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국제 우주 정거장의 운용

        윤용식(Yoon, Yong-Sik),민경주(Min, Kyung-Joo) 한국항공우주연구원 2015 항공우주산업기술동향 Vol.13 No.1

        현재 운용되고 있는 국제 우주정거장은 미국, 러시아, EU 그리고 일본 등 전 세계 23개국의 참여 하에 구축되어 운영되고 있다. 국제우주정거장은 지금까지 구축된 가장 비싼 단일 우주 구조체이며, 계속해서 지구 궤도를 따라 운동하고 있다. 그리고 국제우주정거장에서는 우주비행사들이 장기 거주하면서 다양한 우주 관찰과 우주 실험을 수행하고 있다. 이를 위해 국제 우주정거장은 생명유지 장치, 전력 및 통신 시설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국제우주정거장의 운영에 대한 상황을 기술하였다. 그리고 국제우주정거장의 지원 시설, 거주 환경과 우주 파편으로 인한 위험 및 수리 현황 그리고 수명 등에 대해 기술하였다. International Space Station is built and operated with the participation of 23 countries worldwide, including the United States, Russia, EU and Japan, etc. The Space Station is the most expensive single-space structure so far, continues to move along the Earth"s orbit. And astronauts perform a variety of the observation and the experiment of space while long-term space habitation. The space station are consist of the life support system, the electric power system and the communication system, etc. This paper describes the situation for the operation, the support facilities, the living environments, the lifetime, and the threat caused by the space debris of the Space Station.

      • 국제 우주 정거장의 구성 및 설치 현황

        윤용식(Yoon, Yong-Sik),민경주(Min Kyung-Joo),김태경 한국항공우주연구원 2014 항공우주산업기술동향 Vol.12 No.1

        우주 정거장은 우주 공간에서 우주인을 지원할 수 있는 비행체로 우주인들의 체류 기간 연장 및 다른 우주비행체와 도킹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첫 번째 우주 정거장인 소련의 Salyut 1이 발사된 후 미국의 Skylab, 러시아의 Mir, 국제 우주 정거장 그리고 중국의 Tiangong이 차례대로 발사되었다. 현재는 ISS와 Tiangong 1, 2개의 우주 정거장만이 우주에 있다. 국제 우주 정거장은 우주에서의 실험실, 관측소 및 공장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Tiangong은 중국 우주 정거장의 구축을 위한 전초 기지 역할을 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전 세계 우주 정거장에 대한 현황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국제 우주 정거장의 구성 및 설치 현황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A space station is a spacecraft capable of a supporting a astronaut and is designed to remain in space for an extended period of time and for other spacecraft dock. After the first space station, Salyut 1 of Soviet Union was launched, the Skylab of U.S.A, the Mir of Russia, International Space Station and the Tiangong of China is sequently launched. Now, only two space station, ISS and the Tiangong 1 is in orbit. ISS is intended to be a laboratory, observatory and factory in space. Tiangong 1 is intended to be an advanced base to construct the space station of China. In this paper, the status for space station of overall world is considered. And the constitution and the installation status of ISS are described.

      • Facing battery issues when launching to the International Space Station

        Ji Hyun Park(박지현),Abhas Maskey(압하스),Vishnu Anand Muruganandan(비슈누),In-Seuck Jeung(정인석) 한국항공우주학회 2016 한국항공우주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6 No.4

        큐브위성의 경우, 프로젝트 기간 내에 발사를 하기 위해 모든 발사 방법에 대해 대비 하는 것이 중요하다. 큐브위성은 보통 다른 탑재체와 함께 발사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이 때 큐브위성 입장에서 선호되는 발사체로 우주에 나가는 경우는 찾기 힘들기 때문이다. 최근, 2012년부터 큐브위성을 국제우주정거장에서 발사하기 시작했으며, 최근까지 약 110개 이상의 큐브위성이 발사 될 만큼 국제우주정거장에서의 큐브위성 발사는 보편화 되었다고 볼 수 있다. 다만, 국제우주정거장은 유인우주프로그램으로 안전관련 요구사항이 추가된다. 본 논문은 국제우주정거장 관련 요구사항 중 배터리 요구사항을 중점으로 국제우주정거장 배터리 요구사항을 고려하지 않은 큐브위성의 문제점을 다룬다. SNUSAT-1 큐브위성을예로 국제우주정거장 배터리 요구사항이 만족하지 않은 경우와, 이 때의 문제점과 해결방안을 소개한다. SNUSAT-1 프로젝트 진행에 적합한 방안을 제시하고 그 결과 새로 개발된 배터리를 소개한다. For CubeSats, it is important to be ready for any type of launcher for a successful project timeline.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CubeSats are normally flown as a piggy back ride, so it is unlikely to find a sweet spot in which the launch conditions fit into the CubeSat design if the design does not implement various launchers. Since 2012, the International Space Station (ISS) has become one of the launch solutions, now having launched more than 110 CubeSats into orbit. However, due to the fact that ISS is a human flight program, extra safety requirements must be considered. This paper focuses on the battery requirements that must be taken into consideration, and specifically introduces a case where a CubeSat was not designed to be launched from ISS. The issues that occur when battery requirements are not met is dealt and a solution best meeting the CubeSat project situation is shared. As a result, a new battery board that utilizes ready existing deployment switch in order to meet the safety requirements is presented.

      • KCI등재

        국제우주정거장에서 수행된 한국우주식품 관능평가 결과분석

        강상욱(Sang-Wook Kang),최기혁(Gi-Hyuk Choi),이소연(So-Yeon Yi),김성수(Sung-Soo Kim),송범석(Beom-Seok Song),김재훈(Jae-Hun Kim),이주운(Ju-Woon Lee) 한국항공우주학회 2009 韓國航空宇宙學會誌 Vol.37 No.8

        본 논문에서는 한국우주인이 국제우주정거장에서 수행한 한국우주식품 10품목에 관한 관능평가결과를 분석하였다. 개인의 기호도 차이 때문에 관능평가 점수가 낮은 품목도 있었지만 대부분 높은 점수를 받았다. 해외우주인도 한국우주식품에 관하여 높은 평가를 하고 있어 향후 한국우주식품의 국제화 가능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유인우주탐사를 대비하여 한국우주식품의 품목 다양화와 우주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기능성을 갖춘 한국우주식품용 포장지 개발이 필요하다. We analyzed the result of sensory evaluation for the 10 items of Korean Space Foods performed by Korean astronaut in ISS. Although there were low score items because of the individual preference difference, Most items received the high score. Also, we can confirm the possibility of the internationalization of the Korean Space Foods because international astronauts gave the high valuation. we should develop the various space foods and food package which are easy to use in space for the human exploration in the future.

      • 마이크로중력 환경 활용 연소분야 우주실험 동향

        이종원(Lee, Jong-Won),이주희(Lee, Joo-Hee),김연규(Kim, Youn-Kyu) 한국항공우주연구원 2017 항공우주산업기술동향 Vol.15 No.1

        연소과학 분야에서 국제우주정거장(ISS)을 활용한 우주실험은 2008년부터 시작되어 현재에 이르기까지 약 10여년의 기간동안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연구를 통해서 ISS에서는 복잡한 연소 현상을 이해하고 다양한 사실들(연료의 기화와 산화제 수송, 연료 증발, 전도/대류/복사열 손실, 화학 반응속도 등)을 입증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왔다. 본 논문은 이러한 실험들에 대한 간략한 소개로써, ISS에서 진행되었거나 진행 중인 우주 연소실험 분야의 연구동향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국내의 연구자들이 마이크로중력 환경에서의 연소과학 분야에 대한 연구 필요성을 인지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For over past 10 years, scientists have been studying on combustion phenomenon to understand complex interaction of fuel vapor & oxidizer transport, fuel vaporization, conductive/convective/radiative heat loss and chemical kinetics on the International Space Station(ISS). In this paper, the overview and research trend of the combustion experiments which was conducted and is ongoing now on ISS is introduced and reviewed. Through this survey for combustion experiment in microgravity condition, it will be helpful to understand scientifically combustion phenomenon and to find considerable industrial importance.

      • KCI등재

        ISS에서 발사되는 큐브위성의 임무수명 및 충돌회피 분석

        염승용(Seung-Yong Yeom),김홍래(Hongrae Kim),장영근(Young-Keun Chang) 한국항공우주학회 2015 韓國航空宇宙學會誌 Vol.43 No.5

        큐브위성은 2003년 처음 발사된 이후로 지금까지 230기 이상이 발사되었다. 작은 크기와 가벼운 무게로 인해 발사비용이 저렴한 큐브위성은 일반적인 발사체의 남는 공간을 이용하여 발사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발사 방법은 주 탑재위성의 준비일정에 따라 발사 일정이 유동적인 단점이 있다. 이에 새로운 대안으로 정기적이고 발사횟수가 많은 국제우주정거장 물자수송 발사체를 이용하여 큐브위성을 ISS로 운송한 뒤에 로봇팔을 이용하여 발사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국제우주정거장에서 분리되는 방향과 각도에 따라 생성되는 큐브위성의 궤도를 분석하였다. 또한 분석되는 궤도에 따른 임무수명과 ISS와의 충돌 가능성을 분석하여 충돌 위험을 최소화하고 위성수명을 최대로 하는 최적의 로봇팔 각도를 계산하였다. Since the first Cubesat was launched in 2003, there have been more than 230 Cubesats launched so far. Due to their small size and lightweight, Cubesats were launched by utilizing the empty space of regular launch vehicle. However, this launch method has a weakness that has been easily affecting by the schedule of major payloads. As a new solution to this problem, it has been proposed that a robot arm installed on ISS would be used to launch Cubesats. The orbits of Cubesat deployed from the ISS in various angles and directions are analyzed in this paper. We also analyze the possibility of collision between the Cubesat and ISS within the operational orbit of the CubeSat and eventually calculate the optimal angle of a robot arm, which maximizes the lifetime of Cubesat and minimizes the risk of collision between the Cubesat and IS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