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거사가>와 <임천별곡>을 중심으로 본 조선후기 대화체 가사의 특수성

        강혜정 한민족어문학회 2014 韓民族語文學 Vol.0 No.68

        Kasa is a form of Korean classical verse having indefinite number of lineswith tetrameter. In most Kasa a poetic narrator as the author's alter egospeaks about the theme directly. However, some of Kasa adopt the voicesof characters like in a drama instead of author's direct voice, and they arecalled dialogue style Kasa. <Geosaga(The Song of a Buddhist Monk)> and<ImchunPyulgok(The Song of Imchun)> are composed of two characters'dialogue. These two works seem to use the way of speaking far from thetypical way found in most Kasa. This paper aims at identifying these twoworks as dialogue style Kasa. <Song of a Buddhist Monk> consists ofdialogue between a buddhist and a young beautiful widow. The monk fallsin love at first sight, but the widow does not because she wants to be avirtuous woman. However, he renounces his monastic life and joins thesecular society with her. They do not seem to communicate well since thewidow talks only one time while the monk talks too much. Even the monk’sspeech looks like a monologue because he does not care about the widow'sanswer and talks only about his feelings and desire. <The Song of Imchun>consists of dialogue between an old man and an old woman. The old manwho is a declasse aristocrat wants to sleep with the old woman who is alowly person. She denies because he is old and poor. Both Kasa works developthe story in the beginning, and reveal the inner side in the latter half. Therefore, the function of dialogue is a development of the story and expression of feeling or thoughts. There are two different types of dialoguestyle Kasa ; one is speaking within one text, and the other is speaking betweenmore than two texts. <The Song of Buddhist Monk> and <The Song ofImchun> are unique in that they carry the former style which was popularafter 20th century, but they were actually written in the 18th and 19thcenturies. They are categorized as love Kasa which deals with variousaspects of relations between men and women. However, while most love Kasadeal with sorrow of parting, these two works deal with sexual desire. Sosomes cholars categorized these two works as narrative Kasa. <The Songof Buddhist Monk> and <The Song of Imchun> are unique in expressionstyle and contents, and this complexity is based on flexibility of Kasa. 본고는 가사에 나타나는 주류적 담화 양식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대화체로구성된 <거사가>와 <임천별곡>에 나타난 대화의 기능과 특성을 살펴보고, 대화체 가사의 체계 내에 본 작품들을 자리매김하고자 한다. <거사가>는 대화체를 취하고 있지만여성 화자에게는 발언의 기회가 적어 실제로는 거사의 발언이 중심이 되고 있으며, 거사의 발언은 소통을 위한 것이 아니라 일방적으로 자신의 욕망을 피력하기 위한 독백에가까운 것이었다. <임천별곡>은 전반부에서는 생원과 할멈의 대화를 통해 사건을 전개하고, 후반부에서는 독백체의 긴 발언을 통해 두 인물의 대립적인 세계관을 토로하였다. 두 작품 모두 대화체를 통해 사건을 전개해 나가는 한편, 등장인물의 내면을 묘사하였다. 즉, 대화체를 통해 ‘사건 전개’와 ‘내면 토로’라는 두 가지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고 있다는것이다. 이 작품들을 대화체 가사의 분류 체계 속에서 보자면, 텍스트 구조상, 개별 텍스트 내부 대화의 방식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이 방식은 대체로 개화가사에 이르러 보편화되는 것이다. <거사가>와 <임천별곡>이 비교적 이른 시기에 텍스트 내부 대화의 방식 을 본격적으로 활용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작품들을 대화 방식에 의해 분류하자면<거사가>는 문답형, <임천별곡>은 언쟁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하지만, 두 작품 모두각 유형에 속하는 여타의 작품들과는 적지 않은 차이를 보였다. 또한 두 작품 모두 남녀간의 애정을 다루고 있기에 애정가사의 범주에 귀속되지만 기존의 애정가사와는 내용상,표현상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대부분의 애정가사가 이별후의 상황에서 자탄조로 그리움을 노래하는데 비해, 본 작품들은 구애의 현장에서 포착되는 성적 욕망을 서술하고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차이는 대화체라는 독특한 표현 방식과 깊은 관련이 있다. 대화체를 통해 인물을 형상화하고 사건을 실감나게 전개하면서 서사성까지 확보하게 되는 것이다. 이로 인해 이 작품들은 서사가사의 범주로 분류하기도 하며, 서민가사로 분류되기도한다. 이렇듯 <거사가>와 <임천별곡>은 대화체로 애정사를 다루며 사건을 전개해 나가면서 동시에 인물의 내면까지 표현해 내는 복합적 면모를 보이고 있으며, 이는 가사 장르에 내재된 포용성에 기인한 것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거사가, 와 임천별곡, 을 중심으로 본 조선후기 대화체 가사의 특수성

        강혜정 ( Hye Jung Kang ) 한민족어문학회 2014 韓民族語文學 Vol.0 No.68

        본고는 가사에 나타나는 주류적 담화 양식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대화체로 구성된 <거사가>와 <임천별곡>에 나타난 대화의 기능과 특성을 살펴보고, 대화체 가사의 체계 내에 본 작품들을 자리매김하고자 한다. <거사가>는 대화체를 취하고 있지만 여성 화자에게는 발언의 기회가 적어 실제로는 거사의 발언이 중심이 되고 있으며, 거사의 발언은 소통을 위한 것이 아니라 일방적으로 자신의 욕망을 피력하기 위한 독백에 가까운 것이었다. <임천별곡>은 전반부에서는 생원과 할멈의 대화를 통해 사건을 전개하고, 후반부에서는 독백체의 긴 발언을 통해 두 인물의 대립적인 세계관을 토로하였다. 두 작품 모두 대화체를 통해 사건을 전개해 나가는 한편, 등장인물의 내면을 묘사하였다. 즉, 대화체를 통해 ‘사건 전개’와 ‘내면 토로’라는 두 가지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 작품들을 대화체 가사의 분류 체계 속에서 보자면, 텍스트 구조상, 개별 텍스트 내부 대화의 방식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이 방식은 대체로 개화가사에 이르러 보편화 되는 것이다. <거사가>와 <임천별곡>이 비교적 이른 시기에 텍스트 내부 대화의 방식을 본격적으로 활용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작품들을 대화 방식에 의해 분류하자면 <거사가>는 문답형, <임천별곡>은 언쟁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하지만, 두 작품 모두 각 유형에 속하는 여타의 작품들과는 적지 않은 차이를 보였다. 또한 두 작품 모두 남녀간의 애정을 다루고 있기에 애정가사의 범주에 귀속되지만 기존의 애정가사와는 내용상, 표현상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대부분의 애정가사가 이별후의 상황에서 자탄조로 그리움을 노래하는데 비해, 본 작품들은 구애의 현장에서 포착되는 성적 욕망을 서술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차이는 대화체라는 독특한 표현 방식과 깊은 관련이 있다. 대화체를 통해 인물을 형상화하고 사건을 실감나게 전개하면서 서사성까지 확보하게 되는 것이다. 이로 인해 이 작품들은 서사가사의 범주로 분류하기도 하며, 서민가사로 분류되기도 한다. 이렇듯 <거사가>와 <임천별곡>은 대화체로 애정사를 다루며 사건을 전개해 나가면서 동시에 인물의 내면까지 표현해 내는 복합적 면모를 보이고 있으며, 이는 가사 장르에 내재된 포용성에 기인한 것이라 할 수 있다. Kasa is a form of Korean classical verse having indefinite number of lines with tetrameter. In most Kasa a poetic narrator as the author``s alter ego speaks about the theme directly. However, some of Kasa adopt the voices of characters like in a drama instead of author``s direct voice, and they are called dialogue style Kasa. <Geosaga(The Song of a Buddhist Monk)> and <ImchunPyulgok(The Song of Imchun)> are composed of two characters`` dialogue. These two works seem to use the way of speaking far from the typical way found in most Kasa. This paper aims at identifying these two works as dialogue style Kasa. <Song of a Buddhist Monk> consists of dialogue between a buddhist and a young beautiful widow. The monk falls in love at first sight, but the widow does not because she wants to be a virtuous woman. However, he renounces his monastic life and joins the secular society with her. They do not seem to communicate well since the widow talks only one time while the monk talks too much. Even the monk’s speech looks like a monologue because he does not care about the widow``s answer and talks only about his feelings and desire. <The Song of Imchun> consists of dialogue between an old man and an old woman. The old man who is a declasse aristocrat wants to sleep with the old woman who is a lowly person. She denies because he is old and poor. Both Kasa works develop the story in the beginning, and reveal the inner side in the latter half. Therefore, the function of dialogue is a development of the story and expression of feeling or thoughts. There are two different types of dialogue style Kasa ; one is speaking within one text, and the other is speaking between more than two texts. <The Song of Buddhist Monk> and <The Song of Imchun> are unique in that they carry the former style which was popular after 20th century, but they were actually written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They are categorized as love Kasa which deals with various aspects of relations between men and women. However, while most love Kasa deal with sorrow of parting, these two works deal with sexual desire. So somes cholars categorized these two works as narrative Kasa. <The Song of Buddhist Monk> and <The Song of Imchun> are unique in expression style and contents, and this complexity is based on flexibility of Kasa.

      • KCI등재

        자전적 가사와 젠더 - 가사의 여성수용과 관련하여 -

        박애경 한국여성문학학회 2008 여성문학연구 Vol.20 No.-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quire the relation between the Kasa and Gender centering around the Gubang Kasa, which was produced from the late of Chosun Dynasty to the early modern period. After 18th Century, Kasa which had been enjoyed by the literati as the path of their cultural expression began to representative way of writing of the period as diverse minority groups involved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Kasa. The remarkable point is the emergence of autobiographic Kasa which contains the personal history of the women including their growth, marriage and family life. It can be said that the autobiographic Kasa came up to the surface as a consequence of sharing the cultural trends which encouraged the sub alter to express themself and their own life. Through writings of Kasa they call attention the meaning of their own life and identity. In addition the Kasa, emerged from the field of Kubang Munwha ( the culture of aristocrat women) in the late of the Chosun Dynasty provided the women with the path to describe their life looking back upon the past with emotion. This paper pays attention the fact that writing and reception of Kasa encouraged the women to share their own life with other women and embody their identities as a group or an individual. 이 글의 목적은 조선 후기부터 근대 초기에 걸쳐 규방문화권에서 산출된 자전적 성격의 가사를 대상으로 가사 장르와 젠더의 관계를 살피려는 것이다. 사대부의 문화적 표현으로 기능했던 가사는 18세기 이후 다양한 하위 주체들이 가사의 창작과 수용에 참여하면서, 삶의 여러 국면을 포괄할 수 있는 가장 대표적인 글쓰기로 부상하게 되었다. 이 과정에서 나타난 주목할 만한 변화는 가사가 사족 부녀자들의 일상을 핍진하게 표현할 수 있는 통로로 자리잡게 되면서 ‘그녀’와 ‘그녀의 삶’의 내력을 담게 되었다는 것이다. 이는 동류 사대부들 간에 복수의 정체성을 표현하던, 가사가 여성 ‘개인’ 삶의 경험을 진술하는 양식 (herstory)로 자리 잡게 되었다는 의미일 것이다. 자전적 성격의 가사는 소수자들의 발언이 주체화하고, 개인의 삶을 문제시하기 시작한 조선 후기 문화적 경향을 공유한 바탕 위에 이루어졌다고 할 수 있다. 규방문화권의 가사는 여기에 더해 자신의 삶을 회고적, 정감적으로 술회하고, 그 경험을 다른 여성과 공유함으로써, 여성적 정체성 구현에 일조하였다. 이는 가사가 잠재적으로 지녔던 장르적 개방성, 묘사의 일상성을 여성이 생활문화의 장으로 끌여들여 수용함으로써 가사의 표현 영역을 넓히고, 결과적으로 장르적 변화를 견인한 사례로 꼽을 수 있다.

      • KCI등재

        18세기 유배가사에 나타난 충(忠)과 효(孝)의 양상 연구

        노경순 ( Kyung Soon Noh ) 겨레어문학회 2014 겨레어문학 Vol.52 No.-

        본고에서는 18세기 유배가사에 나타난 충과 효의 양상을 검토하고, 그 의미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보았다. 본고에서 살핀 18세기 유배가사에 나타난 충의 양상에서는 전대의 가 사의 형식을 그대로 따라 절대적인 충의 양상을 보이고 있기도 하고, 의식적인 것이 있은 후에 충의 양상을 보이고 있기도 했다. 다음으로 효의 양상에서는 오로지 집안에 대한 효로 인식될 수 있는 것처럼 작품에서 나타났다. 그러나 영조와 정조가 내세운 정치이념을 접목해 봤을 때, 이러한 현상은 왕의 이념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효를 표현했고, 이 이면 에는 충을 나타내는 것이라 해석할 수 있었다. 18세기 유배가사에 나타난 충과 효의 양상의 의미는 18세기 유배가사 작가들이 ‘효’를 통해 임금과의 교감을 이끌어 내려한 이유가 있었음을 짐작 할 수 있다. 18세기 유배가사 작자들은 영조의 탕평론과 『효경』『충경』의 간행 사업 등에서 작가는 부활의 가능성을 읽었으며, 결국 ‘효’를 영조에게는 왕권강화의 방안으로, 자신에게는 정계 진출로의 방법으로 파악했던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경향은 정조 대에서도 이어졌음을 확인했다. 18세기 이전에는 충과 효가 분리되어 유배가사에 나타나고 있다면, 18세기에는 영조와 정조의 정치이념과 연관하여 효가 확대되고 충이 약 화되어 유배가사에 나타난다고 볼 수 있다. 이를 밝히기 위해 본고는 18 세기 유배가사에 나타난 충과 효의 양상을 영조와 정조의 정치이념과 연 관지어 살펴보았다. 그 결과 실상은 효를 통한 충의 표출이라는 것을 살 필 수 있었다. 이는 영조와 정조의 정치이념을 충실히 따르며 효를 유배 가사 작품에 담아내고, 이를 통해 충을 나타낸 것이다.본고에서 살핀 이상과 같은 성과는 18세기 유배가사를 이해하는 데인륜의 근본으로 여겨진 유가사상에서의 충ㆍ효가 크게 자리하고 있음을 밝힌 것이다. 또한 이를 통해 18세기 유배가사에서 충과 효의 양상이 영 조와 정조의 정치이념과 어느 정도 부합되어 표현되고 있음도 확인하였다. 이러한 성과로 18세기 정치 현실과 작품을 연관하여 살핌으로써 작품세계를 이해하고, 이들 작품들이 지니고 있는 특질 규명에 거칠게나마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In this paper, we consider the aspect of loyalty and filial piety shown in exile Kasa of the 18th century, we have a brief description of its meaning. The aspect of the loyalty shown in exile Kasa of the 18th century in this article appeared unconditional eyes of the loyalty in accordance with the format of previouse Kasa and aspect of the loyalty due to any condition respectively together. Next, the aspect of the filial piety could be recognized only for family in the article. However, engrafting political principles what Yeongjo and Jeongjo published, this phenomenon would be interpreted that the filial piety expressed accepting the idea of a king actively and also loyalty expressed in hidden side. Reason why the writers of exile Kasa of the 18th century tried to pull out an intimate relationship with a king through "filial piety" may be refered that they kept in mind Yeongjo who has signed a deep relationship with the writer``s house. Although Yeongjo tried to remove his family, the writer percepted the possibility of resurrection through the publishing business such as 『Tangpyeongron』,『Hyogyeong』 ㆍ『Chunggyeong』, finally considered ``filial piety`` as effective ways of strengthening royal authority to Yeongjo and as method of the advance in the political world. This trend was confirmed that it was followed in Jeongjo age.While loyalty and filial piety expressed separately in exile Kasa prior to the 18th century, it is possible to see that filial piety was enlarged and loyalty was weakened in connection with the political philosophy of Jeongjo and Yeongjo in the 18th century. In order to clarify this fact, in this paper, the line of sight of loyalty and filial piety shown in exile Kasa of the 18th century was investigated in connection with the political philosophy of Jeongjo and Yeongjo. As a result, the loyalty was exposed through the filial piety in practice. This is what to put in exile Kasa work the filial piety conforming to political philosophy of Yeongjo and Jeongjo faithfully, and what to show the loyalty infact. Such as, In this paper, the loyalty and filial piety considered fundamental of humanity has revealed a significant place to understand 18th century exile of the Kasa. Through this, it is also confirmed that the line of sight of loyalty and filial piety expressed consistent with the political philosophy of Yeongjo and Jeongjo in exile Kasa of the 18th century. Based on this study, as connect the political reality of 18th century to the works, it will be able to help even a little to evaluate the characteristic of these works.

      • 제천의병과 의병가사 -윤희순의 의병가사를 중심으로-

        박연호 ( Park Youn-ho ) 세명대학교 지역문화연구소 2005 지역문화연구 Vol.4 No.-

        The focus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life of the Yoon Hee Soon(윤희순) who is the Korean beginning woman patriotic army(義兵) and the historical and literature meaning of her works. The woman patriotic army is very rare at Korea history. She had acted very voluntarily and devotedly as a patriotic army. She helped the activity of patriotic army during three generations[father(You Hong Seok ; 유홍석), father in law(You Lin Seok ; 유인석), husband(You Je Won ; 유제원), son(You Don Sang ; 유돈상) indirectly. And she helped patriotic army by encourage the woman directly and systematically. Creating a Kasa(歌辭)-which is korean traditional literature genre-is one of the activity of patriotic army. One of the reason of her devotional activity like this is her family background. Her family resisted positively against the aggression of external influence as the center of the Whoa-seo school(華西學派). Another reason is her medieval sense of value. She completely kept the loyalty and filial duty which is a medieval value. Specially she believed that to obey the will of father, husband and son(三從之道) is the most important ethic of woman. Namely, the medieval ethical conception was the most important spiritual base of her devotional activity of patriotic army. She created the many Kasa(歌辭) worksrelated with the activity of patriotic army. She showed superior ability in many Kasa. It means that she familiar in creating the Kasa. But some of her works deviate from typical form the traditional type of Kasa. Most of them different from typical contents of Kasa. Kasa is governed from the tradition in the side of type or contents. Because the reason of formal deviation in her work is related with not the matter of her creation ability but custom of Kasa genre.

      • KCI등재

        고전문학의 교육 목적과 가사문학 교육 방안

        박연호 ( Yeon Ho Park ) 한국시가학회 2015 韓國 詩歌硏究 Vol.38 No.-

        이 논문에서는 가사문학을 올바르게 이해하기 위해 어떤 기반지식이 필요하며, 가사문학을 통해 문학사를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를 논의하였다. 가사문학은 고전문학의 일부라는 점에서 가사문학의 교육 목적은 고전문학의 교육 목적과 다를 수 없다. 현대문학과 고전문학은 문학이라는 공통점으로 인해 교육 목적이 크게 다르지 않다. 그러나 고전문학은 근대 이전에 창작된, 즉 시간적으로 먼 과거에 창작된 타자의 문학이라는 점에서 현대문학과 다르다. 때문에 같은 교육 목표라고 하더라도 고전문학을 통해 더 효과적으로 달성할수 있는 교육 목표가 있다. 필자는 그것이 타자에 대한 이해와 소통, 문학사의 이해 등에 있다고 생각한다. 가사문학은 대부분 중세라는 시기에 유학을 신봉하던 사대부들에 의해 창작되었다. 중세는 단 하나의 이념(종교적 차원)만이 허용되던 시기라는 점에서 다양한 가치가 허용되는 근대와 구별된다. 중세의 보편적 특성에 대한 이해는 시간적 거리가 있는 과거뿐만 아니라 공간적 거리가 있는 다른 나라의 문학과 문화를 이해하는 데도 필요한 시각이다. 사대부는 유교를 신봉했던 중세인이었다. 따라서 이들이 창작한 가사작품들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유가에서 요구하는 사대부의 가치관과 그들에게 요구되었던 바람직한 삶의 태도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 사대부에 대한 이해는 가사문학의 흐름(나아가 조선시대 문학사)를 이해하는 데도 반드시 필요한 기반지식이라 할 수 있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based knowledges necessary for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and how to teach the history of literature with Kasa. Kasa is the part of classical literature, so the educational aim of Kasa and the classical literature is not different. And the educational aim of the contemporary literature and the classical literature is almost same. But the classical literature is the literature of the Other in the temporal distance. Because there is more effective educational goals that can be achieved through the classical literature. Those are understanding the Others and the history of literature. Most of the Kasa were created by Confucian scholars in the Middle Ages(Josun dynasty). Because in order to understand Kasa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iddle Ages and Confucian scholars. And the understanding the common characteristics of the Medieval Ages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literature and culture of other countries, as well as the past. Confucian scholars of Josun dynasty were medieval people. Because in order to understand Kasa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ir values and desirable attitudes of life. It is essential to understand the history of classical literature. The medieval ages was dominated by only single ideology. So a lot of codes those are not used today are used. In addition, although using the same words today the cultural implications are often different from today. In particular, in Kasa a lot of codes were used in a work than other lyrics. Because understanding the code is essential bases knowledge for under- standing Kasa.

      • Waiting for the Sun to Rise: Ch`imgoeng`s Poetry and Late Choson Buddhism

        ( Young Hee Lee )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2007 Sungkyun Journal of East Asian Studies Vol.7 No.1

        The Son Master and kasa poet Ch`imgoeng Hyonbyon(1616-1684) deserves to be studied for several reasons. The three kasa[vernacular songs] he wrote, Kwisan`gok[Retreating to the Mountains], T`aep`yonggok[Song of Great Peace] and Ch`onghaktongga[Song of Ch`onghaktong], are the earliest Buddhist kasa that can be dated with certainty and thus occupy a special place in the history of Korean Buddhist poetry. Remarkable is the presence in Ch`imgoeng`s kasa of a strong autobiographical element, which is lacking in other Buddhist kasa from the Choson period, though not uncommon in kasa written by men and women of the yangban elite. Ch`imgoeng enjoyed a considerable reputation for his literary gifts, to which the poetry and prose in classical Chinese in his Ch`imgoeng chip, first published in a woodblock edition in 1695, also testify. Ch`imgoeng`s writings in Chinese, which are a valuable source 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Buddhism in this period, also show how deeply Confucianism had penetrated in Late Choson society. In spite of Confucianism`s hegemonic position, however, Ch`imgoeng`s literary production always remained essentially Buddhist. This applies a fortiori to Ch`imgoeng`s kasa, which show none of the insistence on Confucian ethics that characterizes many later Buddhist kasa.

      • KCI등재후보

        近體詩의 篇法과 時調 歌辭 形式의 共通點 考察

        李鍾建(Lee Jong-Goun) 한국시조학회 2003 시조학논총 Vol.19 No.-

        이 글은 시가의 편법을 한시와 비교한 것이다. 지금까지 시조는 주로 한시 절구의 편법과 흡사하다고 알려져 있으나, 실제는 절구와 시조는 그 형식이 짧다는 것 발고는 별로 관련성이 없다. 그보다는 율시의 수련과 미련을 제외한 가운데 대우가 되는 연, 이렇게 나누어 놓고 보면 3항시의 편법임을 알 수 있다. 이는 시조의 중장이 대우로 되어 있어 서로 깊은 상관성을 보이는 것이다. 또한 율시와 배율의 편법의 관계는 시조와 가사의 편법의 관계와 흡사하다. 가사의 편법은 시조의 중장이 길어진 것이기 때문이다. 이렇게 해서 율시와 배율, 시조와 가사에 흐르는 공통점이 발견된다. According to my research about Janlgu(結句) and Sijo(時調), they have not used the same methods to make the phrases (句) within of Sika(詩歌). In this thesis I shown that Ullsi(律詩) and Sijo have used a similar methods to make the phrases. However, the main assertion of this thesis is to show the fact that Sijo has changed into Kasa(歌辭) the same way Ullsi has changed into Baeull(排律). I have found that Ullsi and Baeull are different from Sijo and Kasa. Jaulgu and Sijo don't have any similarities except the use of their short sentences. Ullsi is similar to a poem with three lines in each verse. To separate the poem with three lines in each verse to three parts of the first stanza, the last stanza(結聯), and how the middle stanza contrasts (related to the phrase or stanza of poems which have a pair.), I have found out how the poem with three lines in verse is made. The middle phrase of Sijo is made up of complete opposites. I think that Sijo has the same relation, with Ullsi. Also. Kasa is made up opposites. Antithesis is a kind of way to make Ullsi by phrase and clause. I have found the antithesis in the middle phrase of Sijo. Kasa is made up antithesis and is the relativity of Ullsi and Baeull and the relativity of Sijo and Kasa are explained by antithesis. As Ullsi changed to Baeull, Sijo has changed to Kasa. They have the same method of making phrases. Some have insisted that Sijo was not from Hansi. I don't agree with that. Even if Ullsi is not from Sijo, this thesis has proven that the method of making phrases of Ullsi and the method of making phrases of Sijo are very similar. In this thesis, I have found out that Ullsi and Baeull are very similar with Sijo and Kasa. I think that these old types of Chinese poems have affected Korean Culture. So, in this thesis, I have tried to show just a little fact about this old type of Chinese poems and how it has affected Korean Culture.

      • KCI등재

        淸規에 나타난 僧伽服飾에 대한 考察

        신공스님(허훈) 한국선학회 2006 한국선학 Vol.13 No.-

        漢譯律藏에 나타난 袈裟의 意味와 種類에 및 宋代의 대표적 청규서인 『禪苑淸規』와 元代의 청규서인『勅修百丈淸規』에 나타난 승가복식의 형태와 용도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출가 수행자들이 착복하는 의복에 대한 일반적 명칭은 色과 모양이 法(律藏)에 따라 만들어졌다는 의미에서 如法衣인 三衣와 생활환경의 변화와 편리함에 따라 만들어진 助身衣와 深衣로 구분한다. 이러한 승가복식의 다양성은 풍토․기후․생활환경의 변화에 따라 나타나게 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율장과 청규에 나타난 승가복식은 문화적 차이와 생활환경 그리고 기후에 따라 출가 수행자들이 着服하는 형태나 모양에 있어서는 조금 차이가 나타나지만, 승가복식이 지닌 의미는 동일하다고 볼 수 있다. 첫째, 청정한 위의를 나타내며 둘째, 외도나 재가불자와 구분하기 위해서 셋째, 의복에 대한 욕심을 없애어 수행에 지장이 없도록 하기 위해 넷째, 추위나 더위로부터 몸을 보호하고 치부를 가려 懺愧心을 없애기 위해 다섯째, 소욕지족과 무소유의 공덕을 상징하는 것으로 불법의 근본을 드러내는 포교의 수단으로서의 의미를 지닌다. People's costumes have been developed in various types with the change of the times. Unlike common types of clothes, monks' costumes have particularly shown both universality as a cultural pattern of the times and places, and peculiarity reflecting the Buddhist values. In this regard, monks' method of wear has a lot of religious significance. One of the most typical Buddhist costumes is Kasa(袈裟). Kasa is a type of Sari, Indians' traditional clothes which reflects India's cultural and regional features. Kasa was designed to distinguish heretical practicers and seculars from Buddhist practicers at that time. Kasa holds the meaning of restraining greed and carrying a poor but honest life. It also has the symbolism of the nature of Buddha and the rice-field that produces a fortunecrop(福田). When the Indian Buddhism was introduced to China, the Buddhist costume Kasa was designed in various types of monk wear to meet the nature, climate and Buddhist practicing environment in China. In particular, the Cheong-gyu(淸規) of the Zen sect(禪宗), regulations for a monastic life, mainly contains the process and regulations of eating and wearing which were needed for a temple life where zazen is simply pursued. China's Buddhist costumes were developed to wear a canonical robe under the Sameui(三衣), the basic type of Buddhist costume because of China's cold weather. One example of these types was to put the Indian Kasa on the Sokbok(俗服). In the early years of China, Buddhist practicers wore the Pyeonsam(褊衫). There was also Hoengpi(橫被) which covered down the right shoulder exposed from the Kasa. And, a lattice type of costumes was mainly used in the Zen school and Bangpo(方袍) with wide square sleeves was put on by ordinary people. The Seonwoncheonggyu(禪苑淸規), which was compiled in the age of Song, China and well handed down the spirit of Baekzangcheonggyu(百丈淸規), showed the basic Buddhist costume of Sameui(三衣) as well as common Buddhist clothes. Usual Buddhist clothes include Pyeonsam(褊衫), Gyeop-o(裌襖), a type of lined clothes, Baesim(背心), a sleeveless short waistcoat put on a coat, and Yokgun(浴裙), a type of bath robes. Jikcheol(直裰) is one of the Simeui(深衣) forms, China's traditional costumes. In the ancient times of China, Jikcheol (直裰)was one of the typical clothes worn by people in high positions. In particular, monks in the Zen temple usually wore Jikcheol(直裰), which was made with both Pyeonsam(褊衫) and Gunja(裙子), and has been developed into the current Jangsam(長衫) of the Korean Buddhism, a long-sleeved Buddhist robe. In the Chiksubaekzangcheonggyu(勅修百丈淸規) compiled in the age of Won, China, there was a type of Pyeonsam(褊衫) similar to Sengigi(僧袛支) shown in the Buddhist Rules of Discipline and this Buddhist clothes was put on under the Sameui(三衣). There was also Yokgun(浴裙), a type of underwear. At the time, it is assumed that Jikcheol, reflecting China's climate and nature, showed some features of ordinary costumes wore in the ancient times of China. As we can see in the Cheonggyu(淸規) documents of the Chinese Zen sect, various types of Buddhist costumes had been developed harmonizing with cultural and climate features of the times. In the religious, social and cultural aspects, monks' costumes represent the religious truth and symbolism. And, monks' costumes also play a model role of human and celestial worlds(人天) by presenting a model Buddhist monk with dignity.

      • KCI등재

        歌辭와 지도의 공간현상학 -<관서별곡>과 關西圖 견주어 읽기

        김종진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10 한국문학연구 Vol.0 No.39

        This paper intented to shed lights on the study of travel kasa. In this paper I especially focused on the connection travel kasa with map in the chosun dynasty. There are some similar aspects in these different culture genre. Both of them had spread some city's name on the picture or on the literature text. And all the cities were not appeared in these text. And it's the same also that compression, skipping, extension are used as important methods at describing special cities' meaning. In this process map maker or painter or literature maker could had revealed some city's cultural and historical meaning and their new geographical experience. 본고는 문학과 지도의 공간현상학이 상호 의미 있는 관련을 맺고 있다는 점을 전제로 하여, 기행가사의 효시로 알려진 <관서별곡>과 평안도지도, 기성도를 중심으로 상호 관련성을 읽어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본고에서 확인한 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리적 정보를 도면에 배열하고 이를 선으로 연결하여 문화적인 의미의 길을 그려내며 부분적으로 각 도시의 역사성을 빈 공간에 보완하는 지도의 전달방식은 지리서의 그것과 상통하며, 이는 지명의 나열을 기본으로 하여 부분적으로 압축과 확장을 통해 공간의 문화적 의미를 드러내는 가사의 전달방식과도 서로 닮아 있다는 점이다. 둘째, 평양성을 그린 기성도와 평양에서의 여정을 담은 관서별곡의 해당 부분은, 서로 표현하는 대상이 일정하고 다양한 경험을 하나의 작품, 한 폭의 그림에 담아내는 방식에서 상호연관성이 있다는 점이다. 아울러 이러한 분석을 통해서 견주어 읽기의 문학교육적 의의-구체적으로는 <관동별곡>에 비해 상대적으로 온전한 평가를 받지 못한 <관서별곡>의 의의-를 드러내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