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헝가리의 비자유민주주의와 경제위기 프레이밍

        최가은(Ga-eun CHOE),최진우(Jinwoo CHOI) 한국세계지역학회 2023 世界地域硏究論叢 Vol.41 No.1

        본 연구는 비자유민주주의를 표방하는 헝가리 집권정당 피데스의 지지기반을 분석한다. 피데스는 2014년 비자유민주주의를 공식적으로 선언했고, EU의 핵심가치를 훼손하며 본격적으로 EU와 충돌했다. 그럼에도 피데스는 2022년 총선까지 압도적인 지지율로4 연임에 성공했다. 한편 헝가리 대중들은 민주주의 원칙을 지지하며 자국 정부보다 EU를더 신뢰한다. 이와 같은 모순적 현상은 민주주의 원칙보다 경제위기에 대한 대중들의 위협감이 크게 자극된 결과다. 본 연구는 경제적 위협감을 해소해줄 강력한 정당이 출현하면대중들이 민주주의 원칙을 희생하면서도 그 정당을 지지할 가능성을 보여준다는 점에서의미를 가진다. This study analyzes the rising support of Fidesz, a national-conservative political party that declared Hungary an illiberal democratic state in 2014. Although objectives of Fidesz are in opposition with the core values of the European Union (EU), Fidesz has succeeded in re-elections for four consecutive terms with overwhelming approval ratings until the 2022 general election. Despite the Fidesz Party’s high approval ratings, evidence shows that many Hungarian patrons favor democratic principles engraved in the EU rules and norms. This seeming contradiction is the result of the public’s growing concerns in resolving the economic crisis more than upholding liberal ideals. Fidesz kept framing a series of challenges such as global economic crisis, refugee crisis, the war in Ukraine in terms of economic threat and won discursive war with opposition parties.

      • 포스트공산시대 헝가리 총선과 정당 정치: 1990∼2002년

        김성진(Kim,Sung-jin) 한국동유럽발칸학회 2002 동유럽발칸학 Vol.4 No.2

        헝가리는 1989년 체제전환이후 네 차례의 의회 총선을 실시했으며 민주적 절차에 관한한 투명하고 공정하며 평등하게 실시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세계에서 가장 복잡한 선거법으로 불리는 헝가리 선거제도는 지역구에서는 절대다수 투표제, 시군별 광역 선거구와 전국구에서는 정당 명부에 의한 비례대표제를 채택하는 혼합 선거제를 채택하고 있다. 이를 보완하기위해 1차 선거와 2차 선거를 채용함으로써 유권자의 투표를 의석 배분으로 가장 정확히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득표율 5%의 봉쇄조항을 통해 원내 정당 난립의 폐해를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있다. 1990년 포스트 공산시대 첫 총선과 함께 참여 폭발로 상징되는 정당 난립 현상이 정리되어갔으며 다소 유동적이던 정당의 이념적 스펙트럼도 정립되어 가고 있다. 우선 1990년부터 2002년까지 네 차례의 총선을 거치면서 중소 정당이 원내 진입에 실패해 최초 원내 6개 정당에서 현재 원내 4개 정당으로 정리되었다. 이에 따라 헝가리 정당 정치 구조는 청년민주연합(FIDESZ)가 주도하는 우파 연합과 헝가리사회당(MSZP)이 주도하는 좌파 연합의 양당적 구조로 서서히 변해가고 있다. 특히 포스트 공산시대 이래 계속되어온 사유화 정책의 결과로 헝가리 내에서 신부유층과 서민, 노동자 계층 간의 빈익빈 부익부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는 현상이 정당 지지도에서도 뚜렷이 반영되고 있다. 헝가리 정당정치는 이제 예측 가능한 서구 수준의 정당 정치로 변화해갈것이며 2004년 EU가입의 전제 조건도 충분히 충족시킬 수 있는 수준이다. The parliamentary elections held in the Republic of Hungary in 1990, 1994, 1998 and 2002 were conducted in a manner consistent with international standards and commitments for democratic elections. The Hungarian election system provide the basis for a generally transparent, accountable, free, fair and equal process. Despite some shortcomings, these elections contributed to the further strengthening of the democratic election environment in Hungary The system of representation in the republic of Hungary is a party-based that involves a 3-tiered, mixed election process. 358 members of the Parliament are elected through two rounds of voting. 176 candidates are elected in a single mandate districts. A proportional distribution of 152 seats is based on the votes cast on party list ballots at the county level. A party must win at least 5% of the country list votes aggregated nationwide to be eligible to take part in the distribution of seats. 58 compensatory seats are distributed among national party lists using the unused votes cast for unsuccessful candidates in the district races and surplus votes remaining after applying the formula for distribution of seats elected proportionally among the country lists. After the general election in 2002, Hungary has only 4 parties in our parliament. And finally Hungarian Parliament has the very structure of the two coalition leftists and rightists. The leftists MSZP and SZDSZ won victory and 2 rightists are the FIDESZ and the MDF. FIDESZ was the leader in the last 4 years. These first 2 years was right, but their last 2 year changed to more rightist. MSZP won the party polls, MDF had the biggest function in the election in 1990. At no point has any government since the end of communism survived more than a single term. The 2002 elections were the most divisive since the advent of democracy in 1990. For the first time, people were beating each other in the streets over political issues. Both side pumped up the debate sharply-through their negative ads, through their whispering campaigns. But Hungarian political parties are very inform that this time is a crucial juncture in Hungarian politics, because they will lead Hungary into the European Union.

      • KCI등재

        헝가리의 반유대주의와 홀로코스트 기억 논쟁

        김지영 한국독일사학회 2023 독일연구 Vol.- No.52

        Hungarians' perceptions and debates about the Holocaust show diversified aspects through the socialist period and the period after the transition of the socialist system. Hungarian victim consciousness, or collective perception, which can be called victimhood, lies at the base of Hungarian consciousness, and this consciousness is consumed for political purposes by Hungarian politicians and mass media. By combining the narrative of Hungarian alienation and loneliness with nationalism, the extreme logic advocated by the Hungarian far-right appeared. It is Hungarian nationalism that is used as a nutrient to lead this trend. However, in fact, Hungarian nationalism is also likely to be a fictional phenomenon. Nationalist tendencies in Hungary have grown stronger since the transition in 1989 and are still a highly favored political tool today. For this reason, the Jewish victims are regarded as a 'unitary group' and regarded by nationalist Hungarians as a 'common enemy'. Hungarian right-wing politicians are using this narrative to acquire and maintain power. After all, emphasizing the victimhood of Hungarians using nationalism, which is a very attractive tool for politicians, is a worrisome aspect in that it promotes the revival of the anti-Semitic movement and the fading and contempt of memories of the Holocaust. 헝가리인의 홀로코스트에 대한 인식과 논쟁은 사회주의시기, 사회주의 체제전환 이후의 시기를 거쳐 다양회 되는 양상을 보인다. 헝가리인의 피해자 의식, 혹은 피해자 성이라고 불리수 있는 집단 인식이 헝가리인의 의식의 기저에 자리하고 있는데, 이러한 의식은 헝가리 정치가와 대중매체에 의해 정치적 목적으로 소비되고 있다. 헝가리의 소외감, 고독함이 갖는 서사를 민족주의에 결합하여 헝가리의 극우파들이 주장하는 극단의 논리가 등장하였다. 이러한 경향을 주도하는 자양분으로 활용되는 것이 헝가리인의 민족주의이다. 그러나 사실 헝가리의 민족주의도 허구적인 현상일 가능성이 크다. 헝가리에서 민족주의적 경향은 1989년의 체제전환 이후 점점 더 강해지고 있으며 오늘날에도 매우 선호되는 정치적 도구이다. 이러한 이유에서 유대인의 희생자들을 '일체적 집단'으로 간주하여 민족주의적 헝가리인에게 ‘공동의 적’으로 간주하도록 한다. 헝가리 우파 정치인들은 이런 서사를 정권 획득과 유지에 활용하고 있다. 결국 정치가들에게 매우 매력적인 수단인 민족주의를 활용한 헝가리인의 피해자성을 강조하는 것은 반유대주의운동의 부활, 홀로코스트에 대한 기억의 퇴색과 경시를 조장한다는 측면에서 우려스러운 부분이다.

      • KCI등재

        헝가리 비(非)자유민주주의적 정책과 유럽연합의 대응

        김지영 서강대학교 유로메나연구소 2023 통합유럽연구 Vol.14 No.3

        헝가리의 수상 오르반 빅토르와 피데스(Fidesz)당은 헝가리 일부 불만 계층의 의견을 과대포장하여 정권을 잡았다. 특히 반유럽연합정서를 선거에 적극적으로 활용하였다. 오르반 정부의 정책은 비자유민주주의라고 불린다. 헝가리의 비자유 민주주의적 정책은 언론과 집회 및 결사의 자유를 제한하고, 성적소수자에 대한 부정적인 정책, 난민에 대한 비우호적인 정책으로 표현된다. 그러나 헝가리 국민은 오르반 정부가 비자유민주주의적 정책을 사용하는 것을 인지하고 있지만, 경제적 발전이 수반되기 때문에 오르반 정부를 지지한다. 유럽연합은 헝가리의 비자유 민주주의적 정치행태를 비판해 왔으며, 보조금 지원 중단을 무기로 오르반 정부의 정책을 바꾸도록 하였다. 헝가리의 경제적 발전은 유럽연합의 지원에 힘입은 바 크다. 유럽연합의 경제적 지원 없이 향후 헝가리의 경제발전을 기대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헝가리는 유럽연합의 요구를 수용하는 모습을 보일 것이다. 현실적으로 헝가리 정부는 유럽연합에 반하는 다른 대안이 없기 때문이다. 물론 이러한 예상은 헝가리의 경제성장이 지속적으로 이루어 진다는 가정하에서이다. 경제 상황이 나빠지면 헝가리의 여론과 오르반 정부의 태도는 반유럽적인 정서로 급변할 여지가 충분하다.

      • KCI등재

        헝가리의 비자유민주주의와 경제위기 프레이밍

        최가은,최진우 한국세계지역학회 2023 世界地域硏究論叢 Vol.41 No.1

        본 연구는 비자유민주주의를 표방하는 헝가리 집권정당 피데스의 지지기반을 분석한다. 피데스는 2014년 비자유민주주의를 공식적으로 선언했고, EU의 핵심가치를 훼손하며 본격적으로 EU와 충돌했다. 그럼에도 피데스는 2022년 총선까지 압도적인 지지율로4 연임에 성공했다. 한편 헝가리 대중들은 민주주의 원칙을 지지하며 자국 정부보다 EU를더 신뢰한다. 이와 같은 모순적 현상은 민주주의 원칙보다 경제위기에 대한 대중들의 위협감이 크게 자극된 결과다. 본 연구는 경제적 위협감을 해소해줄 강력한 정당이 출현하면대중들이 민주주의 원칙을 희생하면서도 그 정당을 지지할 가능성을 보여준다는 점에서의미를 가진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