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6세기 제주도의 위기와 流民 증가 그리고 출륙금지령

        양정필(Jeong-Pil Yang) 제주학회 2023 濟州島硏究 Vol.59 No.-

        15세기에 제주도의 경제적 상황은 나쁘지 않았다. 그러나 16세기 들어서 제주도는 위기에 처하였다. 16세기 초반에 제주도에서는 흉년이 계속되고 전염병이 빈발하였다. 그 결과 굶어주고 병들어 죽는 사람이 많았다. 또 제주도 지방관들의 失政과 탐학도 이어졌고, 進上도 가중하여서 제주도인의 삶은 피폐해졌다. 무엇보다 여러 재난이 짧은 기간에 연이어 발생하여서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시간적 여유가 없었던 것이 상황을 악화시켰다. 위기의 여파로 제주도에서 살 수 없다고 판단하고 본토로 떠나는 유민이 증가하였다. 16세기 전반에 사망자와 유민의 증가로 제주도의 인구는 격감하였다. 당시는 왜적의 침입이 빈발하여서 제주도를 방어하는 것은 중요하였다. 조정에서는 제주도의 인구 격감을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인구를 회복시키기 위한 정책들을 추진하였다. 우선 제주도를 떠나 본토에서 떠도는 유민들을 쇄환하였다. 그리고 삼남 지방의 사람들을 제주도로 들여보내 인구를 늘리려는 논의도 있었다. 이러한 대책에도 불구하고 제주도의 위기와 인구 감소는 극복되지 못했다. 16세기 후반에 제주 목사들은 제주도인의 본토 출입을 통제하였다. 제주도인은 목사가 자신의 부정행위가 알려지는 것을 우려해서 출입을 막는다고 생각하였다. 그렇지만 그 시책은 결과적으로 제주 유민의 발생을 막고 제주도의 인구 감소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었다. 그래서 정부에서는 1629년에 제주 목사의 시책을 공인하여 출륙금지령을 내린 것으로 이해된다. In the 15th century, the economic situation in Jeju Island was not bad. However, in the 16th century, famine continued and infectious diseases occurred frequently. So many people starved and died sick. Also, local officials in Jeju Island did not manage well. In addition, the tax burden increased, making the lives of Jeju Islanders even more impoverished. Jeju Island was unable to escape the crisis as several disasters occurred in a short period of time. Those who judged that they could not live in Jeju Island began to leave Jeju Island. As the number of deaths and displaced people increaseds, the population of Jeju Island decreased sharply. The Government took this seriously. Because at that time, invasions of Japanese pirates were frequent, so it was important to defend Jeju Island. So the government pushed for policies to restore the population. First of all, the refugees who left Jeju Island and wandered from the mainland were repatriated. There was also a discussion to increase the population by bringing people from the southern regions into Jeju Island. Despite these measures, Jeju Island's crisis and population decline had not been overcome. Meanwhile, in the late 16th century, local officials of Jeju controlled Jeju Islanders from entering the mainland. the policy had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Jeju refugees and curbing the population decline in Jeju Island. Therefore, in 1629, the government authorized the Jeju official's policy and imposed a ban on Jeju people from leaving the island.

      • KCI등재

        을묘왜변 전후 제주도(濟州島)의 방어태세

        김기둥 역사실학회 2022 역사와실학 Vol.79 No.-

        This study focuses on the defensive posture of Jeju Island around the Pirate Attack of 1555(Eulmyouwoebyeon, 乙卯倭變), the largest Japanese invasion of Joseon prior to the Imjin War, and its final battle, the Battle of Jeju Fortress. Upon the establishment of Joseon, Jeju Island was organized as a single garrison command, forming a defensive system based on Banghoso(防護所) guard posts installed on major ports. With the Pirate Invasion on Three Ports in 1510(Sampowoeran, 三浦倭亂), the Joseon government inspected the defensive posture on the southern coast of the peninsula, including Jeju Island. Jeju Island sought to reinforce its defense on its own, but the resource of the island was insufficient to construct preparatory measures against foreign invasion. Thus, the Joseon government attempted to enhance the defense of the island with reinforcements from the mainland. A portion of the on-duty cavalry in Jeolla Province stationed in Jeju Island during the season of fairwind, and the cost was paid by the mainland as well. In addition, for the swift, large-scale reinforcement of troops in emergency, the government appointed the Garrison Commander of Garipo and the Magistrate of Jindo as Gyewonjang(繼援將), the commander of the relayed reinforcement. During the early stage of the Pirate Attack in 1555, the Japanese Pirates stormed the coasts of Jeolla Province, but retreated to the open sea and invaded Jeju Island. The operation of the Relayed Reinforcement system was delayed, as the port of Gariopo suffered damages from the invasion and the reinforcement had to be organized from the other regions. Still, the Garrison commander of Garipo maintained his position as the commander of the relayed reinforcement. The residents of Jeju Island, under the command of Kim Sumun(金秀文), the Magistrate of Jeju, waited for the reinforcements in the siege of Jeju Town Wall. During the siege, they started engaging the Japanese pirates, and successfully repelled them by breaking the pirates’ ranks with Hyoyonggun(驍勇軍), the Army of Brave Warriors, under the cover of arrows. The pattern was the same with that of the Battle of Yeongam Fortress. The victory in the Battle of Jeju Fortress was an unexpected one, and it could not be the reason behind the defense plan against large-scale invasions. Thus, even though the relayed reinforcement system was not activated on time during the Pirate Attack in 1555, it remained as the main frame of the defense of Jeju Island. As a result, the defensive posture of Jeju Island was not much changed before and after 1555. Considering these facts, the account of Ryu Seongryong(柳成龍) that Jeseung Bangnyak system(制勝方略) was introduced with the operation of Kim Sumun during the Attack in 1555 should be reconsidered. 이 글은 임진왜란 전 조선이 겪었던 최대 규모의 왜군 침입인 을묘왜변을 전후한 제주도의 방어태세와 왜변의 마지막 전투인 제주성전투를 다루었다. 조선 건국 후 제주도는 하나의 진관으로 편성되었고, 주요 포구에 설치한 방호소(防護所)를 중심으로 한 방어체계를 구축했다. 제주도는 별도의 보법 규정을 적용받으면서 병력을 최대한 동원했다. 3포왜란을 계기로 조선은 제주도를 비롯한 남해안 일대의 방어태세를 점검하였다. 제주도는 나름대로의 방어강화책을 모색했지만, 섬의 물력이 대규모 적의 침입에 대한 대비 태세를 구축하는 데 충분하지 못하다는 한계를 극복하지 못했다. 결국 조정은 육지로부터의 지원을 통해 섬의 방어태세를 강화하고자 했다. 전라도의 상번 기병 중 일부가 ‘호남원병’으로서 풍화시 제주도에 입도해 주둔하였는데, 그 비용 역시 육지에서 부담하였다. 또한 조정은 유사시 대규모 병력 지원이 신속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가리포첨사와 진도군수를 제주도의 계원장(繼援將)으로 삼았다. 을묘왜변 발발 초기 전라도 연안을 휩쓸었던 왜군은 영암성전투의 패배로 해상으로 퇴각했다 제주도를 침공했다. 계원체계의 작동은 가리포가 왜군의 공격으로 심각한 타격을 입은 상태에서 다른 지역의 병력으로 구원군을 편성하면서 지체되었다. 그 과정에서도 가리포첨사가 계원장을 맡는다는 개념은 유지되었다. 제주도의 군민(軍民)은 김수문(金秀文) 목사의 통솔 아래 제주읍성에서 농성하면서 구원군을 기다렸다. 이들은 농성 중 틈을 타서 왜군과의 본격적인 교전을 개시했고, 화살의 엄호 속에 효용군(驍勇軍)으로 왜군의 진영을 와해시키면서 격퇴에 성공했다. 이러한 전투 양상은 영암성전투와 동일했다. 미약한 병력을 토대로 한 제주성전투의 승리는 예상치 못한 일로 대규모 침입에 대한 방어책의 근거가 될 수 없었다. 따라서 을묘왜변 중 계원체계가 적시적으로 작동하지 못했음에도 불구하고 왜변 후에도 그것은 제주도의 방어에서 주요 축으로 존속했다. 결과적으로 을묘왜변을 전후로 한 제주도의 방어태세는 별다른 변화가 없었다. 이러한 내용을 감안한다면 을묘왜변에서 김수문의 활동을 계기로 제승방략이 도입되었다는 유성룡(柳成龍)의 설명은 재고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프랑스의 시각에서 본 1901년 제주민란

        현광호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5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83

        제주민란은 1901년 5월 발생했다. 플랑시는 제주민란의 주원인을 봉세관의 과도한 징세로 인식했다. 프랑스는 5월 9일을 제주민란의 개시 시점으로 인정했다. 프랑스는 제주민란의 주도자를 대정군수 채구석으로 지목했다. 주한 프랑스공사 플랑시는 대한제국의 외부대신에게 채구석을 제주민란의 수괴라고 통보했다. 플랑시는 일본인들이 제주민란과 연관이 있다고 인식했다. 플랑시는 민군이 일본인과 결탁하여 신부들을 공격한 것으로 단정했다. 플랑시는 일본의 개입을 예측했으므로 본국 정부에 제주민란에 대한 더 이상의 개입을 반대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프랑스 해군 사령관 포티에는 알루에트호와 쉬르프리즈호를 제주도로 출동시켰다. 쉬르프리즈호와 알루에트호는 5월 30일 전후 제주도에 도착하여 프랑스 신부들을 구출했다. 고종은 정부군을 보냈고 추가 파병을 지시했다. 그러자 플랑시는 고종의 민란 진압에 대한 의지를 인정했다. 프랑스는 치안이 회복되었다고 판단했고, 그에 따라 알루에트호와 쉬르프리즈호는 6월 3일 제주도를 떠났다. 그러나 제주민란이 종식되지 않자 알루에트호는 6월 9일 제주도에 재차 입항했다. 프랑스는 제주목사에게 민군 지도부를 엄벌에 처하라고 요구했다. 포티에는 6월 13일 민군 지도부가 체포되자 6월 19일 제주민란의 종료를 선언했다. 플랑시는 본국 정부에 유사한 사건이 재발할 경우 즉각적인 군사 개입을 건의했다. 그는 군함을 동원한 포격, 민란 지도부의 처형, 지방 당국으로부터 배상금 회수 등을 제시했다. 그는 프랑스는 군사적 개입으로 대한제국 황실에 큰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고 확신했다. 프랑스는 대한제국의 재판에 깊숙하게 개입했다. 플랑시는 외부대신 박제순에게 민란 가담자의 명단을 건네주며 신속한 재판을 요구했다. 플랑시는 채구석이 극형에 처해지기를 기대했다. The popular uprising in Jeju Island outbreak on May 1901. French Minister, Plancy recognized that reason of popular uprising of Jeju Island was excessive levy taxes of tax collection of the Imperial Household. France recognized that popular uprising of Jeju Island outbreak on May 9 1901. Plancy marked munitions of Dae Jung, Chai Gu Seok as that the popular uprising of Jeju Island. Plancy informed to foreign secretary of the Great Han Empire that Chai Gu Seok was a ringleader of popular uprising of Jeju Island. Plancy recognized that The Japanese had something to do with popular uprising of Jeju Island. Plancy recognized that the militia and Japanese all turned upon the French priest. Plancy presupposed intervention of Japan. Therefore He objected further intervention. French naval commander Pottier ordered to move Surprise and Alouette for Jeju Island. Surprise and Alouette reached Jeju Island about May 30. The warships relieved French priest. King Kojong dispatched the Government forces. After King Kojong ordered to additional dispatch troops. Plancy acknowledged strong will of suppression of King Kojong. French naval warship judgmented that public order in Jeju Island restored. After Surprise and Alouette departed Jeju Island. But the popular uprising of Jeju Island did not ended and Alouette arrived Jeju Island again. France demanded to the local authorities of Jeju Island a severe punishment for conspirator of popular uprising. The leaders of popular uprising of Jeju Island was arrested on June 13. After Pottier proclaimed end of popular uprising of Jeju Island on June 19. Plancy proposed intervention to the French Government if similar case outbreak. Plancy proposed to the French Government bombardment by naval warship and punishment of leader and recover of damages. Plancy planned tempt the dispatch of troops to promote France’ influence in the Great Han Empire. France interfered in justice of the Great Han Empire. Plancy informed to foreign secretary of the Great Han Empire for a list of conspirator of popular uprising of Jeju Island. Plancy expected Chai Gu Seok punish capitally.

      • KCI등재

        17세기 濟州島의 육군 재건과 방어체계 변화

        김기둥 고려사학회 2019 한국사학보 Vol.- No.74

        Joseon suffered from the Manchurian menace, while suffering the aftermath of Imjin War in the 17th century. Jeju Island was the southern frontier and the main breeding area of warhorses. Joseon government had to concern the defense of Jeju Island while investing military capability for preparation against the Manchus. Meanwhile, statewide changes in military system of the 17th century might also have influenced that of Jeju Island. In the early 17th century, Jeju Island was experiencing severe lack of military troops, to the extent of mobilizing women for the defense of fortresses. Most of taxations in Jeju Island were imposed as Tributes and Corvee Labor on the enlisted people. The enlisted people of Jeju Island escaped the Island or enslaved themselves in order to evade the burden. The government tried to restrain this, but it was not effective. Furthermore, frequent shipwreck when transferring the tributes was another endemic factor which led to lack of the enlisted. Meanwhile, Jeju Island was receiving supports from Jeolla Province such as Yubangbyeong(留防兵 ; Reinforcements from from provincial headquarter) and dispatch of coastal garrisons in emergency. However, constant military support from the land was aborted because of the Imjin War and the Manchurian menace. In this situation, statewide changes in the military system formed the foundation of rebuilding the army in Jeju Island. With the introduction of Sogogun(束伍軍), a systemized mobilization of the slaves, Jeju Island reinforced the number of troops. As a result, Sogogun became the main unit of Jeju Island land forces. In the chain of command for Jeju Island Sogogun, Jeju Moksa(濟州牧使, Magistrate of Jeju-mok) positioned the highest, while Jeongui Hyeongam(旌義縣監 ; Magistrate of Jeongui-hyeon) and Daejeong Hyeongam(大靜縣監 ; Magistrate of Daejeong-hyeon) were excluded. Besides, the defense sector of the island was divided into three Bu (部 ; Brigade), where Jeju-yeong(濟州營 ; Jeju Military Headquarter) consisted Jung-bu(Central Brigade), and Byeolbang Banghoso 防護所 ; Garrisoned Post) and Myeongwol Banghoso, which were under control of Jeju-mok, were positioned as the center of each Jwa-bu (Left Brigade) and U-bu(Right Brigade). As a result, even though Jeju Moksa was not one of Yeongjang(營將, Military Division Commander), Jeju Moksa could carry the similar authority as Yeongjang in effect. The Jeju Island land forces assumed a central role in the defensive system in the overall context that weakened the naval forces of the island. 17세기 조선은 임진전쟁의 후유증 속에서 만주족의 위협에 시달렸다. 제주도는 남쪽 변방이면서 전쟁에서 중요한 戰馬의 주요 생산지였다. 조선은 만주족에 대한 대비에 군사적 역량을 쏟으면서도 제주도의 방어에 신경써야 했다. 한편으로 17세기에 진행되었던 전국적인 군제 변화는 제주도에도 영향을 주었을 것이다. 17세기 초반 제주도는 守城에 여성까지 동원할 정도로 육군 병력의 심각한 부족을 겪고 있었다. 제주도는 대부분의 과세 기준이 공물과 요역에 매겨졌고, 군역 대상층에게 부담하도록 했다. 제주도의 군역 대상층은 부담을 회피하고자 섬을 이탈하거나 노비로 투탁했다. 조정은 이를 억제하려고 했지만, 실효를 거두긴 어려웠다. 또한 공물 이송 등에서 발생하는 빈번한 선박 사고 역시 섬의 군역 대상층을 부족하게 만드는 고질적인 요인 중 하나였다. 한편 제주도는 전라도로부터의 유방병과 유사시 연해 기지의 병력 파견 등도 지원받고 있었다. 그렇지만 육지로부터의 항시적인 군사적 지원은 임진전쟁과 만주족의 위협 속에서 중단되었다. 이런 상황에서 전국적인 군제 변화는 제주도가 육군을 재건할 수 있는 기반이 되었다. 제주도는 노비층의 동원을 제도화한 속오군의 도입을 통해 병력을 대폭 증강시켰다. 그 결과 속오군은 제주도 육군의 주력으로 자리했다. 제주도는 속오군의 지휘체계에서 濟州牧使를 정점으로 두면서 旌義縣監과 大靜縣監을 배제시켰다. 또한 섬의 방어구역을 3部로 나누면서 제주영에 중부를 두고, 제주목에 속한 別防·明月방호소를 각각 좌·우부의 중심으로 삼았다. 이에 따라 제주목사는 영장이 아니었음에도 불구하고 사실상 영장에 준하는 권한을 지닐 수 있었다. 이렇게 마련된 제주도의 육군은 섬의 수군 전력이 약해지는 경향 속에서 방어체계의 주축이 되었다.

      • KCI등재

        초․중․고 음악교과서에 수록된제주 민요 분석

        신은주 한국민요학회 2019 한국민요학 Vol.57 No.-

        Folk songs play a central role in the area of singing in music education of elementary / middle / high school, and is importantly approached equally in que area of appreciation and theory. It is because folk songs have a great meaning as music representing lives of common people and it serves as a root of a variety of music in the base of our traditional music. Different characteristics appear in our country’s folk songs divided into five regions of Gyeonggi, Namdo(the Southwest), Seodo(the Northwest), Dongbu(the East) and Jeju. As singing repertoires, folk songs are used because they are appropriate for singing or appreciation and have regional representativeness. However, folk songs of Jeju Island included in the textbook are conspicuously small in number as compared to songs of other regions, and they highly lack explanation of musical features. “Neoyoung nayoung” and “Odoltogi” are folk songs of Jeju Island most included in music textbooks of elementary / middle / high school and are influenced by songs of troop sung by strolling actors of the land. For this reason, there are limitations of exploring features of intrinsic folk songs of Jeju Island through these songs. The third most included song in music textbook entitled “Myeolchihurineun sori” or “anchovy net hauling song” is an intrinsic folk song of Jeju Island, but it was not sung at every corner of the island. Only a small number of people living in some specific areas sang this folk music and it is not related to works commonly practiced in Jeju Island. In other words, it is challenging to say that three songs above mentioned can represent as typical folk songs of Jeju Island. Sheet music in each textbook uses different music and interprets the mode in a dissimilar manner. Moreover, the general mood of the song varies due to omission of characteristic melody and notes. Folk songs included in the textbooks do not exist only for singing but theoretical learning is achieved through the songs. For this reason, difference in sheet music can cause confusion in education. In this regard, this study proposes the following points for effective folk song education of Jeju Island for the future. Firstly, it is vital to discuss “do we have to admit differences of folk songs or do we have to prepare for a unified plan for education?” Secondly. It is necessary to describe detailed theory of folk songs of Jeju Island. It is required that theory of creation background, distribution, type, function, sound structure, vocalization and precautions while singing should be put in order for facilitating easy utilization for teachers. Thirdly, it is essential to discover folk songs with diverse music pieces, which are easy to sing and appropriate for representing particular characters of Jeju Island. Fourthly, since various modes are used in folk songs of Jeju Island, we encounter limitations of accounting for folk song of Jeju Island only with mod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research of a variety of characteristics of folk songs of Jeju Island such as vocalization and “Sigimsae” or a grace note. 민요는 초․중․고 음악교육의 가창 부분에서 큰 역할을 차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감상과 이론 영역에서도 매우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다. 이는 서민들의 삶을 대변하는 음악으로서 민요가 갖는 의미가 크고, 우리 전통 음악의 기저에서 여러 다양한 장르 음악의 뿌리가 되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민요는 대체로 경기․남도․서도․동부․제주의 다섯 지역으로 나누어 그 특징을 달리하는 것으로 설명되고 있고, 초․중․고 음악교과서에서는 위 다섯 지역별로 가창 혹은 감상하기에 적절하면서도, 지역적 대표성을 띠는 민요가 제재곡으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제주 지역의 민요는 가창 및 감상 제재곡으로 활용되고 있는 민요의 곡수도 다른 지역에 비하여 현저히 적을 뿐만 아니라, 음악 특징에 대한 설명도 미비하고, 여러 문제점들을 안고 있다. 가장 많은 초․중․고 교과서에 수록된 제주민요인 <너영나영>과 <오돌또기>는 육지 사당패소리의 영향을 받은 악곡으로, 제주 토속민요 특유의 특징을 살펴보는 데에 한계가 있다. 세 번째로 많이 수록된 곡인 <멸치후리는소리> 역시 제주 지역 토속민요 이기는 하나, 제주 전역에서 두루 불리던 소리가 아니라 특정 지역에 거주하는 소수의 사람들 사이에서만 불리던 민요이고, 제주에서 흔히 행하는 노동과 관련된 민요도 아니다. 즉, <너영나영>, <오돌또기>, <멸치후리는소리> 모두 대표성 면에서 다소 문제가 있다. 각 교과서에서 활용하고 있는 악보도 서로 다른 채보 악보를 활용하면서, 음구조를 다르게 파악하기도 하고, 특징적인 선율과 음을 간과하면서 곡의 분위기가 달라지기도 한다. 교과서에 수록된 곡은 단순히 가창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그 악보를 통해 이론적인 학습이 이루어진다. 때문에 서로 다름은 교육에서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 이에, 향후 효과적인 제주 민요 교육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점들을 제안한다. 첫째, 민요의 서로 다름을 인정할 것인가, 교육을 위한 통일안을 마련할 것인가 논의해야 한다. 둘째, 제주 민요에 대한 자세한 이론이 기술되어야 한다. 각 곡의 생성 배경에서부터, 분포, 유형, 기능, 음구조, 발성, 가창시 유의점 등이 정리되어, 교사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셋째, 제주 특유의 특색을 살피기에 적절하면서도, 가창이 용이한 다양한 악곡의 토속민요를 발굴해야 한다. 넷째, 제주 지역 민요는 다양한 선법이 사용되고 있는 만큼, 음구조로 제주 민요를 설명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이에, 발성과 시김 등 다양한 제주 민요 특성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 KCI등재

        제주섬에서 보는 생명․생태․평화의 삼중주

        윤용택 대동철학회 2010 大同哲學 Vol.51 No.-

        대륙과 대양을 잇는 지리적 요충지에 위치한 제주섬은 전국의 1퍼센트 남짓한 면적과 인구를 가지고 있어서 정부정책의 시범대 역할을 하고 있다. 그리고 제주섬은 인적 물적 자원이 제한되어 있으면서 제주4.3을 비롯한 뼈아픈 역사, 화산섬이라는 독특한 자연환경, 수눌음과 계(契) 등의 공생과 상생의 문화 등을 가지고 있다. 그러기에 제주섬은 희망과 좌절, 가능성과 위험성이 상존한다. 한국현대사의 비극이요, 냉전체제가 빚어낸 세계사적 사건인 제주4.3은 분쟁과 갈등의 상징이었다. 그러나 이제 제주섬은 생명과 살림, 화해와 상생의 섬으로 거듭나야 하고, 평화와 인권의 교육장으로 되어야 한다. 그리고 제주섬은 갈등과 분쟁이 소멸되는 블랙홀이자 평화가 샘솟는 화이트홀이라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 제주섬은 중무장 군사기지의 섬 대신에 비무장 평화의 섬으로 나아가야 한다. 생명체든, 생태계든, 인간사회든, 모든 살아있는 체계들은 각각의 구성요소들끼리, 그리고 안팎의 또 다른 살아있는 체계들과 공생하고 상생하면서 살아간다. 따라서 공생과 상생은 당위 이전에 존재의 법칙이고, 우리가 추구해야 할 최고의 가치이며, 생명의 바탕이요, 생태와 평화의 핵이다. 생명, 생태, 평화는 서로가 서로를 필요로 하고, 서로가 서로에게 의지하고 있어서, 어느 하나가 결여되더라도 나머지 것들이 제 기능을 다하지 못한다. 잘 보전된 생태계는 생명과 평화의 기본조건이다. 적극적 평화가 생명의 안전을 넘어 행복한 삶을 보장하는 것이라면, 환경과 생태계를 잘 보전하는 것은 평화의 문제와도 직결된다. 세계적으로 도시화 경향이 뚜렷하고 저 그대로의 자연이 점점 사라지는 현대적 추세에 비춰볼 때, 제주섬에서 아직 개발되지 않은 자연은 그 자체가 영구 보전해야 할 인류의 자산이다. 따라서 거대자본에 의한 대규모 개발을 지향하는 정책은 근본적으로 수정되어야 한다. 옛 제주사람들이 꿈꾸었던 이상향인 이어도는 다름 아닌 생명․생태․평화의 섬이었다. 그리고 제주섬의 전통문화 속에 이미 생명존중, 생태보전, 공존공영의 사상이 들어 있었다. 오늘날 제주섬도 인간끼리 상생하고, 자연과 공생하는 희망의 섬이 될 수 있다. 생명․생태․평화의 섬 제주는 생명, 생태, 평화의 삼중주를 연주하면서 동아시아와 전 세계에 생명, 생태, 평화의 공명을 일으키는 섬이라야 한다. Jeju Island located between Asian continent and Pacific ocean is the area of vital strategic impotance. It has about 1% of the population and area of South Korea, and serves as the test bed of national policies. It has the beautiful natural environment, the painful history like the Jeju April 3rd, and the communities like Suneuleum and Gyeu. Accordingly there are hopes and frustrations, potentialities and risks in Jeju island all the times. The Jeju April 3rd Incident was the great tragedy of Korean contemporary history and the world historic event happened by the U.S.A.- U.S.S.R. confrontation. Jeju island is to be the symbol of life and reviving, reconciliation and partnership, and the cultivation of peace and human right. Jeju as the island of world peace is to be the black hole vanishing conflicts and the white hole welling peace. So, Jeju island is to be the demilitarized island of world peace instead of the heavily armed navy base. All living systems ― organisms, eco-system, and human society etc. ― live together their members and other living systems. For this reason, cooperation and partnership are the principles of being prior to what should be, and the highest values we should pursue. Cooperation and partnership are the core of life, ecology, and peace. And the life, the ecology, and the peace need and depend on one another. Well preserved ecosystem is essential to life and peace. If the positive peace guarantees happy lives, it needs well preserved environment and ecosystem. There is growing tendency of urbanizing and vanishing wild natural environment all over the world. Uncultivated nature in Jeju island is the natural heritage to be preserved permanently. For these reasons, the policy of large scale development by big capital is to be revised. Ieodo(the island of paradise) dreamed by the old Jeju islanders was nothing but the Life-Eco-Peace Island. And the thoughts of respecting lives, preserving nature, coexistence, and prosperity have been already contained within Jeju island's traditional culture. The Jeju island of today can become a hopeful island which man coexists with nature in. The trio of life, ecology, and peace should be played in Jeju Island. And the resonance should be produced in East Asia and all over the world.

      • KCI등재

        제주에 대한 재현의 폭력과 저항의 역학관계

        이도흠 ( Do Heum Lee ) 한국기호학회 2012 기호학연구 Vol.32 No.-

        There were three kinds of the vilolence of representation for peoples of Jeju island: the remotest place of exile, island of a red, a beautiful island of sightseeing without history. I applied the theory of dependent origination to the dynamic relation of violence. Since others is penetrating inside me and I am also penetrating inside others, separating me and others is just a delusion. Therefore, a human being is intrinsically ``inter-becoming``. A violence is doing between the strong and the weak, between a strain and a strength dynamically. There is a resistance where the violence is doing. The confucian power elite in Choseon dynasty represented Jeju island as the remotest place of exile. Practically, they had forbidden every peoples in Jeju Island to enter inland, and had exiled the man who the king hate extremely to this island. The discourses that Jeju island is a land of God and Goddess stood against the discourses of exile. However, the latter had the superiority over the former in the struggle of hegemony overwhelmingly. The ruling class in modernized Korea represented Jeju island as the land of reds for the purpose of covering up a truth of Jeju 4.3 resistance. They had massacred scores of thousands of the residents in Jeju island during Jeju 4.3 resistance. They had forbidden every peoples not only the residents in Jeju Island but also all Korean to express a word about Jeju 4.3 resistance. After democratization movement against military dictatorship, the discourses that Jeju 4.3 resistance is a massacre of the innocent people by government power stood up to the discourse of reds. Owed to the fall of military dictatorship by democratization movement, the former had the superiority over the latter in the struggle of hegemony. The capital, government, and the press represented Jeju island as a beautiful island of sightseeing without history. They erased history of Jeju island in the memory of Korean. They regarded Jeju island as the object of sightseeing. They are developing and exploiting people and resources in Jeju island. The discourses that described Jeju island as the field of history faced against the discourse of the land of sightseeing. However, because the latter is created and communicated by the capital and the press unlimitedly, so the former is inferior to the latter in the struggle of hegemony.

      • KCI등재

        동북아 비핵지대와 제주 비핵조례 - ‘평화의 섬’ 구상의 내실화를 위하여

        윤여일 ( Yoon Yea-yi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 2018 탐라문화 Vol.0 No.59

        이 논문의 목적은 북핵 문제와 ‘제주 평화의 섬’ 구상 그리고 제주해군기지 구축이라는 세 가지 사안을 결부시켜 동북아비핵지대와 함께 제주비핵조례의 필요성을 논증하는 데 있다. 이 논문은 동북아-한반도-제주도의 평화라는 상이한 층위에서 20여년 간 저마다 다른 영향을 미치며 진행되어온 세 가지 사안이 제주도의 강정 앞바다에서 착종하고 있다는 시점을 취할 것이다. 그 까닭은 2017년 11월 22일, 제주해군기지로 미군의 핵 추진 잠수함 미시시피(SSN-782)가 입항해 제주도가 핵무기 문제를 맞닥뜨리게 되었기 때문이다. 우선 동북아비핵지대의 필요성에 관해서는, 한반도평화체제를 실현하고 동북아 공동안보가 성립하려면 동북아 지역에서 핵위협의 가능성을 차단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 북한 내지 한반도의 비핵화만이 아니라 지역적 차원의 비핵지대 형성을 적극적으로 모색할 필요가 있다. 미국과 북한 사이의 정치적 합의를 통해 북한의 비핵화가 도출되더라도 지역 내에 핵권력의 불평등에 따른 핵위협의 가능성이 존재한다면 핵개발에 대한 유혹과 핵확산의 가능성 역시 남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한편 제주도의 시각에서 보았을 때, 북한 내지 한반도가 비핵화된다면 이는 제주도의 ‘평화의 섬’ 구상 및 제주해군기지 운용의 환경적 조건을 크게 바꿔놓을 것이다. 그럼에도 제주해군기지가 들어선 제주도는 미국과 중국 간의 군사적 긴장이 고조되거나 중국의 해군력이 증강됨에 따라 미일동맹의 압박이 강화되면, 군사적 분쟁에 휘말릴 위험성이 커지고 있다. 더욱이 동북아비핵지대는 동북아적 제약조건으로 인해 실현가능성이 높지 않다는 사실을 감안한다면, 제주비핵조례를 제정해 제주해군기지 가동에 따라 연루될 수 있는 군사적 위험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는 제주도가 세계평화의 섬으로서 역할하고, ‘평화의 섬’ 구상을 내실화하는 한 가지 방향이기도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demonstrating the need of the Northeast Asia nuclear weapon free zone and the Jeju Denuclearization Ordinance by associating three issues: the North Korean nuclear problem, the Peace Projects in Jeju Island,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Jeju Naval Base. This study took the standpoint that the three issues, which have been in progress with varying influences in the last approximately two decades on level of peace in Northeast Asia, the Korean Peninsula, and Jeju Island, are entangled in Gangjeong Sea of Jeju Island since Jeju Island has encountered nuclear weapon issue after USS Mississippi (SSN-782) entered the Jeju Naval Base. First of all, with regard to the necessity of the Northeast Asia nuclear weapon free zone, the possibility of nuclear threat has to be blocked in the Northeast Asian region in order to realize the Peace System of the Korean Peninsula and establish the Cooperative Security in Northeast Asia. For this aim, not only denuclearization of North Korea or the Korean Peninsula but also the formation of regional nuclear weapon free zone must be actively sought. If the possibility of nuclear threat arising from inequality of nuclear authority in the region exists even after inducing denuclearization of North Korea through the political consensus between the U.S. and North Korea, temptation toward nuclear development and possibility of nuclear proliferation will still prevail. Meanwhile, from the viewpoint of Jeju Island, if North Korea or the Korean Peninsula is denuclearized, this will dramatically transform the environment conditions of the Jeju Island's Island of Peace projects and operation of the Jeju Naval Base. Nonetheless, if military confrontation escalates between the U.S. and China or the pressure of U.S.-Japan alliance is strengthened as the Chinese naval forces are reinforced, Jeju Island, which has the Jeju Naval Base, is likely to be embroiled in military disputes. Furthermore, when taking into consideration that the Northeast Asia nuclear weapon free zone is unlikely to be materialized due to the constraints in Northeast Asia, it is necessary to make preemptive response to the military risks which can arise from the operation of the Jeju Naval Base. Also, the Jeju Denuclearization Ordinance is one direction through which Jeju Island can play the role of Jeju Island of world peace and substantialize the Peace Projects in Jeju Island.

      • KCI등재

        이병기 「제주(濟州)ㅅ길에」에 재현된 공간의 양상과 의미

        김아연 ( Kim A Yun )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8 용봉인문논총 Vol.- No.52

        시조작가이자 문화민족주의자인 이병기(李秉岐, 1891~1968)는 박한영(朴漢永, 1870~1948), 권덕규(權悳奎, 1890~1950)와 더불어 1924년 7월 31일부터 8월 12일까지 제주에 다녀왔다. 이병기는 이때의 체험을 재현한 시조 「濟州ㅅ길에」를 지어 1924년 8월 25일자 『동아일보(東亞日報)』에 발표했다. 「濟州ㅅ길에」를 개괄적으로 검토하고 「濟州ㅅ길에」에 재현된 공간의 양상과 의미를 고구하는 이 글의 요지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이병기 일행의 제주 기행은 1920년대 문화운동의 일환이며, 목적지는 민족의 성지 중 하나인 한라산이다. 「濟州ㅅ길에」는 이병기의 제주 기행 체험을 투영한 『가람日記』 삽입시조를 초고로 하여 9개 부제 아래 20수로 완정되어 있으므로, 그 갈래를 내용상 기행시조, 형식상 연작시조로 분류할 수 있다. 「濟州ㅅ길에」의 내용은 이병기의 제주 기행 체험을 시간순으로 재현하고, 이병기가 체득한 영산강 유역-제주의 인문지리 정보를 소개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濟州ㅅ길에」는 이병기가 현재의 관점에서 관찰한 조선의 자연 공간, 역사적 공간, 신성 공간 및 조선인의 일상 공간을 담고 있다. 이 공간들은 과거와 현재를 관통하며, 영산강 유역-제주를 중심으로 지리적 상상력에 의해 재구성된, 새로운 조선의 국토의 표상을 독자적으로 형성하고 있다. 이로써 이병기는 자신과 독자들이 새로운 조선의 국토의 표상을 통해 조선인으로서 자아를 재발견하고, 조선인의 민족 정체성을 확립하고자 했을 것이다. Yi Byeung-gi(李秉岐) traveled to Jeju Island with Park Han-yeung(朴漢永) and Gwon Deok-gyu(權悳奎) from 31 July to 12 August 1924. He composed 「On the Road to Jeju」 on the experiences for part of the travel and published in 『Donga Ilbo(東亞日報)』 on 25 August 1924.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spaces in 「On the Road to Jeju Island」. This paper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purpose of their travel was as a cultural movement during the 1920s. The travel destination was Mt. Halla, sacred mountain on Jeju Island. Comparing 「On the Road to Jeju Island」 with insertion Sijo works in 『Garam's Diary(가람日記)』, this paper has been estimated that a first draft of 「On the Road to Jeju Island」 is insertion Sijo works. 「On the Road to Jeju Island」 consisted of 20 Sijo works below 9 subtitles. Accordingly, the genre of 「On the Road to Jeju Island」 is Travel Sijo and Series Sijo. The contents of 「On the Road to Jeju Island」 have represented experiences of his travel and Human Geographic Information of Yeungsan River-Jeju Island district. The characteristics of spaces in 「On the Road to Jeju Island」 are analyzed natural space, historic space, sacred space in Korea and Korean living space. The meanings of spaces in 「On the Road to Jeju Island」 are represented image geographies of Yeungsan River-Jeju Island district. The image geographies of 「On the Road to Jeju Island」 let Korean share and discover national identity.

      • KCI등재후보

        석주명의 제주학 연구의 의의

        윤용택 ( Yong Taek Yoon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2011 탐라문화 Vol.0 No.39

        석주명은 ``제주적인 것``의 가치를 가장 먼저 알아본 인물이다. 그는 60여 년전 제주도의 특이한 자연과 문화가 귀하다는 것을 깨닫고, 그것들이 사라지는 것을 안타까워하면서 하루바삐 한국의 식자들이 제주도의 자료를 수집하여 체계를 세울 것을 주장하였다. 그리고 자연과학도였던 그가 제주도의 자연뿐만 아니라 인문사회 분야 연구에 직접 뛰어들어 제주학 연구의 초석이 되는 ``제주도총서``를 결집(結集)해내었다. 석주명의 제주학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의가 있다. 첫째, 그가 남긴 자료들은 제주도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이다. 그것들은 제주4·3 이전의 제주도 자연과 인문사회의 원형(原形)에 가까운 자료들로서, 그로 인해 그는 자타가 공인하는 제주학의 선구자가 되었다. 둘째, 일제강점기에 한국인에 의해 종합적으로 제주 도가 이뤄졌다. 당시 일본 어용학자들의 제주도 연구 목적은 자원을 수탈하고 사회를 지배하기 위한 것이었으나, 석주명은 제주도 연구를 한국의 자태(姿態)를 밝히는 국학(國學) 연구의 연장으로 보았다. 셋째, 자연과학의 방법론을 인문사회 분야에도 적용하는 선례를 남겼다. 즉 나비연구에서 사용하는 통계, 분류, 분석 방법들을 방언연구, 인구조사, 문헌분류 등에서도 응용하였다. 그리 본 다면 석주명은 최근 화두가 되고 있는 학문융합의 선구자라 할 수 있다. 넷째, 석주명은 제주학 연구를 통해 통합학자가 되었다. 그는 제주도 연구 이전에는 한낱 곤충학자에 불과했지만, 제주도 연구를 거치면서 자연, 인문, 사회분야를 아우르는 통합학자로 성장했다. 석주명이 세상을 떠난 지도 60년이 지났다. 많이 늦었지만 석주명 학문 전체에서 그의 제주학 연구가 차지하는 위치를 입체적으로 조명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그리고 그동안 학문 전반에서 연구방법과 내용이 많이 달라졌고, 제주학 분야에서도 양과 질에서 상당한 성과가 나오고 있다. 그에 걸맞게 석주명의 제주학 연구에 대해서도 다양한 분야에서 좀 더 객관적이고 냉정한 평가가 이뤄져야 할 것이다. Seok Joo-myung(1908. 10. 17-1950. 10. 6) was the first man who became aware of the value of Jejudaum(Jejuesque or Jeju style). About sixty years ago he perceived that the nature and culture of Jeju Island is very peculiar and important. He insisted that Korean intelligent people have to collect the materials of Jeju Island and formulate a system of Jeju studies. He studied the culture as well as the nature of Jeju Island for himself, and compiled materials into Jejudochongseo(a series of Jeju Island Studies by Seok). The Jeju studies of Seok are significant as follows; First, Seok laid the foundation for Jeju studies. Jejudochongseo(a series of Jeju Island Studies) is the fundamental materials for Jeju studies. The materials are the almost original forms of the nature environment and human society of Jeju Island. For that reason he became a precursor of Jeju studies. Secondly, the nature and culture of Jeju Island was studied as a whole by Korean scholar during the latter part of Japanese Colonial Period. At that time the Japanese imperial government patronized scholar studied Jeju Island for the exploitation of its resources and the domination of Jeju society. But Seok investigated Jeju Island for the inquiring into the true state of Korea, and he regared it as projecting Korean studies. Thirdly, Seok applied methodology of natural science to the humanities and social studies. In other words he applied statistical and analytic method in butterfly-taxonomy to the dialect studies, the census, and bibliography. In that point, he was a precursor of the converging sciences. Fourthly, Seok occupied a position of integrating scholar owing to his Jeju studies. He was nothing but a noted entomologist before he had studied Jeju Island. But he became an integrating scholar who put together nature, humanity, and society since he had studied Jeju Island. Seok has been dead for sixty years. There is a need today to consider Seok`s Jeju studies from many angles in his whole studies. In the past sixty years many studies have changed their research methods, and Jeju studies have been rewarded with good fruits. We must estimate objectively Seok`s academic achievements from many sphe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