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헝가리 테러하우스 박물관의 전시를 통해 본 역사정치– 호르띠 집권시기의 테러, 1956년 반공혁명 전시를 중심으로 -

        김지영 한국세계문화사학회 2018 세계 역사와 문화 연구 Vol.0 No.47

        The Terror House Museum was built as a space of historical memory for terror, torture and human rights abuses inflicted during the Fascist and socialist period. The events after the Soviet crushing of the Hungarian Uprising of 1956 receive particular focus. The House of Terror Museum was constructed with overt political aims. In the year 2000, at the dawn of a new millennium, Hungarian society was grappling with historical controversies. On the eve of an election, opposition party politicians, whose party was the successor to the former ruling-Communist Party, asked voters whether they preferred life under the previous communist regime, or whether life was better under the post-transition capitalism of the ruling party. Such a simplistic and mercantile campaign logic became the cause of major controversy during the election. As a result, it dawned on many that there was a real need for ‘reflective history’ built upon genuine critical reflection on the past. The debate and controversy, and resulting reflections led to consensus on the need for a contemporary history museum – which became the House of Terror. The museum deals with what is commonly termed the ‘dark age’ in Hungarian history – the fascist government during World War Two – and also the period of communist rule between 1949 and 1989. The main theme of the museum, however, is the ‘Hungarian Revolution’ that took place in Budapest on 23rd October 1956. It is the most important event in Hungary’s modern history, and was violently put down when the Soviet Red Army intervened and reimposed oppressive communist rule. As Hungary left socialism behind in 1989 and transitioned to democracy, the acts of the previous communist regime were investigated, and communist tyranny revealed. To ensure that what was done is remembered and that communism will not return, the regime’s system of surveillance and terror was put on public display at the museum. Thus, rather than a museum of heroic victory, one that seeks to look back and reflect on the past was needed. This allows the Hungarian people to encounter directly the facts of the mistakes and injustices perpetrated by their fellow countrymen and women in the past. 헝가리 테러하우스 박물관은 과거에 대한 진지한 반성을 토대로 한 ‘성찰적’ 역사인식의 결과물이다. 이 박물관이 다루는 시기는 헝가리 역사상 암흑기라 할 2차 세계대전 중 파시스트 정권이 권력을 잡았던 시기와 전후 공산당이 정권을 장악한 1949년부터 1989년까지로, 특히 1956년 10월 23일 헝가리 수도인 부다페스트에서 발생한 ‘헝가리혁명’이 가장 중요한 주제이다. 따라서 이 박물관은 과거 파시스트 시대와 사회주의 시대(1948-1989), 특히 1956년 반소 헝가리 혁명이후 헝가리 사회에 행해졌던 테러와 고문, 반인권적 행위를 역사적 기억의 공간으로 재현시켜 놓은 곳으로서, 자신의 과거에 대한 영웅주의적 승리사관에서 탈피하여 반성과 회고를 바탕으로 하는 ‘성찰적’ 접근 방식을 잘 도입한 박물관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는 한국의 현대사 박물관에도 시사하는 바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 포스트공산시대 헝가리 총선과 정당 정치: 1990∼2002년

        김성진(Kim,Sung-jin) 한국동유럽발칸학회 2002 동유럽발칸학 Vol.4 No.2

        헝가리는 1989년 체제전환이후 네 차례의 의회 총선을 실시했으며 민주적 절차에 관한한 투명하고 공정하며 평등하게 실시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세계에서 가장 복잡한 선거법으로 불리는 헝가리 선거제도는 지역구에서는 절대다수 투표제, 시군별 광역 선거구와 전국구에서는 정당 명부에 의한 비례대표제를 채택하는 혼합 선거제를 채택하고 있다. 이를 보완하기위해 1차 선거와 2차 선거를 채용함으로써 유권자의 투표를 의석 배분으로 가장 정확히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득표율 5%의 봉쇄조항을 통해 원내 정당 난립의 폐해를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있다. 1990년 포스트 공산시대 첫 총선과 함께 참여 폭발로 상징되는 정당 난립 현상이 정리되어갔으며 다소 유동적이던 정당의 이념적 스펙트럼도 정립되어 가고 있다. 우선 1990년부터 2002년까지 네 차례의 총선을 거치면서 중소 정당이 원내 진입에 실패해 최초 원내 6개 정당에서 현재 원내 4개 정당으로 정리되었다. 이에 따라 헝가리 정당 정치 구조는 청년민주연합(FIDESZ)가 주도하는 우파 연합과 헝가리사회당(MSZP)이 주도하는 좌파 연합의 양당적 구조로 서서히 변해가고 있다. 특히 포스트 공산시대 이래 계속되어온 사유화 정책의 결과로 헝가리 내에서 신부유층과 서민, 노동자 계층 간의 빈익빈 부익부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는 현상이 정당 지지도에서도 뚜렷이 반영되고 있다. 헝가리 정당정치는 이제 예측 가능한 서구 수준의 정당 정치로 변화해갈것이며 2004년 EU가입의 전제 조건도 충분히 충족시킬 수 있는 수준이다. The parliamentary elections held in the Republic of Hungary in 1990, 1994, 1998 and 2002 were conducted in a manner consistent with international standards and commitments for democratic elections. The Hungarian election system provide the basis for a generally transparent, accountable, free, fair and equal process. Despite some shortcomings, these elections contributed to the further strengthening of the democratic election environment in Hungary The system of representation in the republic of Hungary is a party-based that involves a 3-tiered, mixed election process. 358 members of the Parliament are elected through two rounds of voting. 176 candidates are elected in a single mandate districts. A proportional distribution of 152 seats is based on the votes cast on party list ballots at the county level. A party must win at least 5% of the country list votes aggregated nationwide to be eligible to take part in the distribution of seats. 58 compensatory seats are distributed among national party lists using the unused votes cast for unsuccessful candidates in the district races and surplus votes remaining after applying the formula for distribution of seats elected proportionally among the country lists. After the general election in 2002, Hungary has only 4 parties in our parliament. And finally Hungarian Parliament has the very structure of the two coalition leftists and rightists. The leftists MSZP and SZDSZ won victory and 2 rightists are the FIDESZ and the MDF. FIDESZ was the leader in the last 4 years. These first 2 years was right, but their last 2 year changed to more rightist. MSZP won the party polls, MDF had the biggest function in the election in 1990. At no point has any government since the end of communism survived more than a single term. The 2002 elections were the most divisive since the advent of democracy in 1990. For the first time, people were beating each other in the streets over political issues. Both side pumped up the debate sharply-through their negative ads, through their whispering campaigns. But Hungarian political parties are very inform that this time is a crucial juncture in Hungarian politics, because they will lead Hungary into the European Union.

      • KCI등재

        역사적 경험에서 바라본 탈냉전기 폴란드와 헝가리의 중간국 외교

        김규남 한국외국어대학교 EU연구소 2021 EU연구 Vol.- No.57

        The external-balancing diplomacy of Poland has possibility for a segmentation between East and West in Europe by strengthening the regional fault line, while also strengthening the Euro-Atlantic network. The economical-engaging diplomacy of Hungary could weaken the local fault line and at the same time lead to strengthening the Eurasian network. However, Hungarian tendencies of nationalism have a room for fragmentation in Europe. Poland hopes to have an initiative to seize the power in the central-eastern region, and has a strong desire to make Ukraine a middle country. Russia and Belarus play a role in transforming the regional composition for Poland, and these countries can be regarded as structural blank areas in Poland. Hungary may have relatively few structural voids compared to Poland and has an opportunity as an intermediary in the region. In the end, Poland's diplomacy has the strength of more than a middle-powered country in the region and has the opportunity to transform the hegemony in the region, but at the same time poses the weakness of the geopolitical fault line and the threat of hegemony. Hungarian diplomacy has strengths that are not geographically adjacent to hegemony and the opportunity to play the role of a middle man, but she has weakness of the national power in the region and are also subject to the risk of forced choice due to changes of world hegemony. Today, in the context of Central Europe, where national independence is strengthened rather than the European Union's communality, the search for a balance between Polish and Hungarian sovereignty, alliance, and multilateral cooperation system will be diplomatic task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tasks of diplomacy of Poland and Hungary as a middle country through the context of the times and internal and external backgrounds. 폴란드의 외적균세형 외교는 지역 단층선을 강화시켜 동서 간 분절을일으킬 수 있는 여지를 안고 있는 동시에 유로대서양 네트워크 강화의 측면도 있다. 헝가리의 경제적 관여형 외교는 지역 단층선을 약화시킬 수있는 동시에 유라시아 네트워크 강화를 유도할 수 있다. 다만 헝가리의민족주의적 성향은 유럽 내 분절을 일으킬 수 있는 여지를 안고 있다. 폴란드는 역내 중심 권력을 장악하려는 이니셔티브 선호적 열망을 지니고있고, 우크라이나를 중간국화 시킬 수 있는 요인을 안고 있다. 폴란드에러시아와 백러시아는 역내 구도를 변환시킬 수 있는 역할을 하고 있고, 이들 지역이 폴란드에는 구조적 공백지역이라 볼 수 있다. 헝가리는 폴란드에 비해 상대적으로 구조적 공백지역이 적을 수 있고, 역내 중개자로서기회를 안고 있다. 결국 폴란드 외교는 역내 중견국 이상 국력의 강점을지니고 있고, 역내 패권을 전환시킬 수 있는 기회를 안고 있지만, 지정학적 단층선의 약점과 패권의 위협을 감당할 위험을 동시에 갖고 있다. 헝가리 외교는 지리적으로 패권과 인접하지 않은 강점과 중간자의 역할을행할 수 있는 기회를 지니고 있지만, 역내 국력의 미비한 약점과 패권구도 변화에 따른 강요된 선택의 위험을 안고 있다. 오늘날 유럽연합의 공동체성보다 국가의 독립성이 강화되는 중부유럽의 흐름과 지역협력의 공백이 발생하는 상황에서 폴란드와 헝가리 외교의 주권, 동맹, 다자협력체제의 균형점 모색은 외교적 과제로 떠오를 것이다. 본 연구는 중간국가로서 폴란드와 헝가리 외교의 특징과 과제를 시대적 환경과 내외적 배경을통해 분석해 보고자 한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