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新羅.高麗代 詩文에 나타난 韓國書藝 미학사상의 特徵 考察

        송종관(Song, Jhong-kwan) 한국서예학회 2007 서예학연구 Vol.10 No.-

        To analyze the disposition of calligraphy theories is to grasp the basic conception of each theory. Through this analysis, we can understand deeply what meaning the ancient people tried to give to the calligraphy, what they tried to pursuit in calligraphy, and also what their last ideal was. So, this research is to grasp the characteristics of the calligraphy aesthetics with the books of the day as the central figure. And also, I tried to predict the future of Korean calligraphy on the basis of it. There were many calligraphers in Shilla and Goryeo era. In Shilla, there were about 19 calligraphers such as Seok Yang-ji, Kim In-mun, Choi Chi-won etc, and no less than 158 calligraphers were in Goryeo era including Tae-jo. The reason that I gave instances for Choi Chi-won, Im chun, Lee Gyu-bo, Lee Je-hyeon, Lee Saek, Jeong Mong-joo, Kim Gu-yong, is that I couldn`t find the appropriate writings except their collections of writings. Therefore, I could analyze the calligraphy aesthetics of that times through their prose and poetry. In result, we can realize that the root of Korean Aesthetic thoughts come from Shinseonsasang(神仙思想)based on the taste and Seonbisasang making much of moral and righteousness. To develop these thoughts we must try to understand the culture lives and cultivate our mind and put the thoughts into more practice. 서예 이론의 성향을 분석하는 것은 각 서예이론의 기본 사상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것으로 부터 우리는 옛 사람은 서예에 어떠한 의의를 주었으며, 그 의의를 준 것은 서예에서 무었을 추구하려고 한 것이며, 또한 그들의 최후 이상은 무엇인가를 비교적 깊게 이해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당시의 서적을 중심으로 하여 그 시대의 서예미학의 특징을 파악하는 것이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한국 서예의 미래지향점은 어디인가를 예측해보는데 의의를 두고자 한다. 그리고 신라에는 석양지, 김인문, 최치원을 비롯한 서예가가 약 19명이며, 고려시대는 태조를 비롯하여 무려158명이다. 하지만 이중 최치원, 임춘, 이규보, 이제현, 이색, 정몽주, 김구용을 예로 든 것은, 이들의 문집 외에는 이에 해당하는 글을 발견 할 수 없었기 때문에 부득이 그들의 시?문으로 그 시대의 서예미학을 유추해 보았다. 이러한 탐구를 통해 한국미학의 근원은 풍유에서 비롯된 신선사상과 도덕과 의리를 중시하는 선비사상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이를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문화 생명을 이해하여 많은 실천과 수양이 따라야 함을 알았다.

      • KCI등재

        南田 元仲植의 ‘筆隱’에 담긴 隱逸적 삶

        조민환(Jo, Min-hwan) 한국양명학회 2016 陽明學 Vol.0 No.45

        과거 중국역사에서 出仕와 隱逸사이에서 갈등하다가 과감하게 은일을 택한 대표적인 인물 중 하나가 바로 東晋의 陶淵明이었다. 도연명은 歸去來한 心遠의 정황을『귀거래사』에 진솔하게 표현하는데, 南田 元仲植은 이런 도연명의 귀거래 한 삶을 본받고자 하였다. 남전이 즐겨 쓴 문구 중에는 虛靜한 심령을 반영하는‘閑’자, ‘虛’자, ‘靜’자를 비롯하여 ‘무엇 너머’라는 의미의‘外’자, ‘세속적 가치 있음이란 것이 없다’는 의미의‘無’자 등이 많이 보인다. 이런 단어들은 바로 心遠의 은일적 삶을 반영한다. 이같은 남전의 ‘도연명 따라 하기’는 서예의 입장에서 볼 때, 心遠에서 출발한 참된 서예를 통해 자신의 존재 이유를 밝히고자 한 還我의 서예미학이었다. 남전은 ‘환아정신’에서 출발하여 爲己之學으로서의 서예를 실천하고자 하였다. 남전의 筆隱 지향적 삶은 ‘山靜日長’에 담긴 無事의 虛靜한 은일적 삶으로 이어진다. 남전은 은일적 삶을 ‘閑’자를 통해 압축적으로 보여주는 많은 시를 통해 寓意하고자 한다. 아울러 다양한 禪詩를 통해 세속적인 공명에 얽매이지 않고 우주대자연에 자유롭게 逍遙自在하고자 하는 정신경지를 추구하고 있다. 남전은 최종적으로 “物外遊, 心無累”의 逍遙自在의 경지를 붓과 함께 하고자 했다. 기교의 工拙 與否를 따지는 것에서 벗어나 자신의 천연의 본성을 붓에 담아 자유롭게 펼치고자 하였다. 이같은 사유는 궁극적으로 ‘서예란 무엇인가’에 대한 남전의 답으로 이어졌다. 바로 인문예술로서의 서예인식과 逸格 지향의 서예정신이었다. In Chinese history, there are characters who have lived a life of seclusion. For example, TaoYuanMing is an example. After returning to his hometown, TaoYuanMing lives a secular and disconnected life in his mind. Nan Tian(南田), YuanZhongzhi(元仲植) is a calligrapher who lived in modern Korea. He wanted to live a life of this kind. He made his calligraphy work as a favorite work with phrases expressing a leisurely life, a quiet life, and a life in a secular world. These phrases reflect the world of life he intended. The calligraphy creation of the following expression along the line of TaoYuanMing was an effort to find the lost figure of oneself. He sought to spread his true calligraphy world through his search for the lost self. His seclusion-oriented life was a life in which he did not want to be secular, and expressed his life as his work. He tried to express his seclusion in terms of leisure. In addition, he tried to express his own seclusion through various poems of the Buddhist scent. And to express his freedom through his poetry that is not bound by secular honor and desire. The spiritual world without any bounds and no hanging on objects was the calligraphy spirit he intended. This spirit of art was an understanding of calligraphy in humanities and an artistic spirit that wanted to bring free souls. When he created an artwork, he did not care about the goodness and the badness of artistry, and hr wanted to freely open his own artistic sensi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