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中国高校教师赴韩国留学对中国高校国际化的影响

        김려 ( Jin Li ),이권호 ( Lee Kwon-ho ) 국민대학교 중국지식네트워크 2023 중국지식네트워크 Vol.21 No.-

        한중 양국은 1992년 수교 이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교육 등 각 분야에서 긴밀한 교류· 협력 관계를 구축해왔다. 교육 분야의 교류를 살펴보면, 한중 모두 상대국에서 온 유학생 수가 절대적 우위를 점유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등으로 비록 전체적인 유학생 수는 줄었지만, 중국 학생들의 한국 유학 열정은 식지 않고 있다. 특히 박사학위 취득을 위한 중국 대학교수의 한국 유학 비율은 계속 증가하고 있다. 대학의 국제화는 대학 경쟁력 측정의 중요한 지표이다. 대학교수는 교육, 연구 및 봉사를 통해 대학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유학을 통한 선진 교육 체제의 학습을 통해 대학의 국제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연구는 중국 대학교수의 한국 유학이 중국 대학의 국제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한국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한 10명의 중국 대학교수들을 선정하여 심층 면담을 진행했다. 심층 면담의 핵심은 유학한 교수들의 교육, 연구, 봉사활동 영역에서의 성과와 국제화와의 관계를 밝히는 내용으로 구성했다. 결론적으로 중국 대학교수의 한국 유학이 대학의 교육과정과 인재양성, 연구 및 봉사의 영역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대학의 국제화를 촉진하게 된다는 것을 밝히게 되었다. Since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s in 1992, Korea and China have established close exchanges and cooperative relations in various fields such as politics, economy, society, culture, and education. Especially when speaking of education, the number of international students from each other countries occupied the absolute advantage in both Korea and China. Although the overall number of international students has decreased due to the COVID-19 , Chinese students' enthusiasm for studying in Korea has not cooled down. In particular, the proportion of Chinese university teachers studying in Korea to obtain a doctorate degree continues to increase. The internationalization of universities is an important indicator of university competitiveness. University teachers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universities through education, research, and service, and directly affect the internationalization of universities through learning of an advanced educational system abroad. In order to analyze the influence of Chinese university teachers studying in Korea on the internationalization of Chinese universities, this study selected 10 Chinese university teachers who obtained doctorate degrees in Korea and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The core of the in-depth interview consisted of reveal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formance of teachers who studied abroad in the fields of education, research, and service and internationalization. In conclusion, it was revealed that Chinese university teachers' study in Korea has a positive influence on the university's curriculum, talent development, research and service, and promotes the internationalization of universities.

      • KCI등재

        외국어로서 중국어교육 실습교사의 자기 효능감, 기술 수용성, 자기 성찰이 TPACK(테크놀로지 교수내용지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주이,김경이 대학교육개발센터협의회 2023 대학 교수-학습 연구 Vol.16 No.3

        The recognition that the use of EdTech in teaching methods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has been spreading. This trend has also extended to the field of Chinese language education, with a focus on the development of teachers' TPACK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mpact of teachers' self-efficacy, technological acceptance, and self-reflection on TPACK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mong pre-service teachers who will teach Chinese as a foreign language. The goal is to identify the influencing factors for the adoption of teaching methods using EdTech. As a research metho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PACK, self-efficacy, technological acceptance, and self-reflection as variables to analyze their correlations. The analysis results showed a significant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PACK, self-efficacy, technological acceptance, and self-reflection perceptions. It was found that the self-efficacy of pre-service teachers had a positive impact on TPACK, indicating that higher self-efficacy among pre-service teachers was associated with higher TPACK levels. Similarly, higher levels of technological acceptance among pre-service teacher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higher TPACK levels. Regarding the moderating effect in the self-reflection variable, it was found that pre-service teachers' self-efficacy significantly moderated the effect on TPACK levels, strengthening the relationship. Therefore, to enhance the teaching competency of pre-service teachers teaching Chinese as a foreign language, it is essential to improve their TPACK levels. To achieve this, teacher training and government support are recommended as necessary steps.

      • KCI등재

        汉语教职课程的相关问题分析及研究

        钱兢 한중인문학회 2019 한중인문학연구 Vol.65 No.-

        본 논문은 한국 소재 4년제 대학교에서 운영하고 있는 중국어 교직 과정을 연구대상으로, 관련 대학교 홈페이지에 있는 인터넷 자료와 필자가 가르치고 있는 ‘중국어 교재 연구 및 지 도법’ 등 교직 과목을 통하여 수집한 데이터로 연구 분석을 하였습니다. 본 논문은 제2장에서 먼저 사범대학과 교원대에서 이루어지는 중국어 교직 과목의 강의 목표, 강의 방식 및 내용, 개설한 교직 교과목 수량, 중등학교 교육 현장과의 연관성 등 몇 가지 측면에서 조사해 논의합니다. 그리고 논문의 제3장에서는 비사범대 중국어 교직 과정의 문제점을 파악해 이에 대한 개선점을 모색하려고 합니다. 끝으로 제4장 맺음말 부분은 본 논 문의 마무리가 될 것입니다.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중국어 교직 과목을 더 발전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 비사법대에서 중국어 교직 과목을 가르치는 교수님들과 공유하는 것입니다. 교직 필수 과목은 동시에 중어중문학과의 전공 강의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강의 효과는 일반 수강생들의 전공 선호도와 선발된 교직 이수자의 교직 기대감에 모두 영향을 미칩니다. 본 논문은 효율적으로 교직 과목의 수업 구성과 진행 방식을 설계함으로써 중어중문 교원 양성 과정의 질적 향상과 더 발전적인 변화 방향을 도모하고자 합니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teaching process of Chinese Language and Literature and Teaching, which is operated by a general 4-year university in Korea. I analyzed the students using the data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surveys of students teaching Chinese Textbook Research and Guidance. Based on the student's opinion, I will found a problem of teaching process in the Non-teachers college and I'm looking for improvement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a way to develop a Pre-Service Teacher Training Course of Chinese Language and it is to share with professors teaching Chinese teaching subjects in Non-teachers College. Teaching compulsory subjects are also majors in Chinese Language and Literature. Therefore, the effectiveness of the lectures will affect both the student's general preferences and the expectations of the selected teachers. This paper discusses several aspects such as teaching objectives of Chinese Teaching Subjects, teaching methods and contents, quantity of teaching curriculum opened, textbooks used, and relevance to Secondary School Education etc. By efficiently designing teaching structure and progress of teaching courses, we aim to improve the quality of Teaching Subjects in Chinese Language and Literature, and to make further change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