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프로젝트 거버넌스와 편익관리가 프로젝트 성과에 미치는 영향

        용환성,부제만,김승철 한국엔터프라이즈아키텍처학회 2019 정보기술아키텍처연구 Vol.16 No.1

        As the main focus of corporate strategy moves to value creation from goods production it becomes more important for business forms to realize concrete benefits from their projects.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how the project governance and benefit management affect the success of the project. Project governance consists of portfolio direction, sponsorship, project management capability and reporting, and benefit management is made up of benefit planning, benefit review, and benefit implementation. Based on the research model, the hypotheses are tested through questionnaire and SEM analysis. As a result, it is analyzed that the sponsorship of project governance influences on the benefit plan, benefit review, and benefit implementation. In particular, the benefit plan and benefit review among the benefit management is analyzed to be closely related to project management success and project objective success each. This paper introduces the concept and framework of project governance and benefit management in Korea academically and practically introduces project governance framework and benefit management into the enterprises to produce valuable result of project. 기업의 전략이 제품의 생산에서 가치 창출로 바뀌면서 프로젝트 결과물의 편익 창출이 중요하게 되었다. 프로젝트 성과 향상과 편익창출을 위해 기업의 전략과 프로젝트들을 연계하기 위한 중요한 프레임워크로 프로젝트 거버넌스와 편익관리가 주목받고 있으나, 여전히 많은 기업들이 선택한 프로젝트들은 기업의 전략과 동떨어져 수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업의 프로젝트 거버넌스와 편익관리 기능이 프로젝트의 성공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하였다. 프로젝트 거버넌스를 포트폴리오 감독/지시, 스폰서십, 프로젝트 관리 역량 및 정보보고를 사용하였고, 편익관리의 하위 개념으로는 편익계획, 편익검토 및 편익구현을 고려하였다. 연구 모형을 기반으로 설문조사와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통해 가설을 검정하였다. 연구 결과 프로젝트 거버넌스의 스폰서십이 편익계획, 편익검토 및 편익구현에 모두 영향을 미치는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편익관리 기능 중 편익계획은 프로젝트 관리 성공에 편익검토는 프로젝트 목표 성공 모두에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논문은 학문적으로는 국내에 프로젝트 거버넌스와 편익관리에 대한 개념과 프레임워크를 소개하고, 실무적으로는 프로젝트가 가치있는 결과를 산출하기 위해서 프로젝트 거버넌스 프레임워크와 편익관리가 기업 내에 도입하는데 있다.

      • KCI등재

        프로젝트관리 방법론 도입에 대한 행동경제학적 영향 : Coupling과 Heuristic 관점으로

        노혜영,김건무,김승철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18 경영컨설팅연구 Vol.18 No.4

        This study solves the reasons of irrational choice of adopters from the perspectives of behavior economics with coupling and heuristic in introduction of project management methodology. There are many researches on the project management methodology such as project management performance and project management maturity. However,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the behavioral intent before introducing the project management methodology. Therefore, we have studied how the benefits and costs of adopting the methodology affect the intention to introduce the project management methodology. This study clarifies the behavioral economic impacts of introducing project management methodology based on previous studies on existing couplings and heuristics, This study considers ‘Perceived Benefit’, ‘Perceived Cost’, ‘Coupling’,‘Anchoring and Adjustment Heuristic’, ‘Representative Heuristic’, ‘Availability Heuristic’ and ‘Intention to Introduce’ as key variables. The research model of this study was verified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hrough 129 survey questionnaires sent to person who is using the project management methodology.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perceived benefits had a negative impact on the coupling and that the person was more likely to associate with a perceived cost than perceived benefit. That is, it is more cost sensitive than the benefit in coupling. Second, Perceived costs have a strong correlation and a negative impact on the intention to introduce. The stronger the coupling, the lower the intention to introduce. Third, Heuristic acts as a moderating variable on the influence of coupling on the intention to introduce. In other words, not only the benefits and costs, but also your own standards, representative characteristics, and recent experience affect decision making.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is verifying irrational decision making on the intention to introduce a project management methodology from a behavioral economics perspective. 연구는 프로젝트 방법론을 도입하는 데 있어 도입주체의 비합리적인 선택의 이유를 커플링과 휴리스틱을 중심으로 행동경제학적 관점에서 풀어보고자 한다. 프로젝트관리 성과나 프로젝트관리 성숙도 등 프로젝트 관리 방법론 도입 이후에 대한 연구는 다수 존재하고 있으나, 프로젝트관리 방법론 도입이전의 행동의도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프로젝트관리 방법론 도입 이전에 방법론의 도입이 가진 편익과 비용이 도입의지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커플링과 휴리스틱에 대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프로젝트관리 방법론 도입에 대한 행동경제학적 영향을 밝히고자 ‘자각된 편익’, ‘자각된 비용’, ‘커플링’, ‘기준점과 조정 휴리스틱’, ‘대표성 휴리스틱’, ‘가용성 휴리스틱’, ‘도입의지’를 핵심변수로 구성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프로젝트 관리 방법론을 사용자를 대상으로 한 129부의 설문을 통해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구조방정식 분석, 조절회귀 분석을 시행하여 본 연구의 연구모형을 검증하였다. 주요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각된 편익이 커플링에 부의 영향을 주고 있으며, 사람은 자각된 편익보다 자각된 비용에 더 연결 지어 생각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커플링에 있어서 자각된 편익보다 비용에 더 민감하다. 둘째. 자각된 비용은 커플링을 강하게 일으키면서 도입의사에 부의 영향을 미친다. 커플링이 강할수록 도입의사는 낮아진다. 셋째. 휴리스틱이 커플링이 도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조절효과로서 작용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자각된 편익과 비용뿐만이 아닌 자신만의 기준이나, 대표적 특징, 최근 경험이 의사결정에 영향을 준다. 본 연구는 프로젝트관리 방법론 도입의지에 있어서 비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행동경제학적 관점에서 검증했다는 점에서 연구의의가 존재한다.

      • 중증장애인직업재활지원사업 효율성 분석

        변경희 ( Byeon Kyeong Hui ),김규한 ( Kim Kyu Han ),강동욱 ( Kang Dong Uk ),유병주 ( Yu Byeong Ju ) 한국장애인개발원 2012 장애인복지연구 Vol.3 No.1

        The ultimat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rely on an analysis of expenses of the Project for Occupational Rehabilitation Support for the Serious Disabled and its cost-benefit analysis to provide measurement of net cost-benefit, societal value and economic efficiency which this project gives back to society and finally to achieve the Project's efficiency and validity. In order to attain this purpose, the research carried out a documentary survey, a questionnaire-based survey, an interview with a focused group, and a cost-benefit analysis. The survey of the cost-benefit analysis of the 2008-2010 project revealed that the cost benefits in 2008, 2009 and 2010 were 1.80, 2.03, and 2.13, respectively, an indication that this project is of significant economic efficiency. In plain language, when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invested “1” on the Project for Occupational Rehabilitation Support for the Serious Disabled, in 2008, the Project brought about an affirmative effect of 1.8 times; in 2009, it caused an affirmative effect of 2.03 times; and in 2010, it had an affirmative effect of 2.13 times. In addition, the questionnaire-based survey and the survey through an interview with a focused group told that it is necessary to make a communicative system for the Project and develop a computational system for generally controlling and managing the Project so as to enhance its efficiency.

      • KCI등재

        정보화 사업의 편익 추정 프레임워크 개발 : 정보화부문 예비타당성조사를 중심으로

        이충훈(Chung hun Lee) 한국IT서비스학회 2018 한국IT서비스학회지 Vol.17 No.3

        In order to promote the IT business efficiently, the Preliminary Feasibility Study has been conducted since 2004. It is to verify the feasibility of a large-scale IT project in advance and to determine whether to reflect the budget. It is more difficult to analyze the benefits of the IT project than other projects, because the IT project is carried out by combining tangible and intangible assets and human resources. For this reason, the Standard Guideline for Preliminary Feasibility Study in the IT field suggests a framework to support in estimating the benefits of the IT project. However, it includes the following problems : 1) level discrepancy among the benefit categories, 2) lack of types of benefit items, 3) no consideration of benefit inducing factors. So the framework is facing a low utilization. This study develops a new framework through a three-step research process. The new framework can be used not only for preliminary feasibility studies but also for estimating the benefits of general IT projects.

      • KCI등재

        연구개발 프로젝트 성과 결정요인 분석

        이용규(Yongkyu Lee),김승철(Seung-Chul Kim),이태원(Taewon Lee),최성용(Sungyong Choi) 글로벌경영학회 2023 글로벌경영학회지 Vol.20 No.3

        전 세계 수많은 기업은 R&D(연구개발)를 전략적 수단으로 활용하여 경영성과를 달성하고 경쟁력을 높이는 데 집중하고 있다. 성공적인 R&D 성과는 산업 발전과 기업의 경쟁력 강화로 이어지는 장점이 있지만 대외 환경, 정책적, 기술적, 조직적 요인 등 높은 투자 불확실성과 리스크가 존재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업에서는 R&D 프로젝트를 다양한 목적 달성을 위해 수행하며, 이에 대한 체계적이고 전략적인 관리 역시 기업 차원의 성공을 위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상황을 배경으로 R&D 프로젝트에서의 리스크관리와 편익관리가 프로젝트의 세부적인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와 함께, 최근 기업들의 주목을 받는 지속가능경영 방법인 ESG 경영이 R&D 분야에서 프로젝트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분석을 추가로 수행하였다. 연구를 위해 기업, 연구기관, 대학교에서 R&D 프로젝트에 참여 경험이 있는 응답자를 설문 대상으로 선정 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해당 데이터를 활용한 통계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통해 프로젝트 리스크관리는 프로젝트 관리 성과 및 목표달성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미래지향성과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편익지속성 관리는 프로젝트의 미래지향성과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점을 확인하였으며, 추가로 수행한 분석에서는 R&D 분야에 있어 ESG 경영 중 환경(E)부문은 리스크관리 및 편익관리와 프로젝트 성과 사이에서 조절 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실증 분석을 통해 기업이 R&D 프로젝트의 수행 과정에서 여러 세분화된 프로젝트 관리 요인에 대한 관리 활동을 통하여 성과를 거둘 수 있음을 검증하였으며, 지속가능경영 활동인 ESG의 세부 구성 요소 중에서 R&D 분야에 적용할 경우 성과를 도출할 수 있는 요소를 실증 분석을 통하여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있다. Many companies are focusing on enhancing competitiveness and contributing to business performance by R&D as a strategic tool. Successful R&D performance leads to industrial development and corporate competitiveness enhancement, but there are high risks in R&D investment due to the influence of external environment, technology, and organizational factors. R&D projects are carried out to achieve various purposes, and after all, systematic and strategic execution is important. It was verified how the risk management and benefit management of the R&D project affect the detailed performance of the R&D project. The additional impact of ESG management, which has become a hot topic in corporate management, on project performance in the R&D field was also analyzed. In this study, those who have participated in R&D projects at companies, research institutes, universities were surveyed and analyzed. First, it was found that R&D project risk management has partially an effect on project management performance and goal achievement, but has no effect on future-oriented performance. Second, benefit sustainability management had an impact on the future-oriented performance of the project. Third, E(environment) among ESG in the R&D field showed a moderating effect between risk management, benefit management and project performance. It was confirmed that it is possible to achieve results by utilizing various subdivided project management factors to derive long-term performance of R&D projects. Among ESG management activities as sustainable management, management activities that can be applied to the R&D field were demonstrated in practice.

      • KCI등재

        지방재정투자사업 타당성조사 시 지방공공재의 시장영역 설정: 수원수목원 조성사업을 사례로

        엄영숙,김진옥 한국지방재정학회 2017 한국지방재정논집 Vol.22 No.3

        Benefits for local public investment projects that generate non-market and intangible services may be measured as the sum of the willingness to pay (WTP) for beneficiaries of target population. Unlike the preliminary feasibility study for the national public project, benefits of local public goods depends on the scope of geographical extent of market of beneficiary group as well as individual WTP estimates obtained by applying the conditional valuation method (CVM) in the feasibility study of the local investment project. Treating the administrative districts of local governments as the extent of market has possibilities of either underestimate or overestimate of total benefits. This study applied a zonal travel cost method and empirically estimated the extent of market for the Suwon arboretum to be within 30 km from the Ilwol Park. The Ilwol park visitation data, which is currently operated as a urban park, was obtained in the CVM survey which was conduced as a part of the feasibility study. Furthermore, to define the target population which includes the beneficiaries within 30 km from the Ilwol park, we used two different types of beneficiary groups-potential visitors who are aged 18 or older and potential visitors of all residents including children, Although applying the same individual WTP, the estimates of annual total benefits of the Suwon Arboretum project differed more than 7 times according to how to define the target population. 비시장적・무형적 서비스를 창출하는 지방재정투자사업에 대한 총편익은 국가재정사업과는 달리 조건부가치측정법(CVM)을 적용하여 얻어지는 표본 지불의사의 측정과 아울러 수혜자 집단의 지리적 범위를 정하는 시장영역의 설정 또한 중요하다. 사업주체인 지방자치단체의 행정구역을 시장영역으로 보는 것은 과소 혹은 과다 측정의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는 도시공원 내에 수목원이 추가적으로 조성되는 수원수목원 조성사업 타당성 조사의 일환으로 수행된 CVM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한 일월공원의 방문경험 자료를 바탕으로 지역별 여행비용접근법을 적용하여 사업대상지로부터 30km이내를 시장영역으로 설정하였다. 나아가서 목표 모집단을 정의하기 위해 시장영역 내 수혜자들을 CVM 설문의 지불주체인 18세 이상의 주민들 중 잠재적 방문자들만 포함하거나 또한 지불주체는 아니지만 방문가능성 높은 어린이들을 포함하였다. 개인별 지불의사는 같더라도 시장영역과 수혜자들이 어떻게 정의되느냐에 따라 수원수목원 조성사업에 따른 연간 총편익은 최대 7배 이상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한국 농업 관개배수사업의 경제성 평가를 위한 지표 개발 -한국과 일본의 사례를 중심으로-

        백승우,정안성,Baek, Seung-Woo,Jeong, Ahn-Seong 한국유기농업학회 2013 韓國有機農業學會誌 Vol.21 No.4

        This study has performed comparative analysis on benefit indicators in agricultural irrigation and drainage project cases between Korea and Japan. The irrigation and drainage project with publicity should do economic analysis of direct benefit factors as well as indirect benefit factors. However, traditional economic evaluations are used that benefit factors are lack of consistency and focused on direct benefit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indicators for the economic evaluation of irrigation and drainage projects. We conducted a case study between Korea and Japan. The resulting benefit factors was divided into direct factors and indirect factors. The direct benefit factors were increase in income, cost savings. The indirect benefit factors were protection of property due to flooding, agricultural promotion, aesthetic improvement.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that the indicators of economic analysis can be evaluated and easily applied. Moreover, these indicators could promote the feasibility of economic analysis.

      • Economic evaluation of environmental epidemiological projects in national industrial complexes

        Youngchul Shin 환경독성보건학회 2017 환경독성보건학회지 Vol.32 No.-

        In this economic evaluation of environmental epidemiological monitoring projects, we analyzed the economic feasibility of these projects by determining the social cost and benefit of these projects and conducting a cost/benefit analysis. Here, the social cost was evaluated by converting annual budgets for these research and survey projects into present values. Meanwhile, the societal benefit of these projects was evaluated by using the contingent valuation method to estimate the willingness-to-pay of residents living in or near industrial complexes. In addition, the extent to which these projects reduced negative health effects (i.e., excess disease and premature death) was evaluated through expert surveys, and the analysis was conducted to reflect the unit of economic value, based on the cost of illness and benefit transfer method. The results were then used to calculate the benefit of these projects in terms of the decrease in negative health effects. For residents living near industrial complexes, the benefit/cost ratio was 1.44 in the analysis based on resident surveys and 5.17 in the analysis based on expert surveys. Thus, whichever method was used for the economic analysis, the economic feasibility of these projects was confirmed.

      • KCI등재

        공공투자사업 경제성 분석의 한계와 개선방안 - 새만금 간척사업을 사례로

        최미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2002 國土計劃 Vol.37 No.5

        The choice of big public investment project needs an appropriate feasibility analysis before it is implemented, because a not wisely chosen one would bring about big and longrun social costs. But the feasibility analysis for the big public investment project in Korea has been done without linking the economic benefits and environmental damages. Consequently social conflicts arose frequently during and after project implementation, owing to such concerns as increasing costs and serious ecological damages. The recent social conflict over the Saemangeum Project is the typical case. This reclamation project began in 1991 and finished 60% of the whole process in 1999, when its feasibility was again assessed under the public pressure by the joint assessment team consisting of both citizen' and government' professionals. Even the assessment report by this joint team could not show the convincing results owing to the improper assessment procedure and failure to set proper feasibility criteria. This paper points out the limits of our current procedure of feasibility assessment and identifies the concrete problems that arose during the recent reassessment process of the Saemangeum reclamation projects by the joint team. In order to improve the current problem-ridden practices, it is concluded by the policy recommendation for establishing a right feasibility assessment procedure for the public investment projects.

      • KCI등재

        섬 지역사회 이익공유에 대한 고찰 - 마을공동사업을 통한 공유재 활용 사례와 과제 -

        황재희 한국도서(섬)학회 2022 韓國島嶼硏究 Vol.34 No.4

        This study examines benefit-sharing measures to contribute to the revitalization of island communities. The theoretical analysis proceeds through extensive literature reviews on the commons and benefit-sharing theories and the commons-related attributes of local resources in islands. The case analysis focuses on Purple Island (Banwoldo and Parkjido) and Imjado in Sinan-gun, Jeollanam-do, concentrating on generating and distributing profits through village joint projects and implications. Based on the analysis, benefit sharing in island communities indicates the process and result of distributing direct profits and indirect benefits generated from marine use at a level commensurate with the cost of the local community. It coincides with materializing the distributive justice of island spatial resource utilization with common property. It also means distributing the associated benefits so that the socioeconomic costs of negative externalities do not lead to the stagnation of island communities that serve a public function. In the case analyzed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community projects on tourism were operated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cooperatives and corporates in the island region. The profits were distributed according to the participation rate and ownership share. This study suggests five tasks for benefit sharing in the island community. First,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scope of the local community participating in the benefit sharing within the island. Second, the capacity building of the community is required to enhance understanding of the method of participating in the project and sharing benefits. Third, the social capital of the island community should be utilized by institutional and non-institutional means to establish a sustainable benefit-sharing system. Fourth, a particular portion of the profits generated from marine use should be invested in community projects for sustainable coexistence. Lastly,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policy support to solve the problems of island communities by establishing the roles of local governments and regional plans. 본 연구는 섬 지역사회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는 이익공유 방안을 고찰한다. 세부적으로 섬의 공유재와 이익공유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분석하고, 섬에서 추진하는 이익공유 사례와 주요 쟁점을 다룬다. 이론 검토는 공유재와 이익공유 이론, 섬 지역자원의 공유적 속성에 대한 광범위한 문헌연구를 통해 진행한다. 사례 분석은 전라남도 신안군의 퍼플섬(반월도와 박지도) 및 임자도를 대상으로, 마을공동사업을 통한 수익 창출과 분배 방식, 시사점을 중점적으로 살펴본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섬지역 이익공유는 해양이용에서 발생한 직접 수익과 간접 효용을 지역사회의 비용과 부합하는 수준에서 분배하는 과정 및 결과를 의미한다. 공유재적 속성을 지니는 섬 공간자원 활용의 분배적 정의를 실현하는 개념과 합치되며, 부정적 외부효과로 인한 사회경제적 비용이 공익적 기능을 수행하는 섬 지역사회의 침체로 이어지지 않도록 관련 이익을 분배하는 것을 뜻한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사례에서는 섬지역 내 조합ㆍ법인 설립을 통해 관광사업 중심의 마을공동사업을 운영하고, 참여율 및 지분율에 따라 수익을 분배하는 방식을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섬 지역사회 이익공유의 과제를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첫째, 섬 내 공동체 단위의 이익공유를 위해서는 이익공유에 참여하는 지역공동체의 범위를 명확히 규정할 필요가 있다. 둘째, 섬 지역사회의 특성을 반영하여 공동체의 역량 강화를 통해 사업참여와 이익공유 방식에 대한 이해를 제고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섬 지역공동체의 사회자본을 활용한 지속가능한 이익공유 체계 구축을 위해 제도적 수단과 비제도적 수단을 병행하여 활용할 필요가 있다. 넷째, 해역이용을 통해 창출한 수익을 섬지역 공동사업을 위한 비용으로 활용하는 것도 지역공동체와의 지속가능한 상생을 위한 주요 대안이다. 마지막으로 지방정부와 지역계획의 역할 정립을 통해 섬 지역사회와 지역공동체의 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적 지원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