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어학’과 ‘한국어 방언학’의 문제점과 그 대안

        최명옥 ( Choi Myung-ok ) 국어학회 2016 국어학 Vol.77 No.-

        이 글의 목적은 ‘한국어학’과 ‘한국어 방언학’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그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일반언어학’과 동일하게, ‘한국어학’은 ‘한국어’의 체계에 대한 언어학적 연구를 목적으로 해야 한다. 그리고 ‘일반 방언학’과 동일하게, ‘한국어 방언학’은 한국어의 방언들의 규명과 규명된 한 방언에 대한 체계 전체의 연구, 둘 이상의 방언간의 관계와 그와 관련되는 문제, 그리고 방언(들) 전체를 대상으로 한 방언(들)의 분화 및 언어 요소의 역사의 연구를 목적으로 해야 한다. 이러한 목적과는 달리, ‘한국어학’은 ‘한국어의 표준어’나 중부방언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거의 대부분이고 ‘한국어 방언학’은 지역어에 대한 언어체계의 일부에 대한 연구가 거의 대부분이다. 그러므로 ‘한국어학’은 ‘표준어’가 아닌 ‘자연어’로서의 한국어에 대한 체계적 연구, 즉 ‘음운론’, ‘형태론’, ‘통사론’ 등과 같은 ‘언어학적 연구’로 전환해야 하며 ‘한국어 방언학’은 한국어에 대한 ‘방언구획론’, ‘방언분화론’, ‘지리방언론’, ‘대비방언론’, ‘비교방언론’ 등과 같은 ‘방언학적 연구’로 전환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iscuss the problems with Korean linguistics and Korean dialectology, and to show my opinions as a suitable alternative. Korean linguistics are to study the system of Korean as a natural language, because it is a part of general linguistics which is to study the system of languages. And naturally, Korean dialectology is a study just like the general dialectology which is to compart dialects of a language or sub-dialects of a dialect, to study the system of a dialect of them, to compare and find relations in more than two dialects, and to discuss differentiation of a language or a dialect and the history of a certain linguistic element of a language or a dialect. Unlike this general purpose of linguistic studies, Korean linguistic studies have focused almost on Korean standard language or central dialect and Korean dialectology has dealt with one of sub-system, such as phonology, morphology, syntax etc. in a certain regional language. Therefore, the Korean linguistics should change to study the system of Korean language as a natural language not focusing on so called standard language, and Korean dialectology should change to general dialectological study such as studies in the division of dialects, geo-dialectology, contrast dialectology, and comparative dialectology etc.

      • KCI등재후보

        李崇寧 선생의 方言 採集과 方言 硏究

        이병근 한국방언학회 2009 방언학 Vol.0 No.9

        This article has its purpose on describing how Professor Lee Soong Nyoung has contributed to Korean Dialectology, by studying how he did his Dialect research and what kind of Dialect he collected at the beginning of the establishment of Korean Dialectology. Professor Lee(1908-1994) is a scholar who spent his whole life exploring Modern Korean Linguistics. He especially focused on the research of Korean historical linguistics. For this study, he carefully examined classics, collected nationwide dialects and focused deeply on the theory of general jargon literature(reference by Professor Lee Kee Moon). This was for the wide collection of philological expressions and dialect data, and for a scientific research using the theory of general linguistics. Professor Lee also became the frontier of Modern Korean Linguistics by researching several divisions of Korean phoneme, coinage, vocabulary, structure and dialects and the history of linguistics. He had conquered all the prior Korean Research that Japanese scholars had done during the reign of Japanese imperialism, and exploited the under-studied parts of Korean literature. After the regain of independence of Korea, Professor Lee emphasized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the study of dialectology again, since he started his studies of Korean Linguistics including philological expressions and dialects. He stated that in future, there would even be researches on geographic literature. He suggested dialects, jargon and baby’s languages as official languages, and said that dialects can become categorized as a part of “language that is strictly localized to an area”(eg: Gyeongju Dialect etc.) – such as French Literature’s ‘Patois’(dialect, provincial accent) – that could become an independent form. Professor also added that new forms of researches would appear of theories of language development distribution and circulation, and of new theories that did not exist in the remaining classical, official or philological expressions. At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senior scholars did make a modern meaning of ‘dialect’, but this was not done for dialectology itself, but for the study of official language and its relations. Due to this, Professor Lee focused on collecting dialects from isle areas and mountain areas, especially on Jeju Island dialects, by researching, collecting and complementing research data from Professor Ogura(小倉). His collection included ‘marine language’(island language) and ‘jargon’(jargon used by mountain ginseng collectors) for geological characteristics, among with the overall general vocabulary collection. The research of his official data was originally based on synchronic linguistics, but in times of need, the research got held based on diachronic values. Most of the researches on dialects are included as part of research on Korean Language History, and there are not much papers of Dialectology that has been independently published. Professor Lee is releasing his unpublished data collection notes to the public this time. Although it is hard to say that Professor Lee Soong Nyoung is a scholar of Dialectology, it is certainly true that he is a pioneer who established Korean Dialectology. 이 글은 국어방언학이 수립되던 초기에 李崇寧 선생이 어떤 방언을 채집하고 또 어떻게 방언 연구를 행했는지 정리해 선생이 국어방언학에 기여한 바를 서술함에 그 목적이 있다. 李崇寧(1908∼1994) 선생은 일생 동안 현대국어학을 개척한 학자다. 특히 선생의 중심 과제는 국어사 연구였다. 이를 위해 선생은 古典을 두루 詳考하고 全國의 方言을 샅샅이 採集했으며 一般言語學의 理論을 널리 살폈다(李基文 교수의 언급). 이는 文獻語와 方言 등의 자료를 널리 수집하고 일반언어학의 이론을 수용해 과학적 정신으로 연구하기 위한 것이었다. 일제하에서의 일본인학자들이 행한 국어(조선어⋅한어) 연구를 극복하고 미개척 분야를 개척해 가면서 선생은 국어학의 음운․조어․어휘․형태 및 방언과 어학사 등의 분야를 연구해 현대국어학의 프론티어가 됐다. 문헌어와 방언을 함께 고려해 국어 연구를 시작한 이래 선생은 광복 후에는 다시 방언학의 수립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공시적 언어로 ‘方言’ ‘隱語’ 및 ‘애기의 國語’로 들고, 그 중에서 프랑스언어학의 ‘파투아’(俚語, 사투리) 즉 “한 지방어에 국한된 지역어”(예: 경주사투리 등)로부터 同類를 체계화해 ‘方言’(예: 영남방언)이라는 한 개별언어의 하위언어를 설정하고, 남아 있는 고어의 고형 및 표준어나 문헌어에서 볼 수 없는 여러 원리 그리고 언어의 발달 분포 유동 등의 원리들을 연구하며 나아가 지리언어학의 연구도 등장할 것이라 했다. 20세기 전반기에 선배 학자들에 의해 현대적인 개념으로서의 ‘방언’이 등장하기는 했으나 그것은 늘 표준어 사정과 관련된 것이었지, 방언학의 연구대상으로서의 그것은 아니었다. 선생은 이에 따라 小倉進平의 조사 자료를 보완하되 특히 島嶼 지역과 山嶽 지대의 방언(또는 지역어, 때로는 ‘은어’)을 집중적으로 채취했는데, 특히 제주도방언의 채집과 연구에 집중했다. 채집 항목은 일반 어휘의 바탕에, 지역적 특성을 살려 ‘海洋語’(‘島嶼語’) 그리고 ‘은어’(산삼채취인의 은어) 등도 포함시켰다. 이들 공시적 자료에 대한 연구는, 물론 공시론적 연구에 기초해, 필요한 경우 통시론적 가치가 드러나도록 이뤄졌다. 방언에 관한 연구는 대부분 국어사 연구에 포함되었으며, 별도의 방언학 논문으로 발표된 것은 그리 많은 편이 아니었다. 선생의 미발표 자료 채집 노트를 이번에 공개한다. 이숭녕 선생은 방언학자라고 말하기는 어려우나 분명 국어방언학의 수립을 위해 힘쓴 개척자라고는 할 수 있다

      • KCI등재

        사회언어학과 한어방언학의 새로운 전기

        박찬욱 중국어문논역학회 2015 中國語文論譯叢刊 Vol.0 No.36

        한어방언학과 사회언어학은 모두 실제 사용된 언어를 연구대상으로 언어의 변화를 탐구한다. 하지만 이념과 목적, 조사방법 등에서 적지 않은 차이를 보이는데 그 중에서도 언어를 질서정연한 동질체로 보는가 질서정연한 이질체로 보는가 하는 점에서 큰 차이를 보인다. 사회언어학의 탄생으로 인해 한어방언학은 새로운 도전에 직면해있지만 사회언어학은 분명 방언학 발전의 새로운 전기가 될 것이다. 새로운 한어방언학은 앞으로 역사언어학, 기술언어학 그리고 사회언어학이 결합된 것이어야 할 것이다. Both Chinese Dialectology and Sociolinguistics study language changes on the basis of language used in real world. However, there are many differences in the perspective of the idea, goal, research method etc, and above all, there is a distinct difference on the view of language, that is to say, while Chinese Dialectology sees language as a ordered homogeneity, Sociolinguistics considers it as a ordered heterogeneity. By birth of Sociolinguistics, Chinese Dialectology is facing a new challenge, nevertheless Sociolinguistics may offer a turning point for the development of Chinese Dialectology. For the next phase, Chinese Dialectology should be a collaboration of Historical Linguistics, Descriptive Linguistics and Sociolinguistics.

      • KCI등재

        사회언어학과 한어방언학의 새로운 전기

        游汝杰(Ru-Jie You),朴贊旭(번역자) 중국어문논역학회 2015 中國語文論譯叢刊 Vol.0 No.36

        한어방언학과 사회언어학은 모두 실제 사용된 언어를 연구대상으로 언어의 변화를 탐구한다. 하지만 이념과 목적, 조사방법 등에서 적지 않은 차이를 보이는데 그 중에서도 언어를 질서정연한 동질체로 보는가 질서정연한 이질체로 보는가 하는 점에서 큰 차이를 보인다. 사회언어학의 탄생으로 인해 한어방언학은 새로운 도전에 직면해 있지만 사회언어학은 분명 방언학 발전의 새로운 전기가 될 것이다. 새로운 한어방언학은 앞으로 역사언어학, 기술언어학 그리고 사회언어학이 결합된 것이어야 할 것이다. Both Chinese Dialectology and Sociolinguistics study language changes on the basis of language used in real world. However, there are many differences in the perspective of the idea, goal, research method etc, and above all, there is a distinct difference on the view of language, that is to say, while Chinese Dialectology sees language as a ordered homogeneity, Sociolinguistics considers it as a ordered heterogeneity. By birth of Sociolinguistics, Chinese Dialectology is facing a new challenge, nevertheless Sociolinguistics may offer a turning point for the development of Chinese Dialectology. For the next phase, Chinese Dialectology should be a collaboration of Historical Linguistics, Descriptive Linguistics and Sociolinguistics.

      • KCI등재

        方言意识与感知方言学 - 关于民众的方言空间分布概念的调查和研究

        黃河(Huang He) 한국중어중문학회 2019 中語中文學 Vol.- No.76

        This paper aims to introducing the method of fieldwork and research in perceptual dialectology by the case study of Yixing dialects. We carried out a elaborate geolinguistic research and fieldwork of perceptual dialectology. By mapping the consciousness of Yixing dialects, we visualized the labels of dialectal regions in folk mentality. Furthermore, by analyzing the consciousness of dialects in isolated parts of Yixing and the opposition between the western and eastern parts, we find out that the borders of several consciousness coincide with the mountains,rivers, and administrative boundaries, but partly have a abrrations of the production boundaries. We also discovered the opposition between the western and eastern parts is gradually declining, and other phenomena. At last,we discussed the significance of perceptual dialectology and the goals of our research.

      • KCI등재

        북한방언 연구의 현황과 과제-대비방언학을 중심으로-

        정인호 한국방언학회 2019 방언학 Vol.0 No.30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results of research on North- Korean dialect from a contrastive-comparative dialectological perspective and to propose future research challenges. The contrastive-comparative dialectology can be divided into dialect- distribution theory and dialect-divergence theory. First, in terms of the dialect- distribution theory, I examine the research results of North-Korean dialects by subdividing them into publications of dialect sourcebook, dialect maps, and dialect divisions. And in terms of dialect-divergence theory, I discuss how the existing research explains the divergence of North-Korean dialects by the detailed topics of phonology, grammar, and vocabulary. And future research challenges are as follows; First, contrastive- comparative dialectological studies on the previously reported data need to be activated. Next, in the face of realistic difficulties in investigating North-Korean dialects, a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survey of the dialectal forms of displaced people and overseas Koreans is necessary. Finally, on-site survey of North-Korean dialects is urgently needed. 본고는 북한방언에 대한 연구성과들을 대비방언학적 관점에서 살펴보고 앞으로의 연구과제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대비방언학은 방언분포론과 방언분화론으로 나뉠 수 있는바, 우선 방언분포론에서는 방언자료집 발간, 방언지도 작성, 방언 구획 등으로 세분하여 북한방언의 연구 성과들을 살펴본다. 그리고 방언분화론에서는 기존 연구가 북한방언의 분화 양상을 어떻게 설명하고 있는지에 대해 음운, 문법, 어휘 분야의 세부주제별로 정리해 본다. 앞으로의 연구과제로서는 먼저 기존에 보고된 자료들에 대한 대비방언학적 연구가 활성화될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북한방언의 조사에 대한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는 상황에서 실향민이나 재외동포의 말에 대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조사가 필요하다. 끝으로 궁극적으로는 북한방언에 대한 현지조사가 절실하다.

      • KCI등재

        Mapping English Landscapes: Korean EFL Learners' Perceptions of English Varieties

        이희경 한국영어학학회 2009 영어학연구 Vol.- No.28

        This paper explores EFL university students' awareness of American dialects and world Englishes by utilizing perceptual dialectology. In particular, the study employed hand-drawn maps to determine the mental spatial distribution of English by Korean EFL learners. Learner variables were correlated with the results of hand-drawing map tasks of American English dialects and English varieties across the world. Results reveal that Korean EFL learners seem to have little awareness of American dialects and cannot dissect dialect boundaries. As for English varieties, the majority of participants were perceptive to inner circle, English as a Native Language (ENL), varieties but not to other varieties. Participants' background did not show significant effects on the map-drawing tasks. It is clear that heightened awareness of regional dialects and varieties of English through explicit instruction is especially important for EFL learners to adopt a more diversity aware view of English as a global language.

      • KCI등재

        사회언어학의 이론으로 본 지역 인구 변동과 지역어 변화의 관련성

        오새내 우리어문학회 2011 우리어문연구 Vol.41 N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was introducing the sociolinguistic approach to relationship among regional population change and dialect change. In the late 20th century Korean situation has undergone population growth and social change that effects Korean dialect. It is necessary to apply the approach of sociolinguistic method to Korean dialectology. Generally it has been recognizes that region is stable and stereotyped and dialect reflect the character of the region. However population has dynamic phenomenon. Regional features are diverse and heterogeneous. Traditional dialectology collected data informants who non-mobile and rural elderly people. Nowadays primary industry is decreasing and people was born during the Industrialization Period arrives at senescence. Sociolinguistic approach is an alternative research in a changing environment. This article proposes to study focused sociology of population, mobility and population decreasing in Korean rural community. 본고의 목적은 지역 인구의 변동이 지역어에 미치는 영향을 사회언어학적 관점에서 어떻게 설명하는지 소개하고 20세기에 인구 변동과 경제적, 사회적구조 변화를 겪은 한국 사회에서 사용되는 현대 한국어에도 인구 변동을 고려한 사회언어학적 연구방법론을 적용하자는 제안을 하는 데 있다. 일반적으로 지역은 고정되고 전형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으며 그 지역의 특성을 반영한다고 인식되지만 실제로 지역 구성원들은 이동성을 지닌 존재이며 지역은 지역 구성원들의 생활 방식의 변화에 따라 다양한 성격을 지닌다. 전통적인 방언학에서는 이동 경험이 없는 고령의 1차 산업 종사자를 중심으로 자료를 수집했다. 현재 한국은 1차 산업이 쇠퇴하고 20세기 후반 산업화 사회에서 태어난 사람들이 노년층에 진입하고 있다. 사회언어학은 변화하는 지역어 사용 환경에서 지역어 연구의 대안이 된다. 본고에서는 인구 집중에 의한 언어 접촉 상황에서의 방언 변화 유형론을 소개하고, 표준어와 방언이 공존하는 현실을 반영한 지역어 연구 이론도 다루었다. 그리고 지역 인구 감소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방언 소멸에 대해 설명하고 현재 한국에서 진행되는 비도시지역 인구과소화에 주목하여 방언 사용자의 감소와 표준어 또는 다른 방언의 영향으로 인한 방언사용 축소로 인한 지역어 변화 가능성도 다루었다.

      • KCI등재후보

        小倉進平의 생애와 학문

        정승철 한국방언학회 2010 방언학 Vol.0 No.11

        Sinpei Ogura(小倉進平 1882-1944)'s career is devided into three, as follow : the first period(1882-1910), from the birth and growth in Sendai(仙臺) to the attendance at Tokyo Imperial University in Tokyo(東京) of Japan. The second(1911-1932), the period working as a public servant of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and professor Kyeongseong(京城) Imperial University in Seoul. Finally, the third period(1933-1944) from returning to Tokyo and working as a professor Tokyo Imperial University until his death. He was written about 10 books and 130 papers in his life, which were classified into three, that is, the history of Korean language, Philology and Dialectology. His research was based on the Historicism and Positivism, but he couldn't understand fundamental concepts of modern linguistics and didn't try the scientific generalization in his works. So he was considered as the linguist with works fallen short of modern linguistics. 小倉進平의 일생은, 거주지를 중심으로 크게 3기로 나뉜다. 제1기는 일본의 仙臺 및 東京에 살던 시기(1882-1910)로, 출생에서부터 동경제대 및 同대학원을 다녔을 때가 이에 해당한다. 제2기는 서울에 거주하던 시기(1911-1932)인데, 한국에서 조선총독부 관리로 또 경성제국대학 교수로 적극적인 활동을 벌이던 때이다. 마지막으로 제3기는 동경으로 다시 돌아가 살면서 동경제대 교수(경성제대 교수 겸임)로 활동하던 시기(1933-1944)이다. 小倉進平은 동경제대에서 언어학의 학문적 기초를 쌓고, 조선총독부 관리로 부임하여 본격적으로 한국어를 배우고 또 한국어에 관한 기초 자료를 조사·수집하였으며, 경성제대 및 동경제대 교수로서 그 축적된 기초 자료를 연구·정리하였다. 그 결과로서 그는 일생동안, 10여 편의 저서와 130편 정도의 논문 등 방대한 업적을 남겼다. 이들은 크게, 한국어사(특히 향가) 연구와 문헌 연구 그리고 방언 연구로 대별된다. 小倉進平은 역사주의와 실증주의를 바탕으로 한국어를 매우 성실히 조사·연구하였다. 하지만 그는 과학적 인식의 바탕이 되는 일반화를 추구하지 않았을 뿐 아니라 20세기 현대 언어학의 중심 개념(공시와 통시, 체계 등)을 강의하면서도 그것을 자신의 연구 속에 녹여 내지는 못하였다. 이러한 이유로 그의 한국어 연구는 현대 언어학의 수준에 이르지 못했다고 평가 받는다. 물론 그렇더라도, 그가 남긴 기초 자료가 한국어학의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는 사실만은 전혀 부인할 수 없다.

      • KCI등재

        역사방언학 사례 연구 - 중세영어 ‘never’의 철자와 음운 변이

        김혜리(Hyeree Kim) 한국영미어문학회 2007 영미어문학 Vol.- No.82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derive some patterns of historical development and dialectal variations by examining spelling variants of the Middle English (ME) lexical form never. The examination is performed on the basis of the Helsinki Corpus and follows the periodization and dialect divisions of the Corpus. It was found that the letter 〈f〉 of Old English (OE) næfre was mainly retained in Southern and Kentish dialects i n the ME1 period, while being replaced in the other dialects in the same period by 〈u〉 which was further replaced by 〈v〉 from the ME3 period onward. In ME3, the variant 〈neuer〉, regarded as the same spelling as 〈never〉, was most popular throughout all dialects. The new spelling 〈never〉, first introduced in East Midland and Northern dialects in ME3, gradually spreads to other dialect areas from ME3 onward.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some descriptions of the OED should be modified about the periodization of particular spelling variants. This paper further examines the genuineness of the variable ‘OE æ 〉 ME 〈e〉; 〈a〉’ as an indicator of ME dialect distinctions. It was found that, contra previous studies, æ 〉 〈e〉 does not hold true in Kentish but Kentish retained 〈æ〉 until the beginning of ME2 when all dialect areas shared the innovative sound 〈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