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박창화, 『화랑세기』 필사자에서 역사학도로

        김태식(Kim, Tae-sik)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7 한국고대사탐구 Vol.27 No.-

        필사본 『화랑세기』를 둘러싼 진위 논쟁은 1989년 소위 ‘拔萃本’ 출현을 기점으로 몇 차례 분기 설정이 가능하다. 이에 즈음해 그 텍스트를 어찌 봐야 하는지를 둘러싼 사태 전개를 1차 논쟁이라 한다면, 1995년에 공개된 소위 그 ‘母本’을 진원지로 삼는 일련의 상황 전개를 2차 논쟁이라 할 수 있겠다. 그러다가 『화랑세기』 논쟁은 이종욱이 역주본을 출간한 1999년을 기점으로 『화랑세기』가 ‘열린 텍스트’가 되면서, 또 다른 국면으로 진입했다. 2003~2004년은 『화랑세기』 논쟁사, 혹은 그 필사자를 둘러싼 의문에서 또 하나의 분기 설정이 가능하다. 이때에 이르러 박창화가 역사가라는 행적이 완연하게 드러났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드러난 박창화의 면모를 간단히 추리건대 그는 천재 역사가도 아니었고, 그렇다고 아마추어 역사가도 더더욱 아니었다. 그는 그 시대와 함께 호흡하고, 그렇기에 그 시대정신을 민감하게 그 자신의 글들에 반영한 역사가일 따름이었다. 이와 관련된 자료의 발굴은 내가 직접 관여한 일이기에, 본문에서는 그 전후 사정을 정리하려 하였다. 이후 나는 줄기차게 박창화를 역사학도로 자리매김할 것을 주문했다. 박창화는 철두철미 시대정신에 투철한 모습을 보였다. 첫째, 그는 철저한 내셔널리스트였다. 둘째, 그의 역사학은 방법론의 측면에서 당대에 유행한 흐름과 어긋남이 없다. 이런 자세들은 현존하는 그의 거의 모든 저술을 관통한다. 하지만 그 내셔널리즘에서 예외가 있다. 그것이 바로 『화랑세기』다. 『화랑세기』에는 당대가 요구한 순국무사 화랑이 없다. 그것이 20세기 한국 내셔널리즘이 요구한 국가를 위한 忠을 구현한 ‘국민’의 이상형과는 확연히 다르다. 이는 『화랑세기』가 박창화가 살다간 그 시대의 산물이 아니라는 단적인 증거다. 한동안 잠잠한 듯했던 『화랑세기』 문제가 정식 학술대회 주제로 올랐다. 고려대 한국사연구소가 2017년 10월 20일 이 대학 백주년기념삼성관 국제원격회의실에서 ‘南堂박창화의 한국사 인식과 저술’을 주제로 표방한 학술대회를 개최한 것이다. 이 자리는 박창화를 역사학도로 자리매김하고자 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니지만, 많은 한계를 노출했다. 그러나 단 한 번의 학술대회로 모든 것을 평하고 싶지는않다. 그럼에도 이참에 확실해진 점 하나가 있다. 그것은 박창화를 이제는 『화랑세기』 필사자라는 주술에서 풀어, 역사학도로 우뚝하게 세워야 한다는 사실이다. History of controversies on the authenticity of manuscript Hwarangsegi 『花郞世紀』) can be diverged by some stages after the book appeared in 1989. Around that year, the first stage can be set when scholars debated on how we should view the text itself. The second stage can be set when scholars debated on original text(‘母本’) of the book. After then, the debates on Hwarangsegi encountered a new stage in 1999 when Lee Jong-wook published a translated and annotated version of Hwarangsegi, and it became an ‘open text’. I think that another stage on the history of controversies on Hwarangsegi or its recorder can be set around 2003~2004. At this time, traces of Park Chang-hwa as a historian showed up clearly. To sum up his traces, he was not a groundbreaking historian, and also not an amateur historian. He lived his age itself, so he reflected the spirit of the age sensitively on his writings as just one historian at his age. I participated in excavations of Park Chang-hwa’s writings about this fact., so I tried to explain the situations at that time. After then, I insisted on placing Park Chang-hwa as a historian. He followed the spirit of the age thoroughly. At first, he was a thorough nationalist. Second, his view on history does not deviate from the methodologies of historical studies at that age. These stances appear consistently on his most writings. However, there is an exception of his nationalism, and that is Hwarangsegi. In Hwarangsegi, we cannot find chauvinist warrior Hwarang. It is different from an ideal type of ‘nation people’, which demonstrates loyalty to the state and demanded by 20th-century Korean nationalism. It shows clearly that Hwarangsegi was not created in the age of Park Chang-hwa. Debates on Hwarangsegi had looked like come to a state of a lull for some time, but Hwaragsegi became a subject of an academic conference recently again. That is hosted by Korea University Center for Korean History, named as ‘A view and writings on Korean history of Namdang Park Chang-hwa’, at Global Conference Hall of Centennial Memorial Samsung Hall in 20th October 2017. This conference has an importance to place Park Chang-hwa as a historian, but also exposed many limits. However, I do not want to evaluate everything by just one trial. Nevertheless, it became obvious that we should not evaluate Park Chang-hwa as just a manuscript recorder of Hwarangsegi, but should define him as a historian.

      • KCI등재

        화랑 설치에 관한 諸 史書의 기사 검토 : 김대문 『花郞世記』와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金基興(Kim Ki-Heung) 역사교육연구회 2003 역사교육 Vol.88 No.-

        "Hwarangsegi(花郞世記)" written by Kim Dae-Moon in about 700 on Hwarang of Silla Dynasty, has not been transmitted, but the record of the establishment of Hwarang has appeared in "Samguksagi(三國史記)" edited in 1145, which is supposed to be based on the reading of the "Hwarangsegi". In other words "Samguksagi" has the original records on Hwarang in "Hwarangsegi". Thus, the other materials on the Hwarang establishment written after the 12th century should be compared to the records in "Samguksagi" as a touchstone. "Haedonggoseungjun(海東高僧傅)" edited in 1215 has records on Hwarang as almost same as those in "Samguksagi". And "Samgukusa(三國遺事)" written in the late 13th century has the same records on the establishment of Hwarang as in the original "Samguksagi", although has been considered as having referred to the epitaph of Hwarang Seolwonrang(薛原郞). "Dongguktonggam(東國通鑑)" edited in 1484 tried to give lights to the dim parts of "Samguksagi", But the editors distorted the facts with excessive ambition and without any new informations on Hwarang. "Dongsagangmok(東史綱目)" edited in 1778 has some records on the establishment of Hwarang, but it has only supplemented the records of "Dongguktonggam", but not gone further from the records of the original "Samguksagi". Two versions of "Hwarangsegi", suddenly appeared in 1989 and 1995 and claimed as its original copies, have records on the establishment of Hwarang, but the records in these new versions are not consistent with those in "Samguksagi". Thus, these two versions are not considered as the original copies of the "Hwarangsegi". As the books on Hwarang have records written after, and not added any new materials on, "Samguksagi", which has some vague and uncertain descriptions on the Hwarang, the original version of the "Hwarangsegi" is supposed disappeared completely from the 13th century. The recently sudden appeared versions are considered, thus, as created with the ambitious curiosity about Hwarang.

      • KCI등재

        『화랑세기』에 나오는 系譜(genealogical charter)가 갖는 중요성과 그 의미

        이종욱(Lee, Jong-wook)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8 한국고대사탐구 Vol.29 No.-

        『화랑세기』는 신라인이 아니면 쓸 수 없는 책이고, 신라인이 아니라면 필요하지도 않았던 책이다. 본고에서는 『화랑세기』를 통하여 그 동안 알 수 없었던 신라의 역사를 밝힘으로써 위작설에 반박하려 하였다. 본고에서는 이를 위해 『화랑세기』에 나오는 계보에 대해 살펴보았다. 신라인들은 단순한 족보가 아니라 계보를 통해 세보・파맥・세계를 구분하여 파악하고 있었다. 골품제 사회를 살아간 신라인들에게 계보는 고려나 조선 그리고 현재 한국과는 비교할 수 없는 소중한 장치(제도)였다. 골품신분을 사회구성의 중심체제로 유지하던 신라인들에게 계보는 골품신분을 상속하거나 골품신분을 떨어뜨리는 族降의 기준이 되었다. 신라인들의 계보는 신분집단을 유지하는 장치도 되었다. 그러한 系譜는 신라인들에게는 골품신분체제를 유지하는 필수적인 장치였고 나아가 신라인의 모든 면을 규제하는 기본이 되는 장치였다고 하겠다. 그런데 『삼국사기』와 『삼국유사』를 보면 신라버전의 『화랑세기』가 담고 있는 계보를 거의 은폐한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삼국사기』나 『삼국유사』는 삼국의 역사를 옳게 다루기 위한 자료로는 많은 부분이 부족한 사료임을 알 수 있다. 특히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서 은폐・축소된 신라인의 계보가 『화랑세기』에는 신라인의 필요에서 그대로 기록된 것이라 하겠다. 결국 『화랑세기』에 나오는 계보는 『화랑세기』가 위서(위작)일 수 없다는 강력한 증거가 아닐 수 없다. 『화랑세기』가 전하는 신라버전의 이야기를 이해하기 위하여, 『화랑세기』에 대한 견강부회의 위작설을 버리고 신라인의 신라 이야기를 찾는 역사로의 전환이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Hwarangsegi(『花郎世紀』) is the book which could not be written by Silla people, and had no need to non-Silla people to describe. In this paper, I tried to reveal the history of Silla which had been uncovered before the appearance of Hwarangsegi. For this purpose, I studied on the genealogical charter which appears in Hwarangsegi. Silla people separated and understood sociocultural charter(世譜)・lineage group(派脈)・ancestry link(世系) by genealogical charter(系譜). Silla people lived in a society based on Bone rank system(骨品制), so that genealogical charter was a very important mechanism(system), uncomparable to Goryeo, Joseon, and Korea nowadays. The genealogical charter became a standard for succeeding social status, or dropping down social status(族降), to Silla people whose social status were based on Bonk rank system. It was also a mechanism to maintain a status group to Silla people. The genealogical charter was essential to keep the Bonk rank status system, and it was a mechanism to regulate every aspect of Silla people. In Samguksagi(『三國史記』) and Samgukyusa(『三國遺事』), however, most of the Silla-version genealogical charter in Hwarangsegi was concealed. Therefore, we can find that Samguksagi and Samgukyusa are highly insufficient materials to understand the history of Three Kingdoms right. Especially, the genealogical charter of Silla people which was concealed and cut was recorded intact because of the need of Silla people themselves. As a result, I insisted that the genealogical charter of Hwarangsegi is critical evidence which shows that Hwarangsegi is not a forged book(material). To understand Silla-version narratives of Hwarangsegi, I wish to abandon forgery theories on Hwarangsegi, and shift a historical paradigm to find out narratives of Silla written by Silla people.

      • KCI등재

        <최고운전>의 신라사 인식

        신재홍 ( Shin Jae-hong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09 고전문학과 교육 Vol.17 No.-

        본고는 <최고운전>이 역사적 소재를 바탕에 두고 설화들을 엮은 작품임을 밝히고자 하였다. 작품 서두의 금돼지 삽화와 작품 전반에 드러나는 민족의식이 신라 시대의 역사적 사실과 관련될 수 있다고 보았다. 이러한 관점에서 <최고운전>에 접근하는 데 유용한 자료가 『화랑세기』이다. 이 책에 기술된 마복자 제도는 임신한 여자가 상층의 남자와 성관계를 맺은 후 낳은 아들을 그의 양자로 삼는 제도이다. 신라 시대에 만연한 색공 문화, 그것을 통해 형성된 가족 관계를 잘 보여 준다. 이것이 <최고운전>에 금돼지 삽화로 그려져 있다고 생각된다. 금돼지 삽화에 나타나는 모순점들은 마복자 제도에 비추어 보면 이해가 간다. 한편, <최고운전>에는 중국에 대항하는 신라의 민족의식이 나타나 있다. 그 원천에 대한 논의가 있어 왔는데, 본고는 『삼국사기』와 『화랑세기』에 보이는 민족의식을 통해 그 역사적 실재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그리하여 신라 상하층의 합력, 영웅의 형상, 중국과 대등한 문화적 역량 등이 <최고운전>과 역사서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민족의식의 양상임을 보였다. 이렇듯 <최고운전>은 신라의 제도, 인물, 사상을 근간으로 하였으나 그것이 지닌 설화적 성격 또한 뚜렷하기에 기존 논의에서도 이 점이 집중적으로 조명되었다. 본고는 『삼국유사』 소재 설화와의 관련에 주목하여 그 설화들이 중층적으로 구성된 것으로 보았다. 추남·거타지·보양 설화 등은 작품의 줄거리를 이루고, 백월산·동명·수로 부인·원효 설화 등은 서사 맥락에 따라 변용되었으며, 만파식적·선덕여왕·욱면비·제상 부인 설화 등은 발상 면에서 상통한다. 이상에서 <최고운전>의 설화적 성격과 함께 신라의 제도와 사상을 담은 역사적 성격에 대해 살펴보았다. 소재의 원천이 신라의 역사적 사실에 있고 작품 분위기도 신성성을 유지하고 있는 점을 고려할 때, <최고운전>은 16세기보다 훨씬 이른 시기에 창작되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 This study is a historical interpretation of Choigowoonjeon which has many fables and shows the nationalism of Shilla. That is to interpret the Korean classical novel through the historical records of Samguksagi and Samgukyusa, especially those of Hwarangsegi. The episode of golden pig which located in the beginning of the work is queer in that the monster who snatched other men's wives lives with nobleness in the transcendental utopia. It can be explained with the conventional parental authority system, Mabokja which recorded in Hwarangsegi. Mabokja is a son delivered after pregnant woman's sexual intercourse with the noble man, such as Seonggol or Jingol which is the high classes of Shilla. Considering these records, the hero Choichiwon in Choigowoonjeon is a Mabokja who was delivered from woman being snatched by golden pig. In the Choigowoonjeon the nationalism shows on the whole work. The Shilla people's pride and antagonism against China in the work is a remained thought from Shilla dynasty. The nationalism can be found in Samguksagi and Samgukyusa, but it reveals more clearly in Hwarangsegi. The people of Shilla recognized their country as God-nation, and believed the superiority and originality of God-nation which is different from Chinese culture. They named the period of every king's reign with their own naming from early age and got the idea of the unification of Three-kingdoms. The nationalism like this have been continued and put into the Choigowoonjeon. Choigowoonjeon is a classical novel which get the materials of the system and thought of Shilla. As a fiction, the aspects of remaking history in the work are considerable. Therefore it has similarities with the fable book Samgukyusa than the history book Samguksagi and Hwarangsegi. The tales of Kimyusin, Geotaji, Boyang etc. in Samgukyusa could influenced the construction of stories of Choigowoonjeon. With this discussion we can guess the time to create the work earlier than 16C. So Choigowoonjeon may be important work in early period of Korean history of classical novels.

      • KCI등재

        가칭 "영랑전"과 "화랑세계"의 향가 관련 기록 검토

        신재홍 ( Jae Hong Shin ) 한국시가학회 2014 韓國 詩歌硏究 Vol.36 No.-

        박창화가 남긴 또 다른 자료가 근래 ``영랑전``과 ``화랑세계``라는 가칭이 붙어 번역되어 나왔다. 『화랑세기』와 관련이 깊은 두 자료는 신목 황후, 김순정 등의 생몰 연대가 사료와 맞지 않아 위작임이 분명하지만 부분적으로 신라 시대의 원자료에서 취재한 내용이 포함된 것일 수도 있다. 이에 자료 전체가 위작이라고 보기보다는 부분적인 진본 가능성을 고려하는 선에서 두 자료에 나오는 향가 관련 기록을 검토하여 현재의 향가 이해에 참조가 되고자 하였다.``영랑전`` 서두에 7언 2구의 한시와 그것을 번역한 차자식 표기의 ``백파가``가 실려 있다. 그런데 이 노래는 세주의 방식에 가필의 흔적이 있고 형식, 표기법 등에서 기존 향가와 상당히 다르다. 아마도 원문에는 한시만 적혀 있던 것을 필사자가 차자 표기의 번역문을 지어 가필한 듯하다.``영랑전``에는 경덕왕대 향가의 향유 양상이 그려져 있다. 영랑의 가신 12명 중 7명이 향가신으로서 영문 칠자라 일컬어졌다. 이들 중에 『삼국유사』에 나오는 능준과 월명이 나란히 이름을 올리고 있다. 또한 『화랑세기』에 기술된 운상인의 향가 향유 모습이 좀 더 구체화된 양상으로 나타난다. 향가의 심미적 수준과 문화적 위치가 상당히 높았고 국선의 활동에 향가가 필수적이었음을 보여 준다. 향가의 작자와 관련된 기록도 나온다. <원가>의 작자 신충은 ``영랑전``에서 효성왕 즉위 무렵 김순원과 협력하여 순원의 딸 혜명을 황후로 책봉했다고 한다. 신충의 정치적 입지가 어디에 있었는지 분명하게 기술된 것이다. <제망매가>의 작자 월명의 계보가 ``화랑세계``에 나와 있고, ``영랑전``에는 월명의 조부 내월이 700년에 죽었다고 한다. 내월의 출생 연도를 단서로 어림셈하면 월명은 720년쯤 태어났다. 계보에 따르면 월명의 고조 이상의 조상들이 풍월주 가문이었다. 이로써 그가 국선도의 승랑으로 활동한 배경과 두 해의 변괴로 인해 산화공덕 의식을 행할 때의 나이를 짐작할 수 있다. 한편, ``화랑세계``에 진평왕의 딸 선화와 무왕의 짝이 적시되어 있다. 선화의 어머니는 애리이고 그녀의 부모는 진흥왕과 옥리인데, 『화랑세기』에서 옥리는 진흥왕의 5궁 중 한 명으로 나온다. 신충, 월명, 무왕 등 작자뿐 아니라 배경 기사의 인물도 찾을 수 있다. <혜성가> 창작의 계기가 된 세 화랑 중 한 명인 보동이 ``화랑세계``에 비보랑의 첩의 아들로 나온다. 그때의 나이를 헤아려 보면 대략 20세 전후가 된다. <찬기파랑가>의 시적 대상인 기파랑으로 지목된 바 있는 김기는 ``화랑세계``에 출생 연도가 기재되었는데 그의 생몰년(721~758)으로는 향가 속 기파랑과 관련짓기가 어렵다고 생각된다. 본고는 ``영랑전``과 ``화랑세계``가 부분적으로 신라 시대 원자료에서 취재한 내용을 담고 있으리라는 추정하에 향가 관련 기록을 살핀 것이다. 아주 조심스럽게 접근해야 할 자료이지만 학계 차원에서 관심을 갖고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The documents which Hwarangsegi`s transcriber had remained is recently published with tentatively named Yeongrang-jeon and Hwarangsegye. It is certain that these two documents are forgeries with evidences of several characters` life age. But it is probable that some parts of those would be the contents come out several original documents of any period after Shilla dynasty. So I examined the contents related to Hyang-ga in the documents. In the beginning of Yeongrang-jeon poem of chinese form and Baekpa-ga written by similar letters in Hyang-ga is recorded. However not only letters of same words are different each other, but also poetic form of Baekpa-ga differ from that of Hyang-ga. Besides the annotations of the documents have marks to be touched up. Therefore Baekpa-ga may be made up by any transcriber. The aspects of composition and enjoying of Hyang-ga are described in Yeongrang-jeon. Seven Hyang-ga poets among Yeongrang` vassals are called ``Yeongmoon-chilja``. The two poets` names among them are recorded on Samgukyusa, a history book published on Koryeo dynasty. And the enjoying aspects are described more concretely than that of Hwarangsegi. We could find that Hyang-ga`s aesthetic level and cultural position was very high and composition of Hyang-ga was a necessary action of Hwarang groups.An important Hyang-ga poet, Shinchung`s political traces are described in the document. His political position of the time has been inexplicit until now. And the lineage of Weolmyeong who is most famous Hyang-ga poet is recorded in Hwarangsegye and Yeongrang-jeon. His birth year is estimated to be A.D.720. And it is explicitly described that his ancestors were the members of Hwarang groups. With these records we can guess his age when he managed a Buddhist rite and versified Hyang-ga poem.The names of a couple, Muwang and Seonhwa who are famous hero and heroine narrated in Samgukyusa are showed in Hwarangsegye. The heroine`s lineage is explicitly recorded in the document. The heroine`s grandmother is one of royal harems who are recorded in Hwarangsegi. Besides Bodong, one of three Hwarangs who had become momentum of composition of a famous Hyang-ga poem is recorded in Hwarangsegye. He was a son of a concubine of a famous Hwarang.

      • KCI등재

        필사본 <화랑세기(花郎世紀)>의 서술방식과 서술시각에 대한 연구

        황혜진 ( Hwang Hye-jin ) 한국고소설학회 2018 古小說 硏究 Vol.45 No.-

        이 연구는 위서 논란이 진행 중인 필사본 <화랑세기>의 텍스트성을 규명하고, 그 서술시각을 밝히기 위한 목표로 기획되었다. 이러한 목표 아래, <화랑세기>를 날줄과 씨줄의 짜임, 이로 만들어진 고유한 문양을 갖춘 텍스트로 보고 그 의미론적 탐구를 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2장에서는 <화랑세기>를 대하는 관점을 성찰하고 방법론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조선 후기의 실학자, 이익은 자신의 저술에서 <화랑세기>에 대한 부정적 인식(“비설하기 심한 것”, “남색의 유”, “음란하고 추악한 분위기” 등)을 드러내었다. 필사본을 전한 박창화 역시 화랑 이야기가 난잡한 이야기이며, <화랑세기>도 화랑의 난잡한 족보에 불과하다는 말을 했다고 한다. <화랑세기>를 보는 우리의 인식도 이러한 관점의 자장 안에 놓여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화랑의 애정관계로 점철되어 있는 것 같은 <화랑세기>의 내용은 분방한 성생활 속에서도 계보를 정리하고자 하려는 합리성의 발현이자 혈통을 통해 정체성을 구성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신라인의 성생활은 문명에 의한 성적 본능의 통제가 덜 했던 시기의 산물이기에 자유로울 수 있는 한편, 이후 문명인의 눈으로 보기엔 꺼림칙하게 여겨지는 것이다. 특히 신라의 왕족과 귀족이 누렸던 성적인 자유는 우리의 상상력을 훨씬 뛰어넘을 정도로 막대한 것이었다. 이러한 점들을 고려하면서 우리 시대의 성문화에 대한 태도를 성찰하고, 가급적 <화랑세기>의 성문화에 대한 평가적 시선 없이 고유의 짜임을 갖고서 나름의 방식으로 의미를 생성하는 텍스트로서 <화랑세기>를 볼 필요가 있다. 3장에서는 <화랑세기>의 서술 내용을 구성하는 서술방식을 고찰하였다. 6대 세종 조와 11대 하종 조의 내용을 서사 단락으로 나누어 제시한 후, 그 구조적 특성을 밝혔다. <화랑세기>를 풍월주 개인의 전기로만 여기고, 일반적인 전기 양식을 떠올리며 인물 중심의 행적을 따라 의미 구성을 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화랑세기>는 발문(跋文)에서 밝혔듯이 “그 낭정의 대체를 요약하고 파맥(派脈)의 옳고 그름을 밝혀” 내는 것을 목표로 삼는 텍스트이다. 이러한 저술 의도를 실현하기 위해 <화랑세기>는 한 사람이 풍월주가 되기 전의 상황, 풍월주가 되는 과정, 풍월주로 있을 때 낭정의 일들, 풍월주에서 물러나는 상황과 차기 풍월주의 임명 등을 주요 서술 내용으로 취하였다. 따라서 <화랑세기>의 각 풍월주 조의 기록은 풍월주를 입전인물로 삼는 전기이자, 낭정의 주요 사건을 제시하고 이로부터 갈라진 파맥을 정리하는 화랑도(花郞徒) 전체의 역사로 볼 수 있다. 4장에서는 <화랑세기>에서 인물과 사건을 재현하는 특징적인 서술방식을 살펴보았다. 첫째, 입전 대상이 된 풍월주는 스스로의 삶을 주체적으로 이끌어간 삶의 주인공이라기보다는 개별자의 삶을 넘어서는 혈통이나 집단적 역사의 흐름에 속한 수동적 존재로 그려진다. 서술자는 이러한 풍월주를 입전 대상으로 내세웠으나 화랑 전체의 역사라는 관점에서 풍월주를 조망하는 관점을 가졌기에 전체 역사의 흐름에서 잠시 표면 위로 떠오른 수동적 존재로 풍월주를 형상화하는 방식을 취하였다. 둘째, 비록 인물의 삶이 수동적인 것으로 그려졌다고 하지만 인물의 고유성이 드러나지 않는 것은 아니다. 인물의 성격적 특성을 구성하여 한 인물에 대해 고유한 인성을 부여하는 것이 <화랑세기> 서술의 한 특성이 된다. 셋째, 같은 일과 사람들이 여러 조의 전기에 걸쳐 등장하지만, 한 편에서 그에 대해 모든 것을 다 말해주는 것은 아니다. 해당 풍월주의 삶에 핵심적인 내용, 또 그 고유한 인성의 가장 특징적 면모를 강조하느라 ‘남겨둔 것’은 다른 편을 통해 서술되어 사태와 인물의 또다른 진실을 드러낸다. 넷째, 종종 인물의 감정에 초점을 두어 정감과 생동감 넘치는 장면화 기법을 구사하기도 한다. 감정에 관심을 가진 서술 주체는 감정을 불러일으키는 상황의 자질구레한 요소들을 놓치지 말아야 한다. 이러다 보니 상황 묘사는 자세할 수밖에 없고, 감정이 표현되거나 유추될 수 있는 인물의 말은 직접 인용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5장에서는 앞의 논의를 바탕으로 <화랑세기>의 서술시각을, <화랑세기>를 생성하고 향유한, 사회문화의 의미론적 차원에 존재하는 ‘정신적 형식’인 ‘상징형식’의 관점에서 조명하였다. 첫째, ‘삶은 살아지는 것이다.’ 풍월주의 삶이라 할지라도 강물의 수많은 물줄기가 만들어내는 인연과 사연의 물결에 휩쓸리며 뒷 물결에 앞 물결이 떠밀리듯 살아지는 것이다. 둘째, ‘그가 사랑하는 대상이 그를 구성한다’ <화랑세기>의 서술은 무엇을 행하였는가보다 무엇을 느꼈는지가 그의 사람됨과 정체성을 결정한다고 보는 듯하다. 특히 사랑이란 감정과 성행위로 ‘한 몸’임을 체험한 대상은 그의 정체성과 삶을 규정하는 가장 중요한 존재가 된다. 셋째, ‘성적 능력은 권력이다’ 성적관계가 자신의 확장이었듯 성적 능력은 존재를 고양하고 확대할 수 있는 중요한 능력이자 권력 획득의 수단이 된다. In the begin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meaning of the text and the implications of the Hwarangsegi. However, some texts and narratives which were revealed in the course of the discussions were helpful in considering the authenticity of the Hwarangsegi. First, it is noteworthy that the data on the evaluation of Hwarang in the Yi-ik text appeared as a negative perception of Hwarang in late Joseon Dynasty. The negative perception of Hwarang indicates the possibility that the Hwarang's records similar to the Hwangangsegi appeared in the 18th century. Second, the narrative structure of Hwangangsegi is composed of the history of Pungwolju and the history of Hwarangdo as a whole. This dual structure is not a literary approach to the narrative interest of a person's life, nor is it consistent with the historical interest in Hwarangdo's history. Third, narrative methods such as passive portrayals, but expressions of unique personality, multi focused narrative on the perspective of various characters, and emotional scenes, etc. It shows well the point of view: human is an emotional subject who can not control his/her given life but has a unique personality and perspective and communicates through sex and love. Fourth, the narrative consciousness those can be deduced through these narrative methods are ‘life is be lived’, ‘the object that he loves composes him’, and ‘sexual ability is social power’. Those are divided into the modern ‘mental form’ which can be characterized as subjective life, rational and independent personality, sexual taboo and restricted sexual culture.

      • KCI우수등재

        『花郞世紀』 두 사본의 성격

        金基興(Kim Ki-Heung) 역사학회 2003 역사학보 Vol.178 No.-

        "The Hwarangsegi(花郞世記)", which was composed around 700 A.D., still survived until the 12th century, but it has been disappeared until its two versions appeared in 1989 and in 1995 respectively. For their sudden appearances these two versions has been argued as the forgeries of "The Hwarangsegi". The 1989 version has been judged as the excerpt of the 1995 version in that the former is very poor in its contents in contrast to the later one. But the judgement has been done on the quantities of the two versions, so the reliability of the judgment seems to be doubted. The later version revises the name of a famous Hwarang, Chae-won(體元), while his original name Ye-won(禮元) is kept in the former one. And the major episodes of some significances included in the later version had not been included in the former one. So these prove that the 1989 version is not an excerpt version of the 1995 version. The later version has some traces of the arbitrary revision, not the mistakes, of the composer. And this proves that the keeper of this version Park Chang-wha was the composer of this version. So the later version is definitely forged one, and its base version, the 1989 version, has not much reliability as it is expected.

      • KCI등재

        화랑세기에 보이는 색도(色道)

        이진수(Lee Jin Soo) 한국도교문화학회 2009 道敎文化硏究 Vol.30 No.-

        이 연구의 목적은 화랑세기에 보이는 새로운 용어 색도를 고찰함으로서 신라시대의 새로운 신체기법을 부각시키려 한 것이다. 따라서 색도라는 용어가 출현할 수 있었던 당시 신라의 성윤리를 고찰하고, 색도의 본질 그리고 여성을 중심으로 한 오도가 무엇인가를 분명히 하였다. 연구의 방법은 이종욱이 역주한 필사본 화랑세기를 주요 텍스트로 하여 이를 분석하는 문헌연구법을 채택하였다. 신라사회는 골품의 유지를 위한 왕족들의 근친혼과 어색(漁色), 성 관계를 주축으로 하여 후원자와 지지자를 구축하려 한 마복자(摩腹子) 제도, 골품에 더 가까이 다가서려고 호종과 선종을 획득하려 한 서민들의 성을 개방한 사회였다. 현재의 성윤리로는 도저히 가늠할 수 없을 정도로 개방된 사회였다. 왕과 그 첩의 교신상이 신궁에 설치되어 존숭되고 있었다. 색도(色道)는 여자를 배려하고 위로하는 성교의 기술로 색정(嗇精)을 본질로 삼는 중국 방중술과 구별되는 독특한 신라의 성기법(性技法)이다. 색도는 신국(神國)의 봉신(奉神)전통에서 파생된 오신사상(娛神思想)을 기초로하여, 나라를 위해 우수한 인재를 다산(多産)해야 한다는 이념과도 대응된다. 신라법사비밀방에 보이는 노봉방의 비방은 이 같은 이념에 맞물려 성기 그 자체의 힘을 기르는 것이었다. 오도(吾道)는 왕가에 여인을 제공하는 가문의 기법으로, 남성을 상대하기 위한 여성만의 성기법이었다. 색을 바치는 신하라는 의미의 색신(色臣), 성교를 의미하는 색사(色事)와 음사(바事)에는 이 오도가 관계하고 있었는데, 그 실제는 미도(媚道)와 가무(歌舞)였다. 미도는 남성을 유혹하는 기법의 체계로 추측되나 그 실체는 분명하지 않다. The Saekdo was a body technique at Silla kingdo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new term Saekdo in Hwarangsegi. Bibliographical method was adopted to analyze the Hwarangsegi that is the book of Hwarang's family history translated by Lee Jong Wook. The result of this study is following. 1. There were lots the article about sodomy and incest in Hwaransegi. The aristocratic class of Silla was built up the foundation through an illegitimate children system including the intermarriage and philandering. The common people was prepare for offering their beautiful daughter in order to get the good seed of the Hwarang or the royal family. It is open society for common people who try to reach higher level. 2. The Saekdo was the sex technique for only woman whom had to careful concern. This unique sex technique did not corresponded with the chines style that restrained emission of semen in order to prolonging life. It was founded the tradition of worship ancestor who died for country and the political idea the bearing many brilliant young that serves for their country. The secret prescription of Silla Monk was the method of strengthening the penis using a nest of hornet near road. 3. As the family technique the Odo was an exclusive woman's sex technique. The family was engaged in offering woman to king‘s family. The nature of the Odo was a body of the knowledge of dance lead the man into temptation and the shamans techniques of coquetry.

      • KCI등재

        『화랑세기』에 보이는 무도

        이진수 한양대학교 우리춤연구소 2005 우리춤과 과학기술 Vol.1 No.1

        이 연구의 목적은 『화랑세기』에 보이는 무도를 밝히는 것이다. 1989년 『화랑세기』 의 발췌본이, 1995년에 그 필사본이 등장한 이래 이것의 진위가 역사학계의 중요한 쟁점이 되고 있는 이 시점에서 『화랑세기』에 보이는 무도의 내용을 밝히는 작업은 『화랑세기』의 眞僞를 가리는 중요한 단서를 제공할 것이다. 『화랑세기』에 보이는 도에 관해 고찰해 보았는데 선도에 관해서는 앞으로 더욱 精織한 연구가 있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우리가 분명히 주장할 수 있는 것은 신라의 선도가 중국의 그것과는 전혀 다른 異質의 仙으로 신라만이 갖는 독특한 선이 란 것이다. 신라의 선은 조상신을 받드는 나라의 큰 제사를 주관하는 선이다. 『화랑세기』에 보이는 무도는 지금 우리가 말하는 무술을 연마함으로 하여 획득되는 어떤 정신적인 사상을 말하는 것은 아니었다. 이것은 용어상으로만 보면 20세기 초에 성립된 일본식 한자를 사용하여 우리를 혼란스럽게 하지만 실제의 의미는 武事를 뜻 하고 있다. 이것은 婚道가 혼사를 의미하는 말 이외의 그 어떤 것도 내포하지 않고 있음과 같다. 그러므로 무도 혹은 검도란 특정한 용어의 사용만을 놓고 『화랑세기』가 위작이라고 단정할 수는 없다고 생각된다. 우리가 『화랑세기』의 무도란 용어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얻은 수확은 우리 무도 사상의 정립을 위해 이 『화랑세기』가 그 출발점이 될 수도 있다는 신념이었다. 무도는 무술을 수련함으로 하여 얻어지는 정신적이고도 관념적인 德目이라 할 수 있다. 우리가 보는 8세 풍월주 文努야말로 이 같은 덕목을 획득한 기장 대표적인 인물이다. 그는 어려서부터 검술을 연마한 사람이다. 그의 인간적인 매력에 이 검술의 연마가 미친 영향은 심대한 것이 있었을 것이고, 이 같은 영향은 그대로 그의 전인적인 특성을 나타낸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figure out the literal feature of Moodo武道 which was performed in Silla era. As a bibliographic reaserch for this study, I analysed the content of reference book, <Hawrangsegy>. There are the main points of the discussion that I gave attention. First, There is the many kind of Do道 in the Hwarangsegi. Hondo婚道 was the method of marriage of early Silla people, it was so characteristic the the intermarriage. The Saekdo色道 was the technics of love. The Seondo仙道 of Silla was dissimilar in character of Chines hermit or Shinshen神仙. Seondo was connected with the sacrificial rite that was the ancestor worship. Wharang花郞 who was the priest of the Shingoong that is the palace of ancestor worship in Silla kingdom take charge of this rite. Second, The spirit of Moodo was forrned through the activity of the ritual ceremony which is the worship of their country god. Wharang trained and acquired the skill of martial art, the most important thing was the master of the sword course especial maditation. Third, Hwarng Moonno who was the 8th Poongwoljoo風月主 represented the Silla Moodo at that time. He had produced a large number of the many famous Hwarng.

      • KCI등재

        최근 제기된『花郞世紀』필사본 조작설에 대한 비판적 고찰

        李熙眞(Lee Hee-Jin)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0 한국고대사탐구 Vol.5 No.-

        ??花郞世紀?? 필사본이 발견된 이래, 이 사료를 두고 진위논쟁이 계속되어 왔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화랑세기?? 필사본을 사료로 인정하느냐 마느냐에 따라 신라 역사에 대한 이해와 서술은 판이하게 달라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이에 대하여 철저한 검증이 있어야 함은 당연하다. 그러나 ??화랑세기?? 필사본의 진위논쟁에 관한 한, 내면을 들여다보면 그렇게 상식적인 기대만 하고 있기 어렵게 흘러가는 듯하다. 시간이 흐르면서 치밀한 검증보다 자기 학파가 원하는 결론을 조작해 나아가는 경향이 생기고 있기 때문이다. ??화랑세기?? 필사본에 대한 진위논쟁은, 1990년대를 중심으로 치열한 논쟁이 벌어졌다. 하지만 2003년 ??역사비평??에서 많은 지면을 할애하여 다룬 시점을 기점으로 하여 아이러니컬하게도 논쟁이 수그러드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특히 2003년과 2007년, ??화랑세기?? 필사본을 조작으로 보는 김기흥과 박남수의 논문이 각각 나왔던 이래, 이에 대해서는 아무도 반론을 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필자가 검토해본 결과 이들의 논리에는 맹점이 있었다. 그래서 필사본 수정 내용 비교, ??화랑세기?? 원본의 존재 여부에 대한 조사, 이른바 ‘殘本’의 특징과 위작론, ??화랑세기?? 殘本과 1·2본 비교를 통한 위작설의 문제점, ‘碧海上白波歌’와 ‘波浪歌’를 근거로 한 위작설의 주제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 결과 설득력 있는 근거와 논리를 갖춘 것이 아님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생각한다. ??화랑세기?? 필사본이 조작이건 아니건 어느 쪽을 선택해도 무조건 50%의 확률은 보장되어 있다. 그러니까 어쩌다 결론을 맞추었다고 해도 그것만 가지고는 학문적 의미를 가질 수 없는 것이다. 따라서 근거나 논리 없이 아무 내용이나 갖다 붙인 최근의 연구는, 나중에 ??화랑세기?? 필사본이 조작임이 밝혀진다고 해도 연구 업적으로서의 의미를 가질 수 없다. 본고에서는 바로 이런 성향을 비판하고 싶은 것이다. 혹시라도 본고의 비판 대상이 된 연구자들이 그때 미처 생각하지 못하여 충분한 근거나 논리 없이 글을 발표할 수밖에 없었다면, 지금이라도 부족한 내용을 보충해서 발표해야 할 것이다. 만약 그렇게 된다면, 과거의 불찰이 없어지는 것은 아니라 해도 현 상태에서 학계에 주는 폐해는 만회할 수 있다. 그렇게 되어 본고 역시 ??화랑세기?? 필사본을 둘러싼 진위논쟁의 질을 한 차원 높이는데 기여하게 되기를 바란다. Since the discovery of the manuscript in ??Hwarangsegi(花郞世紀)??, it is a well-known fact that there has been the argument of authenticity with this historical material. That is because the understanding and description on history of Silla cannot help being varied completely depending on whether recognizing the manuscript in ??Hwarangsegi?? as historial material. Therefore, it is natural to thoroughly verify on this. However, as far as the argument of authenticity in the manuscript of ??Hwarangsegi?? is concerned, it seems to flow difficultly just for such sensible expectation given looking in the inside. That is because of the occurrence of tendency, which proceeds with fabricating the desired conclusion by own school, rather than close verification as time passes. As for the argument of authenticity on the manuscript in ??Hwarangsegi??, the fierce dispute was spread centering on the 1990s. However, the argument is showing tendency of being subsided ironically based on the point of time when having addressed by spending many pages in the criticism of history for 2003. Especially, since having been revealed, respectively, the theses by Kim Gi-heung and Park Nam-su, who see the manuscript in ??Hwarangsegi?? as fabrication, in 2003 and 2007, it is the real situation that anyone hasn't argued against this. However, as a result that a writer examined, there had been weak point in these people's logic. Thus, it examines by dividing into themes such as the comparison of the modified contents in manuscript, the survey on the appearance of existence in the original of ??Hwarangsegi??, the characteristics and forgery theory of the so-called ‘Janbon(殘本),’ the problem of a forgery theory through comparing Janbon(殘本) in ??Hwarangsegi?? and copy 1·2, and the forgery theory based on Byeokhaebaekpaga(碧海上白波歌) and Parangga(波浪歌). As a result, it is thought to have been possibly confirmed not to be equipped with persuasive ground and logic. The probability of 50% is secured even if selecting which one regardless of being whether or not fabrication in the manuscript of ??Hwarangsegi??. Thus, even if having guessed rightly conclusion somehow, it cannot have academic significance just with it. Accordingly, the recent research, which attached any contents without ground or logic, cannot have significance as the research achievement even if the manuscript in ??Hwarangsegi?? is clarified to be fabrication. This study is what desires to criticize just this propensity. If the researchers, who accidently became the target of criticism in this study, couldn't help having announced writing without enough ground or logic due to failing to think in advance at that time, they will need to supplement and announce the insufficient contents even if being now. Given being so, the harmful effect will be able to be recovered that gives to the academic circles in the present situation, even if the past carelessness isn't disappear. By becoming so, this study is also desired to be probably contributed to enhancing the quality in the argument of truth one-dimension further of surrounding the manuscript in ??Hwarangsegi??.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