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남명 조식의 일본인식과 그 전승

        김지은 조선시대사학회 2021 朝鮮時代史學報 Vol.- No.98

        Nammyeong Jo Shik(1501~1572) was one of the greatest scholars in Joseon during the 16th century and lead the ideological community of Yeongnam with Toigye Lee Hwang(1501~1570). The core essence of his study was an emphasis on practical study, which led to his interest in the realistic difficulties of common people. Joseon often faced social confusion due to the Japanese people and raiders since the latter half of the 15th century, and its harmful effects put the people living in coastal areas in trouble. Jo Shik admitted the possibility of Japanese invasion and was vigilant against it. He maintained that the Joseon government should discard the old appeasement policy and mobilize its arranged military force to strongly oppress Japan in order to fundamentally solve the problems of its relationship with Japan. Once Imjin War(壬辰倭亂) broke out, the literary figures under Jo Shik took the lead in calling for justice and commanders in an army were produced to raise the cause of justice. They protected the defense line along the Nakdong River, creating a huge distinguished military service in blocking Japan’s invasion into Honam. The active activities of the Nammyeong School as part of the army raised in the cause of justice were the manifestation of Jo Shik’s teachers in action in the situation of a national crisis. They were also the outcome of their inheritance of their master’s perceptions of Japan as he emphasized military oppression based on vigilance and consciousness of crisis against Japan. Meanwhile, Bukin lost their influence after Injo Banjeong(仁祖反正), but they carried on the legacy of the academic tradition with an interest of Geunginamin in Nammyeong School. Seongho Lee Ik(1681~1763) and Sunam An Jeong-Bok(1712~1791) representing Geunginamin have left a lot of writings related to Japan according to an erudite academic tendency. They were wary of the threat of Japanese invasion, focusing on strong military power. Also, they emphasized the preparation of measures for strengthening national defense and defense criticizing the government’s policy at the time. This, I believe, is a common perception with that of Jo Shik on Japan and this verifies the interest of ideological community of Geunginamin in the academic tradition of Jo Shik and an aspect of the connectivity. The present study made an attempt to review the connections between Jo Shik’s perceptions of Japan and those of Geunginamin, and this attempt will hopefully make a contribution to the research of broadening the extension of Nammyeong School’s ideological community. 남명 조식(南冥 曺植, 1501~1572)은 16세기를 대표하는 학자 중 한사람으로 퇴계 이황(退溪 李滉, 1501~1570)과 함께 영남의 사상계를 이끌어간 인물이다. 조식은 ‘실천적 학문’을 강조하였고, 이는 백성들의 현실적 고충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졌다. 15세기 후반부터 조선은 일본인과 왜구에 의한 사회 혼란이 잦아졌으며, 그 폐해는 해안지역에 거주하던 백성에게로 돌아갔다. 조식은 일본의 침략가능성을 경계하였다. 그는 대일관계의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회유정책을 지양하고, 정비된 군사력을 동원해 일본을 강력히 제압하는 방향으로 나가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조식의 문인들은 전국에서 가장 먼저 창의를 주도하였고, 수많은 의병장을 배출 하였다. 그들은 낙동강 방어선을 지켜내며 일본의 호남 침입을 봉쇄하는 등 큰 전공을 세웠다. 남명학파의 활발한 의병활동은 실천을 중요시한 조식의 가르침이 국난의 상황에서 행동으로 표출된 것이었다. 그리고 일본에 대한 경계와 위기의식을 바탕으로 군사적 제압을 강조하였던 조식의 일본인식이 계승된 결과였다. 인조반정 이후 북인은 영향력을 상실하였지만, 남명학파에 대한 근기남인의 관심으로 학풍의 명맥을 이어갈 수 있었다. 근기남인을 대표하는 학자인 성호 이익(星湖 李瀷, 1681~ 1763)과 순암 안정복(順菴 安鼎福, 1712~1791)은 박학적인 학문성향에 따라 일본과 관련한 많은 저술을 남겨놓았다. 그들은 일본의 외침 위협을 경계하였고 강한 군사력에 주목하였다. 또한 당시 조정의 정책을 비판하며 조선의 국방력 강화와 방어를 위한 대책마련을 강조하였다. 이는 조식의 일본인식과 공통된 것으로, 조식의 학풍에 대한 근기남인 사상계의 관심과 그 연결성의 한 단면을 확인시켜 주는 것이라 생각한다. 조식의 일본인식과 근기남인의 일본인식 사이의 연결고리를 검토한 이 시도가 남명학파 사상계의 외연을 확장시키는 연구에 기여할 수 있길 기대해본다.

      • KCI등재

        조선전기 경서해석과 이황李滉의 경학經學 ― 조식曺植의 경학經學과 비교를 통하여

        최석기 한국국학진흥원 2014 국학연구 Vol.0 No.25

        이 글은 조선전기 경학사의 흐름 속에서 이황의 경학을 조식의 경학과 비교해 고찰한 것으로 요점은 아래와 같다. 조선전기 경서해석은 세조 때 구결口訣이 완성된 뒤 다양한 석의釋義가 나타났다. 이황은 여러 종류의 석의를 접하고 정설定說을 확정하고자 사서삼경석의를 만들었다. 조선전기 경학연구는 권근權近이 단초를 연 뒤 16세기 이언적李彦迪‧이황李滉‧조식曺植에 이르러 새로운 전기를 마련하였다. 이언적은 독자적으로 의리를 발명하여 『대학장구』 개정설을 제기하였고, 이황은 사서삼경석의를 집성하여 정안正案을 만들었고, 조식은 사서四書와 이경二經을 융합하여 심성수양을 위주로 한 통합적 해석을 하였다. 이황과 조식은 성현의 도를 구하고자 한 측면에서, 또 사서와 성리서를 탐독한 성리학자라는 점에서 동질성이 확인된다. 다만 성장배경, 시대인식, 처세방식, 과거 및 벼슬, 학문성향 등에서는 서로 다른 개성이 드러난다. 이황은 43세 때 『주자대전』을 접하고서 주자의 사서집주와 『주자대전』에 전적으로 의거한 반면, 조식은 『주자대전』을 보지 못하여 『성리대전』 등을 통해 성리학을 폭넓게 수용하였다. 학문성향은 이황이 진지眞知‧실천實踐을 위주로 한 반면, 조식은 치용致用‧실천을 급무로 하였고, 이황이 제가의 설을 분석해 의리를 정밀히 드러내는 방법을 택한 반면, 조식은 변석辨釋을 지양하고 용맹하게 실천해 나가는 방법을 택하였다. 이황은 주자의 설을 수용하여 사서를 중시하였는데, 특히 『대학』을 존심출치存心出治의 근본根本이 되는 책으로 보아 더 중시하였다. 또한 그는 본지를 정밀하게 이해하는 것을 위주로 하여 분석적 해석을 추구하였다. 이는 명도明道에 중점을 둔 경학적 지향이다. 조식도 사서를 중시하였는데, 다만 오경 가운데서도 심성수양에 유익한 언급이 많은 『주역』‧『서경』을 아울러 중시하여 사서와 이경 통합하는 관점을 견지하였다. 조식은 대지大旨를 꿰뚫어보는 자득自得과 실천에 역점을 두었다. 이는 행도行道에 중점을 둔 경학적 지향이다. 이황의 경학적 특징은 「성학십도聖學十圖」에 잘 나타나는데, 「재3소학도」와 「제4대학도」를 중심에 두고 있다. 즉 『소학』과 『대학』을 불가분의 관계로 보아 성시성종成始成終으로 파악하였다. 주자는『대학』을 수기치인修己治人의 도로 파악한 반면, 이황은 존심출치存心出治의 근본으로 파악하여 정치적 성격보다는 수신의 성격이 강한 책으로 보았다. 그런데 그의 경학이 주자학에 근거하고 있기 때문에 주자의 선지후행설先知後行說에 입각하면 행도行道보다 지도知道를 더 우선시한 것이 된다. 조식의 경학은 『대학』의 지知‧행行‧추행推行의 논리로 볼 때, 행行에 중점을 둔 것이 특징이다. 조식의 경학적 특징은 『학기류편』에 실린 「성도誠圖」‧「역서학용어맹일도도易書學庸語孟一道圖」 및 문집의 「무진봉사戊辰封事」에 들어있다. 「무진봉사」는 『중용』의 명선明善‧성신誠身에 논리적 근거를 둔 글이다. 「성도」는 『중용』의 대지大旨인 성誠에 초점을 맞추고 『대학』‧『주역 』등의 관련 문구를 뽑아 그린 것이며, 「역서학용어맹일도도」는 성을 얻기 위해 『서경』‧『주역』‧사서에서 관련 문구를 뽑아 그린 것이다. 조식의 경학적 특징은 『중용』의 성을 추구하는 데 그 핵심이 있다. 이황의 경학은 「성학십도 ... This paper presents comparison and examination results on the orientations and characteristics of study of Confucian classics between Lee Hwang and Jo Shik in the history of study of Confucian classics during the former half of Joseon.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In the former half of Joseon, interpretations of Confucian classics were completed with Gugyeols and accompanied by various commentaries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 Reading various types of commentaries, Lee Hwang made his own commentaries on the Four Books and the Three Classics to confirm the established theories. In the researches on the study of Confucian classics during the former half of Joseon, Gwon Geun made a starting point and Lee Eon-jeok, Lee Hwang and Jo Shik created a new turning point in the approximately 16th century. Lee Eon-jeok independently invented Uiri and posed a theory of revising Daehakjanggu ; Lee Hwang put together the commentaries on the Four Books and the Three Classics and created Jeongan; and Jo Shik combined the Four Books with Igyeong and did inclusive interpretations focused on the cultivation of mind. Lee and Jo shared some homogeneity in that both of them sought after the doctrines of sages and were engrossed in reading the Four Books and Neo-Confucian classics as Neo-Confucian scholars. It is also true that they demonstrated their own individualities in the background of growth, perceptions of the times, ways of conducting themselves in the world, state examinations and government positions, and academic tendencies. While Lee first read Jujadaejeon at the age of 43 and since depended on it and Zhu Xi's variorum edition of the Four Books, Jo widely accepted Neo- Confucianism through Seongridaejeon and other books, not reading it. As for academic tendencies, Lee focused on true knowledge and practice, whereas Jo put a priority on academic contributions to society and practice. While Lee analyzed the theory of Jega and precisely exhibited Uiri, Jo sublated Gangron and Byeonseok and chose to practice courageously. Accepting the theories of Zhu Xi, Lee placed importance on the Four Books. He especially valued Daehak, regarding it as the Hakjasa of Sushinipdeok and fundamental book of Jonshimchulchi. He pursued analytical interpretations with a focus on the precise understanding of the main purports, which was a trend based on the study of Confucian classics with a focus on Myeongdo. Jo also placed importance on the Four Books, especially cherishing Daehak and Jungyong. At the same time, he maintained an inclusive perspective, putting importance on Juyeok and Seogyeong, which contain a lot of useful mentions about the cultivation of mind among the Five Classics, as well. He also put an emphasis on self-complacency to see through the earth, academic contributions to society, and practice, which is an orientation toward Haengdo based on the study of Confucian classics. Lee's characteristics in the study of Confucian classics are well illuminated in Seonghakshipdo with his focus on Jae3sohakdo and Jae4daehakdo. That is, he found inseparable connections between Sohak and Daehak and figured them out as Seongshiseongjong. While Zhu Xi understood Daehak as the doctrines of Sugichiin, Lee saw it as the essence of Jonshimchulchi and thought that it had more political nature than moral training. His study of Confucian classics was based on the teachings of Zhu Xi, which indicates that he put a priority on Jido before Haengdo according to Zhu Xi's theory of Seonjihuhaeng. When the logic of Ji, Haeng, and Chuhaeng in Daehak was considered, it seemed that Jo's study of Confucian classics focused on Haeng. His characteristics in the study of Confucian classics are found in Seongdo and Yeokseohakyongeomaengildodo in Hakgiryupeyon and also Mujinbongsa in the anthology. Mujinbongsa is based on the logical grounds such as Myeongseon and Seongshin in Jungyong. Seongdo was created by focusing on Seong that was the Daeji of Jungyong and ex...

      • KCI등재

        기획논문 : 경상우도 노사학단(蘆沙學團) 조성가(趙性家),최숙민(崔琡民)을 중심으로 ; 조성가(趙性家)와 최숙민(崔琡民)을 통해서 본 경상우도 지역에서의 노사학(蘆沙學)의 전개양상

        김봉곤 ( Bong Gon Kim )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2010 남명학연구 Vol.30 No.-

        본고는 19세기 경상우도 학풍 속에서 趙性家(1824-1903) 와 崔琡民(1837-1905)의 활동을 분석하여 노사학이 어떻게 전개되어갔는가를 살펴본 것이다. 경상우도 지역은 19세기에 새로운 성관집단이 성장하면서 학파를 비교적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었고, 각 가문에서는 과거 급제나 학행에 뛰어난 인물 배출을 위해 노력한 결과 진주 일대의 학문 수준은 그 이전시기보다 훨씬 높아지는 결과를 갖게 되었다. 각 가문에서는 書齋를 지어 학문에 몰두하였으며, 지리산과 덕천강의 풍경이 뛰어난 곳에는 樓亭을 지어 문장을 통해 당색을 뛰어넘어 교제하였다. 문장 외에도 경학이나 성리학에 뜻을 둔 학자들은 호남의 기정진과 같은 저명한 학자 들에게 나아가 수학하였다. 경상우도의 기정진의 문인들은 섬진강과 지리산을 따라 이어진 길을 따라 호남으로 나아갔는데, 곳곳에 숙박할 수 있는 객점과 시문을 주고받을 수 있는 사족들이 분포되어 있어서 여행이 용이하였다. 또한 장성의 김인후나 함양의 정여창의 후손 등 영,호남을 대표하는 사족들 간에 혼인도 이루어지고 있어서 호남 지역을 왕래하는데 정서적으로 큰 어려움이 없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기정진의 명성이 높아지자 많은 학자들이 기정진을 찾아와서 수학하게 된 것이다. 조성가와 최숙민은 19세기에 성장한 가문의 경제력을 바탕으로 경상우도에서 두각을 나타낸 인물들이다. 그들은 河達弘(1809-1877)등에 의해 전개된 시단에 참여하여 다수의 시를 남겼으며, 장성의 기정진을 찾아가서 주리론에 바탕을 둔 성리학에 잠심하였다. 조성가는 호남지역 문인들과 깊은 관계를 맺고 하달홍 이후 이 지역의 시단을 이끌었으며 영, 호남간의 노사학파의 가교 역할을 하였다. 그는 崔益鉉이나 宋秉璿, 李震相 등이 찾아올 정도로 명망이 높았으며, 관찰사나 목사 등 지방관과 함께 향약을 실시하여 향촌질서를 수립하고자 하였다. 또한 남계서원의 원장이 되어 강규를 새롭게 정하거나 조식의 신도비의 일에 주도적으로 관여하였다. 또한 최숙민은 남인 출신이지만 기정진에게 수학한 인물로서 이항로나 이진상의 문인들과도 교제하면서 기정진의 학설을 심즉리로 이해하였다. 그는 기정진에게서 성리학을 수학한 이후 동문들과 강회를 자주 개최하였으며, 조식을 숭상하여 山川齋에서 德山講約의 강규를 정하는 등 강학에 힘써 산청과 단성, 진주 일대에 다수의 문인을 배출하였다. 그의 학문은 기정진의 학설을 추종하여 매사에 천명 즉 천리를 구현하는 것이었기 때문에 삼강오륜의 도덕적 질서를 중시하고, 의리나 도리에 어긋나는 일체 행동을 배격하고자 하였다. 이 때문에 그는 1895년 단발령이 내리자 도에 어긋난다고 반발하여 직접 언문을 지어 단성의 吏民들을 효유하여 결국 단발령을 철회하게 하였다. 이처럼 조성가와 최숙민은 각각 이 지역의 문단과 학계를 주도하면서 경상 우도 지역에 의리에 바탕을 둔 노사학파의 학설이 굳게 뿌리내리게 하였던 것이다. This paper attempts to trace the advancement of Nohsahak studies within the Gyeongsangwudo`s academic tradition during the 19th century by focusing on the activities of Jo Seong Ga(1824-1903) and Choi Suk Min(1837-1905). In the 19th century in the Gyeongsangwudo region, relatively tolerant environment began to take shape owing to the rise of the newly established clans. It became possible to pursue a doctrinal faction of one`s own choosing. With every family clan vying to produce their own promising prodigy, who would make a name for themselves by passing the state examination or becoming a respected scholar, academic standards of the Jinju region rose higher than ever before. Every clan would set up their own "Seojae(study hall)" to dedicate themselves to learning. While building "Rujeong(pavilion)" in scenic spots, mostly in the Jirisan mountains or along the Deokcheongang river, to promote wide-ranging exchange of opinions through "Munjang(handwritten manuscripts)" even to the point of transcending political affiliations. Those keen on "Gyeonghak(study of Confucian classics)" or "Seonglihak(Neo-Confucianism)" would study under renowned scholars like Gi Jeong Jin in the Honam region. Followers of Gi Jeong Jin living in the Gyeongsangwudo region would make their way to the Honam region taking the trail winding through the Seomjingang river and the Jirisan mountains. Along these paths, lodging facilities like "Gaekjeom," and "Sajok(distinguished family`s household)" where you can exchange "Shimun(literary writings)," would be found scattered about, making traveling less of a chore. Furthermore, as in the case of Kim In Hu of Jangseong or the descendants of Jeong Yeo Chang of Hamyang, marriage between the leading families of the two regions was not an uncommon practice, thus canceling out any concerns of cultural disparity between the two regions. All of these factors contributed to scholars flocking to study under Gi Jeong Jin as his reputation continued to grow. Jo Seong Ga and Choi Suk Min, who had the financial backings of the newly-risen clan in the 19th century, became notable figures among Gyeongsangwudo scholars. They had been closely involved in a poetry group fostered by Ha Dal Hong(1809-1877), contributing many compositions. They also went to Gi Jung Jin in Jangseong region delving into Seonglihak based on Ju-Ri philosophy. Jo Seong Ga kept close ties with literati of the Honam region, and eventually took over the reins from Ha Dal Hong to lead his poetry group, effectively acting as a mediator between the Nohsa scholars` faction of the Yeongnam and the Honam region. Jo was held in such high esteem that scholars like Choi Ik Hyeon, Song Byeong Seon, and Lee Jin Sang sought him out. Working closely with governors and local officials, Jo would implement "Hyang-Yak(Confucianist village code)," as a means of establishing order in provincial districts. Later, he was to head "Namgye Seowon(lecture hall)," exercising his influence in newly enacting academic code of conduct and erecting a stone monument dedicated to Jo Shik. Choi Suk Min though he was from the Namin faction, chose to study under Gi Jeong Jin establishing close ties with the likes of Lee Hang Ro and Lee Jin Sang. He was to interpret Gi Jeong Jin`s theories in terms of "Shim-Jeuk-Lee(心卽理)" philosophy`s perspective. After studying "Seonglihak" under Gi Jeong Jin, he would regularly hold lectures with his alumni. As a sign of utmost reverence for Jo Shik, Choi would institute academic code of conduct called "Deoksangangyak" in Sancheonjae. His commitment to education has turned out many scholars from Sancheong, Danseong, and Jinju region. Choi`s philosophy, which follows in the footstep of Gi Jeong Jin`s theories, is in realizing the truth in everything. In line with this logic is to place the utmost importance on ethical order according to "Sam-Gang-Oh-Ryun(The Three Bonds and Five Relationships in Confucianism)" and denouncing any behavior contrary to righteousness and reason. On this account, when "Danbalryeong(ordinance prohibiting topknots)" was proclaimed in 1895, Choi personally wrote a written protest using Korean alphabets in opposition, asserting that it ran counter to reason. This incited the citizens of Danseong, and Danbalryeong was soon called off. Jo Seong Ga and Choi Suk Min, while leading the learned circles of this region, made doctrines of Nohsa scholar`s faction based on righteousness take root in the Gyeongsangwudo region.

      • KCI등재

        인간중심과 동적전환능력의 K기업가정신 원류: 남명 조식의 경의사상과 삼성 창업주의 K기업가정신을 중심으로

        김기찬 한국상품학회 2023 商品學硏究 Vol.41 No.6

        The nature of a company is constant pivoting. This is because it requires constant transformation in response to changes in the environment. Samsung achieves innovation through timely pivoting and dynamic transformation in times of crisis, which is an important feature of Samsung's Human-Centered K-entrepreneurship. In contrast, Japanese craftsmanship focuses on incremental improvements(Kaizen) in technology, and American companies focus on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system management. K-entrepreneurship, the miracle of the Korean economy, has a historical and civilizational background. In particular, Korean K-entrepreneurship's ability to dynamically switch and pivot can be traced back to Nammyeong Jo Shik's spirit of 'Kyeong-Eui'. His spirit emphasizes practice and action, and is characterized by solving realistic problems and pursuing practicality. The spirit and ideas of Jo Shik played a role in raising a blind child of creative destruction and dynamic transformation in Joseon after the 16th century, and Jo Shik's ideas are the origin of today's K entrepreneurship.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source of the spirit that creates dynamic capabilities and pivoting of Korean companies that are created by innovation in times of crisis. To this end, we design the thought characteristics of Jo Shik's with a flywheel model and try to find the mental consistency with Samsung's creative destruction and dynamic capabilities. 기업의 본성은 끊임없는 피보팅이다. 환경의 변화에 따라 끊임없는 변신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기업가정신의 필요조건은 기회포착이고, 충분조건은 성과를 만드는 사람이다. 기업가정신은 피봇팅을 통해 기업의 소명을 실천하는 것이다. 삼성전자는 위기 상황에서 적시에 피보팅과 동적 전환을 통해 혁신을 이루어내고 있으며, 이는 삼성전자 K기업가정신의 중요한 특징이다. 이에 대조적으로 일본의 장인정신은 기술의 점진적 개선에 초점을 맞추고, 미국식 기업은 기업가적 지향성과 시스템경영에 주력한다. 한국 경제의 기적을 만든 이러한 K기업가정신은 역사적, 문명사적 배경을 가지고 있다. 특히 한국의 K기업가정신으로서 인간중심성과 동적 전환과 피보팅 능력은 남명 조식의 실천정신과 경의사상에서 그 뿌리를 찾을 수 있다. 그의 정신은 실천과 행동을 중시하며, 현실적인 문제를 해결하고 실용성을 추구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남명 조식의 정신과 사상은 16세기 이후 조선에 창조적 파괴와 동적전환능력의 맹아를 키우는 역할을 했고, 남명의 사상은 오늘날 진주 K기업가정신의 원류가 되고 있다. ‘때가 되면 용처럼 일어나라’라고 하는 뇌룡정신은 기회를 준비하고 기회를 포착하라는 기회실천의 절실함을 가진 정신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위기 때마다 혁신으로 만들어지는 삼성전자의 인간중심성과 동적전환 및 피보팅을 만들어내는 정신의 원천은 어디인가를 찾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남명 조식의 사상적 특성을 플라이 휠모델로 도시화하고 삼성의 인간중심성, 창조적 파괴와 동적전환능력과의 정신적 일관성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 KCI등재

        유람록으로 본 지리산의 인물과 그 형상

        강정화(Kang Jeong-hwa)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13 동양한문학연구 Vol.37 No.-

        아름다움은 사람으로 인해 드러난다.'고 하였다. 빼어난 경관도 뛰어난 인물을 만나고 또 그들에 의해 세상에 기억될 수 있다는 말이다. 본고는 조선조 문인의 지리산 유람록을 중심으로 지리산의 인물, 곧 崔致遠ㆍ韓惟漢ㆍ鄭汝昌ㆍ曺植을 통해 후인에게 기억되는 지리산의 형상을 살펴보았다. 이들 네 선현은 지리산에 족적을 남김으로써 이곳을 찾는 후인들에게 지리산의 인물로 인식되어왔다. 지리산에 전하는 최치원의 유적은 하동 靑鶴洞 일대에 집중되어 있다. 청학동은 조선조 문인의 이상향이었다. 그들은 청학동에서 신선이 된 최치원을 찾았고, 그로 인해 지리산은 청학동의 신선 최치원이 깃들어 사는 이상향의 仙界로 인식되었다. 고려시대 隱者 한유한은 최충헌의 失政을 피해 지리산의 鈒巖에 은거하였는데, 조정에서 벼슬로 불렀으나 더 깊숙한 곳으로 들어가 끝내 나오지 않고 節義를 지켰다. 이후 한유한의 삶은 지리산을 찾은 조선조 문인에게 절의의 상징으로 인식되었고, 삽암과 지리산 또한 한유한이 숨어든 은자의 산으로 기억되었다. 정여창의 유적은 하동 岳陽亭이 대표적이다. 악양정은 그의 죽음과 함께 폐허로 변했다가 20세기 초에 중건되었다. 수백 년 동안 그의 유허를 지나는 지리산 유람객은 정여창의 삶과 함께 학문적 정신적 지표를 상징하는 장소로 인식하였고, 지리산은 도학군자로서의 정여창을 대표하는 공간으로 인식되었다. 지리산에서 조식의 공간은 덕산과 천왕봉이라 할 수 있다. 덕산은 그가 만년을 보낸 山天齋를 비롯해 다양한 유적이 남아 전하는 곳이며, 천왕봉은 조식이 추구해야 할 求道의 극치이자 닮고자 한 목표였다. 그는 천왕봉을 찾아 만년에 덕산으로 옮겨와 살았다. 이후 수많은 후학들은 덕산을 찾아와 조식을 그리워하였고, 천왕봉을 올려다보며 그의 정신을 염원하였다. 지리산의 한 골짜기에 불과했던 덕산은 '조식'이라는 인물을 만나 비로소 名勝이 되었고, 지리산은 '조식'이라는 名人을 만나 仁德과 求道의 名山으로 거듭날 수 있었다. 네 선현은 지리산에서 서로 다른 시간과 공간을 살았고 또 길지 않은 삶의 족적을 남겼을 뿐이지만, 수백 년에 걸친 조선조 문인의 집단적 기억에 의해 그들 각각에 맞는 다른 형상들이 만들어졌다. 그리고 지리산은 그들 각각의 형상과 동일시되어 후인에게 길이 기억되고 있었다. There is a saying "Beauty is revealed through its beholder," which suggests that spectacular scenery can only be remembered in the world by remarkable individuals and an encounter with them.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shapes of Mt. Jiri the ways that it was remembered by future generations through the figures of Mt. Jiri including Choi Chi-won(崔致遠), Han Yu-han(韓惟漢), Jeong Yeo-chang(鄭汝昌), and Jo Shik(曺植) with a focus on the records of Mt. Jiri excursions left by Joseon's literary figures. Those four sages left their traces in the mountain and were regarded as the figures of Mt. Jiri by future generations visiting the mountain. Choi Chi-won's relics are concentrated in Cheonghakdong(靑鶴洞) of Hadong in Mt. Jiri. Cheonghakdong was a Utopia among literary figures during Joseon. They visited Choi that became a Taoist hermit in Cheonghakdong, and Mt. Jiri was considered was an ideal Zen world where Taoist Hermit Choi Chi-won was residing. A recluse from Goryeo, Han Yu-han retired to hermitage in Sapam in Mt. Jiri to avoid Choi Chung-heon(崔忠獻)'s misgovernment. The royal court summoned him for a position in the government, but he drove himself deeper in the mountain, never came out, and kept his integrity. Since then, his life got to symbolize integrity among literary figures visiting the mountain during Joseon, and Sapam(鈒巖) and Mt. Jiri were remembered as the mountains of hermits where Han Yu-han used to hide out. One of the relics to represent Jeong Yeo-chang is Akyakjeong(岳陽亭) in Hadong. Akyakjeong fell into ruins with his death and was rebuilt in the early 20th century. Visitors to Mt. Jiri passed by the solitary site of his pavilion for hundreds of years, regarding it as the place to represent his life and academic and spiritual guide post and Mt. Jiri as the space to represent him as a virtuous gentleman. Jo Shik had his places in Deoksan(德山) and Cheonwangbong(天王峰) in Mt. Jiri. Deoksan has a variety of relics left including Sancheonjae where he spent his later years, and Cheonwangbong was the culmination of truth seeking he tried to pursue and the goal he tried to fulfill. In his later years, he moved to Deoksan in search of Cheonwangbong and lived there. Since then, many later-generation scholars visited Deoksan to miss him and cherished his spirit, looking up at Cheonwangbong. Deoksan, which used to be merely one of the valleys in Mt. Jiri, became a scenic spot only after an encounter with "Jo Shik." Mt. Jiri was able to emerge as a celebrated mountain of innate virtue and truth seeking only after an encounter with a noted person called "Jo Shik." The four sages lived different times and spaces in Mt. Jiri and left their traces of life only for a short while, but the collective memories of literary figures in Joseon over hundreds of years created different shapes fit for them individually. Mt. Jiri has long been remembered by later generations, being identified with those shapes.

      • KCI등재

        물러남[處]의 정치학 : 儒者와 국가권력, 그 적절한 距離의 모색 - 조선 중기 南冥 曺植의 出處를 중심으로 -

        송치욱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18 남명학연구 Vol.60 No.-

        Chulcheo(出處, working for state or living in seclusion) is the most important virtue required by scholars in Confucianism. And many scholars have tried to practice it. Typically, Nammyong Jo Shik(南冥 曺植) saw chulcheo(出處) as a great integrity of junzi (君子, the Great Man), and practiced Cheosa (處士: not serving the power) for his whole life. However, the problem was that Confucian scholars like Toegye negatively thought Nammyoung, who continuously refused Government’s appeals of entering government service. They diminished the meaning of Chulcheo(出處), and misunderstood it as a result of his personal character, not as a result of his academic achievement. In addition, even when it came to positive evaluation, they tended to emphasize personal meanings only such as integrity and to be passive in interpreting political meanings. This study is aimed at more active understanding about Nammyoung’s life as Cheosa(處士) and his ideology in this awareness of problem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focuses on a ‘distance’ from the state power that Nammyoung’s ‘Cheo (namely, ‘Resign’) has. Confucianism was positive about real politics and emphasized not only ‘Chul(出, working for state)’ but also ‘Cheo(處, living in seclusion or resign).’ This ‘Cheo(處)’ was also a factor creating confinement and tension by keeping the Confucians at a proper distance from the political power of reality. Nammyoung understood this 'Politics of Resign' well and it was intimately involved in his life as Cheosa(處士) and his ideology as Chulcheo(出處). Thus, Nammyoung’s Cheo(處) was not the result of individual characteristic, but meant ‘boundary’, ‘criticism’ and ‘resistance’ against the state power. Furthermore, it also raised the issue of changing the 'violent state power' into the ‘public state power’. Nammyoung's criticism against the intellectuals at that time - ‘know how to move forward, but don’t know how to retreat’- and the ‘politics of retreat’ he practiced can be handed down to the spirit to criticize and reject unjust power in modern political reality. Furthermore, it can be helpful in developing modern democracy by making the character of power more public. 出處는 儒學에서 선비들에게 요구한 중요한 덕목이며, 많은 유학자들이 실천하기 위해 노력했다. 대표적으로 남명 조식은 출처를 君子의 큰 절조로 보았으며, 평생 ‘處士’로 실천했다. 그런데 문제는 조정의 계속된 출사요구를 거부한 남명을 퇴계와 같은 당대의 유학자들은 부정적으로 보아 그 의미를 축소하거나, 학문적 體認의 결과가 아닌 개인적 기질의 결과로 이해하기도 했다는 점이다. 그리고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경우에도 ‘기절’이나 ‘기상’, ‘절개’등 개인적 차원의 의미만을 강조하여, ‘정치를 외면하지 않았다’며 정치적 의미에 대해선 소극적으로 해석하는 경향이 있다. 이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남명의 처사적 삶과 사상을 보다 적극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남명의 ‘처’ 즉 ‘물러남’이 가지는 국가권력과의 ‘거리감’에 주목한다. 유학은 현실정치를 긍정하여 ‘나아가감(出)’을 강조했지만, ‘處-물러남’ 또한 강조했다. 이러한 ‘처’는 유학자들이 현실의 정치권력과 적절한 거리를 둠으로써 견제와 긴장을 만들어낸 요소이기도 했다. 남명은 이러한 ‘물러남의 정치학’을 잘 이해했으며, 그의 출처사상과 처사로서의 삶에 고스란히 담겨있다. 그래서 남명의 處는 개인적 기절의 결과로서가 아니라 국가권력에 대한 ‘경계’와 ‘비판’ ‘저항’의 의미를 갖고 있었다. 나아가 ‘폭력적 국가권력’을 ‘공공의 국가권력’으로 변화시키려는 문제제기도 담고 있었다. ‘나아갈 줄만 알고 물러날 줄 모른다’는 당대 지식인들에 대한 남명의 비판과 그가 실천한 ‘물러남의 정치학’은 현대의 정치현실에 있어서도 부당한 권력을 비판하고 거부하는 정신으로 계승될 수 있으며, 나아가 권력의 성격을 보다 공적인 것으로 만들어나가 현대의 민주주의 발전에도 도움 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대곡(大谷) 성운(成運)의 「남명선생묘갈(南溟先生墓碣)」에 대한 소고(小考)

        강정화 ( Jeong Hwa Kang )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2015 남명학연구 Vol.45 No.-

        이 글은 대곡 성운이 쓴 「남명선생묘갈」을 중심으로 남명의 삶을 살핀 것이다. 이 묘갈은 남명 관련 여타 비지문 중에서도 특히 ‘남명의 기상을 가장 잘 표현’한 작품으로 칭송받았다. 대곡은 남명의 평생 知己였다. 때문에 묘갈에서도 언급하였듯, 그는 남들이 보지 못하는 남명의 모습을 직접 확인할 수 있었다. 그것은 바로 일상 속 남명의 모습이었다. 특히 학문하는 자로서의 일상적 모습과 스승으로서의 특징적 면모를 묘갈에서 집중적으로 표현하였다. 왜 ‘일상 속의 모습’이었을까. 남명과 대곡은 당대의 대표적인 재야지식인이었다. 출사하지 않았기에 兼善天下의 공적은 없었지만, 獨善其身의 처세를 통해 후인에게 출사인 못잖은 영향을 남겼다. 그것은 바로 철저한 자기 학문에 근원을 둔 재야지식인으로서의 삶이었다. 두 사람이 보여준 재야지식인으로서의 이러한 삶은 ‘일상의 모습’을 통해 여실히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두 사람이 가장 잘 공유할수 있는 부분이기도 하였다. 두 사람은 외형적 처세에서 그 유형을 달리 하였다. 따라서 그동안의 연구가 두 사람을 같은 층위에 놓고서도 서로 상대적인 방향에서 접근하기도 하였다. 남명은 보다 외향적인 측면에서, 대곡은 남명에 비해 내향적 측면에서의 접근이었다. 그러나 후학들의 이러한 시각에도 불구하고 두 사람은 생전엔 평생의 지기였고, 사후엔 서로를 가장 잘 이해한 벗으로 인식되었다. 그 기저엔 바로 대곡의 이 묘갈이 있었다. 남명에 대한 대곡의 그 허여지점, 곧 삶의 유형이다소 달랐을 뿐 당대 재야지식인으로서의 자기 정체성 확립에 있어서는 두사람 모두 같은 방향을 보고 있었던 것이다. 이를 드러내려고 의도하지 않았기에 알아주는 이가 드물었지만, 그들만은 서로를 허여하였던 것이다. This paper presents an investigation into Nammyeongseonsaengmyogal by Daegok Seong Woon among the tombstone writings for Nammyeong Jo Shik. The myogal(a small round tombstone) was praised as "the best expression of Nammyeong``s spirit" of all the tombstone writings for him. Daegok was a lifetime friend of Nammyeong``s and exhibited Nammyeong in daily life in an intensive manner in the myogal, putting a special emphasis on his aspects in daily life as a scholar and his features as a teacher. Why did he put a special emphasis on them? Both Nammyeong and Daegok were representative intellectuals not in a government position those days. Since they did not go into government service, they received no visible attacks that the world could notice. However, they exerted as much influence on later generations as those who went into government service by leading a life of stepping back and cultivating themselves. It was a life as an intellectual not in a government position with a root in thorough self-study. Such a life as an intellectual not in a government position demonstrated by the two was clearly confirmed in "their aspects in daily life," which they shared most between them. They took different types of external conduct of life, which is why previous studies took approaches in different directions from each other while placing them on the same hierarchy. They approached Nammyeong in an extroverted aspect and Daegok in an introverted one. In spite of those viewpoints of later-generation scholars, however, the two were lifetime friends before death and considered to have understood each other best after death. The base of the perception is Daegok``s myogal. There were small differences in types of life between them or Daegok``s Heoyeojijeom for Nammyeong, but they were in the same direction in terms of self-identity establishment as intellectuals not in a government position. They did not intend to reveal it, which was why few people recognized it. It is, however, apparent that they allowed each other.

      • KCI등재
      • KCI등재

        南冥先生古劍歌에 관한 고찰

        최석기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20 남명학연구 Vol.65 No.-

        This paper presents an investigation into Nammyeong's poems about old swords many of which were created at the end of Joseon. Nammyeong passed down the sword he was carrying to Jeong In-hong in his later years. His descendents also have four swords inherited from him in addition to the sword. The sword was hidden away for approximately 150 years. One of his descendents Jo Byeong-jin, who lived in Deoksan, showed it to people in the early 20th century, which was how it resurfaced in the world. There are three Gyeongui swords known to the world since 1900s: two of them had the inscription of "內明者敬 外斷者義," and the other had no inscriptions. Nine people created poems, songs, Haengs, and Myeongs about the Gyeongui swords in the early 20th century, leaving nine Jes and nine Sus. Of them, four were titled a poem about an old sword; one a poem about a sword worn; one a Haeng about an old sword; one had a title saying Nammyeong owned an old sword; one was titled Gyeongui sword; and one Gyeonguigeommyeong. It is thus found that there was no common name for the sword that Nammyeong was carrying until those days and that the name Gyeonggigeom or Gyeonguido was finally created by the time. The authors all lived in the Gyeongsangwoo Province and were familiar with Nammyeong Studies. The study analyzed the content of nine poems about Nammyeong's old sword and examined the writers' consciousness and the spirit of the times: Jo Seong-yun placed importance on the cultivation of disposition in Jisim, looking at the sword; Song Ho-mun called it an excellent sword of the world and said that it contained the truth of achieving social justice as well as the cultivation of individual disposition. Han Yu believed that Nammyeong's studies prevented the human greed and preserved the law of nature. While placing importance on the cultivation of disposition, he considered it as a sword capable of achieving reign of peace. Lee Gyo-woo maintained that it was time to use the Gyeongui sword, focusing on that it was not used in the world. Jo Geung-seop wished to remove the rusts from the sword and let its vitality shine so that it would awaken ignorant people. Jo Ho-rae said that the meanings of the sword symbolized by the cries of the dragon were to wake up the confused mind and achieve Geukgiburye. Ha Woo-shik sang about the Gyeongui sword by focusing its meanings on the cultivation of disposition. Ahn Jeong-ryeo put a greater focus on the external usefulness of the sword, experiencing Nammyeong's swordsmanship at an event of literary people. Gwon Do-yong found the symbolism of the sword in the cultivation of disposition. These discussions indicate that Jo Seong-yun, Jo Geung-seop, Jo Ho-rae, Ha Woo-shik, and Gwon Do-yong mainly focused on the internal cultivation of disposition to reveal the meanings of the sword. Song Ho-mun and Han Yu mentioned both the internal cultivation of disposition and the external achievement of social justice. Lee Gyo-woo and Ahn Jeong-ryeo put an emphasis on its usefulness of achieving external social justice. The Sains of Gyeongsangwoo Province renewed their determination to achieve external social justice through the internal cultivation of disposition, looking at Nammyeong's Gyeongui sword, in the situation of collapsed truth and the nation's urgent crisis. 이글은 남명 佩劍의 전승내력과 韓末에 집중적으로 나타난 南冥先生古劍歌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南冥은 만년에 자신의 佩劍을 鄭仁弘에게 물려주었는데, 후손가에는 그 외에도 네 자루의 패검이 더 전해지고 있었다. 이 패검은 약 150년 동안 자취를 감추었다가, 20세기 초 德山에 살던 후손 曺秉鎭이 사람들에게 보여주어 다시 세상에 나타나게 되었다. 1900년대 이후 세상에 알려진 경의검은 세 자루로 ‘內明者敬 外斷者義’를 새긴 칼이 두 자루며, 나머지 한 자루에는 銘文이 없었다. 20세기 초 경의검에 대해 詩·歌·行·銘 등을 지은 사람은 9명으로 9題 9首의 詩歌가 전한다. 이 가운데 古劍歌라는 제목이 4수, 佩劍歌라는 제목이 1수, 古劍行이 1수, 남명선생이 古劍을 가지고 있었다는 내용의 제목이 1수, 敬義刀라는 제목이 1수, 敬義劍銘이 1수이다. 이를 통해 당시까지 남명의 패검에 대해 통용되는 명칭이 없었으며, 이 시기에 비로소 敬義劍 또는 敬義刀라는 명칭이 생겨난 것을 알 수 있다. 작가는 모두 경상우도 지역에 살며 남명학에 대해 익히 알고 있던 사람들이다. 남명선생고검가 9수의 내용을 분석해 작가의식과 시대정신을 파악한 결과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趙性胤은 이 칼을 보면서 持心의 心性修養을 중시하였고, 宋鎬文은 천하의 명검으로 평하면서 개인의 심성수양은 물론 사회적 정의를 이룩하는 도가 담긴 것으로 보았다. 韓愉는 남명의 학문이 人欲을 막고 天理를 보전한 것으로 보아 심성수양을 중시하면서도 이 칼이 태평성대를 이룩할 수 있는 칼로 보았다. 李敎宇는 경의검이 세상에 쓰이지 못한 점에 주목하여 지금이 이 칼을 써야 할 때라고 하였다. 曺兢燮은 이 칼의 녹을 제거하여 精彩를 발하게 해 혼매한 사람들을 깨우칠 수 있기를 바랐으며, 趙鎬來는 용의 울음소리로 상징되는 이 칼의 의미를 혼미한 정신을 일깨우고 克己復禮하는 용도로 보았으며, 河祐植도 경의검의 의미를 심성수양에 초점을 맞추어 노래했다. 安鼎呂는 남명의 劍術을 문인들의 行事를 통해 징험하면서 외적인 활용성에 더 비중을 두었고, 權道溶은 이 칼의 상징성을 심성수양에 두었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보면, 조성윤·조긍섭·조호래·하우식·권도용은 주로 내적 심성수양에 초점을 맞추어 이 칼의 의미를 드러내었고, 송호문· 한유는 내적 심성수양과 외적 사회정의를 구현하는 문제를 모두 거론하였으며, 이교우·안정려는 외적으로 사회정의를 이룩하는 활용성을 강조하였다. 도가 망하고 나라가 풍전등화의 위기에 처한 시대 상황 속에서 경상우도 士人들은 남명의 경의검을 보면서 내적인 심성수양을 통해 외적으로 사회적 정의를 이룩하고자 하는 의지를 새롭게 다짐하였던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