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敬堂日記를 통해서 본 張興孝 學團의 地形圖와 性理學的 思惟

        장윤수(Jang Yun-su) 대한철학회 2008 哲學硏究 Vol.107 No.-

        이 연구는 敬堂 張興孝(1564~1633)의 日記(敬堂日記)를 통해 장홍효 자신의 삶과 사상을 해명하고, 그리고 장홍효 學團이 중심이 된 17세기 경북 북부지역 성리학계의 地形圖를 그려내고 그 성리학적 문제의식과 이론적 특징을 재구성해보는 것이 주된 목표이다.’장홍효는 17세기 경북 북부지역 성리학계의 최대 학자이다. 그는 여러 면에서 퇴계학파의 중심에 있으며, 또한 그 자신이 직·간접적으로 퇴계학파의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의 학문 관심은 이론 논변에만 머물지 않고 근본적으로 실천수양의 방면을 지향하였다.’退溪學脈의 중심에 있는 장홍효는 退溪의 경우처럼 칠십 평생을 持敬의 삶으로 일관했다. 그리고 자신의 삶을 돌아보고 추스르는 일환으로 日記를 썼는데, 成人이 된 이후 거의 평생을 써갔다. 그의 日記는 무엇보다 자신의 수양과정을 기록해나간 工夫錄이라는 점이 특색이며, 門下生들과의 학업과정도 충실하게 기록해두고 있어서 17세기 경북 북부지역 성리학계의 동향을 파악하는 데 대단히 귀중한 자료이다.’종래 학계에서 장홍효에 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필자는 이 연구를 통해 종래 거의 주목받지 못했던 장홍효의 성리사상 뿐만 아니라, 17세기 경북 북부 지역의 성리학적 전통에 대한 이해를 도모해 보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Gyeong-Dang-Diary and Neo-Confucian in the District of Kyeong-Buk North in the 17th Century. Jang-Heung-Hyo(1564~1633) was one of the most famous scholars of Neo-Confucianism in northern Kyeong-Buk Province through the 17th century. His concerns had not been limited to theoretical arguments. He also emphasized practical and moral cultivation of the human mind. These concerns had led him to pursue a society in which those fields are realized through cultivation and practice. He could become a key person of Neo-Confucianism in the 17th century by educating young students in northern areas of Kyeong-Buk Province. Jang-Heung-Hyo kept a diary to reflect on own life. After he became a adult, he wrote a diary almost all life. He accounted for class process faithfully with disciples in a diary. First of all, his diary is study journal that account for own moral culture process. Therefore, His diary is a very important literature to understand the Neo-Confucian in the District of Kyeong-Buk North in the 17th Century. Hopefully, this study can lead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Neo-Confucian traditions in north areas of Kyeong-Buk and the spread of Toe-Gye School.

      • KCI등재

        17세기초 경당 장흥효 가문의 제사 관행

        우인수(禹仁秀) 한국국학진흥원 2012 국학연구 Vol.0 No.21

        본 논문은 장흥효가 남긴 일기를 통해 17세기 초 안동지역 유학자 가문의 제사 모습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17세기 초는 주자가례에 입각한 제례가 완전히 정착하기 직전 시기이기 때문에 과도기의 모습을 파악할 수 있는 의미가 큰 시기이다. 먼저 기제사의 경우 4대 봉사를 하고 있었다. 장흥효는 고조부모와 증조부모의 기제사를 재종제와 분할하여 봉사하고 있었다. 그는 고조모와 증조부의 기제사를 거의 전담하였고, 재종제는 고조부와 증조모의 기제사를 거의 전담하였다. 조부모와 부모의 제사는 장흥효가 대부분 전담하고 있는 가운데 윤회봉사의 흔적이 약간 남아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장자봉사가 아직까지 완전하게 정착되지 않았던 과도기의 모습이다. 장흥효는 부계 친족 외에도 외가와 처가의 제사를 주관하여 지내거나 또는 그 제사에 참석하고 있었다. 그러나 그 관심의 크기는 부계 친족에 비교될 정도가 아닐 정도로 약하였다. 부계 중심으로 점차 굳어져가고 있던 상황을 잘 보여주는 구체적인 사례라고 하겠다. 다음으로 사시제四時祭는 춘하추동의 중간달인 2?5?8?11월에 사당에서 지내는 제사이다. 사시제의 설행 여부는 주자가례의 정착 정도를 가늠할 수 있는 주요한 하나의 잣대이다. 경당일기에는 사시제를 지낸 흔적이 곳곳에 드러나고 있다. 그러나 처음부터 일년에 네 번 사시제를 지낸 것은 아니고, 처음에는 11월에 한차례 지낸 듯하다. 일년에 네 번 사시제를 지낸 것으로 분명하게 확인되는 것은 1622년부터였다. 일년에 한번 지내던 사시제를 네 번으로 늘려서 완전하게 지내게 되는 과도기의 모습을 경당일기에서 고스란히 확인할 수 있었다. 명절 제사도 절사節祀 또는 속절례俗節禮라고 표현하면서 당연히 지냈다. 특기할 점은 매번 4대 명절에 즈음하여 조상 묘소를 찾는 성묘를 행하고 있었다는 점이다. 명절날 묘소에서 제사를 지내는 묘제는 우리 민족의 오랜 습속이었다. 장흥효 집안에서도 4대 명절의 성묘를 거의 행하면서 주자가례에 입각한 가묘에서의 제사도 행하는 절충적인 형태를 띠고 있었다. 이 점에서도 과도기적인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선전기의 분할봉사와 윤회봉사의 관행이 점차 주자가례의 정착에 따라 조선후기의 장자 봉사로 변화해가는 큰 흐름 속에서 볼 때, 장흥효 집안의 제사 방식은 바로 그 과도기적인 모습을 잘 보여주는 구체적이고도 명확한 사례인 것이다. This paper intends to grasp the aspects of ancestral rites of Confucian clan in Andong area in the early 17th century through the diary that Jang Heung-hyo had left. Since the early 17th century was the time just before ancestral rites based on Zhu Xi"s Family Rituals had been completely established, it was a very significant period to understand the transitional aspects. First, in case of Gijesa(忌祭祀), it had been performed for four generations of ancestors. Jang Heung-hyo had shared the Gijesa of great great grandparents and great grandparents with his younger male second cousin. He had been amost exclusively charged of Gijesa of great great grandmother and great grandfather. It could be confirmed that there remained some traces of Yunhoe-Bongsa(輪回奉祀) while Jang Heung-hyo had been almost exclusively charged of Gijesa of grandparents and parents. Those were the transitional aspects of period that Jangja-Bongsa(the rite by the eldest son) had not been completely established. Jang Heung-hyo had hosted or attended the rites of his mother"s family and wife"s family other than of his relatives on the father"s side. However the degree of interest in the rites of his mother"s family and wife"s family had become weakened not much to compare with that in the rites of his relatives on the father"s side. It should be a specific example showing the circumstance of gradual establishment around the paternal line. Next, Sije(四時祭) are the rites held at shrine in February, May, August and November. Whether to hold the rites or not is one of the major standards measuring the settlement degree of Zhu Xi"s Family Rituals. Traces of having held Sije are evident everywhere in the Gyeong-Dang Diary. However, from the beginning, Sije had not been held four times a year, but at first they seem to have been held once in November. It was not clearly identified until 1622 that the seasonal rites had been held four times a year. The transitional aspects that Sije having been held once a year was extended to four times a year could be confirmed in the Gyeong-Dang Diary. Myungjeol-Jesa(rites for the traditional holidays) had also been expressed as seasonal rites(節祀) or common seasonal ceremonies(俗節禮), and naturally performed. A noteworthy feature was that on the every occasion of four traditional seasons, the visit to the ancestral graves had been conducted. On the traditional holidays, Myojae, which is an ancestral rite held before the grave, was our nation’s old custom. Also in the Jang Heung-hyo’s family, Sungmyo of four traditional seasons had been almost held and ancestral rites at ancestral hall based on Zhu Xi"s Family Rituals had appeared in the eclectic form. The transitional aspects can be confirmed from these points. In view of big trend of transition from Bunhal-Bongsa(分割奉祀) and Yunhoe-Bongsa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o Jangja-Bongsa(長子奉祀) by gradual establishment of Zhu Xi"s Family Rituals, Jesa style of Jang Heung-hyo’s family was a specific and clear example illustrating those transitional aspe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