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제 마약류정책 변화와 대응방향

        박성수 한국중독범죄학회 2022 한국중독범죄학회보 Vol.12 No.1

        Drug policies should distinguish between medication and supplier rather than unconditional punishment-oriented policies, and should be combined with appropriate punishment and treatment -intervention policies. However, the Korean government has been biased toward punishment-oriented policies for harmful drugs such as drugs, and there have been limitations in efficient drug abuse prevention and crime prevention. This can be seen as the result of sticking to only fragmentary and one-time visible policies in harmful drug policies such as drugs. In order to prevent harmful drugs such as drugs, policies should be established based on past policy failures and problems from a long-term persp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the problems of harmful drug policies such as drugs in Korea due to changes in international drug policies and policy directions to be changed in the future. Based on this awareness of the problem, desirable drug regulations and policy directions in Korea were sought. In particular, the following policy directions were presented in consideration of the implications of policy cases in major countries due to changes in drug policies around the world. First, establishing a drug policy based on the UN Drug Control Convention and the situation. Second, approaching a drug policy based on human rights. Third, expanding evidence-based drug treatment and disease prevention forms Fourth, participation of civic groups and continuous monitoring and monitoring Fifth, transition from criminal punishment to therapeutic treatment. 마약류 등 유해약물의 정책은 무조건적인 처벌위주의 정책보다는 투약자와 공급자를 구분 하고 이들에 대한 적절한 처벌과 치료개입적 정책을 병행하여야 한다. 하지만 그동안 우리 정부는 마약류 등 유해약물에 대한 처벌위주의 정책에 치우쳐져 효율적인 마약류 남용방지와 범죄예방에는 그 한계가 있었다. 이는 마약류 등 유해약물정책에 있어 단편적이고 일회성의 가시적 정책만을 고집해온 결 과라 볼 수 있다. 마약류 등 유해약물 예방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과거의 정책실패와 문제점을 바탕으로 정책수립이 이뤄져야 한다. 본 연구는 국제 마약류 정책변화에 따른 우리나라의 마약류 등 유해약물 정책의 문제점 및 향후 변화되어야 할 정책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기반하 여 바람직한 우리나라 마약류 규제 및 정책방향을 모색하였다. 특히 전 세계적 마약류 정책 변화에 따른 주요 국가의 정책사례가 주는 시사점을 고려하여 첫째, UN 약물 통제 협약 및 상황에 근거한 마약류 정책 수립 둘째, 인권기반 근거한 마약류 정책 접근 셋째, 증거기반 약 물치료 및 질병예방 양식 확대 넷째, 시민단체의 참여와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감시 다섯째, 형사적 처벌에서 치료적 처우로의 전환 등의 정책방향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스웨덴의 청소년 약물 관련 통제정책 연구

        허경미 한국소년정책학회 2023 少年保護硏究 Vol.36 No.1

        The basis of Sweden's drug-related policy is strict zero tolerance and therapeutic interventionism. Sweden's ambivalent policy on drugs presents both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The stance of Sweden's drug-related policy is also reflected in the drug-related policy for youth. First, since 1971, Sweden has conducted an annual narcotic-related survey of adolescents and systematically conducted drug prevention education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Second, youth drug-related policies are reflected in the step-by-step ANDT strategy, and performance evaluation and feedback are conducted. Third, Sweden is focusing on policies to reduce early drug-related contact among adolescents. Fourth, Sweden identifies the use of harmful substances such as doping agents, protein supplements, and cyber gambling that youth encounter according to the changing times and seeks appropriate measures. Fifth, schools play a central role in preventing harmful substances and media including drugs. The National Office of Education provides standard drug prevention educational materials produced by CAN to schools. Sixth, Sweden implements youth drug-related policies in accordance with adults. In other words, within the framework of national public health policy,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devise ANDT strategies, and clearly distinguish their roles and responsibilities. Despite the drug policy dilemma facing Sweden, Korea needs to model the systematicity and expertise of Sweden's youth drug-related policy.

      • KCI등재

        마약류 범죄의 문제와 대응방안

        구효송,신승균 한국범죄심리학회 2019 한국범죄심리연구 Vol.15 No.2

        Recently, drug crime has become a major issue in our society, and the purpose of research has been to identify the actual situation of drug crime and to find ways to reduce and prevent social risks caused by drug crime. Through the theoretical discussion of drug crime and the analysis of the situation, identified the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of drug crime, and based on this, we conducted discussions on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and countermeasures for the policy. The following measures were presented to solve the identified problem. First,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social awareness of the dangers and harms of drug crime. Second, the punishment standards for drug traffickers should be strengthened so that the suppression effect of the control policy can be secured, and the level of actual punishment should also be strengthened.Third, in order to ensure the efficiency of the response policy against drug crime, a balanced policy should be prepared to simultaneously punish and treat criminal acts. Finally, an integrated, pan-government body should be set up and operated for active and organic policy implementation on drug-related crimes. 최근 마약류 범죄가 우리사회의 주요한 이슈로 부각되고 있어, 마약류 범죄의 실태확인 및 마약류 범죄로 인한 사회적 위험성 감소와 예방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마약류 범죄에 대한 이론적 논의와 실태분석을 통해 마약류 범죄의 특징과 문제점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정책에 대한 개선방향과 대응방안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였다. 확인된 문제의 해결을 위해 다음과 같은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마약류 범죄에 대한 위험성과 해악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전환필요하다. 둘째, 통제정책의 억제효과를 담보할 수 있도록 마약류 사범에 대한 처벌기준이 강화되어야 하며 실제 처벌의 수위 또한 강화될 필요가 있다. 셋째, 마약류 범죄에 대한 대응정책의 효율성을 확보하기 위해 범죄행위에 대한 처벌과 치료지원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는 균형잡힌 정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마약류 범죄에 대한 적극적이며 유기적인 정책수행을 위해 범정부차원의 통합적 전담기구가 설치․운영되어야 한다.

      • KCI등재

        독일국가전략의 고찰을 통한 한국마약정책에의 시사점

        김일옥,김순행,박진실 중앙법학회 2020 中央法學 Vol.22 No.2

        Domestic drug traffickers have consistently exceeded 10,000 people since 2015. In addition, using the Internet, SNS, etc., ordinary people can easily purchase and consume narcotics from domestic and foreign narcotics providers as long as they decide. Of course, the government is also making continuous efforts to solve these drug and addiction problems.The problem is that it has reached its limit in resolving the narcotics problem, which has become serious in the traditional way.A prime example is the Burning Sun incident in 2019.As a result of this, the seriousness of the domestic drug problem is recognized, and the causes and countermeasures are much discussed.It is intended to be referenced through overseas cases in relation to the preparation of countermeasures based on long-term plans rather than fragmentary discussions. Germany has established a national strategy for drug and addiction policy in 2012, covering and managing tobacco, alcohol, gambling, illegal drugs, drug abuse, and online / media addiction. Specifically, Germany has developed four strategies for managing addiction: prevention education, counseling therapy, risk reduction, supply and consumption reduction.In addition, it not only prepares goals and measures for the implementation of policy strategies for each addiction area, but also puts emphasis on practical research to support them. The federal agency, the Department of Health, is developing a model project to investigate and test new prevention and treatment approaches for all toxic substances and specific target groups. Germany's systematic national strategy enables the prevention of poisoning and treatment through early intervention in high-risk groups such as the elderly and youth. In Germany, there is no institution that manages drug problems in an integrated way, such as the US Drug Enforcement Administration (DEA), but the system in which each institution coordinates and promotes cooperation is partially similar to Korea. In the case of Korea, the National Drug Policy Coordination Agency is the coordinating body of the National Drug Policy. However, there are limitations in coordinating and supporting the overall national drug policy. The German case is to consider our limitations and attempt to propose a more systematic strategy. In short, more comprehensive management and control of drug problems is needed. 국내 마약류사범이 2015년부터 지속적으로 1만 명을 상회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인터넷, SNS 등을 이용하여 일반인들도 마음만 먹으면 국내외 마약류 공급자로부터 마약류를 쉽게 구입하여 소비할 수 있다. 물론 정부차원에서도 이와 같은 마약 및 중독문제를 해결하고자 지속적인 노력을 하고는 있다. 문제는 기존의 전통적 방식으로는 심각해지는 마약문제를 해결하는데 한계에 도달했다는 것이다. 대표적인 사례가 2019년에 발생한 버닝썬 사태이다. 이를 계기로 국내 마약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그 원인과 대책에 대하여 많은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단편적인 논의가 아닌 장기적인 계획에 따른 대책 마련과 관련하여 해외 사례를 통해 참고하고자 한다. 독일은 2012년 마약 및 중독정책에 대한 국가전략을 마련하여 담배, 알코올, 도박, 불법약물, 처방약남용, 온라인/미디어 중독을 포괄하여 관리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독일은 중독을 관리하는 4개의 전략을 마련하였는데 예방교육, 상담치료, 위해 감소, 공급 및 소비감소가 그것이다. 또한 각각의 중독 영역별 정책적 전략 이행을 위한 목표와 조치를 마련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실무관련 연구를 중요시하고 있다. 핵심 기관인 연방보건부는 모든 중독물질과 특정 목표집단에 대한 새로운 예방 및 치료 접근법을 조사하고 테스트하는 모델프로젝트를 개발하고 있다. 독일의 체계적인 국가전략을 통해 고령자나 청소년 등 고위험 군에 대한 중독예방과 조기개입을 통한 치료를 가능케 한다. 독일의 경우 미국의 마약단속청(Drug Enforcement Administration: DEA)과 같이 마약문제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기관은 없지만 각 기관들이 상호 조정하며 협력을 도모하는 체계는 부분적으로 한국과 유사하다. 한국의 경우 국가마약정책을 조정하는 기관으로 국무조정실산하 마약류대책협의회가 있다. 그러나 전반적인 국가마약정책을 조정하고 지원하는데 있어서 한계가 있다. 본고는 독일의 사례를 통해 우리의 한계점을 고찰하여 좀 더 체계적인 전략에 대한 제안을 시도하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마약문제에 대한 더욱 포괄적이고 지속적인 관리와 통제가 필요하다.

      • KCI등재

        미국의 청소년 마약류 사용 대응 정책 고찰을 통한 국내 정책의 시사점

        양혜정,김채윤 한국중독범죄학회 2022 한국중독범죄학회보 Vol.12 No.4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ggest a direction for the recently newly attempted youth drug policy in Korea by examining the current situation and domestic policy on drug use among adolescents, which are becoming increasingly serious, and by analyzing the case of the United State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number of juvenile drug offenders in Korea is rapidly increasing, and recently, the proportion of drug use is higher than that of hemp or psychotropic drugs among drugs, and they are subject to the same criminal punishment-oriented policy as adults. Second, the United States is approaching drug use-related crimes from a problem-solving perspective through treatment, rather than focusing on traditional criminal punishment. Third, the United States has a system that can derive an evidence-based approach through systematic data collection to ensure the effectiveness of criminal justice or therapeutic approaches. Fourth, the United States has established and is operating a centrally controlled drug response system centered on state agencies. Fifth, the United States is focusing on education on drug use prevention in school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t was suggested that the current juvenile drug offender management system needs to be checked, integrated management at the national level,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of prevention education programs, and the need for a change to treatment and recovery-oriented policies. 본 연구는 날로 심각성을 더해가는 청소년 마약류 사용에 관한 실태와 국내 정책을 점검하고, 미국의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최근에 새롭게 시도되고 있는 우리나라 청소년 마약 정책에대한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우리나라의 청소년 마약류 사범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고, 최근에는 마약류 중 대마나 향정신성의약품 보다 마약 사용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으며, 성인과 마찬가지로형사처벌 위주의 정책을 적용받고 있다. 둘째, 미국은 약물 사용과 관련된 범죄에 대해 기존전통적인 형사처벌 중심이 아닌 치료를 통한 문제해결적 관점에서 접근하고 있다. 셋째, 미국은 형사사법적이나 치료적 접근의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하여 체계적인 데이터 수집을 통하여 증거에 기반한 접근 방식을 도출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넷째, 미국은 국가 기관을 중심으로 중앙 통제적인 마약 대응 체계를 구축하여 운영하고 있다. 다섯째, 미국은 약물 사용 예방을 학교에서의 교육에 주력하고 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현재의 청소년 마약류 사범의 관리 체계 점검과 국가차원의 통합적 관리, 예방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보급, 치료와 회복 중심의 정책으로 전환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미국 마약 통합 관리 시스템을 통한 한국의 마약정책 고찰

        신재우,이완희 한국범죄심리학회 2023 한국범죄심리연구 Vol.19 No.4

        New Psychoactive Substances (NPS) are spreading like a trend around the world, and the number of drug crimes is increasing more than ever as distribution methods evolve day by day. Recently, as the drug problem has become increasingly serious, it has become an unbearable reality with the functions and roles of existing drug-related institutions. Most countries use a combination of criminal justice punishment models that control and deter drug supply to make the drug-free society and medical & treatment models that rehabilitate addicts. In other words, supply control policies rely mainly on thorough crackdowns and strong punishment, and demand control policies pursue balanced strategies by focusing on prevention in advance through treatment and rehabilitation. However, countries that have implemented most drug policies have experienced many side effects from unbalanced policies and are making great efforts to make balanced policies to solve them. However, the results vary widely depending on the efforts and budgets of each government, also the structure of the organization that manages drugs is diverse. Current study will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drug-related institutions and review the U.S. drug integration management system(IMS). And mainly discuss the direction of Korea's drug policy through the background and historical changes of the Drug Enforcement Administration (DEA). It is meaningful in preparing a specific and practical balanced drug policy that can create a drug-free society through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the U.S. drug IMS . At the conclusion this study establishes a practical national system to efficiently deal with drugs and in turn protect citizen from drugs.

      • KCI등재

        교정정책 마련을 위한 마약 밀매자의 마약 밀매 경험에 대한 사례연구: 남성회복자를 중심으로

        유숙경 한국교정학회 2021 矯正硏究 Vol.31 No.2

        본 연구는 현재 마약중독에서 회복되었고 마약 밀매를 하지 않는 남성으로 과거의 마약 밀매 경험을 탐색하여 밀매의 구조적 변화와 밀매 전략, 밀매조직을 살펴보고 이를 근거로 마약 밀매자의 중독회복과 마약 공급차단 정책 수립을 위한 교정차원의 정책마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참여자 선정은 마약밀매 경험이 7년 이상, 마약중독에서 최소 3년 이상 회복을 유지하고 있는 5인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은 1대1 심층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 된 자료는 Creswell(2013)의 사례연구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는 마약 밀매자의 마약밀매 과정을 시간 흐름에 따른 현상의 동태적 과정과 결과를 분석하고, 특히 맥락을 이해하고 자 하였다. 그 결과 4개의 분석영역, 11개의 범주와 39개 개념결집이 도출되었다. 첫째, 진입동기에서는 마이다스의 비즈니스와 사회적 지위의 초고속상승, 가난한 자의 꿈으로 나타났다. 둘째, 마약공급 조직에서는 항구적 상선구축, 불신과 배신구조, 믿음의 근원 현금으로 나타났다. 셋째, 소비시장 확장전략에서는 주변지인 공략, 다단계식 밀매조직, 중독의 무한루프에 가두기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관계에서는 평범의 가면 쓰기, 거짓 봉사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마약밀매자로 부터 마약 예비중독자와 중독재발의 위험이 있는 개인을 보호할 수 있는 공급차단정책과 수요감 소정책을 통해 마약밀매자의 회복을 위한 교정정책차원의 논의 및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ast drug dealing experience of males who were recovered from drug addiction and stopped drug dealing, examine the structural changes, strategies, and organizations of drug dealing, and provide basic data for a correction policy to help drug dealers’ addiction recovery and establish a drug supply reduction policy.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five males who had more than seven-year experience of drug dealing and more than three-year recovery period. An in-depth one-on-one interview was conducted for data collecting.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using the case study methodology by Creswell(2013). This study was intended to analyze the dynamic process and results of phenomenon according to the flow of time of drug dealing and in particular understand the context. As a result, four analysis areas, 11 categories, and 39 concept clusters were derived. First, entry motivation included Midas business, a superspeed rise of social status, and poor person’s dream. Second, drug supply groups included building up a permanent supplier, a distrust and betrayal structure, and cash that is the root of trust. Third, strategies to expand a consumer market included targeting friends, a multi-level drug dealing group, and putting one into an infinite loop of addiction. Fourth, social relationship included putting on a mask of the ordinary and false voluntary service.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discussed and suggested a correction policy to help drug dealer’s recovery through a supply reduction policy and a demand decrease policy to protect preliminary drug addicts and individuals who are in danger of drug addiction relapse from drug dealers.

      • KCI등재

        자동차보험 약관상 ‘마약 약물운전’ 조항의 해석과 적용

        조규성(Gyu Seong Cho) 한국보험법학회 2022 보험법연구 Vol.16 No.3

        ‘마약·약물운전’의 경우 자동차보험 약관상 ‘자기차량손해’담보에서는 면책사유로 규정하고 있고, ‘대인 및 대물배상책임’담보에서는 고액의 사고부담금을 부과시키고 있다. 현행 약관에서는 마약·약물의 경우 구체적인 약물명은 명기되어 있지 않고, 단지 “마약 또는 약물 등의 영향으로 인하여 정상적인 운전을 하지 못할 우려가 있는 상태에서 운전하는 행위”라는 표현을 사용해 면책 및 사고부담금 부과사유로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일반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동 약관조항의 해석 및 적용과 관련해 ① 약물 중 의사의 처방을 받아 복용 중인 ‘향정신성의약품’의 경우도 전부 여기에 포함되는지 여부와, ② 마약 또는 약물의 복용과 사고 발생 사이에 상당인과관계가 있는지 여부를 어떻게 증명할 것인지, ③ 구체적으로는 해당 약물을 어느 정도 복용한 상태에서 운전을 해야 면책 또는 사고부담금 부과대상이 되는지 등과 관련된 다툼이 많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마약 ·약물운전 면책조항의 올바른 해석을 위해 우리와 가장 유사한 법제와 약관을 가진 일본의 사례를 비교 분석하고 합리적인 해석기준과 약관개정 방향에 대해 제안하였다. 우선 의사로부터 정상적으로 처방을 받은 향정신성의약품을 복용한 자가 야기한 사고에 대해서는 ‘마약 등 약물 면책조항’의 적용을 배제해야 한다. 처방된 향정신성의약품의 영향에 의해 비록 약간(다소간)의 정상적인 운전을 할 수 없을 우려가 있는 상태(과다복용이나 남용은 아니라는 전제)에서 발생한 사고에 대해서는 이러한 행위가 무엇보다도 위법하지 않기 때문에 면책조항의 적용을 배제하는 내용으로의 약관개정이 필요하다고 본다. 다음으로 현행 약관상 ‘원인에 의한 면책사유’로 규정되어 있는 ‘마약 등 약물면책조항’의 경우 피보험자가 야기한 사고이지만, 보험자의 증명이 곤란한 경우가 대부분일 것이고, 따라서 약관상 면책이 인정되는 경우는 거의 없을 것이기 때문에 ‘음주·무면허운전 면책조항’과 같이 ‘상황에 의한 면책사유’로 개정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끝으로 만약 보험자가 위법성이 강한 위험 약물에 대해 약물 면책조항을 적용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면, 약관의 개정을 통해 구체적인 면책 대상 약물을 지정해 명시할 필요가 있다. 면책대상약물로 지정하기 위해서는 소지나 사용이 형법에 의해 금지되는 위법 약물로 그 영향 하에서의 운전이 마약 등에 비견될 정도로 사고 발생의 위험성이 높고 사회적 비난도 중대한 약물들이어야 함은 물론이다. In case of narcotic drugs/medication driving in the first party property damage insurance, it is excluded from the scope of compensation. Also the bodily injury liability insurance and property damage liability insurance of the standardized clause of automobile insurance requires the insured to pay a large deductible to the insurer. In other words, exemption of part of insured money, not full exemption of liability, is provided in narcotic drugs/medication driving. The meaning of narcotic drugs and medication in automobile insurance policy refers to narcotics, marijuana, psychotropic drugs, and others prescribed by Ordinance of the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as prescribed in Article 45 of the Road Traffic Act. And the meaning of narcotic drugs/medication driving refers to the act of driving in a state that makes it impracticable to drive a motor vehicle, etc. normally due to the impact of the influence of drugs referring to narcotics, marijuana, psychotropic drugs, Korean Supreme Court of Justice emphasizes the circumstance of breach of law caused by drunk driving at the time of occurrence of accident in interpretation of exclusion provision of drunk driving in first party property damage insurance. Therefore, it cannot be interpreted that it only applies to the case there is causal relation between drunk driving and insured accident. This position of Korean Supreme Court of Justice can be interpreted that an act of drunk driving is considered as a sort of reasons for exclusions of risk which is excluded from the category of covered risk by the insurer from the beginning. However, the narcotic drugs/medication driving in automobile insurance policy, which is more likely to be socially criticized than drunk driving, stipulate a reason for exemption from the cause. In other words, there is causal relation between drunk driving and insured accident. The meaning of narcotic drugs and medication and interpret act of narcotic drugs/medication driving in current automobile insurance clauses should be revised because there is a problem. First, in the scope of psychotropic substances stipulated as immunity drugs in automobile insurance policy, drugs prescribed by doctors should be excluded. Next, it is necessary to revise the same form as the exclusion clause of drunk driving and unlicensed driving in automobile insurance policy.

      • KCI등재

        안전상비의약품 약국 외 판매에 관한 소비자 평가

        고대균,여정성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17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13 No.2

        안전상비의약품 약국 외 판매는 소비자가 심야시간대와 공휴일에 의약품을 구입하지 못해 겪는 불편을 해소하 는 것을 목적으로 도입된 제도로서, 현재 13종의 안전상비의약품이 약국 이외의 장소, 대표적으로는 24시간 편 의점에서 판매되고 있다. 소비자가 안전상비의약품을 약국 이외의 장소에서 구입할 수 있게 되면서 소비자는 의 약품에 대한 접근성과 이용편의성이 개선되는 한편, 의약품의 오․남용에 따른 위험에 노출될 수 있다. 정부와 시민단체, 약사회 간 정책이 도입되기 전부터 지속되어 온 안전상비의약품 약국 외 판매의 영향에 대한 의견 대립 은 정책이 시행된 지 4-5년이 지난 현재 시점에서도 유효한 갈등이다. 이에 본 연구는 정책의 수혜자이자 이용 자인 소비자의 입장에서 소비자의 행동과 인식을 통해 정책의 내용을 평가하고 발전방향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최근 1년 이내 편의점에서 안전상비의약품을 구입한 경험이 있는 20대에서 50대까지의 성인소비자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소비자의 인구통계학적인 특성 외에 안전상비의약품 구매 행동, 안전상비의약품 약국 외 판매에 대한 소비자의 지식 수준, 소비자 평가를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소비자가 편의점에서 안전상비의약품을 평균적으로 구입한 횟수는 3.7회로, 소비자들이 안전상비의 약품을 약국 이외의 장소에서 빈번하게 구입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소비자들은 안전상비의약품 약국 외 판매로 인해 야기될 수 있는 부작용을 충분히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미한 부작용에도 적극적으로 대처하는 소비자들이 많은 것으로 보아 안전상비의약품의 부작용관리체계에서 소비자들의 접근성과 참여도를 높 이는 것이 정책비용 대비 효과가 클 것이다. 또한 본 정책의 세부 내용에 대해 소비자들이 구체적인 사항은 잘 모르는 경우도 있었으나, 소비자들의 지식 수준은 성별을 제외하고 개인적 특성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며, 안전상 비의약품 약국 외 판매에 대해 더 잘 알고 있는 소비자들이 효과 또한 더 높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소비자들 에게 필요한 정보를 잘 전달하고, 판단할 수 있는 역량을 계발함으로써 정책의 효과를 더 배가시킬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소비자들은 24시간 편의점을 기존 의약품 판매처인 약국과 대체관계가 아닌 상호보완적인 관계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정책의 도입 목적에 맞게 안전상비의약품 약국 외 판매를 잘 활용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다루고 있는 안전상비의약품 약국 외 판매는 현재 지정된 안전상비의약품 품목의 확대가 논의되는 등 정책의 변화가 예상된다. 향후 정책의 변화에 따라 야기될 수 있는 소비자문제들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함으 로써, 소비자들의 안전성과 편의성을 함께 증진시켜 나갈 수 있도록 정책의 발전방향을 모색하는 실천적 논의들이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CVS(convenience store) drugs sales has been enforced since November 15th, 2012 with intent to ease the inconvenience caused by the non-availability of medicines late at night or on holidays. 13 species of CVS drugs are on sale now. Although CVS drugs sales has increased the accessibility to and availability of medicines for the benefit of consumers, great attention must be paid to the high level of safety requirements complying with the properties of such drugs, and the risks associated with adverse effects resulting from any abuse and misuse. The effect of this policy has been a divisive issue among stakeholders, especially government, pharmaceutical association and non-governmental organization. In this article, we focused on examination and evaluation of CVS drugs sales from the consumer’s point of view, and tried to seek the alternatives for developing. This research conducted an online consumer survey of 400 consumers aged between 20’s and 50’s. The sample of this research is the consumer who has an experience of purchasing CVS drugs within a year. The survey was performed to gain understanding of consumer consumption and a degree of consumer knowledge and evaluation. Below are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First, consumers actively use CVS drugs sales. The average number of purchases for each consumer is 3.7 times. Second, consumers fully understand the side effects of CVS drugs sales. Many consumers took the action, for example, called to complain, even if side effects were mild. Our result showed that this policy is cost-effective by widening access and deepening participation to consumers in the management of side effect of CVS drugs sales. Third, consumers often have incorrect information about specifics of CVS drugs sales, whereas consumers who have higher knowledge of CVS drugs sales have a more positive evaluation of that. Therefore, this result showed that CVS drugs sales can be effective by delivering proper information to consumers and developing judgment of consumers. Fourth, consumers perceive the relationship between pharmacies and 24/7 convenience stores as complementary, not substitutable. Consumers generally use this policy as the object it was intended to. CVS drugs sales are expected to change as extending items from CVS drugs. More comprehensive approach considering both ease and safety of consumers is suggested as a means of dealing with consumer problems which can be caused by changes in the policy.

      • KCI등재

        특허만료 당뇨병용제의 가격탄력성 분석: 일괄 약가 인하 전후 비교

        권순홍 ( Kwon Sun-hong ),이재현 ( Lee Jaehyun ),이진형 ( Lee Jinhyung ),이의경 ( Lee Eui-kyung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7 保健社會硏究 Vol.37 No.2

        본 연구는 2012년 4월 일괄 약가인하 (특허만료 의약품의 동일성분 동일상한가 정책)전 후 약가와, 사용량, 가격탄력성 변화양상을 보고자, 건강보험코호트 자료를 바탕으로 패널데이터를 구축하였다. 도구변수를 이용하는 2단계 최소자승법(2SLS)으로 모형을 추정하였다. 분석 결과, 제네릭 의약품의 가격탄력성은 정책 시행 전 0.797, 정책 시행후 0.700이었으며, 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01). 오리지널 의약품의 가격탄력성은 보다 비탄력적이었으며, 정책시행 전 0.575, 정책 시행 후 0.559로 이었다(p=0.81). 이는 가격 인하 시 제네릭 의약품의 기대되는 사용 증가 정도가 작아진 것이며, 정책 시행으로 제네릭 의약품의 가격이 오리지널 의약품과 유사해졌는데, 이 경우 가격을 통해 제네릭 의약품 사용을 장려하기가 어려워졌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의약품의 가격탄력성을 추정한 국내 최초의 실증연구로, 전 국민의 의료이용에 대한 대표성있는 건강보험코호트에서 추출한 약가와 사용량을 이용하였다. 분석대상이 당뇨병 용제에 국한되어 있기에, 다른 효능군의 의약품에 대한 일반적인 가격탄력성으로 확대 해석하기는 어려우나 향후 다른 약효군에 대해 가격 탄력성을 추정 한다며, 이는 약가정책 수립에 매우 중요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olicy on the upper price limit for off-patent drugs was implemented in April 2012 to help reduce the burden of drug costs. We tried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were changes in the price elasticity before and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policy, based on national health insurance cohort data. Drug usage and drug prices of 230 diabetic oral medications prescribed were extracted on a quarterly basis from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cohort in 2011-2013. The price elasticity was estimated using the Random Effect 2-stage Least Square model. The elasticity of generic drugs was -0.78 before the implementation of the policy, and -0.69 after i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 price elasticity of the original drug was -0.56, -0.54 before and after but not different from each other. This study is the first empirical study to estimate the price elasticity of prescription drugs in Korea. The price elasticity of generic drugs decreased since the policy was executed. Price cuts in generic drugs drive the use of generic drugs less. As this study included only diabetic drugs, the result may not be generalized. However, estimating price elasticity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be used as a measure of the effect of the drug price policy. It can also be used as a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the policy for promoting the use of generic dru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