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심리학적 관점에서 본 방언

        유명복(Myung B. Yoo)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13 기독교교육정보 Vol.36 No.-

        본 연구에서는 심리학적 관점에서 방언현상을 탐구하였다. 방언에 대한 심리학적 이론의 해석을 다루고, 방언과 성격, 방언과 정신건강은 어떤 관계가 있는지 논의하였다. 방언할 때의 한 현상이라 여겨지는 의식변용상태와 의식변용의 이점을 탐구해보고 특히 최근에 활발히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뇌와 방언과의 관계에 대해 고찰하였다. Freud의 정신분석이론, Jung의 이론, 자아심리학 이론은 방언현상에 대해 카타르시스기능, 인격통합의 기능, 갈등완화의 기능이 있다고 주장했다. 초기 연구에서는 방언이 정신병리현상과 관계가 있음을 지적했지만 최근의 연구에서는 방언하는 사람이 정신병리적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니며 오히려 감정적 이완을 경험하여 정신적으로 더 건강하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그 외에도 방언이 외향성 및 정서적 안정성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음이 밝혀졌다. 방언과 의식변용상태에 대해서는 방언이 깊은 경지에까지 들어가면 변용된 의식상태에 있게 되고 그리 깊지 않은 방언을 할 때는 의식의 변용을 경험하지 못하는 듯하다. 방언이 언어임에도 불구하고 방언할 때 언어를 담당하는 좌뇌보다 우뇌가 활성화되는 점을 미루어 방언과 우뇌가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phenomenon of speaking in tongues, glossolalia, is the most controversial and confusing aspect of the Charismatic Movement. After the rise of Charismatic Movement, research on glossolalia flourished in America. Experts in the field of social science have studied the phenomenon of glossolalia since 1960. Glossolalia is explained from the perspective of Freud’s psychoanalysis, Jung, and ego psychology. Glossolalia is considered as means of conflict resolution, personality integration, and self-indulgence. Early in the 20 century, glossolalics were described as schizophrenic, hysteric, cataleptic, regressive, emotionally unstable, and excessively dependent. However, available evidence requires that an explanation of glossolalia as pathological be discarded. Research also shows no difference between glossolalics and non-glossolalics regarding self-esteem, depressive affects, and psychosomatic symptoms. In addition, glossolalia actually benefits the person psychologically and socially who uses them. The debate that has at times dominated research on glossolalia is whether tongue speakers experience altered state of consciousness, cognitive disorganization, trance state, or dissociation. Some research shows that glossolalia does not require a person to be in an altered state. Some research shows the altered states are very common in the general population. More research is needed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glossolalia and the altered states of consciousness. One of the most recent investigations of glossolalia employed neuroimaging in order to clarify what occurs in the brain of glossolalia during ritual practice. The results of research show consistently that right-hemisphere of brain is active during glossolalia.

      • KCI등재

        방언에 대한 심리학적 이해

        유명복(Myung B. Yoo)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13 기독교교육정보 Vol.38 No.-

        본 연구는 방언과 상황, 방언의 목적 및 효과, 방언의 특성 등을 알아보기 위해 설문지 조사법을 사용하여 분석한 양적연구로, 여성 260명, 남성 130명, 총 390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중 서양의 연구결과와 비슷한 것도 있었고 상이한 것도 있었다. 특별히 방언을 받을 때 다른 사람의 도움 여부와 방언할 때 의식변용 상태에 대한 것은 기존 연구와 다른 결과를 보이고 있다. 방언이 깊은 기도를 할 수 있고 하나님과 깊은 교제를 하는데 도움이 된다는 것은 본 연구에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방언하는 중 어떤 느낌을 가졌느냐는 질문에는 하나님과 가까움, 성령 충만이라고 답한 사람이 많았고 그 다음이 평안, 평온이었다. 방언에는 대부분 동반현상이 따르고 동반현상으로는 환상, 몰입, 진동, 뜨거워짐의 순이었다. 방언을 하는 사람 중 절반 정도가 다른 은사를 가지고 있었다. The phenomenon of speaking in tongues, glossolalia, is the most controversial and confusing aspects of the Christian circles. After the rise of Charismatic Movement, research on glossolalia flourished in America. Experts in the field of social science have studied the phenomenon of glossolalia since 1960 in the Western world. However, in Korea research on glossolalia in social science perspective is scarce. This research used survey methodology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The survey questionnaires consist of 26 questions including, 4 areas of glossolalia demographic information, setting and glossolalia, purpose and benefit of glossolalia, and characteristic of glossolalia. 130 men and 260 women who can speak glossolalia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The effects of speaking in tongues are to release of burden, give joy, or bring down, strongholds within people"s lives. Glossolalia helps the speaker focus on prayer and communicate when words feel limited. It also enables the speaker to build a relationship with God. What emotions are observed during glossolalia is spirit-filled and peacefulness. Half of glossolalians have another spiritual gift.

      • KCI등재

        바울이 사용한 수사의 관점으로 본 고린도 교회의 방언 현상 - 고린도전서 14장 13-19절을 중심으로 -

        오사랑 ( Sarang Oh ) 한국대학선교학회 2018 대학과 선교 Vol.37 No.-

        고린도전서에 나타나는 방언의 정체에 대해서 우리는 정확하게 말할 수 없다. 다만 바울이 고린도전서에서 말하는 방언은 인간의 언어가 아니라, 하나님과 비밀을 나누는 신령한 언어라고 말할 수 있을 뿐이다. 적어도 바울과 고린도 교인들에게 방언은 그런 것이었다. 그래야 고린도 교회의 문제를 설명할 수 있고, 그와 관련된 바울의 해결책을 이해할 수 있다. 방언 통역의 필요성 강조에 대한 내용이 본고의 본문인 14:13-19에 집중적으로 담겨있지만, 크게는 14장 전체를 통해 말하고자 하는 것이라 보아도 무방하다. 그가 장문에 걸쳐 통역의 필요성을 말하는 이유는 바울을 아는 모두가 잘 알고 있듯이, 교회의 화평을 위해서이고, 화평을 이루고자 하는 모습이 그리스도인의 모습이 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바울의 개인적인 성격이 어떠했을 지에 대해서 우리는 알 수 없지만, 적어도 그의 편지 안에서 그리스도교는 이타적이고 평화적인 종교로 인식되길 원했고, 그렇게 가르쳤다. 본고에서 다루는 고린도전서의 ‘방언’ 주제 역시 그러한 바울의 성향을 명백히 보여주는 부분인데, 바울의 편지 내에서 그가 사용하는 특유의 수사 기술들을 통해 우리는 그것들을 알아차릴 수 있다. 필자는 고린도전서 12-14장의 맥락을 통해 유추 가능한 고린도 교회의 정황과 본문에서 나타나는 바울의 수사적 표현들을 기초로 하여 고린도전서 14장 13-19절의 정확한 내용 이해와 본문에 담긴 바울의 의도를 찾고자 한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contents and the intentions of Paul in 1 Cor. 14.13-19 with focus on the meaning and usage of the glossolalia. Despite the uncertain meaning and usage of the glossolalia in 1 Corinthians, it is sure for Paul and the Corinthian that the glossolalia is not a human language, but a spiritual language to share secrets with God. The emphasis on the need for the glossolalia in 1 Cor 14.13-19 needs to be considered in the light of Paul’s rhetorical intention embedded in the whole chapter 14 of 1 Cor, which is concerned about the peace of the church in Corinth. Paul provides the pastoral advice for the Corinthian to be peace-makers. Paul’s teaching of the glossolalia reflects on the unique rhetorical skills to teach that his church should be an altruistic and peaceful group. This study explains how such a rhetorical intention of Paul fits with the literary context of chapters 12-14.

      • KCI등재

        방언의 기원

        김동수(Dongsoo Kim) 한국신약학회 2011 신약논단 Vol.18 No.4

        사도행전과 바울서신에 기록되어 있는 방언은 신약의 현상인가? 아니면 이와 같은 것들이 이전에 있었는가? 학자들은 방언의 기원을 주로 헬라 종교에서 찾으려고 했다. 몇 몇은 구약-유대교 전통에서 방언의 기원을 찾을 수 있다고 했다. 본 논문은 이 주제를 새롭게 다룬 것이다. 방언의 전조라고 흔히 주장되는 헬라 종교와 유대교 문서를 고찰하여, 거기에 나오는 현상들은 신약성서에 나오는 방언과는 근본적으로 다르다는 것을 본 논문은 보여줄 것이다. 이러한 주장은 작금의 학자들의 일반적인 견해를 뒤집는 것이다. It was the Religionsgeschicte that New Testament scholars dealt with for the first issue when they began to talk about glossolalia. It has often been argued that the origin of the glossolalia could be found in the Hellenistic religion, or/and cult in particular. A few scholar tried to trace the origin in the Jewish traditions. This study revisits the issue. It is a kind of counter-argument to the general scholarly conviction that the glossolalia in the NT originated from the previous religions or cultures. This will argue that the glossolalia, which Paul and Luke show, is a ad hoc NT phenomenon. There was none like that before the NT times. This study will deal with Jewish texts as well as Hellenistic religion and cult; this will reach a conclusion that any inspired speech, regardless of Hellenistic or Jewish, has significant dissimilarities with glossolalia in the NT. This conclusion will contribute to the present discussions on the origin of glossolalia in that it counters the general consensus. This study does not deal with the question how the glossolalia came about in the NT times. It will be a next topic for my research.

      • KCI등재

        최근 방언 신학 연구 동향

        김동수 한세대학교 영산신학연구소 2014 영산신학저널 Vol.32 No.-

        오순절 운동이 시작된 후 방언에 대한 첫 연구는 주로 심리학과 사회학 등 일반 학문에서 이루어졌다. 일반인들의 시각에서 방언은 매우 기괴한 것이었기 때문에 이때 방언은 주로 이상 심리에서 생긴 것으로, 또 사회적 신분이 낮은 계층에서 병적으로 발생한 것으로 치부되기 일쑤였다. 그러다가 방언을 체험한 오순절 교단 출신의 신학자들이 등장하면서 방언이 보다 긍정적으로 평가되는 연구들이 나왔다. 특히 마키아의 방언 신학에 대한 연구 논문 발표 이후 최근 20년 동안 방언에 대한 신학적 연구가 매우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본 논문은 이러한 연구들을 소개하는 것이다. 이러한 소개를 통해서 첫째, 최신 방언 신학 연구를 조망할 수 있고, 둘째, 국내 학계에서 앞으로의 방언 신학 연구 방향을 설정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고, 셋째, 방언에 아무런 신학적 의미가 없다고 주장하는 것들에 대한 충분한 반박이 될 수 있다. 본 연구가 앞으로 국내에서 방언에 대한 신학적 연구를 촉진하는 계기가 되기를 논자는 희망한다. The first researches on the glossolalia after the birth of the Pentecostal movement were done in the area of non theological disciplines such as psychology or sociology. It was interpreted mainly negatively in those researches. It was often believed that the tongues were of the disinherited or of the people psychologically in disorder. However, scholars from Pentecostal traditions began to interpret itpositively, and many theological studies on the glossolalia were produced in this light. A lot of significant works have appeared during last 20 years. The primary task of this article is to survey the works and review them for the constructive discussions on that in the future. Thiswill contribute to the following factors. First, it will help the scholars to understand the recent researches in the area of theological studies on glossolalia. Second, it will help Korean theologians to set the subject for the future discussions. Third, it will be a good counter argument against the claim that the tongues has no theological meaning. Finally, it will encourage, I hope, Korean theologians to engage more actively in the research on the theological understanding of glossolalia.

      • KCI등재

        Hermeneutic Phenomenology of a National Glossolalia: Memory, Myth, and Allegory

        권정기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0 인문학연구 Vol.0 No.44

        This essay examines a hermeneutic phenomenology of the myth based on collective memories, providing a genealogy or the dialectical account of identity with the combination of a phenomenological clarification and a hermeneutic emphasis on interpretation. It begins with a probe into the historicality or preunderstanding structure of collective memory defining images of the world, which eventually leads to the formulation of individual and national identities. Then the essay goes on to examine the modern phenomenon of identity politics capitalising on and fuelled by wounded attachment, or ‘ressentiment ’ . Myths and allegories as the product of interpretive project constructing the past, the essay concludes, complete a ‘hermeneutic circle ’ : the totalising memory of victimisation is conducive to identity formation, which in turn consolidates the ‘national glossolalia’ of chosenness and uniqueness.

      • KCI등재

        언어학적 관점에서 본 방언

        유명복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12 기독교교육정보 Vol.33 No.-

        미국의 경우 1960년대에 카리스마운동이 일어나면서 방언에 대한 학술적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다(多)학문적 관점에서 방언을 조명하고 있다. 언어학적 관점으로 본 방어 연구에서는 "방언이 이미 ‘알려진 언어(외국어)’인가?" 그리고 "방언이 언어일 수 있는가?" 하는 점이 연구가들의 주요 관심사였다. 일반적으로 방언은 거의가 이미 알려진 언어는 아니라고 본다. 방언은 자연언어의 속성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언어라고는 할 수 없지만 그렇다고 전적으로 언어가 아니라고 할 수 없어 유사언어라고 표현하고 천상의 언어라고도 한다. 방언은 학습되어 지는 것이라 생각하는 사람도 있으나 방언은 성령께서 주시는 선물이기 때문에 학습을 통해 받으려고 하는 것은 부적절하다. After the rise of Charismatic Movement, research on glossolalia flourished in America. The phenomenon of speaking in tongues, glossolalia, is the most controversial and confusing aspect of the Charismatic Movement. The widespread occurrence of the practice of glossolalia has evoked theological debates and public interest. Recently, however, glossolalia has attracted the interest of a variety of behavior scientists. In this article, first, the history of glossolalia and the glossolalia in the Bible are discussed. Second, linguistic analyses of glossolia are explored. Experts in the field of the linguistics have studied the phenomenon of glossolalia over a period of many years. Most of them conclude that from a linguistic point of view, religious inspired glossolalia utterances have the same characteristics as those that are not religiously inspired. Many researchers reject the view that glossolalia is some foreign language that could be understood by another person who knew that language. Glossolalia lacks the basic elements of human language as a system of coherent communication. Researchers defin glossolalia as "unintelligible babbling speech" that exhibits superficial phonological similarity to language. Namely, Glossolalia is regarded as a pseudo-language and a learned behavior. However, the contention that glossolalia is a learned behavior is not supported in the biblical perspective. Some characteristics of glossolalia are discussed in philosophy of language. It shows characteristics of expression, indication and communication that natural language has.

      • KCI등재후보

        누가-행전에서 방언의 역할

        로버트 P. 멘지스 한세대학교 영산신학연구소 2012 영산신학저널 Vol.26 No.-

        Menzies argues that, according to Luke, tongues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the life of the Apostolic Church. Furthermore, Luke expected that tongues would continue to play a positive role in his church and ours, both of which are located in “these last days.” In Luke’s view, every believer can manifest this spiritual gift. So, Luke encourages every believer to pray for prophetic anointings(Lk 11:13), experiences of Spirit-inspired exultation from which power and praise flow; experiences similar to those modeled by Jesus(Lk 3:21,22, 10:21) and the early church(Acts 2:4, 10:46, 19:6). Luke believed that these experiences would typically include glossolalia, which he considered a special form of prophetic speech and a sign that the Pentecostal gift had been received. These conclusions suggest that Luke presents a challenge to the contemporary church—a church that has all too often lost sight of its apostolic calling and Charismatic roots. Glossolalia, in a unique way, symbolizes this challenge. It reminds us of our calling and our need of divine enabling. This was true of Luke’s church and it is equally true of ours. Put another way, tongues remind us of our true identity: we are to be a community of prophets, called and empowered to bear bold witness for Jesus and to declare his mighty deeds. 멘지스는 사도행전에 따라, 방언이 사도적 교회의 삶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주장한다. 더욱이, 누가는 방언이 마지막 때에 살고 있는 그의 교회와 우리 현대 교회에 긍정적인 역할을 계속 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누가의 관점에서 보면 모든 성도에게 이 영적 은사가 나타날 수 있다. 그래서 누가는 모든 성도에게 성령이 주시는 기쁨으로 능력과 찬송이 넘치는 성령세례(눅 11:13)를 받도록 기도하라고 독려했다. 이 경험들은 예수님 때(눅 3:21,22, 10:21)와 초대교회(행 2:2, 10:46, 19:6)에 나타난 것들과 유사하다. 누가는 이러한 경험들이 보통 방언을 포함한다고 믿었고 이방언이 예언적 언어의 특별한 한 형식으로, 그리고 오순절적 은사를 받은 증거라고생각했다. 결과적으로 누가는 현대 교회에 하나의 과제를 던져 준다. 현대 교회는 모두 사도적 소명과 은사적 전통을 종종 잊고 있으며, 여기서 방언은 독창적인 형식으로 그러한 과제를 대변한다. 이는 우리에게 소명과 영적 권능 부여의 필요성을 상기시켜준다. 이사실은 누가의 교회에서 그랬었고 우리 현대 교회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다른 말로 하자면, 방언은 우리의 참된 정체성을 상기시켜 준다. 우리는 예언자들이 되기 위해 예수를 담대히 증거하고, 그의 권능의 기적을 증거하기 위해 능력을 받고 부름 받은 이들이다.

      • KCI등재
      • KCI등재

        누가공동체의 성령이해의 기원

        김도현 연세대학교 신과대학 2007 신학논단 Vol.49 No.-

        What made Lukan community to have their own understanding of the Holy Spirit? On this question, many scholars have concentrated on the social and religious background of Lukan community such as Old Testament, Judaism, Gnosticism, and Hellenism. However, Acts 19:2 shows us that most of people who lived under Jewish and Hellenistic background in the first century did not have specific concept of the Holy Spirit (and he said to them, “Did you receive the Holy Spirit when you believed?” And they said to him, “No, we have not even heard whether there is a Holy Spiht.”). So, we can not easily accept that Luke‘s understanding about Holy Spiht was derived from directly background of Old Testament or Hellenism. This article is an exegetical study of Acts 2:1-4 that is the key text, I believe, to find the origin of Luk’'s understanding on the Holy Spirit. The main reason or origin to have specific understanding of the Holy Spirit to Lukan community was special ‘experience’ that they had on the day of Pentecost (Acts 2:1-4). What happened on that day? Acts 2:1-4, Luke‘s first description about being filled with the Holy Spirit, is composed with fact and interpretation. The only fact that disciples of Jesus experienced actually on Pentecost was that ’they spoke in other tongues‘(Acts 2:4b). When disciples had experience of speaking tongues, they must have been very surprised. After that, they must have needed theological explanation on this mysterious experience. And Eventually, they must have interpreted speaking Glossolalia as the result of fullness of the Holy Spirit naturally because they were waiting for the promise of Jesus that “you shall be baptized with the Holy Spirit not many days from now.”(Acts 1:5). The Lukan community's pneumatology was started and affected by this interpretation and developed on the basis of this interpret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