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예의 읍락과 사회상

        문창로(Moon, Chang-Rho) 한국고대사학회 2016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81

        동예지역에서 형성된 정치세력의 동향은 고조선 이래로 중국 군현 및 고구려로 이어지는 주변 세력의 부침과 밀접한 관계를 맺으며 전개되었다. 기원전 2세기 무렵에 확인되는 ‘臨屯’은 이 지역의 크고 작은 정치집단의 집합체로서, 앞서 고조선의 멸망과 함께 臨屯郡으로 편제되었던 존재이다. 이후 漢의 임둔군 폐지, 낙랑군 동부도위의 설치는 이 지역에 대한 중국의 군현적 지배가 약화되었음을 의미한다. 후한 대에 동부도위가 철폐되면서 동예지역은 侯國으로 봉해졌으며, 요동방면에서 성장한 고구려 세력이 본격적으로 진출하기 전까지 독립된 세력으로 존재했다. 동예의 읍락 거수들이 소지한 후 · 읍군 · 삼로 등의 관직명은 그들의 현실적인 세력크기에 따라 차등 반영된 것으로 이해된다. 특히 東部都尉가 관할했던 ‘영동7현’은 동예와 옥저지역에 삼한의 ‘國’ 단위에 상정되는 정치체가 적어도 7개 정도 있었던 사실을 전하며, 그 治所였던 不耐縣은 중심 세력으로 추정된다. 不耐濊國은 漢代의 官制에서 확인되는 功曹 · 主簿 등 諸曹의 屬吏를 두어, 동예사회의 정치적 성장을 알려준다. 읍락의 거수에서 성장한 불내예후는 다시 不耐濊王으로 봉해져, 불내예국은 동예지역의 유력한 정치세력으로 삼한의 大國에 비견될 소지를 갖는다. 부여와 고구려는 ‘國中大會’의 제천의례로 통합된 제의형태를 보이지만, 동예의 舞天에서는 ‘祭天’과 함께 虎神을 숭배대상으로 삼았다. 그것은 삼한 國邑의 天神과 함께 신앙된 別邑의 鬼神 제사와 맥을 같이한다. 동예의 호신 제사가 읍락에서 이루어졌더라도, 크게 보아 그것은 무천 의례의 범주에 포함되는 방향으로 전개되었을 것이다. 동예의 읍락사회는 삼한의 그것에 비견될 정도로 분화되었지만, 본래 읍락이 지녔던 공동체적인 모습을 강하게 고수했다. 責禍로 상징되는 읍락단위의 경제적 배타성과 폐쇄성은 독자적 생활권역 확보라는 동예 읍락사회의 공동체적인 성격과 관계가 깊다. 다만 소국 단계를 넘어선 동예 불내예후의 정치적 위상을 고려한다면, ‘동성불혼’의 족외혼습속은 중심 소국인 불내예국의 통혼을 통한 ‘동성’ 간의 결속을 다지는 정치적 외연의 확장 차원에서 접근해 볼 수도 있다. 읍락의 구성원인 生口나 下戶는 당시 동예 읍락의 사회적 소산이다. 동예사회가 소국 단계를 넘어서면서 계층분화의 양상은 읍락의 지배자인 거수층, 피지배층 일반민인 下戶, 그리고 노비와 같은 처지의 生口 등으로 전개되었다. 다만 동예사회는 아직 부여와 같은 사회발전에 이르지 못했기 때문에, 읍락 내에 豪民과 같은 존재가 뚜렷하게 대두하지 못했다. Political forces of trends, which was formed in DongYae(東濊) region, unfolded with a close relationship with ups and downs of power around. DongYae region became a Whoguk(侯國) after abolition of Eastern Section Defender(東部都尉) in the Eastern Han Dynasty(後漢), and it was existence as an independent force until that Goguryeo(高句麗), which was growed in Liao-dong(遼東) area, started to make inroad. The names of DongYae’s official title, such as Eupgun(邑君) and Samro(三老), can be understood that was reflected differentially depends on the real power size. Especially, the existence of ‘Seven prefectures(嶺東7縣)’ means that there was political organizations at least seven or more in the area of DongYae and Okcho(沃沮). Also, Bulnehu(不耐縣), which was a base for governing(治所) of in these area, is emerged as a central force. Practically only Bulneyehu(不耐濊侯) can explain the political growth of DongYae society through the Sokri(屬吏) of Jaejo(諸曹), which were identified in the public office system(官制) in Han(漢) era. Bulneyehu, which was grown from Geosu(渠帥) of Euprak, became Bulneyewang(不耐濊王). Bulneyeguk can be compared to Daeguk(大國) of Samhan(三韓) as an influential political force of DongYae region. Even though the sacrificial rites for heaven of Buyeo(夫餘) and Goguryeo was integrated with ‘Gukjungdaehwae(國中大會)’, ‘Hoshin(虎神)’ was worship with the sacrificial rites for heaven in the Mycheon(舞天) of DongYae. These share pulse with the spiritual worship ceremonies of a Byeoleup(別邑) with the God of heaven(天神) of Samhan’s Gukeup(國邑). The economic exclusion and closure of Euprak unit, which are represented as a ‘Chekhwa(責禍)’, have deeply relation with a communal characteristic of Euprak society. However, if you consider political status of DongYae’s Bulneyehu, you can apprehend folkway of exogamy of ‘Prohibition of marriages to members with the same family name(同姓不婚)’ as a political level expansion of extension trough the marriage of Bulneyeguk. ‘Sanggu(生口)’ and ‘Haho(下戶)’, which were member of Euprak, are social products of DongYae Euprak at the time. When DongYae society passed ‘Small State(小國)’ stage, the shape of the class differentiation developed an emergence of the classes, such as ‘Geosu(渠帥)’, which was ruler of Euprak, ‘Haho’, which was ordinary person, and ‘Sanggu(生口)’, which was slavery position. However, the presence, such as ‘Homin(豪民)’, were not appeared in the DongYae society, because their society could not develop like a Buyeo society.

      • KCI등재

        영남지역 읍락의 형성과 변화

        김권구(Kim Gwon-gu) 한국고대사학회 2016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82

        이 논문은 경주, 경산, 김해지역을 중심으로 영남지역 읍락의 형성과 변화양상을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읍락의 범위는 제1기(기원전 3세기-기원전 2세기)에는 5㎞ 반경이었고 제2기 ‘國’의 범위는 경주지역은 반경 20㎞를 넘는 반면 경산 임당지역과 김해지역의 제2기(기원전 1세기-기원후 1세기) ‘國’의 범위는 중심유적에서 반경 10㎞이내였던 것으로 유적분포양상은 암시한다. 제3기(기원후 2세기-기원후 3세기)에도 제2기의 범위가 세 지역 모두에서 유지되었다. 경주와 경산지역에서는 기원전 1세기경 ‘國’이 출현하는데 김해지역에서의 ‘國’출현은 경주와 경산지역보다 50여 년 정도 늦었을 가능성이 있다. 김해지역에서는 경주와 경산지역보다 ‘國’의 출현과 성장에서 왜(倭)와의 교역이 더 큰 비중을 차지했던 것으로 보인다. 제3기에 늑도보다는 김해지역이 교역의 중심으로 성장하고 늑도 중심의 교역망은 쇠퇴한다. ‘國’의 출현과 성장과정에서 읍락의 해체가 발생하는데 경산 F지구 취락이 토성축조와 더불어 폐기되는 것이 그 사례이다. This article aims to trace the formation of the settlement clusters called the euprak (邑落)in the Youngnam region and their changes.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al features of the related archaeological sites the spatial ranges of the settlement clusters called the euprak during the sub-period 1(300BC-100BC) might be roughly 5km radius from their main cente. But that of the Guk polities(「國」) widened into 10km radius during the sub-period 2(100BC-100AD) and the sub-period 3(100AD-300AD) in Gyeongsan and Gimhae regions unlike the more 20 km’s radius in Gyeongju. The sub-period 3 witnessed little change in the spatial ranges of the three areas. The ‘Guk’ polity in Gyeongju and Gyeongsan area had emerged around the 1st Century BC but the ‘Guk’ polity in Gimhae might appear fifty years later than that in Gyeongju and Gyeongsan. The trade with the Wae(倭) seemed to have more importance in Gimhae area than Gyeongju and Gyeongsan areas in the developmental processes of the Guk polities(「國」). Gimhae area must have emerged as a trading center in the sub-period 3 while replacing the Geukdo(勒島)-centered trading network flourishing during the sub-period 2. During the developmental processes the collapse of the euprak and population relocation might be followed as shown in the collapse of the settlement near the F Zone in Imdang area of Gyeongsan along with the construction of the earthen fortress.

      • 사로국의 형성에 대한 고고학적 검토

        이청규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2005 신라문화제학술발표논문집 Vol.26 No.-

        경주권에서 본격적인 〈촌〉의 모습을 고고학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은 청동기시대 전기(무문토기시대 전기) 일이다. 여러 촌을 네트워킹하는 중심촌 혹은 〈읍락〉은 청동기시대 후기(무문토기시대 중기)에 비로소 형성되기 시작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지금까지 조사된 수장급의 무덤을 위치를 볼 때 사로국 최초의 〈국〉은 기원전 2~1세기경 경주 중심권이 아니고, 주변부에서 지구 〈국〉으로 시작되었다. 규모면에서는 종전의 읍락과 비슷하나 그 정치적, 종교적, 경제적 중심적 기능이 보다 강화된다. 이 지구 〈국〉이 확대발전하여 지역 〈국〉으로 이행하기 시작한 것은 기원 2~3세기 목곽묘단계로서, 이때에 비로소 포항, 울산 등지의 인접한 지역 〈국〉 간의 교류의 거점으로서 경주 중심권이 부상한다. 경주 중심권은 기원전 1세기대 목관묘 단계에 〈읍락〉 수준에 이른 것으로 보인다. 지구 〈국〉으로 발전한 것은 기원후 2세기 대 목곽묘단계이며 나아가 지역 〈국〉의 중심 국읍으로 성장한 것은 그 이후로 생각된다. 경주 중심권을 국읍으로 하는 지역 〈국〉은 현재까지 알려진 고고학적 자료에 근거할 때에는 기원 3세기 이후에 성립한 것으로 추정된다. 기원전 1세기 목관묘 단계에 경주 중심권 내에 읍락이 들어서고 기원후 2세기경 목곽묘 단계에는 지구 〈국〉의 중심으로 자리 잡아 가고 있어 다음 단계에는 이를 비롯한 경주 중심권이 지역 〈국〉의 국읍으로 성장한다는 것이다. The Formation of 'Chon'(村) village is assumed to be accomplished in Early Bronze Age and 'Euprak'(邑落) villages in Late Bronze Iron Age in Yeungnam(嶺南) region according to the archaeological evidences including tombs and its grave goods. Early 'Kuk'(國) is assumed to be the policy in which the functon of economic, political and religious center has been more reinforced than 'Euprak.' The author assume that it was established in not the middle but the vicinity of present Gyeongju(慶州) region in B.C. 1st- A.D. 1st Cent. on the base of distribution of early chief's tombs. More developed 'Kuk' has located in Pohang(浦項) and Ulsan(蔚山) in the neigborhood of Gyeongju in A.D. 2~3 Cent. and then the center of Gyeongju region became the cross road of transportation. The center of Late 'Kuk', which has more developed functions and facilities than early 'Kuk', is assumed to be located in the middle of Gyeongju region after in A.D. 3rd. Cent. according to the archaeologial evidences

      • KCI등재

        해남지역 마한 취락의 특징과 변화

        정일 백제학회 2018 백제학보 Vol.0 No.2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how Mahan society changed in Haenam region by examining the appearance of villages where people inhabited and the process of change. Haenam region is classified into five areas based on archaeological data and natural topography. Villages are concentrated in Hyeonsancheon area and Samsancheon area, and tombs were centered in Hyeonsancheon area and Bugil-myeon area. The village of Mahan is classified into six stages according to residential structures and artifacts. Stage I refers to the ring-moat village around 3rd century BC before Gungok-ri Shell Mound was formed. The artifacts mainly include round clay-stripe pottery. Stage Ⅱ refers to round-type residences in Gungok-ri from 2nd century BC to 1st century AD. The artifacts mainly include triangular clay-stripe pottery and hard plain pottery. Stage Ⅲ is from 2nd to 3rd century AD. The type of residence is not identified, but the artifacts include hard plain pottery with increasing beating-patterned pottery. Stage Ⅳ is from mid-3rd century to mid-4th century AD. Small cluster or local hub villages appeared such as Shingeum, Bunto, and Gungok-ri Sangcheung and Seokho-ri villages. Fire disposal occurred in the village and foreign goods were imported. Stage Ⅴ is from late 4th century to mid 5th century. The artifacts tended to concentrate on tombs with the introduction of foreign pottery. Stage Ⅵ is from mid-5th to 6th century. There are traces of residences only in the vicinity of Yongwoon Ancient Tomb and various tombs are found. The process of change in the villages of Mahan are as follows: the appearance of ring-moat villages, the growth into Euprak (semantically, town), the appearance of hub villages, and sharp decline. The appearance of villages started with ring-moat villages in Stage Ⅰ, and it was limited to Hyeonsancheon area in Baekpoman Bay. The villages had coastal characters such as guidance of coastal service and supply of goods. Euprak lasted till 3rd century (StageⅢ). A small unit of villages of round-type residences were concentrated around Baekpoman Bay, and they were settled as square-type residences since 1st century AD. Gungok-ri was an outpost area for maritime exchange with various foreign trade networks, and it grew into a small country level of Euprak of Mahan with a character of intermediate port. This village expanded from a single area to many areas from mid 3rd century, and hub villages appeared such as Shingrum and Bunto remains. The two villages were based on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ironware, and international relations. This growth of hub villages declined sharply because of fire disposals in the mid and late 4th century. There were various causes for fire disposals, which can be seen in the basic data of the records on King Geunchogowang’s conquest of the southern provinces. The trapezoidal tomb, which is a traditional form of tomb in Yeongsangang River basin, started to change from mid 4th century in Haenam region. This seems to have resulted from such causes 본고는 사람이 거주했던 취락의 등장과 변화과정을 살펴봄으로써 해남지역의 마한사회 변화과정을 살펴보는데 있다. 해남지역은 다섯 개 권역으로 나뉘고 주거구조와 출토유물을 통해 취락을 6단계로 구분하였다. Ⅰ단계는 기원전 3세기 전후시기로 군곡리패총 형성 이전의 환호취락을 들 수 있다. 유물은 원형점토대토기이다. Ⅱ단계는 기원전 2세기에서 기원후 1세기로 군곡리 원형주거지 단계이다. 유물은 삼각형점토대토기, 경질무문토기 등이다. Ⅲ단계는 기원후 2세기에서 3세기 전반경으로 현재까지 주거지는 미확인되며 유물은 경질무문에 타날문토기가 증가한다. Ⅳ단계는 기원후 3세기 중반에서 4세기 중반까지이며 지역별로 거점취락이 등장한다. 취락 내에는 화재폐기가 있고 가야계유물이 들어온다. Ⅴ단계는 기원후 4세기 후엽에서 5세기 중반까지이다. 유물은 다양한 외래계토기가 유입되지만 묘제에 집중되는 경향이다. Ⅵ단계는 기원후 5세기 중반에서 6세기대 까지 이다. 묘제에 비해 주거지 흔적은 찾아보기 힘들다. 해남지역의 마한취락은 환호취락의 등장, 읍락으로 성장, 거점취락 등장과 급격한 쇠락의 과정을 보이고 있다. 취락의 등장은 Ⅰ단계의 환호취락으로 백포만의 현산천권역에 한정되며 연해항로의 길잡이, 물자보급 등의 해촌 성격의 취락이다. 읍락은 기원후 3세기(Ⅲ단계) 까지 이며 소촌 단위의 원형계 주거형태의 마을이 백포만 일대에 집중되며 기원후에는 마한계 방형주거지로 정착된다. 군곡리 일원은 다양한 대외 교역망을 가진 해상교류의 전초지로 중간 기항지의 성격을 가진 마한 소국 수준의 읍락으로 성장한다. 이러한 취락은 3세기 중반을 기점으로 단일지역에서 벗어나 여러 군집 단위로 취락이 성장하고 있다. 이런 배경은 철기의 유통, 대외교류 등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취락의 성장은 4세기 중·후반 화재폐기 등의 원인으로 급격이 쇠락한다. 화재폐기의 원인은 다양하지만 근초고왕의 남정 기사의 근거 자료 중 하나로 추정해 볼 수 있다. 영산강유역의 전통적인 묘제인 제형분이 해남지역에서 4세기 중반을 기점으로 변화되는 것도 위와 같은 원인이 작용한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중고기 신라의 지방행정체계와 郡의 성격

        전덕재(Jeon Deog-jae) 한국고대사학회 2007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48

        본 논고는 함안 성산산성 출토 목간에 보이는 지명표기를 분석한 것을 기초로 하여 중고기 신라의 지방행정체계 및 郡의 성격을 고찰한 것이다. 성산산성 출토 목간을 통하여 알 수 있듯이 신라는 6세기 전반에서 중반 사이에 본격적으로 邑落을 村落으로 재편하는 작업을 추진하였다. 이 작업은 궁극적으로 중앙집권적인 영역국가체제를 정비하는 것으로 귀결되었다. 중고기에 지방행정이나 수취체계상에서 핵심 역할을 수행한 것은 郡이 아니라 행정촌이었다. 당시에 州行使大等은 행정촌에 파견된 당주나 나두, 도사 등을 아울러서 州의 지방행정을 총괄하였다. 반면에 신라는 중고기에 郡을 단위로 外餘甲幢, 즉 法幢軍團을 편성하였다. 이때 郡治에 파견된 幢主나 邏頭(또는 道使)등이 법당군단을 자치적으로 지휘 통솔하였고, 각 행정촌에 파견된 道使들은 법당군단의 군사를 차출하는 업무에 깊이 관여하였을 뿐만 아니라 法幢監과 法幢火尺과 같은 군관에 임명되어 參戰하기도 하였다. 이와 같은 법당군단의 운용방식은 중고기에 신라가 法幢軍團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즉 군사적인 목적으로 郡을 적극 활용하였음을 반영하는 것이다. 중고기 말부터 신라는 郡에 太守를 파견하고, 종래의 행정촌을 縣으로 개편하는 작업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지방행정체계상에서 군의 행정적 기능이 강화되어 결국 州와 縣사이 중간 행정단위로서의 郡의 정체성이 명확하게 부각되었다. This article tries to examine the Local administration system and the characteristic of the County(郡) of the Silla in the middle Ancient Period(中古期) on the basis of the investigation on the geographical name that was written the Wooden tablets found from the Seongsan Sanseong fortress of the Ham-an area. As we say with the Wooden tablets found from the Seongsan Sanseong fortress, Silla government set to promote the operations that the Euprak(邑落) restructured the Chonrak(村落) between the early and the middle of the 6th century. This operations eventually was resulted in the formation of a centralized territorial state. Operating the Local administration and Tax collection system, the administrative village(行政村) conducted the core role and not a County(郡) in the middle Ancient Period. At that time, the Ju-haengsadaedeung(州行使大等) who supervised the Dangju(幢主) and Nadu(邏頭), Dosa(道使) which were dispatched the administrative village managed the administration of the Ju(州). On the other hand, Silla government organized the Woeyeogapdang(外餘甲幢), that is the Beopdanggundan Corps(法幢軍團) in each County in the middle Ancient Period. The Dangju and Nadu (or Dosa) which were dispatched the central place of the County commanded the Beopdanggundan Corps independently in those days. The Dosa who was dispatched each individual administrative village took part in the operations that drafted soldiers of the Beopdanggundan Corps and participated in the war on the officer as like the Beopdanggam(法幢監) and Beopdanghwoacheok(法幢火尺) was appointed by the Silla government. This method of the Beopdanggundan Corps' management reflects that the Silla government put to use the County on purpose to manage to the Beopdanggundan Corps efficiently. Silla government dispatched the Taesu(太守) at the County and promoted the operations that the administrative village restructured the Hyeon(縣) around the late of the middle Ancient Period. In result, Managing the Local administration system, the administrative function of the County was advanced and the County' identity as the middle administrative division that situated between the Ju and Hyeon was brought clearly out at last.

      • KCI등재

        古代社會 星州의 향방

        주보돈 동국대학교 WISE(와이즈)캠퍼스 신라문화연구소 2013 新羅文化 Vol.42 No.-

        This article deals with the course of Seongju area after the establishment of early state. The general details discovered newly through this article are as follows. The name of Euprak (邑洛, walled town) state located in the Seongju area during the Samhan period is not known. It is also not clear that this state belonged to Jinhan or Byeonhan but this state might have changed its alliance frequently whenever the need arose due to its geographical conditions. There was a special meaning that Seongju was called Seongsan Gaya. It was due to specific political situations at that time during the period of the Later Three Kingdoms of Korea or early Goryeo period. However, it is quite difficult to consider that Seongju was absolutely irrelevant to Gaya originally. Therefore, it is understood that Seongju had been incorporated into Gaya temporarily. Seongju was incorporated into Silla in the late 4th century. It is evidenced by no record regarding Seongju after the late 4th century. This is the fact which is clear proven through the archeological materials. It's because that most of the archeological materials excavated from ancient tombs in Seongju are from Silla, not Gaya.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