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진행된 Kienböck 질환에서 Anthovy's Technique을 병행한 주상유두골 유합술과 유구유두골 유합술 시행 후 임상적 결과에 대한 후향적 연구

        이광석(Kwang-suk Lee),정종원(Jong-won Chung),조형준(Hyung-joon Cho),정남연(Nam-yeon Jung) 대한정형외과학회 2006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1 No.4

        목적: 본 연구에서는 진행된 Kienbock 질환에 대해 괴사되어 붕괴된 월상골을 제거한 후 장수장 건의 충진술 및 주상유두골 유합술 또는 유구유두골 유합술을 시행 받은 11명의 임상결과를 후향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9년 1월부터 2000년 5월 사이에 Lichtman 제 3기 이상의 진행된 Kienbock 질환으로 진단받은 후 월상골 제거술, 장수장 건 충진술 및 제한적 수근 골간 유합술을 시행 받고 5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1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11명의 환자 중에서 7명은 유구유두골 유합술을, 4명은 주상유두골 유합술을 시행받았으며 임상적 결과는 Evans’ scoring system을 사용하였다. 결과: 술 후 모든 환자에서 방사선학적으로 수근골간 유합 소견 및 파지력의 증가를 관찰할 수 있었고 대부분의 환자에서 완관절의 굴신 운동 범위는 술 전보다 증가하였으며 특히 유구유두골 유합술을 시행 받은 군에서 보다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결론: 진행된 Kienbock 질환에서 월상골의 제거 후 건의 충진술과 병행한 골 유합술 후 5년의 장기 추시결과 비교적 양호한 임상적 결과를 나타냈으며 유구유두골 유합술에서 보다 양호한 관절 운동 범위를 나타냈다. 이는 완관절의 생역학적인 면을 고려하였을 때 근위 수근열 및 원위 수근열간 유합술이 완관절의 운동 범위 회복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Purpose : A retrograde analysis of the clinical results of 11 cases of Kienbock's disease (Lichtman stage Ⅲ), who underwent surgery for scaphocapitate or hamatocapitate arthrodesis followed by a rolled palmaris tendon replacement after a collapsed lunate excision. Materials and Methods : This study followed-up 11 patients diagnosed with advanced Kienbock's disease for more than 5 years from January 1989 through May 2000. The patient’s age ranged from 25 to 65 years old. Among the 11 patients, 7 patients received hamatocapitate arthrodesis, and the remainder received scaphocapitate arthrodesis. The Evans’ scoring system was used for the clinical evaluation. Results : After surgery, all patients showed complete radiologic fusion and an increase in grip strength, and most patients showed an increase in the ROM of a wrist joint, particularly in the group who received hamatocapitate arthrodesis. Conclusion : In advanced Kienbock’s disease, a lunate excision followed by rolled tendon replacement with limited intercarpal arthrodesis showed relatively good results during the follow-up period, and had a particularly better ROM of the wrist joint in hamatocapitate arthrodesis, than the scaphocapitate arthrodesis because of the arthrodesis between the proximal and distal carpal row in the biomechanical aspect of the carpal bone.

      • KCI등재

        제2배부 중수골 유경 혈관 이식과 일시적 삼중 주상골 고정에 의한 Kienböck 질환의 치료

        서재성(Jae-Sung Seo),손욱진(Oog-Jin Shon),한재형(Jae-Hyeung Han),박삼국(Sam-Kuk Park),고진혁(Jin-Hyuk Ko),정승민(Sung-Min Chung) 대한정형외과학회 2006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1 No.4

        목적: Kienbock 질환 치료에 있어 월상골의 재혈관화를 위한 유경혈관 이식술은 유용한 치료법의 하나로 알려져 있다. 이에 저자들은 Kienbock 질환 환자에서 유경 혈관 이식 및 일시적 삼중 주상골 고정술의 결과와 예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3월부터 2003년 5월까지 Kienbock 질환으로 유경 혈관 이식 및 일시적 삼중 주상골 유합술을 받은 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추시 관찰하였다. 추시 기간은 15개월에서 54개월로 평균 35개월이었고 수술 당시 2명이 Lichtman stage Ⅱ, 6명이 stage Ⅲa, 1명이 stage Ⅲb였으며 모든 환자에서 척골 중립변위였다. 수술은 요골 동맥의 제2배부 중수골 분지와 동반 정맥을 이용한 유경 혈관 이식 및 일시적 삼중 주상골 고정술을 시행하였다. 결과: 요측 편위를 제외한 술 후 운동범위와 악력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전의 직업으로 복귀하는데 걸린 시간은 평균 22주였다. 단순 방사선 검사상 경화가 호전되는 소견은 8예에서 보였으나 월상골의 함몰 이 6예에서 증가된 소견을 보였다. Lichtman의 기준에 의한 평가는 7예에서는 만족, 비교적 고연령인 2예에서는 불만족이었으며 Nakamura 평가법에 의하면 5예에서 양호, 3예에서 보통, 1예에서는 불량이었다. 결론: 척골 중립변위인 Lichtman stage IIIa 이하의 Kienbock 질환 환자에서 일시적 삼중 주상골 고정술을 동반한 유경 혈관 이식술은 시도할 만한 가치가 있는 치료법이다. 하지만 재혈관화 술식 시 환자의 나이를 고려해야하며 향후 일시적 삼중 주상골 고정의 기간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 Revascularization is a useful method for treating Kienbock's disea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use of the second dorsal metacarpal vascular pedicle to treat Kienbock's disease. Materials and Methods : A retrospective study was carried out on 9 patients who had undergone vascular pedicle graft for Kienbock's disease between 1999 and 2003. The mean follow up period was 35 months. At the time of surgery, 2 patients were graded as stage Ⅱ, 6 as Ⅲa and 1 as Ⅲb. The ulnar variance was neutral in all cases. A vascular pedicle graft using second dorsal metacarpal vessel were performed and temporary scaphotrapeziotrapezoid (STT) fixation were applied for 6 months. Results : Wrist motion except for the radial deviation and grip strength had improved significantly. The patients returned to work after an average of 22 weeks. Resorption of the sclerosis was observed in 7 cases, but lunate collapse was observed in the simple radiograph in 6 cases. According to Lichtman's criteria, 7 cases were satisfactory but 2 cases with a relative old age were unsatisfactory. According to Nakamura's classification, 5 cases were good, 3 cases were fair and 1 case was poor. Conclusion : In Kienbock's disease with neutral ulnar variance, a revascularization procedure of vascular pedicle graft with temporary STT fixation is a good treatment method but the patient's age should be considered when determining the revascularization procedure. A prospective study will be needed to determine the optimal duration of temporary STT fixation.

      • KCI등재

        소아에서 발생한 진행성 Kienbock 병

        김동희(Dong-Hee Kim),어일주(Yil-Ju Eho),정민(Min Jeong) 대한정형외과학회 2018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3 No.5

        소아에서의 Kienbock 병은 아주 드물게 발생한다. Kienbock 병의 치료는 이견이 분분하며 질병의 자연 경과에 대한 이해도에 따라 매우 다르며 보존적 치료부터 요골 단축술, 삼주상 유합술 등 수술적 치료까지 다양하지만 소아에서 명확한 치료 가이드라인은 제시되어 있지 않다. 저자들은 병기 IIIB의 진행성 Kienbock 병으로 진단된 14세 소아에서 석고 고정을 이용한 보존적 치료로 성공적인 치료 결과를 경험하여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Kienbock’s disease is very rare in pediatrics. The treatment of Kienbock’s disease is controversial and depends on an understanding of the natural history of the disease. The methods proposed vary from conservative treatment to surgical treatment such as radial shortening or scaphotrapezoidal joint fixation, but there are few therapeutic guidelines for paediatric Kienbock’s disease. We encountered a 14-year-old male with Lichtman stage IIIB disease and treated him with conservative management. We report this rare case of advanced paediatric Kienbock’s disease with good clinical results at the 2-year follow-up along with a review of the relevant literature.

      • KCI등재

        제한적 수근골 유합술을 이용한 Kienböck 질환의 치료

        신현대(Hyun-Dae Shin),김경천(Kyung-Cheon Kim),우세민(Se-Min Woo),이훈(Xun Li),강태환(Tae-Hwan Kang) 대한정형외과학회 2006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1 No.6

        목적: Lichtman 분류 제3기의 Kienbock 질환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제한적 수근골 유합술인 삼중주상골 유합술과 생역학적으로 유사한 주상유두골 유합술의 치료 결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7년 3월부터 2005년 3월까지 Lichtman 제3기의 Kienbock 질환을 가진 환자에서 수술 후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25명 중, 주상유두골 유합술을 시행한 15명과 삼중주상골 유합술을 시행하였던 1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연령은 42.6세였으며, 평균 추시 기간은 33개월이었다. 술 전과 최종 추시상의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임상적 평가에서 술 후 동통의 소실은 두 방법에서 모두 양호한 결과를 보였으며, 술 전 및 술 후 수근 운동범위 제한의 변화 정도는 두 방법 간의 통계학적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방사선학적 평가상 carpal height ratio와 lunate index의 변화 정도 역시 두 수술 방법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합병증은 주상유두골 유합술의 경우 불유합 1예를 포함한 4예에서 나타났으며, 삼중주상골 유합술은 표재성 감염 2예를 포함한 4예에서 나타났다. 결론: Lichtman 분류 제3기의 Kienbock 질환에서 주상유두골 유합술은 수술적 접근이 용이하고 주상골의 해부학적 위치로 정복이 용이하며, 삼중주상골 유합술과 임상적 평가와 방사선학적 평가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Purpose : To compare the treatment results of triscaphe and scaphocapitate arthrodesis in Lichtman's stage Ⅲ Kienbock's disease. Materials and Methods : Among 25 cases of Kienbock's disease (Lichtman's stage Ⅲ), who were followed up more than 1 year after surgery from 1997 March to 2005 March, 15 cases of scaphocapitate and 10 cases of triscaphe arthrodesis were reviewed. The average age was 42.6 and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33 months. The clinical and radiology results were analyzed before surgery and at the last follow-up. Results : In the clinical assessments, there was good pain relief after each procedure and there was a similar limitation of the carpal range of motion before and after surgery. The radiology assessments revealed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 arthrodeses according to the carpal height ratio and lunate index. Regarding complications, there were 4 cases with a scaphocapitate including 1 nonunion and 4 cases with triscaphe arthrodesis including 2 superficial infections. Conclusion : The scaphocapitate arthrodesis is a technically simple, easy reducible to the anatomical position and produces similar clinical and radiology results to triscaphe arthrodesis. Overall, scaphocapitate arthrodesis appears to be an effective method for treating Lichtman's stage Ⅲ Kienbock's disease.

      • Lichtman 제 III기 Kienbock 병에서 시행한 제 4+5 신전구획동맥 유경 생골 이식술

        강수환,김철진,정양국,류지현,Kang, Soo-Hwan,Kim, Chol-Jin,Chung, Yang-Guk,Ryu, Ji-Hyun 대한미세수술학회 2012 Archives of reconstructive microsurgery Vol.21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linical results of the 4+5th extensor compartmental artery pedicled vascularized bone graft in advanced Lichtman stage III Kienbock's disease. Materials and Methods: Eight patients with advanced Lichtman stage III Kienbock's disease who underwent the 4+5th extensor compartmental artery pedicled vascularized bone graft and followed up more than 1 year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There were 3 men and 5 women. The mean age was 43.6 years old. Two patients were Lichtman stage IIIA and six patients were IIIB. The clinical outcomes were evaluated with radiocarpal joint pain, range of motion, grip strength, carpal-height ratio, radioscaphoid angle, return to daily living activity and/or work. The mean follow up period was 38.5 months (range from 12 to 86 months). Results: On last follow up, the pain was disappeared in 6 patients, and mild occasional pain was remained in 2 patients. Mean radiocarpal joint flexion and extension were 55 degrees and 60 degrees, 87% and 88% of the normal side, respectively. The carpal-height ratio was maintained or improved in 6 patients and slightly decreased in 2 patients. Radioscaphoid angle were improved or maintained in 7 patients. Mean grip strength was 67 lb, 93% of the normal side. All 8 patients returned to daily living activities and/or their previous works. Conclusion: The 4+5th extensor compartmental artery pedicled vascularized bone graft prevented the progression of disease and provided clinical improvement even in advanced Lichtman stage III Kienbock's disease.

      • KCI등재

        제한된 수근관절 유합술로 치료한 Kienböck 질환

        이상명(Sang-Myung Lee),송석환(Seok-Whan Song),이승구(Seung-Koo Rhee),박재철(Jae-Chul Park),나기태(Ki-Tae Na) 대한정형외과학회 2010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5 No.4

        목적: 진행된 Kienbock 질환의 치료 시 삼주상 유합술(STT fusion), 주상-유두골 유합술(SC fusion), 그리고 주상-유두-유구-삼각골 유합술 (SCHT fusion)의 임상적 치료 결과를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Lichtman 분류 제 Ⅲ기 또는 Ⅳ기인 4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제한적 수근관절 유합술을 실시하였다. 술 전 방사선 결과와 수술 시 관절 면에 대한 평가를 통해 삼주상 및 주상-유두골 유합술은 제 Ⅲa와 Ⅲb기에서 시행하였으며 주상-유두-유구-삼각골 유합술은 Ⅲb기와 Ⅳ기에서 시행하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31.6개월(범위 13-108)이었으며 수술 시 평균 나이는 44.7세(범위 22-71)였다. 삼주상 유합술은 13예, 주상-유두골 유합술은 19예, 그리고 주상-유두-유구-삼각골 유합술은 8예에서 시행하였다. 치료 결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수근관절의 운동 범위, 파악력(grip strength) 통증(VAS, visual analog pain score)을 측정하였으며 최종추시 방사선학적 변화도 측정하였다. 결과: VAS 점수는 삼주상 유합술에서 4.7점, 주상-유두골 유합술에서 3.0점. 주상-유두-유구-삼각골 유합술에서 4.5점이었다. 파악력은 반대편과 비교하여 삼주상 유합술에서 72%, 주상-유두골 유합술에서 78%, 주상-유두-유구-삼각골 유합술에서 54%이었다. 통증의 감소는 주상-유두골 유합술 군이 디른 두 군에 비해 우수하였으며(p=0.007), 주상-유두-유구-삼각골 유합술 군에서 파악력 감소가 관찰되었다(p=0.009). 세 군 간에 운동 범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주상-유두골 유합술을 시행한 1예를 제외하고 모든 예에서 골유합을 얻을 수 있었다. 결론: 진행된 Kienbock 질환의 치료로써 제한적 수근관절 유합술은 유용한 방법이며 통증의 경감에 있어서 주상-유두골 유합술이 삼주상 유합술에 비하여 우월한 결과를 보였다. 주상-유두-유구-삼각골 유합술은 제 Ⅳ기 Kienbock 질환에 있어서 고려해볼 만한 구제 수술이라 생각 된다. Purpose: To evaluate clinical outcomes of triscaphe (STT), scapho-capitate (SC) and scapho-capito-hamato-triquetral (SCHT) fusion in advanced Kienbock's disease. Materials and Methods: Forty patients with Lichtman stage Ⅲ and Ⅳ disease were treated with limited wrist fusion. sn & SC fusion for stage Ⅲb and Ⅲb, and SCHT fusion for Ⅲb and Ⅳ were done according to preoperative radiologic and intraoperative articular surface findings.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31.6 months (range 13-108) and the mean age at the time of their surgery was 44.7 years (range 22-71) There were 13 cases of sn fusion, 19 cases of SC fusion and 8 cases of SCHT fusion. For assessment of treatment results, wrist range of motion, grip strength, VAS (visual analog pain score) and any radiologic changes of the wrist were checked at last follow-up. Results: VAS score was 4.7 for STT, 3.0 for SC, 4.5 for SCHT. Grip strength, compared with the contralateral side, was 72% for STT, 78% for SC, and 54% for SCHT. Pain was more improved for the SC fusion group than for the other two groups (p=0.007). Grip strength was decreased more in the SCHT fusion group than in the other two groups (p=0.009).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range of motion between any of the three groups. The bone achieved union in all cases except one SC fusion. Conclusion: Limited wrist fusion in advanced Kienbock's disease has been regarded as a valuable method. However, SC fusion has been thought of as a more favorable technique than sn fusion with respect to pain relief. SCHT fusion is thought to be a possible salvage procedure with a limited indication for Stage Ⅳ Kienbock's disease.

      • KCI등재

        삼주상 유합술을 이용한 Kienböck 질환의 치료

        이재성(Jae Sung Lee),박민종(Min Jong Park),정성모(Sung Mo Jung) 대한정형외과학회 2006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1 No.5

        목적: 진행된 Kienbock 질환에서 삼주상 유합술 시 월상골 제거의 필요성과 이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Kienbock 질환(IIIb)으로 삼주상 유합술을 시행받은 환자 중 1년 이상 추시 관찰이 가능한 2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15명은 삼주상 유합술만을, 11명은 월상골의 심한 붕괴로 신전 시 후방 충돌에 의한 운동 제한과 통증이 있어 삼주상 유합술과 함께 윌상골을 제거하였다. 두 군의 임상적 결과는 수술 전후에 완관절 운동 범위, 파악력, modified Mayo wrist score를 측정하여 비교하였으며 방사선학적 평가로 수근 높이 비와 척 수근 거리 비, 요주상 각을 측정하고 요주상 관절의 퇴행성 변화를 관찰하였다. 결과: 수술 후 신전 운동 범위 보존율은 월상골을 제거한 군이 수술 전의 94%로 제거하지 않은 군보다 더 보존되는 양상을 보였다. 방사선학적 평가상 수근 높이 비, 척 수근 거리비와 요주상 각은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요주상 관절의 퇴행생 변화가 월상골을 제거한 군에서 더 많은 빈도로 나타났다. 결론: 진행된 Kienbock 질환에서 삼주상 유합술 시 월상골을 제거하는 것은 후방 충돌로 인한 증상을 완화 할 수 있으나, 요주상 관절의 퇴행성 변화가 많이 유발되므로 그 시행에 신중을 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o evaluate the necessity and effectiveness of a lunate excision in triscaphe fusion for the treatment of advanced Kienbock's disease. Materials and Methods: Twenty-six patients who underwent a triscaphe fusion for Kienbock's disease (IIIb) were analyzed. Fifteen patients received triscaphe fusion only and 11 patients received triscaphe fusion and a lunate excision. The indication for a lunate excision included pain and limited motion due to posterior impingement associated with a severely collapsed lunate. The range of motion and modified Mayo wrist score in the two groups were compared. The carpal height ratio, ulnocarpal distance ratio and radioscaphoid angle were measured on the plain radiographs, and the presence of degenerative change was evaluated. Results: The mean extension range was more preserved in the lunate excision group than in the lunate preserving group. Several radiology indices were similar in the two groups, but a degenerative change in the radioscaphoid joint was observed in 45.5% of the lunate excision group and in 13% of the lunate preserving group. Conclusion: When performing the triscaphe fusion in advanced Kienbock's disease, excision of the lunate can relieve the symptoms of posterior impingement. However, this procedure should be carried out carefully because degenerative changes in the radioscaphoid joint are frequently observed.

      • KCI등재

        제 4+5 신전 구획 동맥 유경 골이식술을 이용한 키엔벡병의 치료 : 초기 경험

        천상진(Sang Jin Cheon),임종민(Jong Min Lim),김휘택(Hui Taek Kim),서정탁(Jeung Tak Suh) 대한정형외과학회 2010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5 No.4

        목적: 키엔벡 병에 대한 유정 골이식술을 이용한 수술적 치료는 환자의 수근관절의 증상을 완화시키고 월상골의 붕과를 막을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제 4+5 신전 구획 동맥 유경 골이식술을 시행한 초기 경험으로서 환자의 수근관절의 기능과 주관적인 만족도를 평가하여 그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농법: 키엔벡 병으로 제 4+5 신전 구획 동맥 유경 골이식술을 시행받은 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남자가 3명, 여자가 3명이었으며, 평균 나이는 37.5세(21-49세)였다. 병기는 Lichtman 분류를 이용하였으며, Lichtman 병기 Ⅱ가 3명, ⅢA가 3명이었다. Cooney 평가법을 이용하여 통증의 경중, 기능의 정도, 운동 범위 및 파악력의 변화에 대하여 평가하였으며, 환자의 주관적 만족도와 단순 방사선 사진상 capal height ratio의 변화 및 골유합 여부, 합병증 발생 유무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추시 기간은 평균 2년 6개월이었다. 결과: Cooney 평가법상 4예에서 우수, 2예에서 양호의 결과를 보였다. 환자의 주관적 만족도는 우수가 3예, 양호가 3예를 보였다. 방사선 소견상 유경 골이식술을 시행받은 환자에서 만족할 만한 골유합 소견을 보였고 더 이상의 골 괴사소견은 보이지 않았다. Carpal height ratio의 측정 상 수술 전후의 변화는 거의 없어 수근골의 붕괴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Lichtman 병기 ⅢA인 2예에서 수술 전 보였던 월상-유두관절의 경한 관절염 소견은 변화가 없음을 관찰할 수 있었고, 피부괴사나 감염 등의 합병증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키엔벡 환자에서 제 4+5 신전 구획 동맥 유경 골이식술을 이용한 수술적 치료는 Lichtman 병기 Ⅱ와 ⅢA인 환자에서 통증 경감과 운동범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방사선 소견상 수근골간 관계를 유지할 수 있으며 합병증의 발생이 드물어 유용한 방법 중 하나로 사료된다. Purpose: Kienbock's disease can be treated with a vascularized bone graft to provide relief of wrist joint symptoms and prevent collapse of the lunate. We evaluated the functional outcome and subjective satisfaction in patients with Kienbock's disease treated with the 4+5 extensor compartmental vascularized bone graft. Materials and Methods: We included 6 patients in the study. 3 males and 3 females with an average age of 37.5 years (range 21-49). Kienbock's disease was staged by Lichtman classification based on plain radiography. Three patients were in stage Ⅱ and three in stage ⅢA. Cooney's wrist function score was used to evaluate changes in severity of pain. functional status, range of motion, and grip strength We also assessed subjective patient satisfaction, carpal height ratio and bone union on the radiographs, and the occurence of complications.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30 months. Results: Four patients had excellent and two had good outcomes of wrist function. Three patients showed excellent subjective satisfaction, and three were good. All patients showed radiographic bone union and no further progression of lunate necrosis. The presurgical carpal height ratio was similar to the value at last follow-up, and there was no radiographic carpal bone collapse. For two cases of Lichtman stage ⅢA, the slight degenerative arthritis at the lunocapitate joint observed preoperatively did not change. Skin necrosis and pin track infection were not observed. Conclusion: The 4+5 extensor compartmental vascularized bone graft is a reliable procedure for Lichtman stage Ⅱ and ⅢA patients with Kienbock's disease, as it achieved not only pain relief and improvement of range of motion but also maintenance of the intercarpal bone relationship on radiographs, with relatively few complications

      • KCI등재

        Distal Radius Osteotomy for the Treatment of Kienböck's Disease

        Hong Jun Park(박홍준),Jesse Bernard Jupiter(제씨 주피터) 대한정형외과학회 2005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0 No.8

        목적: ⅢB나 Ⅳ기와 같이 병이 진행된 경우를 제외한 경우의 수근부 월상골의 무혈성 괴사의 치료에서 원위 요골의 단순 절골술 및 내고정술을 시행하고, 이 수술 전후에서의 임상적 및 방사선적 결과를 평가하고자 후향적 연구를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5년 이후에 월상골의 무혈성 괴사에서 원위 요골 절골술 및 내고정술을 시행한 16예 중 1년 이상 추시 관찰이 가능했던 12예에서 동통, 운동 범위, 파악력 등으로 수술 후 결과를 평가하였다. 8예는 Lichtman Ⅱ기였으며, 4예는 ⅢA기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2.5년이었으며, 평균 척골 음위는 1.3 ㎜였다. 결과: 4예에서는 동통이 완전히 소설되었으며, 나머지 8예에서는 심한 노동시에 약한 동통이 남아 있었다. 수근 관절의 운동 범위는 수술 전 81°에서 수술 후 99°로 호전되었으며(p=0.0020), 파악력 또한 의미 있게 호전되었다(p=0.0005). 불유합이나 감염, 관절 운동의 제한과 같은 합병증이 없었다. 결론: 원위 요골 단순 절골술 및 내고정술은 수근 관절을 보존하면서 수근부의 운동 범위를 증가시키고 월상골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었으며, 초기의 월상골 무혈성 괴사에서 사용될 수 있는 훌륭한 치료 술식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is study evaluated the clinical and radiographic results of radial osteotomy and internal fixation for the management of Kienbock's disease excluding the advanced stages Ⅲ8 and Ⅳ. Materials and Methods: Distal radial osteotomy and internal fixation with limited contact-dynamic compression plate (LC-DCP) has been used to treat 16 cases of Kienbock's disease since 1995. Twelve cases with a minimum follow-up of 1 year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re were 6 men, one of them with bilateral involvement, and five patients were women. The average age at the time of surgery was 31 years (range, 19-52 years). The average follow-up was 2.5 years. Eight cases were stage Ⅱ and four cases were stage ⅢA. The average ulnar minus was 1.3 ㎜. Results: Four patients were relieved of pain and the others had mild pain when performing strenuous activity. The wrist ranges of motion increased with surgery from 81° to 99° and grip strength improved significantly. There were no complications such as nonunion, limitation of joint motion or infection. Conclusion: A distal radius osteotomy is an excellent procedure that does not violate the carpal joint and thus preserves the lunate bone architecture and ROM of the wrist.

      • KCI등재

        진행된 키엔벡 병에서 이차적으로 발생한 신전건의 파열

        강철형(Chul-Hyung Kang),조철현(Chul-Hyun Cho),김교욱(Kyo-Wook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12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7 No.1

        전위된 월상골 골편에 의한 이차적인 수지 신전건 파열은 키엔벡 병의 드문 합병증 중의 하나이다. 현재까지 총 13예가 보고되어 있으며, 국내 문헌에서는 아직 보고된 적이 없다. 이에 저자들은 진행된 키엔벡 병에서 분절화된 월상골의 후방 전위로 인해 이차적으로 발생한 제3, 4 수지 신전건 파열 1예를 경험하였고 월상골 제거술 및 건 이전술을 시행하여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Rupture of the extensor tendon caused by a posteriorly displaced lunate fragment is an uncommon complication of Kienbock"s disease. Thirteen cases have been reported in the English literatures, but it has never been reported in the Korean literatures. We report a case of rupture of the third and fourth extensor tendons secondary to advanced Kienbock"s disease that was successfully treated by excision of the lunate and a tendon transf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