject emerges at the point where the definitions of ‘I’ and questions about ‘Hometown’ emerge, and at the point where such attempt to identification repeatedly fail. Kim Jong-sam’s My Hometown (1964) is a notable work, because it starts to question ‘I’ and ‘Hometown’ and attempt to identification as its title suggests. His middle period poetry is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since that work Jong-sam Kim constantly tries to define and represent ‘I’. In light of this point, the middle period poetry are distinguished from the early poetry since his poem My Hometown . This study distinguishes between his middle period poetry and late poetry based on the perception of the subject from the confession of failure revealed in Orpheus . In Kim Jong- Sam’s prose Distant Poet’s Area (1973), says more directly that he cannot reach the realm called poet. This confession can be thought with a failure from his poem Orpheus , saying, “Even when I die, my job is not poetry”. As such, Kim Jong-sam’s poetic subject confesses that he can never reach the realm of the poet he represents and assumes. As described above, this paper presents a perspective that his middle period poetry could be distinguished from the others by ‘symbolic identification’ and the void left after the failure of the subject, as the theoretical background when it comes to period a division. The subject aims at a representation of himself, but fails, and such failure leaves a void, all of which could represent his middle period poetry. Accordingly,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the subject through the repeated failure of representations and attempted to identification about the Hometown from My Hometown (1964) to Orpheus (1973). The confession of failure we looked at earlier was repeated in 1982 in the later poem, Someone Asked Me . In summary, the characteristics of Kim Jong-sam s middle period poetry are numerous questions about ‘I’ and identification about the ‘Hometown’, repeated failure of representations, and attempted to the perception and composition of the subject. It is worth noting that these failures are directly uttered in his prose Distant Poet’s Area and in Orpheus . With this work, we will be able to connect his 3 periods as asserted in this paper and see how the keyword ‘perception of the subject’ and ‘repetition and failure’ of it work throughout his whole poetry.

      • KCI등재

        김종삼 시에 나타난 ‘추상’의 의미

        한혜린 ( Han Hye-rin )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20 한국문학연구 Vol.0 No.64

        회화에 있어서 ‘추상’의 문제는 표현의 기원에 상응된다. 엄격한 의미에서 객관적 시각과 사실적 재현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회화의 표현은 추상성을 수반한다. 김종삼의 추상 기획은 내면의 표상화를 넘어 새로운 가능성의 영역으로 나아간다. 김종삼이 시에서 추구한 추상의 본질은 ‘내용 없는 아름다움’이다. 김종삼은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대상이 지워진 추상의 모호함을 통해 후경으로서의 내용을 지운다. 이는 현실적 대상의 반영이라는 타율적 요소를 지워나감으로써 추상성이 지닌 자율적 의지를 향하는 것이다. 외부적 모방의 단계에서 벗어나려는 시인의 열망은 한국과 서구와의 접점에서 새로운 추상의 언어를 재구축한다. 전후의 한국 추상은 앵포르멜이 유입된 뜨거운 추상의 시기로, 격렬한 정서와 풍부한 내면성의 양상을 보인다. 실험적 언어에 대한 시인의 열망은 비정형 속에서 새로운 의미를 찾고자 한 조형언어와 만나 자신의 새로운 추상성을 기획하는 것으로 나아간다. 김종삼이 시 「앙포르멜」을 발표했던 시점인 1966년은 한국의 화가들이 맹목적인 서구화단의 영향에서 벗어나려는 자각과 더불어, 격정적인 추상에 대해 절제된 태도로서 미술의 본질을 추구하려는 노력이 진행되던 시기이다. 당시 앵포르멜은 내적인 표현욕구와 외적인 계기가 일치하면서 수용의 환경을 조성하였고, 60년대 중반을 지나면서 단순한 양식적 유사성이 아니라 서구와 한국의 접점 사이에서 추상이 자주적으로 발현되기 시작한다. 한국화단의 작가들에게 서구 앵포르멜의 수용과 경험은 자신의 독자적인 양식을 찾기 위한 변형과 확장의 과정이었듯이, 김종삼의 앵포르멜에 대한 관심과 경험은 새로운 언어로 자신이 지향하는 추상성을 찾으려 했던 시적 도정임을 보여준다. 내용으로부터 자유로워지려는 추상의 추구는 충동적 정서의 발현이라는 작업태도가 아닌, 신중하게 동양적 요소를 발견하려는 노력과 함께 진행된다. 김종삼이 새로운 언어로 기획한 추상의 세계는 가시적인 존재의 심연에서 떠오르는 비가시적 층위의 세계이다. 김종삼은 시에서 여백의 운용을 통해 비가시적 층위의 깊이와 심오함을 담는다. 여백은 의미를 품고 있는 바탕으로서 ‘의미의 백서(白書)’이기 때문이다. 이는 수동적 차원의 공백이 아니라 더 많은 세계를 암시하는 능동적 공간이 된다. 형상 대신 여백을 운용하는 것은 존재와 마주치는 매순간 점멸하는 ‘나’의 의미를 형상으로 고정시킬 수 없기 때문이다. 의미의 모든 가능성을 수용하는 동시에 구속되지 않는 자유로움을 향한 여백의 운용은 존재의 잔상을 비워야 한다는 시인의 자각으로부터 시작된다. 이 공백의 영역은 세계를 향한 김종삼의 관조적 태도의 메타포이다. 시인은 감정의 소용돌이 속에서가 아닌, 평정의 상태에서 시작(詩作)에 임한다. 이는 대상과 구분되는 주관을 제거한 상태에서 거리를 두고 대상을 있는 그대로 바라보려는 자세이다. 김종삼에게 시작은 외부로 향했던 자신을 이완의 시간 속에서 재정비해 가는 일이었다. 여백의 장치와 시작에 임하는 관조적 태도는 김종삼 시에 나타난 ‘추상’이 서양미술사의 고유 개념으로서가 아니라, 자주적 발현으로서의 추상시도임을 보여준다. 이러한 시도는 외관을 귀납적 동일성으로 환원하는 것에서 추상을 창도했던, 주관과 객관의 이분법적 구분을 전제하고 있는 서구의 추상과 변별된다. 관조적 시선의 주체가 만든 빈 공간은 의미를 품고 있는 세계인 동시에 의미의 구속으로부터 자율성을 지닌다. 이로써 하나의 시는 외부세계를 옮겨놓은 것이 아니라 그 자체가 하나의 독립된 실재로서 ‘시적(詩的) 사실’이 된다. In painting, the problem of ‘abstraction’ corresponds to the origin of expression. In a strict sense, there are no objective views and realistic representations, so the expression of paintings entails abstraction. Kim Jong-Sam's abstract project goes beyond the representation of his inner world to a new field of possibility. The essence of abstraction that Kim Jong-sam puesued in his poetry is ‘beauty without content’. Kim Jong-sam erases the content as a background through the obscurity of abstraction that does not come up with a specific and realistic object. This is toward the autonomous will of abstraction by erasing the valid element of reflection of real objects. The poet's desire to escape from the stage of external imitation rebuilds a new abstract language at the interface between Korea and the West. The post-war Korean abstraction was a period of hot abstraction in which Informel was introduced, showing intense emotion and rich innerness. The poet's desire for experimental language moves on to plan his new abstraction by meeting with a formative language, which seeks to find new meaning in atypical form. In 1966, the time when Kim Jong-sam published his poem “Enformel” was a time when Korean painters were conscious of escaping from the blind influence of the Western painting group and tried to pursue the essence of art with a modest attitude toward passionate abstraction. At that time, Informel created an environment of acceptance as the internal desire for expression and the external moment coincide, and as the mid-60s passed, abstraction began to emerge independently between the interface between the West and Korea, rather than a simple stylistic similarity. Just as the acceptance and experience of Western Informel was a process of transformation and expansion to find one's own style, Kim Jong-sam's interest and experience in Informel show that he was a poetic journey to find the abstraction he had pursued in a new language. The pursuit of abstraction to be free from the content proceeds with an effort to carefully discover oriental elements, not the work attitude of expressing impulsive emotions. The abstract world, designed by Kim Jong-sam in a new language, is a world of invisible layers that emerges from the abyss of visible existence. Kim Jong-sam captures the profundity and depth of the invisible layer through the use of blank spaces in poetry. This is because the blank space is a ‘white paper of meaning’ as the basis for bearing meaning. This is not a passive space, but an active space that suggests more worlds. The use of blank spaces instead of shapes is because the meaning of ‘I’, which blinks at every moment of encounter with existence, cannot be fixed in shape. The use of a blank space for freedom that is not bound while accepting all the possibilities of meaning start with the poet's awareness that the afterimage of existence must be emptied. This space of space is a metaphor of Kim Jong-sam's contemplative attitude toward the world. The poet is not in a whirlpool of emotions, but works in a state of calm. This is a posture to look at the object as it is with a distance from the object, with the subject being removed. For Kim Jong-sam, the work of writing was to rearrange oneself, who was headed to the outside, in a time of relaxation. The device of blank space and the contemplative attitude toward writing poems show that the ‘abstraction’ in Kim Jong-sam's poem is not an inherent concept of Western art history, but an abstract attempt as an independent manifestation. This attempt is differentiated from Western abstraction that presupposes a dichotomy between subjectivity and object, which created abstraction in reducing the shape to inductive identity. The empty space created by the subject of a contemplative gaze is a world that has meaning and at the same time has autonomy from the constraints of meaning. In this way, a poem does not displace the outside world, but itself becomes a ‘poetic fact’ as an independent reality.

      • KCI등재

        김종삼 시의 올페 표상과 구원의 시쓰기 연구

        송현지 ( Song Hyun-ji ) 우리어문학회 2018 우리어문연구 Vol.61 No.-

        본 논문은 김종삼의 「올페」연작에 나타난 올페 표상을 살펴봄으로써 올페가 김종삼이 시를 쓰는 데 있어 일종의 지표로서 작용하였던 양상을 밝히고자 하였다. 김종삼은 「올페」연작에서 그리스 신화의 오르페우스(이하 올페)와 자신을 맞대어 놓은 후 올페는 죽어서도 직업이 시가 되는 반면, 자신은 그에 미치지 못하는 시인임을 고백하였다. 시인이자 음악에 유달리 관심이 많았던 김종삼에게 최고(最古)의 시인이자 음악가였던 올페가 매력적인 존재로 다가왔음은 당연한 일이겠으나 김종삼이 올페를 이상적 시인으로 생각한 것에는 보다 복합적인 이유가 작용한다. 그의 시에서 올페가 귀환 모티프를 통해 환기되고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두어 볼 때, 올페 신화에서 김종삼이 주목하였던 것은 노래와 음악을 통해 죽음의 세계에 있던 에우리디케를 구원하려 하였던 올페의 행위였다고 여겨지기 때문이다. 그런데 김종삼은 올페의 구원을 시쓰기의 지표로 활용하면서도 그것을 ‘에우리디케의 구원’이라는 그리스 신화적 맥락에 한정하지 않는다. 그는 사르트르의 「검은 올페」의 제목을 빌려 올페를 표상함으로써 그 구원이 모든 피억압자를 향한 것으로 그 대상이 확대되어 있음을 명확히 한다. 이는 김종삼의 시세계의 한 축을 차지하는 가난하고 약한 존재에 대한 그의 따뜻한 시선이 어디에서 비롯된 것인가를 짐작하게 한다. 김종삼은 검은 올페가 그러하였듯 죽음의 세계와 같은 현실을 살아가고 있는 사회적 약자들의 아픔을바로 보고, 그들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연대의 아름다움을 시에 담음으로써 그들의 고통에 연대하고자 하였다. 그러한 시를 쓰는 방법 역시 올페의 그것과 닮아있는데 올페가 지상에서 가져간 악기와 자신의 입에서 나온 아름다운 사랑 노래를 통해 구원을 시도하였듯, 김종삼도 현실의 아름다운 순간을 평이한 언어로 노래함으로써 고통 받는 이들과 독자들이 순간이나마 참혹한 현실을 잊을 수 있게 하였다. 이처럼 김종삼이 시를 통해 올페와 같은 구원을 시도하고 있다는 점에서 김종삼의 올페 표상은 그의 시적 추구와 밀접한 관련 아래 생각해 볼 수 있다.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aspect which Orpheus acted as a poetic ideal for Kim Jong-sam by examining the Orpheus's representation in the 「Orpheus」series. Kim Jong-sam repeatedly suggested that he and Orpheus are different by directly comparing Orphe of the Greek mythology and himself since Kim Jong-sam regarded Orpheus as an ideal poet but Kim Jong-sam regarded himself as falling short of Orpheus. However, Kim Jong-sam having symbolized Orpheus as an ideal poet figure is neither because Orpheus is the oldest poet nor Orpheus is the prototype of an artist. Through the motive of return, Kim Jong-sam clarified that he regarded Orpheus in the context of savior by arousing the aspects of Orpheus in the Greek mythology who aimed to save Eurydice in the world of death by songs and music. However, the meaning of Orpheus as a savior is not limited to the Greek mythology context since the targets of salvation were expanded to all antisuppressors in the world after Kim Jong-sam symbolized Orphe by borrowing the title 'Black Orpheus' - the writing by Sartre which indicated the African American poets who showed solidarity toward those dominated and hurt. Through it, one can guess where the viewpoint of solidarity with regard to poor and weak existences comprising an axis of the poetry world by Kim Jong-sam is. He practiced the Orphic salvation by writing the poems of solidarity which see through a warm heart a number of Eurydices enduring the reality. Also, the method of writing the poems of salvation is very much similar to Orpheus. Just like Orpheus aimed to save others through the instruments taken fromearth and the beautiful songs, Kim sang the beauty of earth in simple language. The poems comprised of simple language in the world of poetry by Kim Jong-sam, which emphasize the sense of solidarity, can be understood to have been written as a part of the poetic practice by Kim Jong-sam to become a poet like Orpheus.

      • KCI등재

        전쟁/종군 세대의 ‘평화론’과 그 시학적 전유 - 1960-70년대 김종삼 시문학을 중심으로

        박연희 한국문학연구학회 2022 현대문학의 연구 Vol.- No.76

        이 글은 김종삼(1921-1984)이 1960~70년대 시편에서 재현했던 ‘참상’의 기억/증언을 살피고 그에 대한 시학적 접근으로서 쟁점화된 ‘평화’의 시적 원리와 의미 작용을 파악한 것이다. 해방기에 월남하여 전쟁기에 등단한 김종삼의 문학적 이력을 바탕으로 전쟁 세대의 비극적인 경험이 일상적·주관적·개인적 상징체계를 벗어나 역사적·객관적·사회적인 참상으로 전면화되는 시 창작 경향의 변화를 고찰했다. 특히 김종삼 특유의 홀로코스트 모티프는 한국전쟁 시편의 발표 시기와 맞물려 있기 때문에 전시 폭력에 집중했을 무렵 과연 현실 인식과 문학적 태도가 어떻게 교차하는지 주목된다. 김종삼 시에서 월남과 한국전쟁 경험에 대한 이미지와 형상이 서로 상이하게 전개되기 때문이다. 가령, 월남 이력을 적시하고 있는 시는 행동과 사건이 서사적이고 사실적인 반면에, 한국전쟁 소재의 다른 시편들은 서정적이고 암시적이다. 김종삼 시에서 월남이 증언 가능한 것이라면, 전쟁은 근본적으로 증언 불가능한 것이다. 그러나 좀더 자세히 들여다보면 전쟁의 폭력과 죽음을 가시화한 시편 중에서도 고발자의 시선으로 학살을 역사화하려는 매우 사실적인 시가 있다. 「어두움 속에서 온 소리」처럼 역사적 증언에 대한 시편은 아우슈비치 수용소의 모티프로 이어졌다. 더 중요하게는 김종삼 시에서 (한국/세계) 전쟁이 반복적으로 등장하기 시작한 시기에 그가 릴케류의 상징주의에 매료되었다고 언급한 대목이다. 김종삼이 경도된 릴케식의 미적 표상은 비극적인 전쟁의 메타포를 통해 전쟁의 증언이나 기억을 끊임없이 환기시키고 참상들의 역사를 통찰하는 가운데 드러난다. 즉, 김종삼의 전쟁시편에서 반복되는 평화의 시어는 비극적 역사에 대한 하나의 징후처럼 개별적이고 산발적으로 도출된 것이다. 김종삼이 하나의 상상력이자 이미지로서 적극적으로 표출한 평화론은 통상적인 개념의 평화와는 상이하다. 그것은 전쟁/학살의 ‘참상들’을 망각하지 않으려는 타자들의 목소리이자 자기 서사의 시학적 가능성을 보여준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memory/evidence of “terrible” reproduced by Kim Jong-sam (1921-1984) in his psalms in the 1960s and 1970s and understands the poetic principle and meaning of “peace” that has become an issue as a poetic approach to it. Based on Kim Jong-sam’s literary history, which fled to South Korea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and climbed to the war period, the tragic historical experience of the war generation went beyond the daily, subjective, and personal symbolic system and was broadened into historical, objective, and social horrors. In particular, Kim Jong-sam's unique Holocaust motif is in line with the announcement period of the Korean War specimen, so attention is being paid to how reality perception and literary attitude intersect when he focuses on wartime violence. This is because the images and shapes of the experiences of the Korean War develop differently in Kim Jong-sam’s poem. However, there is a very realistic poem that attempts to historize the massacr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accuser among the poems that visualize the violence and death of the war. Like the sound from the darkness, the specimen of historical testimony led to the motif of the Auschvich. What Kim Jong-sam tried to show us is a trace found in the Holocaust’s contemporary image, a historical trace found in complex temporality, such as Didi-Weberman’s concept of remaining. More importantly, in Kim Jong-sam’s poem, he mentioned that he was fascinated by Rilke’s symbolism at a time when wars began to appear repeatedly. The aesthetic representation of Rilke, where Kim Jong-sam is revered, is revealed while constantly evoking the testimony or memory of the war and insight into the history of the horrors through the metaphor of the tragic war. In other words, the poem of peace repeated in Kim Jong-sam’s Psalm of War was derived individually and sporadically like a sign of tragic history. Kim Jong-sam’s theory of peace actively expressed as an imagination and image is different from that of ordinary concepts. It shows the poetic possibility of self-narrative as well as the voices of others who do not want to forget the ‘devastations’ of war/kill.

      • KCI등재

        김종삼의 시 창작의 위상학적 성격 연구

        김윤정 ( Yun Jeong Kim ) 한민족어문학회 2013 韓民族語文學 Vol.0 No.65

        60년대 시단을 대표하는 시인으로서의 김종삼에게 현실은 외면할 수 없는 요소이었음에도 불구하고 김종삼의 시는 현실성보다는 미학성에 가깝고 반영성보다는 환상성에 가까운 것으로 평가되곤 하였다. 대부분의 논자들은 김종삼의 시는 현실과 유리된 환상미학적 성격을 지니는 것으로 규정하곤 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관점은 곧이어 김종삼 시가 지닌 현실지향적 속성을 주장하는 의견들에 부정되면서 김종삼이 과연 현실비판적인 시인인지 현실로부터 유리된 시인인지 혼란스럽게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혼란과 모순은 김종삼이 보여주었던 시 창작 상의 원리를 통해 해소할 수 있다. 연속된 불행한 체험으로 현실에 깊이 매몰되었으면서 또한 바로 그 점 때문에 현실로부터 벗어나길 소망했던 김종삼의 고유한 이력을 볼 때 그의 시 창작 상의 원리는 이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김종삼의 시에는 실제로 현실의 비극적인 사태들이 빈번하게 드러나 있다. 현실의 비극성은 심지어 유년기의 체험 속에서도 고스란히 담겨 있다. 그러나 김종삼은 현실의 비극성을 일정한 관점에 의해 통일적으로 재현하며 이를 비판적으로 드러내는 대신 현실속에 스쳐지나가는 미세한 이질적 요소를 찾아내고 이를 현실의 한 부분으로 병치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태도는 유년기의 체험을 기록하는 시점부터 등장한 것으로 이후 계속적으로 그의 시 창작의 방법으로 이어진다. 김종삼은 현실과 이질적인 요소들을 다면적으로 포착하여 시를 구성하기 때문이다. 이질적 요소들을 다면체적으로 병치시키는 이러한 방법은 음악의 영향을 얻은 것으로 보인다. 음악은 음악을 구성하는 여러 요소들을 조직 배치하면서 구성되기 때문이다. 특히 음악의 요소들은 현실로부터 추상화된 위상적 성질을 지닌 것이므로 음악은 현실과의 연접과 이접 속에 이루어진 상대적 공간으로서의 위상학적 성질을 띤다. 그리고 이러한 음악의 성격은 김종삼의 시에 이어져 시를 음악적 위상공간이 되는 데 기여한다. 즉 그의 시는 현실의 구체성들을 사상(捨象)한 추상적 질서로 이루어진 것이며 그렇게 이루어진 추상적 질서란 혼란스런 현실에 대한 기능적인 역할을 나타낸다. 시를 통해 새로운 구조체로서의 위상학적 공간을 창출한다는 점은 김종삼 시의 시적 원리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시가 현실 속에서 어떤 기능과 의의를 발휘하는가 및 시의 창작과 현실 사이의 모방과 창조의 함수를 해명하는 데 하나의 모델을 제시해준다. 요컨대 음악이 지닌 위상학적 성격에 관한 논의는 김종삼 시의 구조적 원리를 해명하는 데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며 시의 미학적 창작 원리에 관한 이해를 심화시키는 데에도 의미가 있을 것이다. 음악적 위상 공간을 구축하는 김종삼의 시는 현실의 비극적 소재를 취하면서도 이를 재배치하는 과정에서 미학성과 안정된 균형감을 드러낸다. 김종삼 시에서 현실성과 미학 성이 모순적이고 양면적으로 드러났던 것 또한 이와 관련된다. 위상학적 원리를 지니면서 상대적 독립성을 지닌 김종삼의 시는 현실에 대한 영향력을 발휘하게 되는데, 무엇보다 음악의 안정된 구조와 동질성을 보이는 그의 시는 김종삼의 내면을 치유하는 기능으로 작용했음을 알 수 있다. Kim, Jong-sam who had traum by the expierience of Korean war and division needed strongly the space into which he could escape from chaos and he could go for peace and safty. Kim, Jong-sam could find that space by music. Music was the absolute space for Kim, Jong-sam. Music is the special space in terms that it has the feature of topology. Topology means the structure that is organized by the partions of the whole. The partions come from the whole extracting all concrete mean and vector. Being connected and disconnected mutually, these partions organize complicated and multilateral structure, the rhizome. Music has relation with real world and at the same time it is abstract. This is the topological feature of music. This point influence on the Kim, Jong-sam`s poem-creation. Kim, Jong-sam`s poem is the structure in which heterogeneous spaces are put side by side. Kim, Jong-sam`s poem is related with society and at the same time very aesthetic. In Kim, Jong-sam`s poem, the reality is not disappear and reorganized aesthetically. This is the reason why Kim, Jong-sam`s poem has the topological feature. Kim, Jong-sam could take a rest in the space of music and poem. Because music and poem are the abstract and balanced spaces. Especially the point that his poem is related with the real world shows that his poem is very ethical.

      • KCI등재

        일반논문 : 김종삼 시의 "환상성"에 대한 정신분석학적 접근

        이성민 ( Sung Min Lee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09 인문학연구 Vol.38 No.-

        정신분석학은 장르에서 기인하는 환상성의 논의, 즉 환상시의 가능성에 대한 새로운 기준과 접근을 가능하게 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의식안에서 김종삼 시의 환상성에 대해 정신분석학적으로 접근하고자 했는데, 특히 김종삼의 대부분의 시는 무의식적 욕망을 드러내는 미적 구조를 갖고 있다는 점에서 적절한 텍스트로 인식된다. 본 논문은 프로이트와 라캉의 정신분석학을 응용하여 김종삼 시의 본질을 밝혀 보았으며, 특히 ``결여``, ``환상`` 그리고 ``반복``을 통해 김종삼 시의 무의식의 구조를 설명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해 ``환상`` 안에 내포되어 있는 문학적 힘을 찾고자 하였다. 이 같은 접근이 가능한 이유는 김종삼 시의 상징(계) 안에서 빈자리로 남아 있는 ``결여``를 발견할 수 있기 때문이다. 김종삼 시에서 그것은 ``문`` 이미지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데, "반쯤 열린"은 동시에 "반쯤 닫힌" 곧 김종삼 시의 시적 자아가 결여를 확인하는 지점이라는 점에서 중요하다. 그리고 시적 자아는 이를 통해 문 너머의 세계, 즉 실재계를 향한 욕망의 여정을 시작하는 계기가 된다. 그러나 김종삼 시에서 문 너머 세계의 현현은 단지 환상을 통해서만 가능하다. 왜냐하면 상징계의 주체와 실재계와의 직접적인 만남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즉 환상이란 실재계와의 직접적인 만남이 불가능한 자아의 실재계를 향한 욕망에 의해 만들어진 결여의 산물이다. 그러므로 환상을 통해 문 너머 세계가 현현되는 순간 인식되는 결여를 통해, 김종삼 시의 시적 자아는 실재계를 향한 시적 여정을 반복하는데, 이 여정은 변증법적이나 인과론적이 아닌 결여를 거듭 확인하는 순환반복의 여정이라고 할 수 있다. 즉 ``환상``은 실재계의 대체물이며, 그것의 현현은 실재계의 표상이란 불가능하다는 ``결여``의 확인인 것이다. 그렇다면 과연 ``환상``은 덧없는 것인가. ``결여``가 나타나는 곳, 그곳은 동시에 시적 자아의 무의식적 욕망이 또 다른 문 너머의 세계를 나서는 출구가 되기도 한다. 이러한 김종삼 시의 성격은 ``다시``라는 시어를 통해 잘 드러나는데, 이 반복하지 않을 수 없는 운동이 바로 ``다시``라는 이름의 ``욕망``이며, ``결여``의 힘, 즉 ``환상``이다. 개성적인 진술형식과 환상적인 내용의 결합이라는, 이전의 한국시에서 찾아보기 힘든 독특한 미적 정서를 보여주는 김종삼의 시는 덧없지만 멈출 수 없는, ``결여``에서 그리고 이 끊임없이 ``반복``의 과정 속에서 탄생한 것이다. Psychoanalysis is expected to make the possibility of a new standard and an access for fantasy to discuss. This study tries to approach the Kim Jong-sam`s poetry by the psychoanalysis about his fantasy, but most of the Kim Jong-sam`s poems reveal an unconscious desire to have an aesthetic structure that is recognized as the appropriate text. This study clarifies the essence of Kim Jong-sam`s poems with psy -choanalysis of Sigmund Freud and Jacques Lacan. Especially, it explains the feature of aspect of unconsciousness shown in Kim Jong- sam`s poetry as ``lack``, ``fantasy``, ``repetition``. Also, it tried to find the literary power in the fantasy . The reason why it possibly accesses these approaches is that ``lack`` remained as an empty place is found in the symbolic of the Kim Jong-sam`s poetry. Opened half but closed half at the same time, in other words, being lack let the persona of Kim Jong-sam`s poetry goes into a journey of desire toward the world behind the door, ``the real``. However, ``the world behind the door`` implemented in Kim Jong-sam`s poems were only possible in fantasy because it was impossible for the subject of the symbolic to meet the real directly. The fantasy in meaningful replacement is made by the desire toward the real persons who can`t meet directly Kim Jon-sam`s poetry in the real. In this, the fantasy assumes a part of lack. Thus the persona repeats its journey toward the world behind the door recognizing its lack when the real is implemented as fantasy. This journey is circulated repeatedly around the ``lack``, not as dialectical and causational journey. In other words, ``fantasy`` is the replacement of ``the real``. Also, the realization of the fantasy is the confirmation of ``lack`` to be impossible of the symbolic of ``the real``. If so, is ``fantasy`` a fugitive? The place where appears ``lack`` is the exit to the world beyond the unconsciousness desire of the poetic ego. The characteristic of Kim Jong-sam`s poetry is expressed by the poetic word "again". On the other hands, the practice which could not resist to be repeated is the ``desire`` of ``again`` and the power of ``lack``, or the ``fantasy``. Unlikely the previous Korean poetry, Kim Jong-sam`s poetry which shows the unique aesthetic sense came from the transient but continuous ``lack`` and the process of the endless ``repetition`` with the format of the creative statement and the combination of the fantastic content.

      • KCI등재

        김종삼 시 「돌각담」의 재수록 양상과 의미 - 『십이음계』와 『시인학교』를 중심으로

        정치훈 한국시학회 2019 한국시학연구 Vol.- No.58

        One of the reasons for the difficulty in studying Kim Jong-sam's poetry is that it did not leave much prose. Prose is a reference point in analyzing a work with the poet's direct remarks on poetry. However, Kim Jong-sam's lack of such a reference point requires a close interpretation of the work itself. Published in 2018, 『Kim Jong-sam Jeong Jib』 offers an extended perspective in understanding Kim Jong-sam's poem. Unlike the previous political book, not only contained all the editions but also consisted of a collection of poems, so that the entity could be identified. Individual works are meaningful in their own right, but when they are included in the collection, they are closely linked to other works to produce another meaning. In other words, the book 『Kim Jong-sam Jeong Jib』 was used to reveal the change in meaning of individual works, as well as other editions. In this book, we looked around 「Dolgakdam」. 「Dolgakdam」 was not only a representative work of the poet, but was also measured in several editions, and noted that it was included in the individual poems, 『Twelve-tone』 and 『School for Poets』. Although it is possible to look at the transformation patterns and meanings of Kim Jong-sam's poems through the process of modification in individual editions, it was noted that the changes in meaning were made in the book even though they were the same edition. The "death" ritual, which was caused by the war experience, penetrates through the first half of Kim Jong-sam poems. In the preceding period, if a person has reasoned death while looking at the death of a family member or acquaintance, after being diagnosed, will reason for death within the reality. Thus, 「Dolgakdam」 in the 『Twelve-tone』 can mean "death and resurrection" in 『School for Poets』, if it contains the meaning of "death and revival." If not only 「Dolgakdam」 but also other works form a network through the analysis of the individual works, Kim Jong-sam will be able to have a closer look at the whole. 김종삼 시를 연구하는 데 있어 난항을 겪는 이유 중 하나는 산문을 많이 남기지 않았다는 점에 있다. 산문은 시에 대한 시인의 직접적인 발언으로 작품을 분석하는 데 있어 참조점이 된다. 그러나 김종삼의 경우 그러한 참조점이 부족하기 때문에 작품 그 자체에 대한 면밀한 해석이 요구된다. 2018년 출간된 『김종삼정집』은 김종삼 시를 이해하는 데 있어 확장된 시야를 제공해준다. 이전의 정집과는 달리 모든 판본을 수록했을 뿐만 아니라 시집 단위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그 실체를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개별 작품은 그 자체로도 의미를 갖지만 시집에 수록될 때 다른 작품들과 긴밀하게 연결되어 또 다른 의미를 생산한다. 즉 『김종삼정집』을 통해 개별 작품의 개작과정 뿐만 아니라 다른 판본에 수록될 때의 의미 변화를 밝혀낼 수 있게 되었다. 본고에서는 「돌각담」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돌각담」은 시인의 대표작일 뿐만 아니라 여러 판본에 재수록 되었는데, 그중에서 개인 시집 『십이음계』와 『시인학교』에 수록된 점을 주목하였다. 개별 판본에서 개작 과정을 통해 김종삼 시의 변모 양상과 의미를 살펴볼 수 있지만, 같은 판본임에도 시집에 수록되었을 때 따른 의미의 변화를 주목하였다. 전쟁 체험으로 기인된 ‘죽음’ 의식은 김종삼 시 전반을 관통한다. 앞선 시기에서는 가족이나 지인들의 죽음을 바라보면서 죽음에 대해 사유했다면, 병원에서 진단을 받은 이후에서는 현실 그 자체 내에서 죽음을 사유한다. 따라서 『십이음계』에서의 돌각담은 ‘죽음과 부활’의 의미를 담고 있다면, 『시인학교』에서는 ‘죽어감과 회복’의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개별 작품 분석에서 놓쳤던 지점을 「돌각담」뿐만 아니라 다른 작품 역시 개작 과정과 ‘시집 단위’의 분석을 통해 연결망을 구성한다면, 김종삼 시세계에 전반을 더욱 조밀하게 조망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김종삼 초기시에 나타난 주체 인식 연구 -반복된 실패 양상을 중심으로-

        장예영 ( Jang Ye-yeong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9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78 No.-

        본 논문은 1982년 작품 「누군가 나에게 물었다」에서 드러난 “누군가 나에게 물었다. 시가 뭐냐고 나는 시인이 못됨으로 잘 모른다고 대답하였다.”라는 실패의 자기 고백에 주목하였다. 이와 같은 후기 고백으로부터 출발하여 초기로 되돌아가, 소급적으로 김종삼 초기시에서 드러난 반복되는 실패와 이를 확인하며 구성되고 있는 주체 인식을 살펴보고자 했다. 1964년 작품 「나의 本籍」은 시 제목에서 본격적으로 ‘나’를 언급하고 있는 만큼, 주체 인식을 드러내기 시작한 중요한 시발점이라고 볼 수 있다. 이후 후기 작품까지 끊임없이 ‘나’에 대해 정의 내리고자 하는 것이 김종삼 중기 이후 시의 특징이다. 하지만 본고는 ‘나’에 대한 인식의 고민이 중기부터 갑자기 발현됐다기보다 초기부터 토대가 될 만한 작품이 있을 것이라는 전제하에 초기시부터 면밀히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 「베르카·마스크」에서 시작하여 이후 작품 분석을 통해 김종삼이 상실로 표상하고 있는 안락하고 완전한 세계의 불가능성을 확인해보았다. 불가능성은 곧 실패의 운명에 처해있을 것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불가능성에 대처하는 김종삼의 자세에 주목하였다. 3장에서는 앞서 살펴보았던 상실로 표상했던 본적이 결여로 드러나는 것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결여를 확인하는 자리에서 드러나는 김종삼의 반복된 실패에 주목하였다. 「쑥내음 속의 동화」 분석을 통해 결여된 고향을 ‘착각’하는 것으로부터 주체의 세상을 향한 첫 출발이 시작되었다고 본고는 바라보았다. 이를 통해 ‘본적’을 향한 지향을 중기와의 연관성 속에서 살펴보았다. 중기시부터 본격적으로 드러난 본적 찾기의 내용이 앞서 지속적으로 살펴보았던 초기 작품들에 내재하여 이어져왔다는 것을 가늠해 볼 수 있었다. 본적 찾기를 향한 반복된 지향과 실패에 의미 부여를 하기 위해 상실의 소급적 효과라는 주체의 사례를 예시로 들었다. 이것은 주체가 사실 이전에 존재하지 않고, 상실을 통해 발생한다는 입장이었다. 초기시에서 김종삼이 이전 시절이나 어떠한 세계를 그리고 있을 때, 그곳은 결여된 곳이기에 없음을 재차 확인할 수밖에 없다고 바라보았다. 이때, 반복된 결여를 상실로 착각하며 재확인하는 구조가 곧 김종삼의 주체가 발생하는 지점이라는 것이 본고가 전제하고 있는 입장이었다. 종합해보자면 김종삼 초기시에 나타난 주체 인식은 본적 찾기와 실패, 이를 통한 주체의 구성으로 요약될 수 있다. This paper paid attention to the confession of failure that “Someone asked me, what poem is, I replied, I am not a poet, so I do not know”, 1982, 「Someone asked me」. From this late period’s confession, This paper tried to go back to the beginning and examine the repeated failures and the perception of the subject that is constructed by confirming it revealed in Kim Jong-sam’s early poetry retrospectively. In 1964, 「My homeland」 is an important starting point that has begun to reveal the perception of the subject, as it refers to “I” in earnest in the poem title. It is the characteristic of poetry since the middle period of Kim Jong-sam that it is constantly trying to define ‘I’ in his later works. However, this paper studied closely from the early works on the premise that there will be a work that could be the foundation rather than the sudden appearance of the agony of the recognition of ‘I’ from his middle period. In Chapter 2, This paper started with 「Verka Mask」 and analyzed the later works to confirm the impossibility of a comfortable and perfect world that Kim Jong-sam expressed as loss. Impossibility will soon be in the fate of failure, but this paper has noticed Kim Jong-sam’s attitude to cope with this impossibility. In Chapter 3, this paper found ‘Homeland’ represented as loss before now emerged as lack. This paper noticed the repetitive failure of Kim Jong-sam, which was revealed in his confirmation of this lack. This paper has seen that the first depature for the world of the subject has begun from ‘misunderstanding’ the lacking hometown through the analysis on 「Fairytale in the smell of mugwort」. Through this, this paper looked into that orientation for hometown in the relationship with his middle period. This paper can guess that the contents of orientation for hometown which was revealed in earnest from the middle period inherited the early works. This study suggests an example of the case of the subject called the retrospective effect of loss in order to give meaning to repeated orientation towards finding hometown and failures. This was to agree with the position that the subject does not exist before the fact, but through loss. This paper assumed that in his early works, when Kim Jong-sam try to depict old times or a place, he can just re-confirm that there is nothing, becaues it has not ever exist. It was assumed that the structure that reconfirms the repeated lack of mistake as loss is the point where Kim Jong-sam’s subject occurs. In sum, the subject’s perception in Kim Jong-sam’s early poem can be summarized as finding hometown, failures, and costitution of the subject through these procedu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