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默齋 金墪의 南冥學 繼承 樣相

        구경아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21 남명학연구 Vol.72 No.-

        Sangsan Kim Family'(商山金氏)ve lived Sancheong(山淸) for 630 years. And They led ideas, academics, and literature. Nammyong(南冥) Cho Sik(曺植) had a great influence on their academic and social status. Kim Haeng(金行) is the son-in-law and disciple of Nammyong. Not only that, Daehajae(大瑕齋) Kim Kyung-geun(金景謹, 1559-1597), Jonyangjae(存養齋) Kim Eung-gyu(金應奎, 1581-1648), Dunjae(遁齋) Kim Bok-mun(金復文, 1590-1629), Yucheong(幼淸) Kim Hwak(金確, 1615-1690), Goejeong(槐亭) Kim Sang-geup(金尙, 1621-1686), Sosan(小山) Kim Seok(金碩, 1627- 1680), and Mukjae(黙齋) Kim Don(金墪, 1702-1770) are all disciples of Nammyong. In the 17th century, Nammyung Studies was suppressed by regime change, and they were even more persecuted by the riots that took place in the 18th century. In this situation, the disciples of the Nammyong School revised 『Nam-Myongjip(南冥集)』 and organized list of students for the sake of mental solidarity. At this time, Kim Don received family tradition. And He was inherited Nammyong's School vein. His performance can be seen from the participation in correcting Sisal(廝殺) way of training was maintained through Irilsin(日日新) and Gubangsim(求放心) And 『Sanhaesauyeunwonrok(山海師友淵源錄)』 and writing the epilogue of the book. Kim Don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characters of the 19th and 20th centuries, including Sangudang(尙友堂) Kim I-pyo(金履杓, 1812-1881), Dangye(端磎) Kim In-seop(金麟燮, 1827-1903), and Mulcheon(勿川) Kim Jin-ho(金鎭祜, 1845-1908). 산청지역 법물리의 상산김씨는 630년을 한 지역에서 세거해오면서 이 지역의 사상·학문·문학을 주도하는 위상을 갖추며 오늘날까지 이어가고 있다. 특히 상산김씨 가문의 위상에 지대한 영향력을 끼친 인물로는 南冥 曺植을 빼 놓을 수 없다. 남명의 문인으로는 남명의 사위였던 金行을 비롯하여 大瑕齋 金景謹(1559-1597), 存養齋 金應奎(1581-1648), 遁齋 金復文(1590-1629), 幼淸 金確(1615-1690), 槐亭 金尙 (1621-1686), 小山 金碩(1627-1680), 默齋 金墪(1702-1770) 등이 있다. 남명학파는 17세기 癸亥政變을 겪고 18세기 戊申亂을 치르는 동안 100여 년이 넘도록 정치적 탄압을 받아 滅失되는 위기에 처해졌다. 이런 상황에서 남명학파의 문인들은 남명학파의 결집을 다지기 위해 『남명집』을 개정하고 門人錄을 정리하였고, 남명의 문묘종사에 대한 청원을 이어나가 남명학의 명맥을 유지하기 위해 부단히 노력하였다. 이러한 시대 상황에서 金墪은 가학을 통해 남명학파의 학맥을 계승하였다. 김돈의 남명학 계승 양상을 살펴보면, 먼저 日日新과 求放心을 통해 남명의 廝殺的 수양 자세를 견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남명의 문집 부록의 문인록인 『山海師友淵源錄』을 교정하고 그 발문을 지어, 남명을 程朱學의 정통을 계승한 인물로 그의 학통을 정립하고 潰散된 남명학파의 명맥을 밝혀 남명학파를 결집시키고자 노력하였다. 김돈의 이와 같은 행적은 후손 尙友堂 金履杓(1812-1881)·端磎 金麟燮(1827- 1903)·勿川 金鎭祜(1845-1908) 등 19세기~20세기의 법물리 상산김씨를 주도하는 인물들에게도 큰 영향을 끼쳤다.

      • KCI등재

        寒岡 鄭逑의 人性敎育論

        李東基(Lee Dong-Ki),金炳佑(Kim Byung-Woo) 동아인문학회 2020 동아인문학 Vol.52 No.-

        한강 정구(1543~1620)는 영남지역의 유학자로서 전형적인 관인 학자인 동시에 교육자였다. 특히 한강은 조선시대의 유학사(儒學史)에 있어 예학(禮學)을 발전시키는데 큰 업적을 남겼다. 그 이유는 과거시험에 대한 회의감을 느껴 과거를 일찍 포기하고 학문에 전념했기 때문이며, 당시의 영남지역에 거주하고 있던 퇴계(退溪)와 남명(南冥)이라는 두 스승을 찾아 배움을 전수받았기 때문이다. 즉 한강은 21세때에 퇴계에게 가르침을 청했고, 3년 뒤인 24세 때에 남명에게 제자의 예를 통해 학문을 전수받았다. 퇴계와 남명에게 학문을 전수받은 것은 한강의 생애에 있어 학문적으로나 정신적으로 큰 축복이며, 남다른 의미를 갖는다. 한강은 당시에 의지할 만한 예법(禮法)의 부재로 말미암아 사회풍속이 무질서하자 매우 안타까워했다. 때문에 한강은 도덕적 사회질서의 확립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여겼고, 그러한 이유로 예서(禮書)를 편찬했다. 이 논문에서 논의한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한강은 인성교육의 교학원리로 구방심과 지경을 강조했다. 한강에게 있어 구방심은 인간욕망의 근원처인 마음을 흐트러지지 않게 내면적으로 수양하는 의식적인 행위였다. 또한 한강이 학문을 실행함에 있어 강조한 지경은 마음을 최고의 도덕적 상태로 각성시키는 원리였다. 다음으로, 한강은 인성교육의 교학방법으로 대의탐구와 정밀사색을 주장했다. 한강은 학문연구에 있어 대의정신을 인간의 행위적 규범으로 규정했고, 실천행위의 근간으로 간주했다. 그러므로 한강이 강조한 대의정신은 올바름이며 당당함이었다. 또한 대의정신은 올바름이라는 도덕성에 기초하기 때문에 당당함이라는 상황적 가치판단을 통해 실천되는 인간의 당위적 규범이었다. 마지막으로, 한강은 인성교육의 교학내용으로 일상생활의 예절과 실천지향의 교학내용을 강조했다. Han-Kang Jeong Gu(寒岡 鄭球) was the philosopher of Confucian and the great educatorin in yeungnam province. In particular, Han-Kang was ver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etiquette(禮學). And Han-Kang inherited his the Neo-Confucianism from Toegye(退溪, Yi Hwang) and Nammyeung (南冥, Cho Sik).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clear Han-Kang Jeong-Gu’ personality education. The followings are conclusions of this thesis. First, Han-Kang was emphasized the Gubangsim(求放心: saved lost mind) and Jigyeong(持敬; maintained Gyeong) as the educational principle and purpose. Second, Han-Kang was argued the Justification(Seon-bi Spirit; 大義精神) and Fine Speculation(精密思索) as the educational method. The Justification be based on fidelity and rightfulness. Third, Han-Kang was emphasized the etiquette and practical ethics in daily life as the educational cont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