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단기 연호의 배경과 법제화, 그리고 폐기

        정영훈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4 민족문화논총 Vol.56 No.-

        Danki is the year-appellation which starts its first year from Dankun's founding Old Joseon in 2333 B.C. It was used from late Joseon by some enlightenment activists and gradually became popular. And it was established as the official year-appellation in 1948 by Korean Government. Danki is one of the invented traditions which Korean nationalism devised for the purpose of nation building and national integration. It was derived from Dankun myth and was a result of thinking that Dankun's founding Old Joseon was the starting point of Korean history. But it was only 13 years that Danki keeped the status of official year-appellation. It was abolished in 1961 by the military government who wished to show their modernization will and intimacy to western world. This article studies on some questions surrounding Danki year-appellation, such as its historical bases, prosess and background of its institutionalization, factors involved in its abolishment, and so on. Especially this paper discusses Danki in relationship with Dankun-nationalism. Dankun-nationalism means the thoughts or movements which persued the ethnical integration and development under the identity consciousness of Dangun's decendants. 단기는 연도를 적음에 있어 단군이 건국한 이후 몇 년째인지를 헤아려서 적는 년도 기록방식이다. 그것은 1948년 대한민국정부에 의해 공용연호로 제정되어 1961년 말까지 13년간 국가차원의 공용연호라는 자리에 있었다. 단기는 근대 한국의 민족주의가 민족형성(네이션빌딩)과 국민통합을 위해 고안해낸 ‘만들어진 전통’의 하나이며, 특히 개천절 국경일 및 홍익인간 교육이념과 함께 단군사화에서 유래된 3대 민족상징의 하나였다. 그것은 단군의 건국을 집단 역사의 출발점으로 생각하는 민족정체성인식의 산물이었으며, 단기의 법제화는 한말이후 활발해진 단군민족주의 운동의 한 성과이기도 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단기 연호와 관련된 여러 수준의 질문들 중 초보적인 몇몇 문제들을 정리하는 데 목적이 있다. 곧 단기 연호의 역사적 근거와 배경 및 그가 법제화되고 폐기되기까지의 과정과 그에 관여한 요인들에 대해 정리하고, 거기에 약간의 분석을 덧붙이고자 하는 것이다. 논문에서 다루고자 하는 문제는 다음과 같은 3가지로 집약할 수 있을 것이다. (1) 단기연호가 입각하고 있는 단군의 고조선 건국의 사실성(事實性.史實性)에 대한 것이다. 단군이 서기전 2333년에 건국했다는 전승의 事實的.史實的 근거를 살피고, 단군의 건국을 출발점으로 하는 동국사 인식이 형성-전개되어온 과정을 살필 것이다. (2) 단기가 연호로 제정되기까지의 과정과 논리에 관한 것이다. 단군의 건국을 기점으로 삼아 역사를 헤아려온 전통들을 살피고, 근대에 들어 공용연호로 제정되는 과정과 배경논리들을 살피고자 한다. (3) 단기연호가 폐기되는 과정과 배경에 대한 것이다. 어떤 이유로 어떤 과정과 절차를 거쳐 폐기되었으며, 어떤 반대가 있었는지 등을 살필 것이다.

      • KCI등재후보

        문화콘텐츠로서의 역사드라마와 신화-드라마 『태왕사신기』의 가능성-

        조미숙 겨레어문학회 2008 겨레어문학 Vol.41 No.-

        오늘날은 문화콘텐츠가 산업이 되는 시대이다. 부존자원이 절대 부족한 우리로서는 문화산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필요가 있다. 이때 문화콘텐츠의 원형이라 할 신화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지 않는다. 이에 우리의 신화를 더욱 발굴, 복원할 필요성을 느낀다. 단군신화의 경우, 단조로운 구성으로 인해 문화콘텐츠적 가치를 발견할 수 없었다. 그러나 드라마 『태왕사신기』는 폭넓은 신화 수용으로 단군신화를 문화콘텐츠로 사용하면서 신화의 문화콘텐츠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신화를 사용하면서 이를 과감히 역사와 연결시킴으로써 우리 신화와 역사에 대한 작가와 연출가의 의식을 보여주었다. 이전에 한 번도 드라마화한 적 없는 단군이나 광개토태왕을 다룸으로써 역사드라마의 지평을 넓혔다. 오늘날 역사드라마는 계속적으로 소재를 넓혀 감은 물론 트렌디 드라마와의 제휴를 통하여 시청자층을 넓혀가고 있다. 『태왕사신기』는 고구려, 그 위로 고조선이라는 시간의 확대뿐 아니라 시장 풍경을 그릴 때 트렌디 드라마의 요소를, 삼각관계 등 애정 라인으로 멜로드라마의 요소를 사용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시청자층을 확보하였다. 『태왕사신기』는 최초로 역사드라마에 판타지 기법을 과감하게 사용하였다. 이를 통해 디지털 세대에게도 다가갈 수 있었다고 본다. 역사드라마는 이렇듯 점차 영역을 넓혀 가면서 다양한 모색을 하여야 할 것이다. 역사문화콘텐츠의 디지털콘텐츠화, 심도 있는 연구와 고증을 통한 역사성 확보, 드라마 이후 계속적인 원소스멀티유즈의 노력 등이 필요하다. This paper is consist of five parts: the first part is arranging myths, and Cultural Contents, Historical Dramas. the second part is about Japanese myths and Chinese myth. the third is ours-especially DanKun-myth. the fourth part is concerned 『A Record of the Taewang-fourghosts』 that is about Kokuryeo’s GwangKaeTo-Taewang. the last part is composed of the opinions about the subject and the view of the contents. Today is the period which Cultural Contents becomes the industry. The myth-the prototype of Cultural Contents- at this time is very important. We must find our myth more and restore. The try find the Kokuryeo and to make the GwangKaeTo-Taewang as the drama is affirmative. But we wander about every nook and corner and must gather the data much. And we must make it as Digital Contents and store. More and more historical consideration needs the course dramatizing. We must make the method of One source multy use continuously the drama televising.

      • KCI등재후보

        문화콘텐츠로서의 역사드라마와 신화 : 드라마 『태왕사신기』의 가능성

        조미숙 ( Mi Suk Cho ) 겨레어문학회 2008 겨레어문학 Vol.41 No.-

        오늘날은 문화콘텐츠가 산업이 되는 시대이다. 부존자원이 절대 부족한 우리로서는 문화산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필요가 있다. 이때 문화콘텐츠의 원형이라 할 신화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지 않는다. 이에 우리의 신화를 더욱 발굴, 복원할 필요성을 느낀다. 단군신화의 경우, 단조로운 구성으로 인해 문화콘텐츠적 가치를 발견할 수 없었다. 그러나 드라마 『태왕사신기』는 폭넓은 신화 수용으로 단군신화를 문화콘텐츠로 사용하면서 신화의 문화콘텐츠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신화를 사용하면서 이를 과감히 역사와 연결시킴으로써 우리 신화와 역사에 대한 작가와 연출가의 의식을 보여주었다. 이전에 한 번도 드라마화한 적 없는 단군이나 광개토태왕을 다룸으로써 역사드라마의 지평을 넓혔다. 오늘날 역사드라마는 계속적으로 소재를 넓혀 감은 물론 트렌디 드라마와의 제휴를 통하여 시청자 층을 넓혀가고 있다. 『태왕사신기』는 고구려, 그 위로 고조선이라는 시간의 확대뿐 아니라 시장 풍경을 그릴 때 트렌디 드라마의 요소를, 삼각관계 등 애정 라인으로 멜로드라마의 요소를 사용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시청자층을 확보하였다. 『태왕사신기』는 최초로 역사드라마에 판타지 기법을 과감하게 사용하였다. 이를 통해 디지털 세대에게도 다가갈 수 있었다고 본다. 역사드라마는 이렇듯 점차 영역을 넓혀 가면서 다양한 모색을 하여야 할 것이다. 역사문화콘텐츠의 디지털콘텐츠화, 심도 있는 연구와 고증을 통한 역사성 확보, 드라마 이후 계속적인 원소스멀티유즈의 노력 등이 필요하다. This paper is consist of five parts: the first part is arranging myths, and Cultural Contents, Historical Dramas. the second part is about Japanese myths and Chinese myth. the third is ours-especially DanKun-myth. the fourth part is concerned 『A Record of the Taewang-fourghosts』 that is about Kokuryeo`s GwangKaeTo-Taewang. the last part is composed of the opinions about the subject and the view of the contents. Today is the period which Cultural Contents becomes the industry. The myth-the prototype of Cultural Contents-at this time is very important. We must find our myth more and restore. The try find the Kokuryeo and to make the GwangKaeTo-Taewang as the drama is affirmative. But we wander about every nook and corner and must gather the data much. And we must make it as Digital Contents and store. More and more historical consideration needs the course dramatizing. We must make the method of One source multy use continuously the drama televising.

      • KCI등재

        근대 학설사 속의 ‘단군민족주의’

        이민원 한국사상문화학회 2014 韓國思想과 文化 Vol.72 No.-

        The Establishment of Daehan Empire of Korea in 1897 was an important turning point for many confucian scholars of Korea to get interested in Korean history and culture. Particularly the compilation project of Korean history and culture by the government in 1900s was a good chance for scholar-officials to review Korean cultural assets and also Dankun as the originator of Korean Nation. Moreover the aggressive movement of Japanese religion 'Sinto' to Korea early 20th century was a provocative stimulation for them to get interested in Korean thought and religion. Several scholar-officials including Kimkyoheon took the role of combining Dankunkyo(Daejongkyo) and Korean scholars or independent activists. Daejongkyo originated by Nacheol, a scholar-official of Korean government was one of Korean national religions in early 20th century. Those who believed in Daejongkyo worshiped Dankun as the originator of Korean People. Most of the nationalistic scholars thought Dankun as a powerful lever and tool for the national integration of Korean people and independence movement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They researched the mithology of Dankun and found special concept such as 'Nanggasasang', 'Hon', 'Korean Spirit', 'Korean Mind', 'Hongikinkan'. Some of scholars nowaday calls it is a kind of 'Dankun Nationalism' phenomenon. They say 'Dankun Nationalism' was an expression of modern independence movement of Korea. Nowadays it is regarded as one of promising levers for unifying two Koreas. 20세기 초 한국의 역사학자들이 단군에 관심을 드높이게 된 배경에 대한제국의 국가체제 정비사업이 있었다. 아울러 일본의 종교적 침략에 대응해 단군교(대종교)가 등장하고, 전국에서 애국계몽운동이 전개된 과정과도 무관하지 않았다. 이런 흐름이 일제하의 독립운동과 함께 한국고대사 및 국조 단군에 대한 관심 고양으로 이어져 ‘단군민족주의’ 현상과 제 학설을 낳는데 크게 일조했다고 볼 수 있다. 이 과정에서 특히 대한제국의 선포와 문물정비사업은 한국의 역사와 민족의식 환기에 주요한 계기였다. 황제체제에 입각한 체제정비와 증보문헌비고 편찬은 특히 단군에 대한 관심을 새롭게 하는 주요 계기였다. 학자적 소양이 풍부한 관료들이 역대전적을 공동 열람하면서 일본 신도의 침략 앞에 민족의 역사와 시조에 깊이 관심을 갖게 되었던 것이다. 이들 사업은 조선 후기의 실학, 특히 영ㆍ정조 당시의 문물정비와 학풍을 이은 것이기도 했다. 대한제국의 편찬사업이 단군을 중심으로 한 민족의식 확산에 중요한 계기가 된 점은 『증보문헌비고』 편찬에 참여한 인사들의 학풍과 이를 이은 국학자들의 활동에 잘 드러난다. 대한제국의 관료이자 학자였던 김교헌 등은 물론, 신채호, 박은식, 신규식, 정인보, 최남선, 장도빈, 안재홍 등이 바로 그들이다. 이들에 의해 낭가사상, 조선의 혼, 백, 얼, 정신, 심 나아가 홍익인간 등의 학설이 등장하여 단군에 대한 이해를 높였던 것이다. 이런 현상을 ‘단군민족주의’의 표현이라고도 칭한다. 남북의 통일이 화두로 대두하고 있는 현재에도 단군은 여전히 역사학과 현실 사이에서 중요한 논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후보

        한국사상(韓國思想) 사학(史學) : 근대 학설사 속의 “단군민족주의”

        ( Min Won Lee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4 韓國思想과 文化 Vol.72 No.-

        20세기 초 한국의 역사학자들이 단군에 관심을 드높이게 된 배경에 대한제국의 국가체제 정비사업이 있었다. 아울러 일본의 종교적 침략에 대응해 단군교(대종교)가 등장하고, 전국에서 애국계몽운동이 전개된 과정과도 무관하지 않았다. 이런 흐름이 일제하의 독립운동과 함께 한국고대사 및 국조 단군에 대한 관심 고양으로 이어져 ‘단군민족주의’ 현상과 제 학설을 낳는데 크게 일조했다고 볼 수 있다. 이 과정에서 특히 대한제국의 선포와 문물정비사업은 한국의 역사와 민족의식 환기에 주요한 계기였다. 황제체제에 입각한 체제정비와 증보문헌비고 편찬은 특히 단군에 대한 관심을 새롭게 하는 주요 계기였다. 학자적 소양이 풍부한 관료들이 역대전적을 공동 열람하면서 일본 신도의 침략 앞에 민족의 역사와 시조에 깊이 관심을 갖게 되었던 것이다. 이들 사업은 조선 후기의 실학, 특히 영ㆍ정조 당시의 문물정비와 학풍을 이은 것이기도 했다. 대한제국의 편찬사업이 단군을 중심으로 한 민족의식 확산에 중요한 계기가 된 점은 『증보문헌비고』 편찬에 참여한 인사들의 학풍과 이를 이은 국학자들의 활동에 잘 드러난다. 대한제국의 관료이자 학자였던 김교헌 등은 물론, 신채호, 박은식, 신규식, 정인보, 최남선, 장도빈, 안재홍 등이 바로 그들이다. 이들에 의해 낭가사상, 조선의 혼, 백, 얼, 정신, 심 나아가 홍익인간 등의 학설이 등장하여 단군에 대한 이해를 높였던 것이다. 이런 현상을 ‘단군민족주의’의 표현이라고도 칭한다. 남북의 통일이 화두로 대두하고 있는 현재에도 단군은 여전히 역사학과 현실 사이에서 중요한 논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 The Establishment of Daehan Empire of Korea in 1897 was an important turning point for many confucian scholars of Korea to get interested in Korean history and culture. Particularly the compilation project of Korean history and culture by the government in 1900s was a good chance for scholar-officials to review Korean cultural assets and also Dankun as the originator of Korean Nation. Moreover the aggressive movement of Japanese religion ``Sinto`` to Korea early 20th century was a provocative stimulation for them to get interested in Korean thought and religion. Several scholar-officials including Kimkyoheon took the role of combining Dankunkyo(Daejongkyo) and Korean scholars or independent activists. Daejongkyo originated by Nacheol, a scholar-official of Korean government was one of Korean national religions in early 20th century. Those who believed in Daejongkyo worshiped Dankun as the originator of Korean People. Most of the nationalistic scholars thought Dankun as a powerful lever and tool for the national integration of Korean people and independence movement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They researched the mithology of Dankun and found special concept such as ``Nanggasasang``, ``Hon``, ``Korean Spirit``, ``Korean Mind``, ``Hongikinkan``. Some of scholars nowaday calls it is a kind of ``Dankun Nationalism`` phenomenon. They say ``Dankun Nationalism`` was an expression of modern independence movement of Korea. Nowadays it is regarded as one of promising levers for unifying two Koreas.

      • 증산의 강세 전승에 대한 문학치료적 접근

        고남식 ( Ko Nam-sik ) 한국문학치료학회 2005 문학치료연구 Vol.2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on story of JeungSan(증산, 1871-1909)′s incarnation is to search for the literature abnormality and literary therapy about Choizewoo(최제우)′s Donghak(동학) and Eastern material civilization concerned with Ricci(1552-1610) myth in JeungSan′s story. Another way this study find out the relation with < DanKun myth(단군 신화 >. According to tree theme, this study is progressed as historic background and psychoanalysis. First, Literary therapy about ChoiZeWoo′s Donghak story, Ricci story, < DanKun myth > in JeungSan′s story narration in JeungSan′s story is based on the influence of the civilized age of Chosun in the first of the 20th. Second, Literary therapy about psychoanalysis in JeungSan ′s story is concerned with Oedipus complex in JeungSan and ChoiZeWoo, JeungSan and HwanIn of < Dankun myth >.

      • KCI등재

        자유주제 : 이광수의 장시 「극웅행」의 상호텍스트성 연구

        송영순 ( Young Soon Song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2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39

        1917년 『학지광』에 발표된 이광수의 「극웅행』은 서사성과 운문성을 갖춘 근대 서사시로 볼 수 있는 작품이다. 서사시로서의 조건을 갖추었느냐에 대한 논의는 배재하고 당대의 문학사적 측면에서 새롭게 창조된 서사시적 가치를 인정하여 탈장르적인 시각에서 기법적 특징을 살필 수 있다. 「극웅행」은 다성적 서술양식을 갖춘 특징이 있다. 먼저 이 작품은 전통적인 구비문학의 다양한 장르를 패러디한 상호텍스트성이 있으며 여러 장르의 특징을 내적으로 서로 연관된 구성을 하고 있다. 전통구비문학의 서사형식인 서사무가, 단군신화, 환몽서사, 판소리 사설 등의 장르를 복합적으로 패러디 한 혼성모방의 상호텍스트성이다. 이 작품은 단군신화와 환몽서사를 혼성하여 기본 서사로 삼고 있으며, 작품의 배경은 서사무가의 ``창세가``를 수용하고 있고, 주인공은 단군신화의 ``곰``을 ``극웅``으로 패러디 하고 있으며, 환웅과 웅녀의 결합을 패러디하여 극웅과 선녀의 결합 모티브를 꿈으로 형상화 하였고, 이 꿈을 환몽서사로 차용하여 환상적이고 낭만적인 애정서사를 구축하고 있다. 또한 이 시의 전편에 흐르는 리듬은 판소리 사설의 운율을 적극 수용하여 서사시의 구연성을 높여줌과 동시에 작품의 통일성을 얻는 데 기여하고 있다. 이와 같이 「극웅행」은 서정적 요소와 서사적 요소를 동시에 지닌 서사시를 창작하려는 실험성이 돋보인 작품으로 탈장르적 관점에서 창조된 서사시로 볼 수 있다. 이로써 1920년대 서사시의 출현을 좀 더 앞당겨 1910년대 서사양식을 적극적으로 수용한 근대 서사시로 볼 수 있는 여지를 준다. Lee GwangSoo`s poem, "GeukungHaeng" published on the Hakjikwang in 1917, seems to be the first modern epic both with its own characteristics of narrative and verse. In this article, I just focus on technical quality of this poem from the out-of-the-genres point of view acknowledging the narrative value of this poem which was recreated in literary history of those days. "GeukungHaeng" has polyphonic narrative style in many ways. First of all, this poem has intertextuality or mixed-mimetic intertextuality, using the various kinds of traditional oral literature parodied and interconnects some various genres, including epic-ballads which was the traditional oral literature, the myth of DanKun, the narrative of an empty dream, ``dictions of Pansori``. The basic narrative of this poem is the myth of DanKun and the narrative of an empty dream mixed, but the setting of this poem is ``the song of creating the world`` in epic-ballads, and the hero, ``Geukung``, is parodied from the bear in the myth of DanKun, and the marriage of the two characters, ``Hoaungung`` and ``the nymph``, was the parody of that of HhanWung and The Wooyu through dream, which was borrowed from the narrative of an empty dream constructing a kind of fantastic and romantic love narrative. Furthermore, the rhythm of this poem is received from that of ``Pansori``, which raises the orality of this poem, giving lots of totality to this poem. In these respects, I regard this poem, "GeukungHaeng" as an epic created from the out-of-the-genres point of view with the poet`s experimental sense, which aimed to write a poem both with lyric and narrative elements. Therefore, I want to regard this poem as a modern epic which received the narrative style of 1910s before the narrative style of 1920s emerged.

      • KCI등재

        근세 중기 일본 지식인의 삼한(三韓)인식 연구

        권동우(權東祐)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6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67 No.-

        근세의 일본 지식인들의 조선 혹은 ‘삼한’에 대한 인식은 결코 단순한 방향으로만 표출되지는 않았다. 그 중 대표적이라고도 할 수 있는 두 가지 시각으로도 데이칸(藤貞幹)의『 쇼코하츠(衝口發)』와 모토오리 노리나가(本居宣長)의 『겐쿄진(鉗狂人)』의 논쟁을 들 수 있다. 특히 이들의 논쟁 중 본고에서 주목하고자 하는 것은 ‘스사노오(素盞鳴尊)’에 대한 데이칸과 노리나가의 해석이다. 문헌고증학적 분석의 관점에서 고대사와 문화를 이해하려는 데이칸의 입장과『 고지키(古事記)』를 중심으로 고대를 인식하려는 노리나가의 신학적 입장은 ‘스사노오’에 대한 해석을 통해 전혀 다른 방향으로 표출되고 있다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또한 이 논쟁과 비슷한 시점에 나타나는 반 코케이(伴蒿蹊)의 ‘스사노오=단군’의 신화의 해석은 당시 일본사회에서 ‘스사노오’에 의한 ‘삼한’ 인식의 또 다른 중요한 사례가 된다. 이렇게 스사노오와 단군을 일체화하는 신화해석은 근대 ‘일선동조론(日鮮同祖論, 혹은 日鮮同根論)’의 근거가 되지만, 근세의 ‘스사노오=단군’신화해석은 근대와 다른 관점에서 전개되었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따라서 본고는 근세의 ‘스사노오’에 대한 해석이 어떠한 ‘삼한’의 이미지를 창출해 가는지에 대한 이해의 척도가 될 것이며, 또한 중세신화와 다른 근세신화가 어떠한 흐름으로 전개되는지 이해하는 하나의 가능성도 될 것이다. The perspective Japaneseintellectuals had during the pre-modern period of “Sankan” was not a simplistic one. Among discussions concerning its nature, two can be easily set apart. One by Tou Teikan(藤貞幹) called “Shokohatsu(衝口発)”, the other by Motoori Norinaga(本居宣長) called “Kenkyoujin(鉗狂人)”. This paper will focus in particular on the interpretation of Susanowo in Teikan and Norinaga. While Teikan explored classical culture and history through the “study of primary sources”, Norinaga had a “theological” approach centered on the “Kojiki(古事記)”. Their different approaches led to completely differing views of Susanowo(スサノヲ). At the sametime, another mythological interpretation of Susanowo was offered by Ban Koukei(伴蒿蹊) who saw Susanowo as Dankun(檀君). This last view came together with the former ones to form the “Sankan” view of “Susanowo” in pre-modern Japan. This view of Susanowo as Dankun became the basis for the “Nissendousouron(日鮮同祖論)” in the modern period and it is important to stress that it formed under completely different conditions. This paper will focus on what kind of idea of “Sankan(三韓)” developed from the interpretation of Susanowo in the pre-modern period, as well as exploring how pre-modern mythology, which developed in a different context than medieval mythology, can be researched effectively.

      • KCI등재

        민족의 안과 밖의 경계에서 본 崔南善의 문화의식

        엄연석(Eom, Yeon-Seok)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7 人文硏究 Vol.- No.53

        본고는 민족의 안과 밖의 경계에서 한편으로 동북아에 공통적인 불함문화의 편재성을 강조하면서도 다른 한편 민족의식을 강조했던 육당 최남선의 민족적 인문적 문화의식을 ‘불함문화론’과 ‘조선심’을 중심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육당은 언어를 수단으로 불함문화 계통을 추적하였다 육당은 우주의 최고 원리이며 인류의 최고 이상으로서 태양을 실체로 광명을 덕으로 삼는 천신을 제사하는 문화를 불함문화의 본질로 파악한다. 이것을 그는 Park道라고 말한다. 그는 "Park(Parkkan(-ai)조선에만 국한되지 않고 불함문화 계통에 광범하게 퍼져 있다고 말하였다. 육당의 이러한 불함문화 정신은 그대로 조선인의 정신적 실체인 조선심으로 전환됨으로써 민족의 주체성을 발휘할 수 있는 현실개혁 정신이 된다. 육당은 조선심의 구체적 표상으로서 백두산의식을 말한다. 백두산은 도덕적이며 정신적인 존재로서 철학적으로 천인합일의 가장 상징적이고 구체적 표상으로서 조선의 이데아이며 엣센스이다. 육당은 또한 진화론을 받아들여 조선이라는 도덕적 의식과 문화적 자각을 통한 주체적 노력과 실천으로 문명화된 국가를 이룩할 것을 강조 한다. 요컨대, 육당은 불함문화론의 전개를 통한 단군의 역사적 실재성을 보편적으로 증명하고, 민족적 문화적 주체의식 또는 자각으로서 ‘조선심’을 이론적으로 고취하였다. 이러한 육당의 인문적 문화의식은 문화적 다원성과 보편성을 동시에 추구할 것이 요구되는 현재적 시각에서 볼 때 그 적극적 의미가 다시금 고찰될 필요가 있다. This essay tried to elucidate Yukdang Choe nam-seon’s national sense of culture contained in his Bulham (不咸) theory of culture and mind of Joseon(朝鮮心), who emphasized not only the universality of Bulham culture but also national sense. Yukdang pursuited the lineage of Bulham culture by means of language which expresses the culture and developes in accordance with history. Yukdang considered culture worshiping the Gods of Heaven (天神) as the essence of Bulham culture, which makes substance of Sun as ultimate principle of universe and highest human ideal, virtue of Lightness. He defined this as the way of Park(밝道). He said that this way Park(parkan(-ai) distributes widely over Bulham culture lineage without limiting within Joseon. Yukdang’s mentality of this Bulham culture becomes as such a reformative spirit of real life by being transformed into mind of Joseon as the mental substance of Joseon man. Yukdang derived mind of Josen from Dankun(檀君) of Bulham culture. That is to say, in Yukdang’s mind of Joseon is the philosophical foundation which make possible definition of his sense of history and culture, and a principle of his science. Yukdang said sense of Baekdusan(白頭山) as concrete symbol of mind of Joseon. Baekdusan is moral and spiritual reality as the most concrete symbolic representaton of unity between heaven and man(天人合一) and idea and essence of Joseon. Also, Yukdang who accepted a part of the viewpoint of the theory of evolution(進化論), emphasized an accomplislunent of developted nation through the historical process by subjective effort and self-consciousness origined from moral sense and cultural awareness. Suming up, through this theoretical effort Yukdang intended to establish mind of Joseon as the ultimate and spiritual subjective sense of national culture coping with the theory of elimination of Dankun(檀君抹殺論) of the Japan Empire. As this, the positive meaning contained in Yukdang’s national and humane sense of culture in twentyone century again can be contemplated in contemporary point of view, which requires as well cultural unique within limited district as universality being transcendental particular culture at the same tim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