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봉래의 문학적인 삶과 삶의 문학화

        최호빈 한국시학회 2020 한국시학연구 Vol.- No.63

        Jeon Bong-Rae is Jeon Bong-Geon’s brother and poet who committed suicide in Busan during the Korean War. Since only a small amount of work remains, it is not well known except for literary history. Nevertheless, reviewing Jeon Bong-Rae's life and literature has significance in two ways: First, Jeon Bong-Rae is the second poet who committed suicide after Lee Jang-Hee. However, more important than this is that his self-consciousness as a poet of war and his role in the role of art suggests a great deal. In particular, the death of Jeon Bong-Rae had a lot of influence on his friend, Kim Jong-Sam. Indeed, Kim Jong-sam wrote poetry over the rest of his life, thinking about the meaning and symbolic value of Jeon Bong-Rae's death. Second, Jeon Bong-Rae, who majored in French literature, contributed to forming a new cultural discourse with emerging artists in the Liberation. When the literary world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were consistently confronting left and right, many young artists affirming cultural diversity were creating a unique artistic environment centered on Myeong-dong. It wasn't just because of the special and exceptional circumstances of the post-war period that modernist literature became mainstream in Korean literary world after the war. It was prepared, and Jeon Bong-rae helped in this work by translating and sharing French modern poetry.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life and literature of Jeon Bong-Rae. Since there are few materials related to this, the life of Jeon Bong-Rae is first investigated, and his activities of the literary world are summarized through the writings of various writers. Next, the literary characteristics are revealed and evaluated by analyzing Jeon Bong-Rae's poems. In addition, the errors of literary history that confuse Jeon Bong-Rae and Jeong Un-Sam will be examined. Kim Dong-Ri made a character called 'Park Un-Sam' using Jeon Bong-Rae as a model. Because 'Park Un-Sam' has a similar name to the 'Jeong Un-Sam' who committed suicide after the ceasefire, the model of 'Park Un-Sam' is incorrectly known as Jeong Un-sam. Due to this, the story of Jeon Bong-Rae is overwritten by Jeong Un-sam. This mistake has been repeated many times not only in literary history, but also through literary works and newspaper articles. 전봉래는 전봉건의 친형이자 한국전쟁 때 부산에서 자살한 시인이다. 발표한 작품도, 남아 있는 작품도 매우 적기 때문에 문학사적 기록 외에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그럼에도 전봉래의 생애와 문학을 검토하는 일은 다음 두 가지 면에서 의의를 갖는다. 첫째, 전봉래는 시인으로는 이장희에 이어 두 번째로 자살한 시인이다. 그러나 이 사실보다 중요한 것은 그가 자살을 통해 보여준 전쟁에 대한 시인으로서의 자의식과 예술의 역할에 대한 입장이 시사하는 바가 크다는 점이다. 특히 전봉래의 죽음은 친우였던 김종삼에게 많은 영향을 주었다. 실제로 김종삼은 평생에 걸쳐 전봉래의 죽음이 지닌 의미와 상징적 가치를 생각하며 시를 썼다. 둘째, 프랑스 문학을 전공한 전봉래는 해방공간에서 신진 작가들과 새로운 문화 담론을 형성하는데 기여했다는 점이다. 해방기의 문단이 좌우 대립으로 일관하고 있을 때 문화적 다양성을 긍정하는 다수의 신진 작가들은 명동을 중심으로 독특한 예술 환경을 조성하고 있었다. 전후 한국문단에서 모더니즘 문학이 주류를 이루었던 것은 전후라는 특수하고 예외적인 상황이었기 때문만은 아니다. 그것은 예비된 일이었고, 여기에 전봉래는 프랑스의 현대시를 번역하고 공유하면서 일조했던 것이다. 이 논문은 전봉래의 생애와 문학을 검토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와 관련한 자료가 거의 없다는 점에서 먼저 전봉래의 생애를 조사하고, 여러 문인의 회고문을 통해 그의 문단 활동을 정리한다. 다음으로 전봉래의 시를 분석하여 문학적 특성을 밝히고 평가한다. 그리고 전봉래와 정운삼을 혼동하고 있는 문학사의 오류를 검토한다. 「밀다원 시대」에서 김동리는 전봉래를 모델로 해서 ‘박운삼’이란 인물을 만들었다. ‘박운삼’이 휴전 후에 자살한 시인 정운삼과 이름이 비슷하기 때문에 ‘박운삼’의 모델이 정운삼이라고 잘못 알려지게 된다. 이 과정에서 전봉래의 서사가 정운삼에게 덧씌워지고, 이 오류가 문학사뿐만 아니라 문학작품과 각종 신문 기사 등을 통해 적잖게 반복되고 있다.

      • KCI등재

        김종삼 시에 나타난 미학적 죽음에 관한 연구

        최호빈(Choi, Ho-Bin)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16 한국문학과 예술 Vol.19 No.-

        김종삼 시에는 전쟁의 비극성, 종교적 가치관, 문학적 영향으로 해명할 수 없는, 죽음에 관한 특별한 성격의 갈등들이 내재되어 있다. 그중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갈등은 예술과 죽음이 맺고 있는 강한 결속력에 대한 것이다. 그의 시에 등장하는 예술가 대부분은 자신이 이룬 높은 예술적 성취와 대조적으로 삶 또는 죽음이 비참했던 자들이다. 김종삼은 예술가의 삶을 살피면서 예술/예술가와 죽음의 관계, 즉 미학적 죽음에 천착했다. 이와 관련하여 김종삼의 죽음의식에 가장 큰 영향을 준 사람은 전봉래이다. 그는 1950년 전후에 활동하며 문단의 신진시인으로 주목을 받고 있었지만 한국전쟁의 발발로 자신의 시적 역량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한 채 1951년 부산에서 자살로 생을 마감했다. 전봉래를 누구보다 잘 알고 있던 김종삼은 그의 죽음을 시인이자 예술가의 죽음으로 받아들였고, 이 때문에 ‘시인의 자살’이 지닌 특수한 의미에 주목하게 된다. 예술가의 자살은 일종의 예술적 행위로 간주되는데, 김종삼은 전봉래의 자살을 “유작”, “죽음이라는 작품”으로 표현하면서 자살의 미학적인 특성을 스스로에게 납득시키려고 했다. 김종삼은 시작 활동 전반에 걸쳐 전봉래와 그의 죽음을 다룬 시를 지속적으로 발표했다. 초기의 「G 마이나」(54년)와 「하나의죽음」(56년)에서김종삼은 친우의 죽음을 애도하면서 그 죽음을 자신의 죽음과 관련지으려는 태도를 보인다. 「地」(69년)와 「올페」(75년)에서는 자신의 죽음에 대한 최종적 동의를 전봉래에게 구하기도 한다. 무엇보다 「시인학교」(73년)에서 그는 전봉래의 자살을 재현함으로써 자신의 죽음에 대한 열망을 직접적으로 내비친다. 한국시사詩史에서 시작활동 전반에 걸쳐 죽음을 미학적으로 접근한 시인은 김종삼이 유일하다. 이런 김종삼에게 전봉래는 ‘심우心友’이자 ‘시우詩友’ 그리고 미학적 죽음에 대한 성찰적 의식을 구성하게 한 구체적인 계기였다. 이 점을 염두에 두며 김종삼 시를 살펴보는 일은 그간 논의되지 못했던 미학적 죽음과 관련된 사항들을 해명할 수 있는 새로운 지평을 마련하는 일이라 할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aesthetic death in Kim Jong-Sam’s poems. About the image of death appeared to Kim Jong-Sam’s poems, previous studies had discussed in relation to the experience of the Korean war, the original sin, Rilke’s poetry. However, there is a conflict unusual for death in his poems. It is for the strong unity between art and death. As is generally known, Kim Jong-Sam wrote the names of many artists in his poems. In contrast to the wonderful artistic achievements, most of them lived or died miserably. What he had an interest in the late style of artist, it means that he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rt and death or between artist and death, aesthetic death. Jeon Bong-Rae, who is the elder brother of Jeon Bong-Geon, was a poet and translator who work at around 1950. He was in the spotlight as the rising young poets, but he committed suicide in Busan during the war. Kim Jong-Sam knew that Jeon Bong-Rae had a great literary, especially in french literature, and poetic talent. For that reason, he thought about Jeon Bong-Rae’s death as an artist’s death, not his friend’s death. On the one hand, suicide is considered as an act of artistic form. Because death is the last object that artist want to complete aesthetically. Kim Jong-Sam wrote about Jeon Bong-Rae’s suicide that it was the work of ‘death’, which was the noblest and latest posthumous work. Also Kim Jong-Sam convinced himself to understand a aesthetics of ‘artist’s suicide’, and he actually had tried to commit suicide. Although the overall explanation of death consciousness is not available, it is certain that Kim Jong-Sam inspired in Jeon Bong-rae’s suicide. It is confirmed in his poems. Above all things, he has described his own image to wait for die, in school of poets (1973), reenacting the process Jeon Bong-Rae committing suicide. Therefore, to review the work associated with Jeon Bong-Rae provide a new foundation to clarify an aesthetic death in Kim Jong-Sam’s poems.

      • KCI등재

        「호남의사열전」의 인물형상화 양상과 기우만의 의병 인식에 대한 고찰

        김기림 ( Kim Gi-rim ) 국제어문학회 ( 구 국제어문학연구회 ) 2018 국제어문 Vol.0 No.76

        「호남의사열전」은 기우만이 저술한 의병열전이다. 기우만은 1846년 장성에서 태어나 1916년에 죽었다. 처음으로 호남 의병을 일으켰고 부정척사를 주장하며 항일적 행동을 견지했다. 1896년부터 1909년경까지 호남에서 의병으로 활약했던 12명의 전기를 서술하여 후대에 전하는 일을 자신의 책무로 여겼다. 열전은 3부로 구성되었다. 제1부분은 8명의 행적, 제2부분은 논찬, 제3부분은 4명의 행적이 실렸다. 1부에는 기삼연, 김용구, 김봉규, 박경래, 김준, 전수용, 김영엽, 김익중, 2부에는 논찬, 3부에는 김치곤, 박영건, 정원숙, 성경수 등이 있다. 그는 의병을 민중의 삶을 안정시키고 민중과 결속하는 자, 의병간의 신의를 지키는 자, 조선에 대한 절의 및 항일 의지 실천하는 자, 의병들을 돕는 자 등으로 형상화했다. 이에 그는 의병들은 민중을 보호하고 의병들 간의 결속을 강화하며 본래부터 올바르고 불의에 분노하는 정신을 내면화해야한다는 의병 인식을 드러냈다. 이는 의병인식, 의병 전기 서술, 의병 역사 등을 다룰 때 무력 투쟁, 전투 성과와 연계하는 경향을 재고하게 하는 의의가 있다. 「Honam Ouisa Yeol Jeon」 is a collection of biographies on patriotic soldiers by Ki, Woo-Man(1846-1916). In 1896, he raised an army in the cause of national defense in Jangsung, but it was dismissed. He wrote 「Honam Ouisa Yeol Jeon」 in which achievements of patriotic soldiers in Honam were recorded for future generations. In the 「Honam Ouisa Yeol Jeon」, he characterized the patriotic soldiers as follows: protecting civilians, resisting against Japan based on fidelity to their country, being faithful to other soldiers and protecting each other, and fighting injustices with a righteous spirit. His thoughts had an effect on the awareness of the generations that followed. That is, this study suggests that his consciousness on patriotic soldiers and his narrative style present problems to description of biographies on patriotic soldiers focusing on fighting power and resul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