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鎭安臥亭土城의 構造와 性格再檢討

        이혁희 호서고고학회 2014 호서고고학 Vol.0 No.31

        Wajeong Earthen Fortress in Jinan, the Earthen Fortress of Baekje Kingdom which was first investigated in Jeonbuk area, was paid a lot of attention to because the excavated items from it showed a material culture of Gaya Kingdom. In particular, the culture played a key role in determin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two kingdoms and the development of material cultures in the eastern area of Jeonbuk where there are not enough data. There, The structure which had been reported as an Earthen Fortress with wooden fence was determined to be a typical Plate Earthen Fortress and the “wooden fence on top” was found to be the permanently-fixed pillar for the fixation of Plate which had been exposed as time passed. And recent data have pointed that burned earth, which had been thought to be the remain of disposing the top wooden fence by fire, has a similar features to the base of the Earthen Fortress whose data have increased recently. All of them were taken into account for the restoration of construction process. Furthermore, the analysis of wall construction, change of inner villages and the time range of excavated remains has revealed that its construction had three phases from the middled of the fifth century to early in the seventh century. With the examination of changing process of the wall by phase, the background and the feature of its construction have been investigated to make it possible to assume that it was constructed so as to enhance the ruling of local governments which was part of reform in the era of King Gaero. In addition,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its relation to such surrounding ruins as ancient tombs in Hwangsan-Ri, Jinan has been appreciated. 鎭安臥亭土城은 전북지역에서 최초로 조사된 백제토성이자 지정학적 중요성, 내부에서 출토된 가야계 물질문화의 존재 등으로 인해 주목받았다. 특히 자료가 영세한 전북 동부지역의 물질문화 변화상과 백제-대가야 관계를 밝히는 열쇠로 다루어졌다. 그러나 단편적인 자료에 집중하거나 축조시기에 대한 諸說이 제출되는 등 혼란을 주고 있으며, 무엇보다 와정토성 자체에 대한 연구가 미진하였다. 특히 와정토성은 당대의 축성기법을 밝힐 수 있는 희귀한 자료임에도 구조에 대한 연구가 전무했기 때문에 이에 대한 검토가 요구된다.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 구조와 축조시기를 면밀히 재검토하였다. ‘木柵土城’으로 보고된 구조는 전형적인 판축토성이었으며, ‘상부의 목책’은 영정주가 시간이 지나면서 노출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상부 목책의 화재폐기 흔적으로 이해된‘불탄흙’은 최근 자료가 증가한 토성 하부구조와 유사성을 지적하고, 이를 종합하여 축조공정을 복원하였다. 와정토성은 축조시기를 파악할 수 있는 결정적 자료의 부재로 인해 4세기 말, 5세기 중엽, 5세기 말 등 다양한 견해를 낳았다. 이를 바로 잡고자 성벽-유구 간의 중복관계를 통해 5세기 중엽이 축조상한임을 제시하였다. 나아가 토성의 축조, 내부취락의 변화, 출토유물의 시간 폭에 대한 분석 결과, 총 3단계에 걸쳐 5세기 중엽~7세기초까지 운영된 것으로 보인다. 이어서 와정토성의 단계별 변천과정을 살펴봄으로써 축조배경과 성격을 고찰하였다. 특히 한성기 말의 역사적 사건인 蓋鹵王의 전방위적인 개혁에 주목하였다. 이때 지방지배강화 차원에서 와정토성이 축조된 것으로 짐작된다. 더불어 와정토성과 셋트관계인 진안 황산리고분군을 비롯한 주변 유적과의 관계가 갖는 역사적 의미를 추적하였다. 끝으로 와정토성의 판축기법은 여타 한성기 토성의 그것과는 차이를 보인다. 즉 한성기 말을 기점으로 백제 판축기법의 변화를 보여주는 사례임에 주목하여 와정토성이 갖는 축성사적 위치를 조명하였다.

      • KCI등재

        경주 황룡사 남쪽담장 외곽 정비사업부지 내 유적 출토 토제용범의 재료 특성과제작기술 해석

        진홍주,장성윤,김한슬,이명성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23 보존과학회지 Vol.39 No.2

        This study investigates the material characteristics of casting molds found at the Sillaurban site of Hwangnyongsa in Gyeongju to interpret manufacturing techniques of casting mold forbronze used in the Unified Silla period. The casting molds appear to be earthen molds forbronze-making, with a thick ceramic wall and are classified into inner and outer mold types. The moldsshow a layered structure, with a silt layer thinly applied to the earthen mold surface. This layer comesinto contact with melted metal during bronze manufacturing and is located on the outside of innermolds and inside of outer molds. The paste layer exhibits fine-grained texture with a bimodal structure. Thin section analysis reveals planar voids in the paste, which were made by the carbonization of ricehusks used as a temper during the firing process. The silt layer is mainly composed of very fine-grainedquartz and feldspars without clay and plant tempers. It is estimated that the casting molds were madeby mixing soil with tempers of minerals and rice husks, applying a silt layer to the surface of themolds, and experiencing temperatures below 1,000℃. Overall, the selection of different raw materialsfor each layer of the molds is connected with efficiency to ensure the permeability and thermalresistance during the casting process and easy release of the bronze object from the molds. 이 연구에서는 신라 통일기 경주 황룡사 남쪽담장 외곽 정비사업부지 내 유적에서 출토된 토제용범의 재료 특성을 조사하고 당시 제작기술을 해석하고자 하였다. 토제용범은 청동제유물을 제작하기 위한 사형주조범으로 판단되며 두꺼운 기벽을 형성하고, 내범과 외범으로 구분된다. 용범 단면은 태토 위에 미사가 얇게 도포된 층위구조를 보이는데, 이 미사층은 주조시 청동기물과 맞닿는 면으로 외범은 내면에, 내범은 외면에 분포한다. 용범의 태토는 미정질기질에 이중모드의 입도 분포를 보이는 세립질 광물을 다량 포함한다. 또한 선형의 긴 공극이두드러지게 관찰되는데, 비짐으로 첨가된 볍씨 껍질이 소성 시 탄화되어 형성된 것으로 판단된다. 미사층은 태토층과 구성광물이 유사하나 식물비짐이 없고 분급이 양호한 초세립질 석영과장석으로 구성된 미사로 확인된다. 따라서 토제용범은 토양에 볍씨 껍질과 광물을 혼합한 태토로 기형을 만든 후, 미사를 표면에 도포하여 제작된 것으로 생각되며, 1,000℃ 이하의 열을 경험하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용범은 청동 주조 시 통기성과 내열성을 확보하고, 기물을 용범에서쉽게 이탈시키기 위해 층위별로 재료를 다르게 선택하여 제작한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Material and Manufacturing Properties of Bracket Mural Paintings of Daeungjeon Hall in Gaeamsa Temple, Buan

        Hwa Soo Lee,Yeong Gyeong Yu,Kyeong-Soon Han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22 보존과학회지 Vol.38 No.1

        This study examined the production technique of bracket murals in Daeungjeon Hall, Gaeamsa Temple by conducting a analysis of their wall structure, material characteristics, and painting layers. Wall was a single-branch structure with support layer, middle layer, finishing layer, and painting layer. The support layer, middle layer and finishing layer, were produced by mixing sand (quartz, feldspars etc.), and loess. The ratio of above medium sand to below fine sand was approximately 0.7 : 9.3 in the support layer, 4 : 6 in the middle layer and 6 : 4 in the finishing layer, which had a more percentage of above medium sand than the support layer. The analysis of the painting layer showed that natural soil pigment was used to establish a relatively ground layer of up to 50 μm, and pigments such as Lead sulfate, atacamite and mercury sulfide were painted on top of the layer. This study’s results confirmed that the bracket mural paintings in Gaeamsa Temple are within the category of the production style of murals during the Joseon period. However, the points that the middle layer was formed several times,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particle size distribution between the wall, and the absence of chopped straw in the support layer are a feature of bracket mural paintings in Gaeamsa Temple. These properties of murals as material and structure may be viewed for correlation with the degree of damage to wall structure of mural painting and would serve as an important reference to diagnosis the conservation conditions of murals or prepare conservation treatments.

      • KCI등재

        보성 대원사 극락전 달마대사 벽화 제작기술 연구

        유영경,이화수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23 보존과학회지 Vol.39 No.1

        The manufacturing technique was studied through the structure and material characteristicsof the Buddhist Monk Bodhidharma mural painting in Geungnakjeon Hall, Daewonsa Temple. Themural is painted connected to the earthen wall and the Joongkit. The earthen wall consists of an firstlayer, a middle layer, a finishing layer, and a painting layer. It was come to light that the first layerhad a high content of loess below silt, and the finishing layer had a high content of fine sand. Thepainting layer was colored after preparing a ground layer using a soil mineral pigment. It was cometo light that he Buddhist Monk Bodhidharma mural painting was created with the same techniqueas the Avalokitesvara Bodhisattva mural painting in Geungnakjeon Hall. The murals insideGeungnakjeon Hall belong to a category similar to the Joseon Dynasty’s buddhist mural painting (madeof earthen) manufacturing style, but characteristic factors were found in the high fine sand contentof the finishing layer, the condition of plastering according to the surface finishing technology, andthe painting technique of the Joongkit. It is expected that this information can be used as an importantindicator for monitoring the conservation status of murals inside the Geungnakjeon Hall of DaewonsaTemple in the future. 대원사 극락전 달마대사 벽화에 대한 구조와 재질 특성을 통해 제작기법을 연구하였다. 벽화는 흙벽과 중깃 부재에 연결되어 그려져 있으며, 벽체는 외가지를 골조로 초벽층과 중벽층, 마감층그리고 채색층으로 구성되어있다. 초벽층은 실트 이하의 황토 함량이 높으며 마감층은 세립사 크기토양의 함량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채색층은 토양성 광물 계통의 안료를 사용하여 바탕칠층을마련한 후 채색하였다. 달마대사 벽화는 극락전 내 관음보살 벽화와 동일한 제작기법으로 조성된것으로 확인되었다. 대원사 극락전 내부의 벽화는 흙으로 조성된 조선시대 사찰벽화 제작양식과 유사한 범주에 속하나 마감층의 높은 세립사 함량, 표면 마감기술에 따른 미장 상태, 중깃 부재의 채색기법 등에서 특징적인 요소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정보들은 향후 대원사 극락전 내부 벽화의보존상태 모니터링 시 중요한 지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 KCI등재

        조선시대 사찰벽화 토벽체의 재질특성 연구

        이화수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16 보존과학회지 Vol.32 No.1

        조선시대 5개 전각의 사찰벽화를 대상으로 벽체를 구성하는 토양성분에 대한 분석조사를 실시하였다. 입도분석 결과 층위에 따라 구성입자의 함량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마감층이 중벽층에 비해 중립사 이상크기 입자 분포가 다소 높은 경향을 보였다. 토양 구성광물 분석에서는 모래의 주성분인 석영(Q)의 결정상, 장석(F)의 결정상 그리고 점토 광물(C) 등 일반적인 토양과 유사한 광물 조성을 나타내어 벽체는 암석의 풍화산물로 생성된 풍화토를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 화학성분 분석 결과, 실리콘(Si), 알루미늄(Al), 철(Fe) 그리고 포타슘(K)등이 검출되었고, 토양 미세조직에서는 모래 및 점토크기의 토양입자들이 관찰되어 벽체를 구성하는 토양은 암석이 풍화되어 생성된 풍화토와 모래인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 벽체는 주로 황토가 사용되었고, 점토와 모래를 혼합하여 층위별 기능에 따라 제작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번 연구를 통해 조선시대 사찰벽화의 벽체를 구성하는 재질의 특성을 파악하고, 제작기술에 관한 경향성을 제시할 수 있었다. In this study, 5 mural paintings in the Buddhist temples of Joseon era were researched for component analysis on the soil contained in the walls. The results of particle size analysis showed that the ratio of particle contents were different in each layer. In the finishing layer, the distribution of the middle sand fraction is higher than that of the middle layer. The results of XRD analysis showed that quartz, feldspar, and clay mineral are the main components of sand, suggesting similar mineral composition to that of ordinary soil component. It seems weathered rocks were used for construction of the walls. The main chemical components detected from EDX analysis were Si, Al, Fe, and K. Also the SEM images showed sand or clay sized minerals. In conclusion, the walls of the buddhist mural paintings in Joseon Dynasty had been constructed by using the loess, and had been produced by using mixture of clay and sand particles of different sizes for each layer. This study identifi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s and the manufacturing technologies used on the walls of mural paintings of Buddhist temples in Joseon era.

      • KCI등재
      • KCI등재

        진도 쌍계사 대웅전 벽화의 재질특성 및 제작기법 연구

        이나라,유영경,이화수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21 보존과학회지 Vol.37 No.6

        본 연구에서는 진도 쌍계사 대웅전 내부 벽화를 대상으로 현미경 조사, SEM-EDS, XRD, 입도분석 등을 통한 과학적 조사를 실시하여 벽화의 구조 및 재질특성을 파악하였다. 분석결과 벽체는 모래와 풍화토 등 토양을 사용하여 벽체를 제작하였으며, 초벽층, 중벽층, 그리고 마감 층의 층위를 구성한 점들을 미루어 볼 때 전형적인 사찰벽화 토벽화 제작양식을 반영하고 있 다. 그러나 토벽체 위에 석회로 마감층을 조성하고, 그 위에 징크 화이트를 사용하여 바탕칠한 점 등의 특이점이 확인되었다. 또한 채색층의 균열 양상, 화면의 광택, 두께감 있는 붓 터치 등 유화 기법으로 제작된 회화 표면과 유사한 특징들이 관찰되었다. 연구 결과, 진도 쌍계사 대웅전 내부 벽화는 흙으로 벽체를 조성하였으나, 채색층은 건성유를 사용한 서양화 기법이 쓰인 것으로 판단되며, 이는 국내 현존하는 사찰벽화에서 유화 기법이 사용된 최초 연구 사례 로 볼 수 있다. This study identifies the structure and material characteristics of the mural paintings in Daeungjeon at Ssanggyesa temple in Jindo by conducting scientific research and analysis including microscope examination, SEM-EDS, XRD, particle size analysis, and others. According to the analyses, the murals were considered to be of a typical soil mural style for Korean Buddhist murals, given that the walls were made of sand and soil and the murals had layers consisting of wall layers and a finishing layer. However, some finishing layer used calcite, while some ground layer used zinc white beneath the thick paint. In addition, there were similar features to those found on the surfaces of oil paintings such as cracks along with the paint layer, high gloss on surfaces, and thick brush strokes in many areas. It was found that the walls on which the murals were painted were made of soil but that the paint layer was created based on the oil painting technique using drying oil. It determined that the murals were painted in a unique painting style that is rarely found in other typical Buddhist murals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