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학계의 백제사 연구 현황과 전망

        위가야 동북아역사재단 2022 東北亞歷史論叢 Vol.- No.77

        Assuming that the historical perception based on the “unified multiethnic state theory” is the foundation of the Northeast Project, the space of Baekje history is located outside the current Chinese territory. This is the reason why there were not many achievements in analyzing Chinese research on Baekje history from the perspective of China’s distortion of ancient Korean history based on the so-called “historical perception based on the Northeast Project”. However, Chinese academic circles have recently been expanding their interest in areas that were outside the scope of the Northeast Project. Now it is necessary to reorganize and analyze Baekje history research in China that have been identified so far. This article aims to organize current research situation based on the existing trends on Baekje history research in Chinese academic circles, and examines it by reviewing the system and contents of recent publications, Chronicles of Baekje History(『百濟歷史編年』) and Baekje·Collection of History(『百濟·集史』). Research results of Baekje history in China confirmed so far are over 360 pieces which show huge increase in quantity since 2000. A distinctive feature in the topic selection is that the research on international relations, cultural exchanges, and refugees takes significant proportion. Since the 2000s, the number of articles related to historical perception, politics, system, economy, and research history has increased. This article has confirmed the following facts by analyzing the composition and content of the recently published Chronicles of Baekje History and Baekje·Collection of History. Chronicles of Baekje History will serve as a collection of historical records that provides a foundation for subsequent research and a milestone that suggests the direction of the research. Another fact is that Baekje·Collection of History aims to build a foundation for future research on Baekje history in China by providing comprehensive information along with compiling Baekje history research in Chinese academic circles. Another characteristic of recent research is that there are many results that have attempted micro-analysis focusing only on the content of the historical material itself. This means that the basis of Baekje history research has been expanding in China. This expansion is expected to promote presenting more organized academic research results through the foundation of Baekje history research completed by Chronicles of Baekje History and Baekje·Collection of History. This is the reason why Korean academic circles should not lose interest in future research achievements while reorganizing the research results of Baekje history in China. ‘통일적다민족국가론’에 입각한 역사 인식이 동북공정의 기반이 되었다고 할 때, 백제사의 공간은 현재의 중국 영토 밖에 존재한다. 이 때문에 이른바 ‘동북공정식 역사 인식’에 입각한 중국의 한국 고대사 왜곡이라는 관점에서 중국의 백제사 연구를 분석한 성과는 많지 않았다. 그러나 최근 중국학계는 동북공정의 대상에서 벗어나 있던 영역에까지 관심을 보이고 있다. 현재까지 확인된 중국의 백제사 연구를 다시 정리하고 분석해야 할 까닭이 여기에 있다. 이 글에서는 중국학계의 백제사 연구 동향에 대한 기존 연구들을 토대로 현재까지의 연구 현황을 개략적으로 정리하고, 최근 출간된 『백제역사편년(百濟歷史編年)』과 『백제·집사(百濟·集史)』의 체제와 내용을 검토하여 연구 동향의 현황을 점검하였다. 현재까지 확인된 중국의 백제사 연구 성과는 360여 편이며, 2000년 이후 연구의 양적 증가폭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주제 선정에서 두드러지는 특징은 국제관계와 문화교류 및 유민 관련 연구 주제의 비중이 압도적이라는 것이다. 2000년대 이후에는 역사인식과 정치·제도·경제 및 연구사 관련 논문이 증가하고 있는 모습이 확인된다. 최근 발간된 『백제역사편년』과 『백제·집사』의 구성과 내용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백제역사편년』은 후속 연구의 토대를 제공하는 사료집인 동시에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는 이정표의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백제·집사』는 이제까지 중국학계에서 이루어진 백제사 연구를 집성하는 것과 함께 향후 연구를 위한 정보를 종합적으로 제공하여 향후 중국에서의 백제사 연구의 토대를 구축하는 데 편찬의 목적이 있다고 여겨진다. 최근 중국에서 이루어지는 백제사 연구의 또 다른 특징은 사료의 내용 자체에 천착한 미시적 분석이 시도된 연구 성과가 다수 제출되고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이는 중국에서 백제사 연구의 저변이 확대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연구 저변의 확대가 『백제역사편년』과 『백제·집사』를 통해 완비된 백제사 연구의 토대 위에서 학술적으로 좀 더 정비된 연구 성과의 제출을 촉진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 학계가 중국에서 이제까지 이루어진 백제사 연구 성과를 다시금 정리하는 동시에 향후 이루어질 연구 성과에 관심의 끈을 놓지 않아야 하는 이유이다.

      • KCI등재

        백제의 史書 편찬

        박재용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22 한국고대사탐구 Vol.40 No.-

        Goheung’s ‘Seogi’ was compiled as a means to rationalize and sanctify the Baekje monarchy while writing the royal genealogy during the reign of King Geunchogo. It is believed that the contents were integrated and organized around the royal family, with the myths and legends of various tribes subordinated to Baekje. ‘Gogi’ quoted in “Samguksagi” was emphasized as a material that could overcome the limitations of Chinese history books’ records on the three Kingdoms. There were many cases where the contents of the history books made in Baekje were transmitted without much damage. It must have contained content related to the Baekje king’s genealogy, characters, and events, including the story of Onjo in ‘Seogi’. Together with ‘Seogi’, ‘Gogi’ would have served as the basis for composing the “Samguksagi” and the Baekjebongi. It is highly probable that the compilation of history books continued after ‘Seogi’ in Baekje. The reigns of King Muryeong and King Seong were the period when internal and external stability and Baekje’s view of the world were established. In order to strengthen the royal power of the Muryeong dynasty, he suppressed the aristocratic forces and completed the system in all areas of politics and society, leading the revival of Baekje both internally and externally. Changes in the capital city and country’s name, cultural development achieved in the process, and further external expansion would have necessitated the compilation of a new history book. At this time, the new history book must have contained various histories of not only the Wangreok, but also various foreign affairs such as the various bureaucracies of Baekje at that time, as well as the advancement into the Gaya region. The so-called ‘Baekjesamseo’, which is importantly quoted in “Nihonshoki”, is a history book compiled by descendants of Baekje in Japan. Although it was distorted and colored based on the Tenno’s historical view, the original material was written in Baekje and has great historical value. It is highly probable that the history book or material compiled by King Muryeong and King Seong was the original source of the ‘Baekjesamseo’ ‘Baekjesamseo’ record the history of Baekje, which cannot be found in Korean or Chinese sources. The histor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Baekje and Waeguk can be confirmed in detail, and the history of the ancient Korean Peninsula, including Gaya, is also abundantly conveyed. In particular, the Baekje’s Wangreok, peoples names, official positions, and the development of events are closer to the original form than the records of the “Samguksagi”. Through this, it can be seen that Baekje continued to compile history books after the reign of King Geunchogo, and it was possible to find a new research approach to the compilation of librarians in Baekje. 書記’는 근초고왕 때 왕실의 계보를 문자로 기록하면서 백제왕권을 합리화하고 이를 신성시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편찬되었다. 그 내용은 백제에 복속된 여러 부족의 신화와 전설을 왕실 중심으로 통합・정리하였을 것으로 여겨진다. 三國史記 에 인용된 「古記」는 중국 사서의 삼국에 대한 기록이 갖는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자료로서 중시되었다. 여기에는 백제에서 만들어진 사서의 내용이 크게 훼손되지 않고 전해진 경우도 상당수 있었다. ‘서기’의 온조설화를 비롯해서 백제왕 계보 및 인물・사건과 관련한 내용을 담고 있었을 것이다. 이러한 「고기」는 ‘서기’와 함께 삼국사기 백제본기를 작성하는 데 기초가 되었다. 백제에서는 ‘서기’ 이후 사서 편찬이 계속 이루어졌을 가능성이 크다. 무령왕과 성왕 대는 대내외적 안정과 백제의 천하관을 확립하던 시기였다. 왕권을 강화하기 위해 귀족세력을 누르고, 정치・사회 전반에 걸쳐 제도를 완비하여 대내외적으로 백제의 중흥기를 이끌었다. 당시 수도의 천도와 국호의 변경, 그 과정에서 이룩한 문화발전, 나아가 대외적 팽창 등은 새로운 사서의 편찬을 필요로 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때 새로운 사서는 王曆은 물론 백제의 여러 制度를 비롯하여 가야지역 진출 등 대외관계까지 다양한 역사를 담고 있었을 것이다. 日本書紀 에서 중요하게 인용한 이른바 ‘百濟三書’는 일본 내에서 백제의 후손들이 편찬한 사서이다. 비록 천황중심사관에 입각해 왜곡・윤색되었지만, 그 원자료는 백제에서 작성된 것으로 사료적 가치가 매우 크다. 무령왕~성왕 대 편찬한 사서 혹은 자료가 ‘백제삼서’의 원자료였을 가능성이 크다. 이러한 ‘백제삼서’는 한국이나 중국의 자료에서 볼 수 없는 백제의 역사를 전하고 있다. 백제와 왜국의 관계사를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나아가 가야를 포함한 고대 한반도 역사까지 풍부히 담고 있다. 특히 백제왕력이나 인명・관직, 그리고 사건의 전개 등은 삼국사기 의 기록보다 원형에 가깝다. 이를 통해서 백제는 근초고왕대 이후로 계속 사서를 편찬했음을 알 수 있고, 백제 사서편찬에 대한 새로운 연구접근 방법을 모색할 수 있었다.

      • KCI등재

        백제의 대외 교류사 인식에 대한 단상

        김영관(Kim, Young-kwan)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7 한국고대사탐구 Vol.26 No.-

        백제세계유산센터에서 구축한 디지털 아카이브에 따르면, 지금까지 백제에 대해 약 50편의 박사 논문, 600편의 석사 논문이 제출되었다. 관련된 학술 연구 논문도 1,823편을 넘나든다. 이러한 논문 제출 건수는 신라에 비해서는 적지만 고구려에 비하면 적은 편이 아니다. 오히려 고구려를 능가한다고 볼 수 있다. 고구려와 신라에 비해 연구 자료가 부족하고 관심이 덜한 백제에 대해 이런 연구 성과를 낸 것은 아이러니한 결과이다. 본고에서는 백제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인식에 대해 대외관계와 문물교류라는 차원에서 살펴봄으로써 백제 문화에 대한 대중의 인식이 편향되게 흐른 까닭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앞으로 백제 연구를 활성화하고 대중들에게 널리 알리려면, 지금까지 드러난 편향된 인식을 바로잡고 공정한 잣대를 백제사 연구에 들이대어야만 할 것이다. 또한 광범하고 치밀한 연구가 바탕이 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려면 몇 가지 풀어야 할 문제가 있다. 첫째로, 전문 백제사 연구자의 양성이 필요하다. 현재 한국고대사를 강의하는 전임 교수 숫자는 대략 88명이다. 이중 백제사 전공 교수는 20명뿐이며, 9명이 문헌사 전공이고, 11명이 고고학 전공자이다. 이처럼 소수의 인원으로 백제사 연구자를 제대로 양성하기는 어렵다. 백제사 전문 연구 기관이 3곳이 있지만, 전임 인력이 거의 없다시피 하다. 백제 연구기관은 허울뿐인 것이다. 둘째로, 백제 연구에 대한 중앙 정부의 관심 확대이다. 백제사 연구가 이제까지는 대개 백제의 고토지역 내에서 이루어졌다. 앞서 언급한 백제에 대한 연구 논문 대부분이 백제 지역 소재 대학에서 간행되었다. 이는 백제사를 향토사적인 시각에서 편향되게 바라보고 연구하게 된 배경이 되었다. 지역 중심의 연구는 중앙의 무관심이 낳은 결과이기도 하다. 이를 탈피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셋째로, 중앙정부 또는 역사 연구기관에 백제사 전문연구자가 거의 없다는 것은 드러나지 않은 사실이다. 국사편찬위원회, 동북아역사재단 등에 백제사 전공자는 없다. 백제 역사와 문화 보급을 위해 세워진 국립중앙박물관, 국립부여박물관, 국립공주박물관도 마찬가지이다. 전문연구자 그룹으로 분류되는 학예연구사와 학예연구관들이 있지만, 백제사를 전공한 박사급 인력은 아예 없다. 이들 기관에 백제사 연구자의 확충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처럼 백제에 대한 연구는 기반이 튼튼하지 못하다. 앞으로의 전망도 밝지 못하다. 백제의 역사에 대한 전문적인 연구를 토대로 백제 문화를 국내외에 널리 교육하고 알릴 수 있는 것인데, 지금으로서는 부실하기만 하다. 연구기반의 확충 없이 백제 역사와 문화를 널리 알리고 교육하기는 어렵다. This article has examined Baekje history and culture from the viewpoint of external relations and cultural exchanges in order to examine why the public perception of the Baekje history and culture has been biased in Korea. In order to activate Baekje research and enable it to be widely informed to the public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correct the biased perceptions so far and to apply fair judgment standards to Baekje history research. It should also be based on extensive and detailed research. To that end, there are some problems to be solved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train specialist Baekje history researchers. Currently, there are about 88 full-time professors teaching ancient Korean history at Universities in Korea. Among them there are only 20 professors majoring in the Baekje history: 9 professors study history through texts and 11 through archeology. It is difficult to educate Baekje researchers properly with such a small number of personnel. Even though there are three Baekje research institutes in Korea, there are few full-time workers. The institutes are just unsubstantial. Second,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interest of the central government in Baekje studies. Until now, research on Baekje history was usually conducted within the old area of Baekje. Most of the research papers on Baekje mentioned above were published at Universities in Baekje area. This was the background where the Baekje history has been studied from a biased viewpoint of local history. Indifference of central government also resulted in area-based research. Efforts should be made to get out of it. Third, it is an underrepresented fact that there are few Baekje researchers at central government or historical research institutes. There is no researcher majoring in Baekje at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and the Northeast Asian History Foundation. The same goes for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the Buyeo National Museum, and the Gongju National Museum. Although there are curatorial researchers who are classified as professional researchers, there are no researchers getting a Ph.D. in Baekje history. It is essential for these institutions to expand the researchers of Baekje history. Thus, research of Baekje is not well established. Future prospects are not bright at the present time. After being based on specialized research on the history of Baekje, you should be able to educate Baekje culture widely both in and out of country. However, it is insufficient at the moment. It is difficult to publicize and educate broadly Baekje history and culture without expanding its research base.

      • KCI등재

        한국 영사악부(詠史樂府)에 나타난 대백제사(對百濟史) 인식고(認識考)

        이동재 ( Lee Dong-jae ) 한국한문고전학회(구 성신한문학회) 2016 漢文古典硏究 Vol.33 No.1

        본고는 한국 詠史樂府에 수록된 백제사 관련 시의 현황을 살펴보고, 이어 작가들의 백제사에 대한 인식을 고찰하여 백제사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변화하여왔는가를 살펴보는데 일조하였다. 조선후기에 지어진 영사악부는 `海東樂府`, `東國樂府`, `箕東樂府` 등으로 그 명칭이 다르지만, 모두 우리나라 역사서의 기록을 재해석한 시로서 작가들의 역사인식이 드러나 있다. 한국 영사악부에 수록된 시 가운데 백제사 관련 시는 38수이고, 고구려 관련 시는 41수이며, 신라와 관련된 시가 313수로 백제사와 관련된 소재는 신라의 것보다 1/8에 불과할 정도로 매우 적다. 또한 시의 내용은 백제의 건국과 관련된 내용을 소재로 한 시가 7수이고, 백제의 패망과 관련된 시는 19수이며, 백제사 관련 인물을 褒貶한 시는 8수이다. 한국 영사악부에 백제사 관련 내용이 적은 것은 이를 지은 작가들이 백제사와 관련된 전설이나 전승된 문화, 노래 등에 별다른 지식이나 경험이 없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이들의 백제사와 관련된 인식은 고려조에 기록된 김부식의 『삼국사기』나 일연의 『삼국유사』의 기록을 크게 벗어나지 않았지만 작가에 따라 인식의 범위와 인식의 차이가 있었다. 백제사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면, 첫째, 영사악부의 작가들은 溫祚의 백제 건국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을 드러내고 있다. 즉 마한의 왕인 箕準이 온조에게 인정을 베풀어 땅을 내주어 살게 하였는데도 오히려 멸망시킨 것은 `不仁`한 것이며, 나아가 우리나라의 正統을 깨트리는 것이라고 하여 온조의 백제 건국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을 드러내고 있다. 둘째, 영사악부를 지은 작가들은 백제 패망에 대한 책임은 전적으로 의자왕에게 있다고 인식하고 있다. 다만 이학규는 백제 멸망의 책임은 역대 임금들의 荒淫無道와 귀족들 간의 알력과 다툼으로 인한 인재 등용의 실패, 여기에 더하여 잦은 왕권의 다툼이 쌓여서 생긴 결과라고 인식하고 있다. 셋째, 영사악부의 작가들은 都彌부인과 成忠에 대해 貞節과 忠節을 높이 평가하고 있다. 이는 작가 자신이 살고 있는 당대 사회에 정절을 지키는 婦道를 널리 실천하고자 하는 의지와 국가와 임금에게 충성을 다하겠다는 의지의 발로이다. 그러나 福信과 扶餘隆에 대한 평가는 매우 부정적이다. 이들은 복신이 사욕에 사로잡혀 내부 분열을 일으켜서 백제부흥운동이 수포로 돌아갔다고 평가하고 있다. 또한 부여융은 한 나라의 태자로서 망한 나라를 되찾겠다는 국권회복의 의지가 없고 일신의 安逸만을 생각하는 기생충과 같은 인물이라고 평가하였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Baekje history related poems in Korea`s Yeongsaakbu, and then the writers` recognition of Baekje history. First of all, the characteristics of Baekje history related pomes are examined. Yeongsaakbu, published in the late Joseon period, is also known differently as Haedongakbu, Donggukakbu, Gidongakbu etc. but contains pomes that reinterpret records in Korean history books. Of those poems published in Yeongsaakbu, 38 are Baekje history related while 41 Goguryeo history related and 313 Silla history related. Thus, the poems with Baekje history related subject matters are just 1/8 as many as those with Silla history related matters. On the other hand, as for the themes of the poems, 7 have events related to the foundation of Baekje as theirthemes, 19 are related to the fall of Baekje, and 8 praise and censure Baekje history related figures. They thought that Baekje Restoration Movement failed as Bok Sin caused internal quarrels for his individual desires. Also, they criticized Buyeo Yung as a parasite who lacked the will to restore the sovereignty though he was the crown prince but only paid attention to his own comfort. The reason why Yeongsaakbu has a small amount of Baekje history related contents is that the poets did not have enough knowledge and experiences aboutfolktales, inherited culture, songs etc. related to Baekje history. Thus, their Baekje history related recognition is similar to Samguksagi editor Kim Busik`s and Samgukyusa writer Ilyeon`s in Goreyo. Then, this paper examines the recognition of Baekje history. First, the poets in Yeongsaakbu revealed negative recognition of Onjo`s foundation of Baekje. That is, they thought the fact that Onjo terminated Mahan even though Gijun, the King of Mahan, showed enough mercy to him to give him lands to live harmed the legitimacy of Korea. Second, the poets in Yeongsaakbu believed that King Euija had full responsibility for the fall of Baekje. However, Lee Hak-gyu recognized that the fall of Baekje is a result from Baeje kings`successive indulgence and immorality, failure to recruit brilliant human resources due to the nobility`s mutual quarrels, and frequent struggles for the throne. Third, the poets in Yeongsaakbu gave a high evaluation to Lady Domi(都 彌夫人) for her fidelity and loyalty toward Seong Chung(成忠). This is a manifestation of their will to spread the practice of women`s way to keep their fidelity in the society where they themselves lived and to devote themselves to the nation and the king with their loyalty. However, their evaluation of Bok Sin(福信) and Buyeo Yung(扶餘隆) was very negative.

      • KCI등재

        『삼국사기』 악지의 백제악에 관한 재고

        이용식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18 호남학 Vol.0 No.64

        『삼국사기』는 역사의 승자인 신라 중심의 역사서로서 역사의 패자인 백제에 관해서는 극히 소략한 정보를 싣고 있는 역사적 불평등의 결정판이다. 『삼국사기』를 주도적으로 편찬한 김부식은 신라 무열왕 후손으로 경주 사람이기 때문에 그의 역사관은 신라 중심을 수밖에 없었다. 그리고 이런 그의 역사관에 의해 백제에 관한 기록은 왜곡과 축소의 과정을 밟는다. 예를 들어 『삼국사기』 악지의 백제악은 신라악에 비하여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매우 소략하고 부정확하다. 신라 중심의 역사관을 가진 『삼국사기』 악지의 편찬자는 중국 역사서인 『통전』과 『북사』를 인용하여 백제 음악을 소략하게 기록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백제 음악에 관한 역사 기록이 극히 적기 때문에 음악사 서술에 『삼국사기』 악지의 정보를 전적으로 수용할 수밖에 없었다. 중국 역사서인 『통전』과 『북사』를 인용한 『삼국사기』 악지의 백제악은 실제 백제에서 연행되던 음악을 기록한 것이 아니다. 이는 7~8세기 당나라 궁중에서 연행되던 잡기 중의 하나인 백제악을 기록한 중국의 역사서를 그대로 인용하여 백제악의 항목에 수록한 것이다. 즉, 『삼국사기』 악지에 담긴 백제악에 관한 정보 대상들은 ‘객관적 사실’이 아니다. 『삼국사기』 악지의 편찬자들은 원전 자료의 ‘의도적 선택’을 통해 그들의 입맛에 맞는 역사를 기록하는 ‘의도적 왜곡’을 저지른 것이다. 역사의 패자인 백제인들은 이미 경험 주체로서의 자기 설명 기회를 잃었고, 표상된 역사에 자기 기억을 남기지 못하였다. 그리고 『삼국사기』 악지의 백제악에 관한 정보는 ‘대상의 진실’이 아니라 편찬자들이 선택한 중국 사료에 근거한 왜곡된 정보이다. 김부식과 『삼국사기』 편찬자들은 신라 중심의 역사관으로 역사를 기록했다. 그리고 이들은 역사적 패자인 백제의 음악사를 의도적으로 왜곡했다. 『삼국사기』에 기록된 백제악을 백제의 음악으로 예단하는 현상은 역사서에 내포된 오류를 간과하고 무오류를 전제하는 우리 음악사학계의 맹목적 문헌주의의 결과로 왜곡된 정보를 수용하는 오류를 범하고 있다. Samguk sagi (The History of Three Kingdoms) was written with the orientation towards the Silla dynasty, the winner of the history. Therefore, the history of the loser, the Baekje dyansty, is very brief compare than that of the winner. The main writer of the History of Three Kingdoms, Kim Busik, is the descendent of the royal family of the Silla dynasty that he cannot but have his perspective towards the dominant power. In this sense, the history of the Baekje dynasty has been distorted and shortened. For example, the music of the Baekje dynasty is very brief in its quantity and is very poor in its quality. Nevertheless, we cannot but depend on the Samguk sagi because there is no written history about the music of the Baekje dynasty. The music of the Baekje dynasty recorded in Samguk sagi which referred to the Chinese histories such as Tongjeon (Encyclopedic History) and Buksa (The History of Norther Dynasties) are not the music practiced in the Baekje dynasty. It is one of the court musical repertories performed in the court of the Tang dynasty in the 7th and 8th centuries. In other words, the information of the music of the Baekje dynasty in Samguk sagi is not ‘historical fact’ at all. The compilers of Samguk sagi intentionally collected the Chinese sources and made intentional distortion to fit their world view. The losers of the history, the people of the Baekje dynasty, did not have a chance to speak in their own words who had experienced the past. They were not able to record their history. In this sense, the music of the Baekje dynasty recorded in Samguk sagi is not the objective reality but is based on the misinformation distorted by the writers of the history book. Kim Busik and the compilers of the Samguk sagi have strong tendency toward to the Silla dynasty, the winner of the history. In this way, they intentionally distorted the music history of the Baeje dynasty, the loser of the history. As long as we take the historical records in Samguk sagi without the consideration of historical context of the compilers and their intention, we may perceive the wrong information without any hesitance.

      • KCI등재

        6세기 문인들의 백제 회고시 연구

        이동재 ( Dong Jae Lee ) 한국한문고전학회(구 성신한문학회) 2015 漢文古典硏究 Vol.30 No.1

        본고는 16세기 문인들에 의해 지어진 백제 회고시의 현황과 내용, 그 문학사적 특징을 고찰하여서 백제 회고시에 대한 이해와 백제사 인식의 단면을 살펴보았다. 백제 회고시는 백제사와 관련된 유적, 인물 등을 소재로 하여 지은 시를 말한다. 16세기 문인들에 의해 지어진 백제 회고시는 沈彦光을 비롯한 15명의 문인에 의해 44편이 있다. 시의 내용은 대부분 역사의 무상함을 드러내고 있고, 당대 현실을 寓意한 시는 많이 지어지지 않았다. 그 이유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역사에 대한 무관심의 고조이다. 조선의 16세기는 건국이념인 성리학적 가치관이 이미 다방면에 심화된 사회였으나 여전히 權貴들과 士林들 간의 정치적 갈등이 지속되었다. 그리하여 전반적으로 문인들은 현실정치에 적극 개입하여 자신의 정치적 신념을 드러내려고 하지 않았다. 이에 따라 전 시대에 비해 현실 문제를 寓意할 수 있는 역사에 대한 관심이 현저하게 줄어들었다. 둘째, 16세기에는 성리학이 심화되고 보편화되면서 문인들은 성리학적 역사관에 부지불식간에 훈습되어 있었다. 經筵의 중심 교재가 六經과 주자에 의해 재정리된 『資治通鑑綱目』이었다. 『자치통감강목』은 성리학적 관점에서 중국사를 재정리한 책으로, 문인들은 이를 통해 역사를 배웠기 때문에 우리 역사에 대한 관심보다는 중국사에 관심이 많았다. 셋째, 백제사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였다. 이 시기에는 우리 역사에 대한 재정리 작업이 없었기 때문에 백제사에 대한 지식은 삼국사기의 기록을 넘지 못하였을 뿐만 아니라, 인식도 여전히 부정적이었다. 이에 따라 백제사에 대한 회고적 감정을 드러낸 시는 전 시대인 鮮初에 비해 많이 지어지지 않았으며, 지어진 시도 거의 대부분 역사의 무상감만 드러내고, 감계의 정서를 드러낸 시는 소수에 불과하며, 그 내용도 지치주의 관점에서 의자왕을 비판하고 成忠을 褒揚하는 시각으로 드러났다. This study purposed to examine the current state, contents, and literary characteristics of poems reminiscing about the Baekje Dynasty written by literary men in the 16th century and ultimately to broaden our understanding of poems reminiscing the Baekje. Poems reminiscing about the Baekje Dynasty refer to poems composed on the theme of remains, people, events, and history related to Baekje by those who visited the remains of the Baekje Dynasty including Buyeo, the last capital of Baekje. There are 44 extant poems reminiscing about the Baekje Dynasty written by 14 literary men in the 16th century including So Se-yang(蘇世讓). The contents of the poems are mostly about the vanity of history, and a few literary men such as Hwang Jun-ryang wrote poems satirizing the realities in those days but the number is small. The reasons are as follows. First, different from that in the 15th century, 16th-century Joseon was already rooted deeply into the Neo-Confucian value, the national founding ideology of Joseon, in various aspects of the state including politics, economy, and society. However, there were a series of political incidents including Gimyosahwa(己卯士禍: massacre of Confucian scholars in 1519) resulting from continuous political conflicts between aristocrats monopolizing power and wealth and those anxious for new politics. As a result, literary men’s interest in history was generally diminished far lower than that in the past. Second, as Neo-Confucianism was deepened and popularized in the 16th century, the Neo-Confucian view of history soaked into literary men unknowingly. The king had to attend the learning session[經筵] everyday and discussed Confucian texts and history with the subjects. The main textbooks of the learning session were Liujing[六經: the Six Classics] and Jachitonggamgangmok(資治通鑑綱目) reorganized by Chu-his. Jachitonggamgangmok is a book of Chinese history, not Korean, restructured from the Neo-Confucian viewpoint based on existing Chinese history books. Therefore, literary men versed in Jachitonggamgangmok, namely, Chinese history but did not have keen interest in and deep knowledge of Korean history. Third, because there were not works for organizing Korean history in those days, the knowledge of Baekje history could not go beyond the records in Samguksagi, and people’s perception of Baekje history was negative. For these reasons, there were not many poets and poems revealing reminiscent emotions on Baekje history compared to those in the early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and most of written poems expressed the vanity of history irrelevant to the realities in those days. Only few literary men including Hwang Jun-ryang exposed their sentiment of lamentation and admonition in their poems, which criticized King Euija and adored Seongchung from the viewpoint of ultimate governing ideology[至治主義].

      • KCI등재

        중국에서의 백제연구

        馮立君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2020 百濟硏究 Vol.71 No.-

        The history of Baekje in Han-Tang Period reflects East Asia. During this period, communities of civilization with Baekje as their national title existed in the neighboring world, which indicates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Baekje as a regional hub rather than a marginal region in Han-Tang Period. Baekje’s historical writing includes the historical records of the other,referring to the systems of China, Japan and Silla-Koryo, and the historical relics of Baekje people, including archaeological materials and inscriptions on stones, bearing certain meanings of self-preservation. A comprehensive interpretation of these historical materials scattered throughout East Asia today now is identified as the fundamental way to deepen the study on Baekje. If taken the end of WWII as a watershed, the academic history of Baekje studies can be divided into two parts: the time before 1945 in which Japanese scholars studies prevailed in terms of investigating and excavating; and the time after the war when systematic Archaeology and detailed research by Peninsula scholars gradually took the main position. In recent years, Chinese scholars carefully interpreted the Chinese cemeteries and searched for new historical materials through the intersection of the history of Han-Tang Period and the history of East Asia, thus, established a new pattern of Chinese style in regional history research. At present, Chinese scholars have carried out preliminary historical data sorting and chronological work, and held the first nationwide symposium on the history of Baekje, which are new starting points for the study of Baekje in Chinese academic circles. Chinese Baekje researchers, though not self-conscious, are self-existent research groups, but their research on Baekje history is of great significance. We hope that through our efforts, we can make great progress in our peer-to-peer exchanges with Japan and South Korea, and truly achieve common academic progress and mutual learning of civilizations. 한당시대 백제의 역사에서 동아시아를 발견할 수 있다. 백제를 국호로 삼은 인간 공동체와 그 문명은 이웃 세계와의 다원적이고 밀접한 관계 속에서 활약했으며, 이는 백제가 주변부가 아닌 한당동아시아의 중추로서의 역사를 내포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백제의 역사는 첫째, 중국과 일본, 신라-고구려계통이 기록한 ‘타자’의 역사적 기록, 다른 하나는 고고자료와 금석문 등을 포함하는 ‘自我作古’의 의미를 갖는 백제인들의 역사유적이다. 이러한 자료들은 동아시아 각지 산포되어 있으며 오늘날 전면적으로 해독되고 있어 백제와 동아시아 연구를 심화시키는 본질적인 방법이 되고 있다. 제2차 세계대전의 종전을 기점으로 하면 한당시대 백제연구의 학술연구사는 두 부분으로 나눌 수있다. 1945년 이전 중국학자들의 연구는 초기단계였고, 일본학자들의 발굴조사와 연구가 주가 되었으며,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남ᆞ북한학자들의 체계적인 고고학과 세밀한 연구가 점점 주가 되었다. 근래에 와서 중국학자들은 한당사와 동아시아사를 교차하여 사료를 세밀히 살피고 새롭게 확인되는 사료를연구하고 있으며, 중국 스타일의 지역사 연구의 새로운 구도를 초보적으로 확립했다. 중국학자들은 현재 이미 초보적인 백제사료의 정리와 편년작업을 진행했으며, 『第一次 全國範圍的百 濟史專題研討會』가 개최되었다. 이러한 활동들은 중국학계에서의 백제연구의 새로운 기점이 되고 있다. 중국의 백제연구자들은 비록 자의적으로 모인 연구집단은 아니지만, 그들이 이룬 백제사연구의 의미는 특별하다. 우리들은 노력을 통해 한국·일본과 함께 연구하여 빠르게 나아갈 수 있으며, 진정으로 학술적인 공동의 진보, 문명의 교류로 서로에게 귀감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두계 이병도의 백제사연구 –그 업적과 한계–

        崔章烈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2021 百濟硏究 Vol.74 No.-

        Yi Byeong-do (courtesy name: Dugye, 1896-1989) was one of the most influential Korean historians of the 20th century, best known as a champion of empirical history. Yi’s lifelong emphasis on empirical methodology is traced back to his years in Tokyo during which he met his Japanese mentor while studying at Waseda University. While he made remarkable achievements throughout the long career as a historian, he was particularly proud of the one he made in the field of ancient Korean history. Yi compiled a volume of research papers he had written on ancient Korean history until his later years, and published the book A Study on the Ancient History of Korea (1976). The book also contained his early research papers on Baekje history, some of which were originally published as early as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His basic idea on Baekje history that the ancient Korean kingdom had two pivotal periods, one when it was under the reign of King Goi and the other under the reign of King Geunchogo, is still widely accepted. A pioneer in the historical research of Baekje, Yi laid the groundwork for this field. Notwithstanding, some of his theories related to Baekje history such as the presumed locations of Jinhan and Wiryeseong Fortress in Hanam or the new date he proposed as the founding year of Mireuksa Temple have been mostly dismissed today. This, however, should not be seen as a proof of imperfection of the Yi’s researches, but rather as a natural consequence of advances in the field. New findings and further research most often lead to an improved understanding of a period. His research based on a modern methodology is considered to have made immeasurable contributions in transforming Korean historiography into historical science and raising scholarly standards in this field. At the same time, Yi has been also criticized as a historian with a colonial view of Korean history. His critics accused him of echoing the Japanese-made colonial vision of Korean history. Such criticism has been mainly directed against his research in ancient history. Yi’s research was undeniably limited by his circumstances as a Korean historian who lived during the colonial period and conformed, in many ways, to the Japanese perspectives and methods. However, the fact that Yi’s research was not free of such limitations in no way diminishes the value of the many contributions he made over his career. A historiographic assessment of a historian ought to be based on a comprehensive and through evaluation of his or her scholarly activities and accomplishments. 한국 사학계에서 가장 영향력이 컸던 두계 이병도(1896~1989)는 일반적으로 실증사학을 대표하는 역사학자로 알려져 있다. 두계가 역사연구 방법론으로 평생 동안 실증적 방법을 중요시한 것은 적어도 일본 와세다대학 유학시절 일본인 스승과의 만남과 연관이 있다고 볼 수 있다. 두계는 긴 생애를 통해 역사가로서 두드러진 족적을 남겼는데, 한국 고대사는 스스로 가장 큰 성과를이룬 분야로 자부하였다. 두계는 만년에 이르기까지 쓴 고대사 논문을 모아『한국고대사연구』(1976) 를 출간하였고, 이 책에 일제강점기부터 개별적으로 발표한 백제사 관련 논문도 재수록하였다. 두계가고이왕대와 근초고왕대를 중요한 획기로 설정한 백제사 체계의 큰 틀은 지금까지도 통설이 되어 유지되고 있다. 백제사 연구는 두계를 제1세대로 하여 그 기반이 이룩되었다고 볼 수 있다. 다만, 두계가 제시한 백제사 관련 여러 견해들, 이를테면 삼한의 위치 비정, 하남위례성 비정, 미륵사 창건연대 재해석 등은 더 이상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이는 두계의 연구가 부실했기 때문이라기 보다 그간 신자료의 발굴및 관련 연구의 심화 등 학문적 발전에 따른 자연스러운 현상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두계는 근대적 역사연구 방법에 입각한 연구로 한국사학이 역사학으로 정립하고, 그 학문적 수준을향상시키는데 크게 이바지 하였다고 평가받는다. 한편으로는 식민주의 사학자로 비판을 받기도 한다. 그의 한국사 연구가 일본인들이 만든 식민사관을 추종한다는 것이다. 두계에 대한 이러한 비판은 주로 고대사 분야에 집중되어 왔다. 일제강점기 한국인 연구자의 연구가 내포하고 있던 한계, 즉 일본인들이 설정하고 이끌고 간 문제의식이나 연구방법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였음을 부인할 수 없다. 두계 역시 여기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그렇다고 두계가 쌓아왔던 연구업적을 평가 절하할 수는 없다. 역사가에 대한사학사적 평가는 그의 학술 활동과 학문적 업적에 대한 충분한 검토를 바탕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17세기 백제 회고시 연구

        이동재 동방한문학회 2022 東方漢文學 Vol.- No.9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Baekje retrospective poems written by the literati in the 17th century, as part of the study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and contents of Baekje retrospective classical Chinese poems written by the literati in our country, and the characteristics of literary history. Baekje retrospective poems refer to poems written by the literati visiting historical sites related to Baekje history and using relics, characters, and events related to Baekje history. The 17th century Baekje retrospective poems include 86 poems with 64 titles written by 34 writers including Kwak Yeol, etc. The 17th century Baekje retrospective poems have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First, it is the diversification of the group of writers. In the previous period, songwriters were mainly government officials such as Chungcheong Gwanchalsa, but in the 17th century, there were 17 poets from government officials, including Chungcheong‐do Gwanchalsa, and the remaining 17 were civilians, not government incumbents, or local residents who lived in Buyeo. In the latter half of the 17th century, economic activities were actively taking place, leading to the atmosphere for excursions growing, and the literati participating in it has increased. Second, there is a change in the form of the poems. Among the 86 poems of Baekje retrospective poems written in the 17th century, five‐character verses and seven‐character verses account for more than half of the 50 poems. Since retrospective poems mainly take the rise and fall of dynasties as the central material, they are more epic than lyricism, so it is common to compose them in styles of Pailu poems or ancient verse poems. However, Baekje retrospective poems written in the 17th century have a sense of ephemerality as their main sentiment, which is a personal lyric. This shows that the social atmosphere is gradually changing to an atmosphere in which individual will and thinking are emphasized rather than collectivism. Third, the use of Baekma‐river as a space for writing poems and as a material for poems has increased. Among the Baekje retrospective poems in the 17th century, poems with Baekma‐river as the subject matter accounted for 50 out of the 86 poems. One reason is that the number of cruises using a boat has increased as the way to cruise Buyeo, but the main reason is that the sense of ephemerality, the main sentiments of poems, is revealed through water. Thus, Baekma‐river has come to have meaning and value as a medium to remember Baekje history, or sometimes, as a space symbolized by history itself. Fourth, the sense of ephemerality and apathy emotions were deepened. Among the Baekje retrospective poems written by the literati in the 17th century, 76 poems out of the 86 poems showing apathy or sense of ephemerality accounted for 88%. In the 17th century, due to the extreme confrontation between political forces, the literati distanced themselves from the issues of the contemporary reality, and their historical interest has diminished significantly, and they revealed only the sense of ephemerality of history, which is far from the reality of the time. 본고는 우리나라 역대 문인들이 지은 백제 회고 한시의 현황과 내용, 문학사적 특징을 파악하려는 연구의 일환으로서, 17세기 문인들이 지은 백제 회고시를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백제 회고시는 백제사와 관련된 유적지를 찾아가서 백제사와 관련된 유적, 인물, 사건 등을 소재로 하여 지은 시를 말한다. 17세기 백제 회고시는 郭說 등 34명의 문인이 지은 64제 86수의 시가 있다. 17세기 백제 회고시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첫째, 작가 군의 다양화이다. 이전 시기에는 작사자가 주로 충청관찰사 등 관원이었으나, 17세기에는 작시자가 충청도관찰사 등 관원이 17인이고, 나머지 17인은 현직 관료가 아닌 민간인 신분이거나 부여에 살았던 지역민이었다. 이는 17세기 후반에 경제 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면서 유람에 대한 분위기가 커지고 여기에 동참하는 문인들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둘째, 시 형식의 변화이다. 17세기에 지어진 백제 회고시 86수 가운데 5언 절구와 7언 절구가 50수로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 회고시는 주로 왕조의 개국과 몰락 등을 중심 소재로 삼기 때문에 서정성보다는 서사성이 더 강하여 배율시나 고체시로 작시를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17세기에 지어진 백제회고시는 주된 정조가 무상감인데, 이는 개인의 서정을 읊은 것이다. 이는 사회적 분위기가 집단성 보다는 개인의 의지, 사유가 중시되는 분위기로 점점 변해가는 것을 시사해 준다. 셋째, 작시의 공간과 시의 소재로 백마강의 활용이 많아졌다. 17세기 백제회고시 가운데 백마강을 소재로 한 시는 86수의 시 가운데 50수를 차지한다. 이는 부여를 유람하는 방법이 배를 활용한 유람이 많아진 것도 한 가지 이유이지만, 주된 이유는 시의 주된 정조인 무상감을 물을 통해 드러냈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백마강은 백제사를 기억하는 하나의 매개체로서, 또는 때때로 역사 그 자체로 상징화된 공간으로서 의미와 가치를 지니게 되었다. 넷째, 무상감과 무관심 정서가 심화되었다. 17세기 문인들에 의해 지어진 백제 회고시 가운데 무관심이나 무상감을 드러낸 시가 86수 시 중 76수로 88%를 차지한다. 17세기는 정치세력의 극한 대립으로 인해 문인들은 당대 현실에 대한 문제로부터 거리를 두게 되었고, 역사적인 관심도 현저하게 줄어들게 되었으며, 당대의 현실과 거리가 먼 역사의 무상감만 드러내게 되었기 때문이다.

      • KCI등재

        추강남효온(秋江南孝溫)의 부여회고(夫餘懷古)시 연구

        이동재 ( Dong Jae Lee ) 한국한문고전학회(구 성신한문학회) 2013 漢文古典硏究 Vol.26 No.1

        본고는 추강 남효온의 역사 회고시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를 위한 선행 연구로써 그가 지은 『부여회고』 시를 살펴보았다. 추강의 『부여회고』 시는 그가 사위인 李摠과 함께 1491년 전국을 떠돌다가 백제의 마지막 도읍지였던 부여를 유람하며 지은 前後각각 10수씩으로 된 연작시이다. 이 시는 독립된 詩題가 따로 없고 각 시들이 상호 연관되어 있어서 10수가 한 편의 백제사에 대한 회고시라고 할 수 있다. 조선 초기에 지어진 백제사에 대한 회고시는 서거정과 같은 훈구문인들은 단순히 弔古의 감정만 들어낸다. 반면 추강의 『부여회고』 시는 단순히 패망한 백제의 유허지인 부여를 찾아 인간사의 덧없음을 노래한 시보다는 과거의 패망한 역사에서 자신이 살고 있는 당대의 현실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찾으려고 지은 시이다. 따라서 추강의 『부여회고』 시는 다음과 같이 이해할 수 있다. 첫째, 추강의 『부여회고』 시는 백제사 전반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詩化한 것이다. 그의 백제사에 대한 이해는 비록 『삼국사기』와 『삼국사기』 의기록을 넘지 못했지만, 史書의 기록을 충실히 따르고 자신의 감정 개입보다는 객관적 진술을 통해 후대의 교훈을 남기려고 하였다. 둘째, 추강의 『부여회고』 시는 역사를 단순히 지나간 일을 기록한다는 차원을 넘어 현재를 돌아보고 나아가 미래의 시대에도 어떻게 정도를 걸어야 하는지를 보여주고자 하는 의지의 표현이었다. 즉 그가 成忠과 같은 충신들의 충절에 대한 동일시는 자신의 절의의식과 자신의 희생을 통해 현실의 불의에 항거할 줄 아는 조선의 새로운 문인상을 정립하고자 한 것이다. 셋째, 추강의 『부여회고』 시는 그가 백제사에 대해 좀 더 공정하고 객관적인 시각을 가지고 지은 시이다. 즉 그는 백제의 멸망을 전적으로 의자왕의 황음무도함에만 두지 않고 당시의 국정을 책임진 신하도 공동의 책임으로 인식하고 있고, 나아가 백제부흥운동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다. 이는 고려와 조선 초기에 지어진 백제 회고시에서 보이는 유일한 새로운 인식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추강의 『부여회고』 시는 백제사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통해 자신이 살고 있는 당대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나 교훈을 찾으려고 지은 寓意詩라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as a preliminary study for understanding Chugang Nam Hyo-on`s historical reminiscent poems in general, has taken a look at his created poem ‘Buyeo Hoego (a reminiscence of Buyeo).’ Chugana`s poem, ‘Buyeo Hoego’ is a sequential poem consisting of the first and second halves with 10 sub-poems for each half, which he created while doing sightseeing in Buyeo in the middle of his travel over the whole country with his son-in-law, Lee Chong in 1491. This poem can be said to be a reminiscent poem about the history of Baekje with 10 sub-poems as it does not have independent poetic themes for the sub-poems, which in turn are closely correlated with each other. Hungu literary men like Seo Geo-jeong only expressed simple feelings of condolence in their reminiscent poems about the history of Baekje written in the early Joseon period. Contrastively, Chugang`s poem ‘Buyeo Hoego’ was one that was created for seeking a way to solve the real problems in the times, in which he lived from the previous history of falling in Buyeo, a historic site of the fallen Baekje rather than singing the transience of human conditions. Chugang`s poem ‘Buyeo Hoego’ can be understood as follows. First, the poem is a poeticization of Chugang`s deep understanding of the history of Baekje as a whole. Though his understanding of the history of Baekje did not overcome the records in 『Samgukyusa』 and 『Samgukyusa』, he tried to throughly follow them and leave lessons for the next generations with his objective description rather than with his emotional engagement. Second, Chuganga`s poem ‘Buyeo Hoego’ is an expression of his will to reflect upon the present beyond simply recording past events, and to show further how one should keep his right also in the future. That is to say, his identification of himself with such loyal subjects like Seong Chung is an attempt to establish a novel figure of literary man who should be able to resist the injustice in reality via his own fidelity and sacrifice. Third, Chugang`s poem ‘Buyeo Hoego’ is one that was created from a fairer and more objective perspective of the history of Baekje. That is to say, he did not ascribe the falling of Baekje completely to King Uija`s atrocious boozing and womanizing but recognized that the subjects at that time should share responsibilities as they were in charge of national politics. Furthermore, he thought of the Baekje-reconstruction movement as positive. That was a unique recognition among other reminiscent poems about Baekje created in the Goryeo and early Joseon periods. Consequently, Chugang`s ‘Buyeo Hoego’ is an allegoric poem that he created to find out a method or lesson to solve the problems in the times in which he lived, via his novel recognition of the history of Baekj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