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기업형 지능형 에이전트의 속성 정의 및 사용자 경험 디자인 개발

        안지원(JeeWon Ahn),박성우(SungWoo Park),진서용(Seo Yong Jin) 한국HCI학회 2014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4 No.2

        본 연구는 기업 업무 환경에서 요구되는 지능형 에이전트의 속성을 정의하고, 기업형 지능형 에이전트의 가치를 전달할 수 있는 사업 분야 및 사용 사례를 발굴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Enterprise-Focused”, “Actionable”, “User-Centric”라는 속성을 정의하고, 이를 구현하기 위한 핵심 기술 영역을 도출하였다. 또한 정의된 속성과 핵심 기술 영역을 바탕으로 에이전트를 활용할 수 있는 사업 분야를 발굴하여, 임직원이 기업의 시스템을 손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에이전트를 데모 형태로 구현하였다. 이 에이전트는 실제 사용 중인 임직원 포털의 메신저 창에서, 사용자의 명령과 에이전트의 응답을 중계하며 사용자의 명령을 수행하도록 디자인되었다. This research aime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and technical requirements for intelligent agent that is dedicated for executing business functions. Another purpose of research was to discover business cases and corresponding use cases to effectively demonstrate the value of enterprise-focused intelligent agent. The result of research identified three main characteristics of intelligent agent, such as “Enterprise-Focused”, “Actionable”, and “User-Centric”. In addition, three core technological requirements were distinguished, to implement such enterprise-focused intelligent agent. After reviewing several business cases, overall results were applied to produce a demo of enterprise-focused intelligent agent that is specialized for supporting employees on an enterprise portal. In the demo, the intelligent agent was presented on an interface similar to an instant messenger embedded in the enterprise portal. Such intelligent agent was designed to help employees to make a full use of various administrative functions, by relaying the command from user and the response of agent.

      • KCI등재

        멀티에이전트 시뮬레이션(MAS)을 이용한 MML(Micro-Macro Loop)형 공급사슬의 설계 및 구현

        추봉성 ( Bong Sung Chu ),이홍걸 ( Hong Girl Lee ) (주)엘지씨엔에스(구 LGCNS 엔트루정보기술연구소) 2011 Entru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Vol.10 No.2

        다수의 이해관계자들이 복잡하게 얽혀 있는 공급사슬에는 수요와 공급기능을 둘러싼 가상의 사이클이 존재한다. 개별 에이전트(Supplier, Buyer)간의 미시적인(Micro) 경쟁 혹은 협력전략이 거시적(Macro)으로 공급사슬 전체의 수급기능에 영향을 미치게 되고, 이는 다시 개별 에이전트들의 전략으로 피드백되어 상호·반복적인 영향력 관계를 갖는 미시·거시적 루프(MML: Micro-Macro Loop)가 형성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요와 공급기능이 MML 형태를 이루는 공급사슬 모델을 제안하고, 멀티에이전트 시뮬레이션(MAS)을 통해 이를 구현하였다. 제안된 공급사슬 모델에서 각 에이전트들은 주어진 보수(Payoff)함수를 기반으로 상대방의 전략에 반응하는 미시적인 행동을 취하게 되며, 미시적인 영향을 통해 형성되는 공급사슬 전체의 수급관계, 즉 피드백 과정을 통해 형성되는 거시적인 영향관계에 따라 에이전트의 행동전략이 유인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또한, 제안한 MML형 공급사슬의 작동원리를 관찰하기 위해 에이전트의 우위전략의 변화과정을 비롯한 평균 보수의 변화과정, 그리고 공급사슬 전체의 수급관계가 균형을 이룰 때의 전략분포들의 변화과정을 시뮬레이션을 통해 검토하였다. 실험 대상으로는 학습(Agent with Imitative Learning Function)과 비학습 에이전트(Rule-based Zero Intelligence Agent) 2가지 형태의 에이전트를 사용하였다. There is a virtual cycle, called Micro-Macro Loop, to control a supply and demand in a supply chain which is an integrated network with various agents. That is, a microscopic competition or cooperation between agents affects a macroscopic supply and demand function of whole supply chain, and the agents` behaviors are affected from the whole supply chain through a feedback. We propose in this paper a MML type of supply chain, in which the agents who have two types of strategies, a supply or demand-priority strategy, and a behavior strategy, try to maximize their expected profits by a decision of the strategies for every simulation step. They play a game to get the pay in a micro loop, and have an opportunity for an extra pay or pay cut in a macro loop. We derive dominant strategies of the agents for every 100 simulation steps, in addition to dominant strategies when the supply chain reaches an equilibrium point, to observe the MML. To examine the presented MML type of supply chain, we carried out a simulation using multi-agents containing two types of agents: rule-based zero intelligence agent and agent with imitative learning.

      • KCI등재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Intelligent Agent System for Pattern Classification

        Kim, Dae-su,Park, Ji-hoon,Chang, Jae-khun,Na, Guen-sik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2001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Vol.11 No.7

        Recently, due to the widely use of personal computers and internet, many computer users requested intelligent system that can cope with various types of requirements and user-friendly interfaces. Based on this background, researches on the intelligent agent are now activating in various fields. In this paper, we modeled, designed and implemented an intelligent agent system for pattern classification by adopting intelligent agent concepts. We also investigated the pattern classification method by utilizing some pattern classification algorithms for the common data. As a result, we identified that 300 3-dimensional data are applied to three pattern classification algorithms and returned correct results. Our system showed a distinguished user-friendly interface feature by adopting various agents including graphic agent.

      • KCI등재

        IoT 환경의 스마트 에이전트를 위한 이더리움 블록체인 기반의 협업 워크스페이스

        진재환,엄현민,이명준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8

        In IoT environment, an intelligent agent is an autonomous entity with computing power that interacts with various things for specific purposes without human intervention. Recently, as the development of Internet technology has increased the size of resources and services that intelligent agents can utilize, an environment where intelligent agents can collaborate with each other is needed. To effectively support these changes, a method is needed to provide workspaces where intelligent agents can form various groups and collaborate on them. In this paper, we present TSpace which is an Ethereum-based group workspace for effective collaboration among intelligent agents. In TSpace, intelligent agents in IoT environment can use group service based on the Ethereum blockchain through the developed CoAP/RESTful web service. TSpace also introduces a new mechanism for managing Ethereum wallets of agents accessing group services and for creating Ethereum transactions using them. 사물인터넷 환경에서의 지능형 에이전트는 사람의 간섭 없이 다양한 사물들과 상호작용하여 특정 목적을 달성하는 계산 능력을 가진 자율적 개체이다. 최근 사물인터넷 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지능형 에이전트가 활용할 수 있는 자원이나 서비스의 규모가 커짐에 따라 지능형 에이전트들이 서로 간에 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환경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를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해서는 지능형 에이전트들이 다양한 그룹을 형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워크스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지능형 에이전트들 간의 효과적인 협업 환경을 위한 이더리움 기반 그룹 워크스페이스인 TSpace를 제시한다. TSpace에서는 개발된 CoAP/RESTful 웹서비스를 이용하여 사물인터넷 환경에서의 지능형 에이전트들이 이더리움 블록체인 기반 그룹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TSpace는 지능형 에이전트들이 이더리움 기반 그룹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이더리움 계정을 관리하고 이를 이용하여 이더리움 트랜잭션을 생성하는 새로운 기법을 소개한다.

      • KCI등재

        온톨로지에 기반한 지능형 에이전트의 설계

        이인근(In K. Lee),권순학(Soon H. Kwon)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008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Vol.18 No.3

        최근 온톨로지를 이용하여 지능형 에이전트의 지능을 구현하는 연구가 주목을 받고 있다. 그러나 온톨로지로 구현한 지능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지능의 활용 목적에 적합한 온톨로지 모델의 설계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지능형 에이전트가 특정 사건을 인식하고 반응하는 과정을 단계별로 표현한 ‘지능형 에이전트의 인지 사이클’을 정의한다. 그리고 온톨로지 기반의 지능형 에이전트를 설계하고, 온톨로지 추론을 통한 지능형 에이전트의 상태 변화, 감정 표현, 지능 확장이 가능한 온톨로지 모델을 제안한다. 또한, Helen이라는 지능형 에이전트를 구현하여 주변 환경과 상황에 따른 내부 상태의 변화를 확인하고 지능 확장의 용이성을 보인다. The realization of intelligence by using ontology is getting attention recently. However, it is necessary to design ontology models suitable to their purpose in order to use efficiently the intelligence realized by ontology. In this paper, we define a cognition cycle for intelligent agents representing a process that the intelligent agents recognize an event and react to it. Moreover, we design an ontology-based intelligent agent, and propose an ontology model that is possible to change the agent's states, to express its emotions, and to expand its intelligence through ontological inference. Finally, we develop an intelligent agent named Helen, confirm the change of her inner states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and situation, and show the easiness of the extension of her intelligence.

      • KCI등재

        지능형 에이전트의 커뮤니케이션 방식이 사용자의 제안 수용 의도에 미치는 효과

        강윤희,최시영,부수현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2024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Vol.25 No.1

        인공지능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자동적인 상황 판단과 능동적인 작업수행이 가능한 지능형 에이전트(Intelligence Agent)는 현재 다양한 상황에서 사용자를 보조해주는 개인 비서로서의 역할을 수행 하고 있다. 본 연구는 지능형 에이전트가 사용자의 의사결정이나 특정 목표 달성에 도움을 주는 조력자로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커뮤니케이션 방식에 따라 지능형 에이전트가 제공하는 제안 수용이 달라지는지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장기적 목표를 추구하는 과정에서 목표에 실패할 수 있는 상황을 두 가지로 구분하여 지능형 에이전트의 커뮤니케이션 방식이 제안 수용의도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부적합 행동 선택 상황에서 지능형 에이전트의 Don’t 커뮤니케이션 방식이 Can’t 커뮤니케이션 방식에 비해 제안 수용의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반면, 적합 행동 지연 상황에서는 두 방식 간 차이는 없었다. 본 연구는 장기목표 추구 상황에서 사용자가 목표에 부적합한 행동을 할 때 지능형 에이전트의 커뮤니케이션 영향을 확인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으며, 지각된 통제감을 기반으로 인공지능 비서의 제안에 대한 수용의도를 높일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방식을 밝혀냈다는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With the advance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intelligent agents capable of understanding natural speech, automatically assessing situations, and actively performing tasks are now serving as personal assistants in various contexts. Recognizing that intelligent agents serve as aides in decision-making and goal achievement, this study explores whether the acceptance of suggestions from these agents varies based on communication methods. Specifically, we investigated how an intelligent agent’s communication method affects intentions to accept suggestions in situations where the agent may struggle to achieve a long-term goal. The findings revealed that the ‘Don’t’ communication method of the intelligent agent was associated with a higher intention to accept suggestions compared to the ‘Can’t’ communication method in scenarios involving non-conforming behavior choices. However, there was no discernible difference between the two methods in situations where delayed action conforming to the goal was required.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underscores the impact of communication methods employed by intelligent agents when users engage in goal-inappropriate behavior during long-term goal pursuits.

      • KCI등재

        인공지능(AI)의 법인격 주체성의 논리적 기틀에 대한 기초 연구

        한희원 중앙법학회 2018 中央法學 Vol.20 No.3

        Generally speaking, a moral agent is a human being who has the ability to discern right from wrong and to be held accountable for his or her own actions owing to so called reason or rationality. For that reason moral agents have a moral responsibility not to cause unjustified harm to anyone in a society. However the newly emerging field of smart machine ethics is concerned with adding an ethical dimension to machines. So called artificial intelligence(AI) is intelligence demonstrated by machines, in contrast to the natural intelligence displayed by humans and other animals. As technology advances, some activities, once deemed as “human-only”, are performed by machines or artificial agents. As they accomplish more and more complex tasks, something more than complex computational capabilities are needed for artificial agents: some minimal moral capacities to decide about moral and ethics matters. Ultimately, the concept of an artificial moral actor or agent(AMA) emerged which requires ethics and new law. But can artificial intelligence agents consciously or really distinguish right from wrong? Anyway Sophia, an artificial intelligence robot who is recognized as the most humane robot, received citizenship in Saudi Arabia in 2017 and was invited to the United Nations Economic and Social Council(ECOSOC) for a panel. Nowadays artificial intelligence robots have already begun to live together with human beings. And then what is the reality of an artificial intelligence robot? Is consciousness the only distinction standard between animals, machines and humans? From a human-centered point of view, no matter how machine may be looks like or work similarly a human being, artificial intelligence robots can’t and should not be given moral subjectivity as inanimate objects because without consciousness nothing can be moral agent. However regarding to the consciousness, lots of opinions are based on the viewpoint of human control and supervision, and directly from the viewpoint of robot slaves which derive from the viewpoint of homo sapiens, in other words anthropocentrically. And then, is Homo sapiens the ultimate conqueror of the earth? What is essence of human consciousness and life? What is the basis and content of artificial moral agent(AMA)? Does it impossible to appear super artificial intelligence, ie Robo-Sapien as a Third Species? The ultimate goal of machine ethics, I believe, is to create a machine that itself follows an ideal ethical principle or set of ethic principles like theory of utilitarianism as well as consequentialism and virtue theory, etc. Those questions are the starting point of this paper. Therefore, in this paper I propose a model of artificial normative agency that accommodates some crucial social competencies that human being expect from artificial moral agents. And I tried to discuss the ultimate question of how the relationship between Homo sapiens and Robo-Safian will be located. Today's remarkable advances in science and technology may develop a third species in some day after technical singularities. Addition that in this paper, I want to share some legal and ethical issues about the ultimate reality of artificial moral agents(AMA), as well as the problems of legal education in artificial intelligence era for the discussion and leading study in the field of legal philosophy. 미래 과학기술문명의 정점을 이룰 것으로, 제4차산업혁명의 쟁점으로도 이미 등장한 인공지능(AI)에 대해 법학계의 관심도 증대하고 있고, 법률논문에도 인공지능 주제가 등장하기 시작했다. 물론 대개는 자율주행차와 지적재산권 관련 쟁점을 다루는 논문이다. 그러나 법학이 인공지능(AI)과 관련되어 원초적인 역할을 다하려면 인공지능의 궁극적인 모습인 인공적 도덕행위자에 대한 이해가 수반되어야 하고 그것은 결국 인공지능(AI)의 법인격주체의 문제로 귀결된다. 이를 위해서는 인공적 도덕행위자 논쟁이 결국 법규범과 도덕윤리에 기초한 것임을 인식해야하고, 호모 사피엔스의 고유한 특성으로 말해지는 영혼, 의식, 자유의지에 대한 이해가 따라야한다. 이미 가장 인간다운 인공지능 로봇으로 평가되는 소피아(Sophia)가 2017년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시민권을 발급받았고 유엔경제사회이사회(ECOSOC)에 토론자로 초청받았다. 인공지능은 이미 인간 생활 전반으로 파고들며 인간과의 동거를 시작했다. 과연 인공지능 로봇의 궁극적인 실체는 무엇일까? 인간 중심적인 시각에서는 아무리 인공지능이라고 하더라도 로봇은 창의성이나 감각, 궁극적으로는 생명과 의식이 없는 무생물로 분류될 것이다. 본고의 문제의식의 출발점은 바로 여기에 있다. 그러나 인공지능에 대한 현재까지의 연구는 의식을 사물과 인간을 분별하는 유일한 기준으로 보는 한 그것이 법학이건, 철학이건 공학이나 경제학의 관점에서건 호모 사피엔스 중심적 관점에서 인간의 통제와 감독대상, 직설적으로는 로봇노예의 시각에 입각할 수밖에 없다는 사실을 부인하기 어렵다. 포스트휴머니즘, 사이보그 인간, 강인공지능의 담론은 모두 인간 중심적 한계에 있다. 그러나 오늘날 눈부신 과학기술의 발전은 기술적 특이점 이후에 등장할 제3의 종(種) 논쟁을 유발한다. 이에 본고는 법조문의 천착을 주된 관심사로 하는 법학에는 매우 생소하게 보일 수 있는데, 인공적 도덕행위자(Artificial Moral Agent)의 궁극적 실체와 함께 그에 따른 법적ㆍ윤리적 쟁점을 고찰하고자한다. 그리고 인공지능시대의 법학교육에 대한 고민을 살핀다. 본고는 호모 사피엔스가 궁극적인 지구의 정복자이고 완결자일까? 의식이나 생명이란 과연 무엇인가? 단적으로 인간이외에 인공적 도덕행위자(AMA)를 인정할 근거와 그 내용은 무엇일까? 제3의 종으로서 인공지능 로보-사피엔스는 출현할 것인가? 그럴 경우에 호모사피엔스와 로보 사피엔스의 관계는 어떻게 위치 지을 것인가? 그 경우에 법과 윤리는 과연 무엇을 해야 하고 할 수 있는가? 라고 하는 질문들에 대한 고찰로 법학 담론의 외연확대에 일조하고자 한다.

      • Research on Dynamic Intelligent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for Distributed Generation Systems Based on Multi-Agent Techniques

        Tieyan Zhang,Silin Wang,Meijun Li 보안공학연구지원센터 2016 International Journal of u- and e- Service, Scienc Vol.9 No.8

        Distributed renewable energy generation is lack of intelligent information processing and decision-making section. The above problems can be solved effectively by the means of intelligent information processing technology based on the dynamic structure of multi-agent for distributed renewable energy.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less data and poor information, this paper puts forward fuzzy hyperbolic model and attempts to use dynamic intelligent information processing technology based on multi-agent to change the unreliable, inaccurate information into be full, reliable and accurate. And then the information we have obtained could be intelligent fitted, filtered and decided. The self-organizing self-learning and reasoning ability of multi-agent are considered when the information processing. The intelligent information processing section is comprised of three layers and two kinds of agents. The two kinds of agents are Bus Agents and Coordination Agents, and the three structural layers are the data layer, the filter layer and the policy making layer. Moreover the information have been processed could be utilized.

      • Agent 기반의 센서 구조 설계

        임선종(S. J. Lim),송준엽(J. Y. Song),김동훈(D. H. Kim),이승우(S. W. Lee),이안성(A. S. Lee),박경택(K. T. Park),김선호(S. H. Kim) 한국정밀공학회 2004 한국정밀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04 No.10월

        Since the 1990s, the advancement of semiconductor technology has resulted in the development of microprocessor technology, auxiliary computer technology, and application technology such as intelligent algorithms (neural network, fuzzy, etc.). These based the development of intelligent machines. An agent is autonomous software that recognizes environment, exchanges knowledge with other agents and makes decisions. We designed agent-based sensor structure. For the purpose, first, it modeled the function of an intelligent machine. Second, it designed sensory function on the agent level.

      • KCI등재

        스마트 폰 사용자의 개인화 모델을 위한 다중 에이전트 시스템

        김상희,박덕원 한국지식정보기술학회 2013 한국지식정보기술학회 논문지 Vol.8 No.1

        This paper proposes a multi-agent system for personalization model on smart phone that is composed synchronization agent, intimity measure agent, stress measure agent, emotional states agent, index measure agent, communication agent, behavior agent and monitoring agent. It extracts and infers current user’s situation information from archive history data of smart phone that are call and messages, uses of application, schedule, phone directory etc. And it would provide various personalized services of current situation to smart phone user. Extension of this work are focused on developing additional personalized services, including experiments and simulations from various cases on smart pho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