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문학 진흥의 토대에 관한 연구

        손영삼 대동철학회 2011 大同哲學 Vol.57 No.-

        우리나라 인문학의 위기라는 진단과 인문학의 진흥이라는 처방을 검토하여 이 처방에 따른 치료들 가운데 하나인 인문한국(HK)사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토대를 마련하려는 것이 이 글의 목적이다. 우리나라의 인문학은 과연 위기에 처해 있는가? 이 물음에 답하기 위해서는 “인문학이란 도대체 무엇인가?”라는 물음을 먼저 물어야 한다. 그런데 인문학이 독자적인 연구 대상과 방법을 가진 개별학문은 아니기 때문에 인문학을 규정하는 일은 쉽지 않다. 인문학을 어렵사리 규정하더라도 인문학의 위기에 관한 의견도 다양하다. 인문학이 인간에 의한, 인간에 대한, 인간을 위한 학문이라는 점에서 보자면, 인문학의 위기는 인간의 위기로 이어지는 심각한 사태이다. 이와 같은 인문학의 위기는 반드시 극복되어야 하지만, 인문학이 정밀학이 아니라 엄밀학일 수밖에 없는, 그리고 자유라는 인간의 날개를 꺾을 수는 없는 운명을 지니고 있는 한, 인문학 진흥이라는 처방과 HK사업이라는 치료가 만족할 만한 효과를 내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것보다는 무엇이든 하는 것이 인문학의 위기, 나아가서는 인간의 위기에 대처하는 바람직한 태도일 것이다. 우리나라 인문학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인문학 자체의 문제점들을 검토하고 보완하며, 인문학의 사회적 역할을 증대하는 것이 요청된다. 인문학 자체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학제간 연구와 통섭적 연구를 통해 이론의 실증성을 높여서 설득력을 확보하며, 현실적 적용의 실제적 사례를 통해 이론의 효용을 제시하여 실용성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인문학의 사회적 역할을 증대하기 위해서는 인문학이 연구성과를 전파할 수 있는 다양한 경로를 활용하여 적극적으로 사회에 참여하는 것이 필요하다. HK사업은 인문학의 연구부문을 활성화하여 우리나라 인문학의 진흥을 도모하려는 기획이다. 우리나라 인문학의 연구부문이 안고 있는 문제는 연구환경과 연구인력의 확충, 연구성과의 축적과 활용을 통해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인문학과 인접 학문영역들의 학제간 연구와 통섭적 연구에서 인문학이 연구의 태도와 방법에서 선험성과 근원성을 확보하려는 노력을 적극적으로 시도하지 않으면, HK사업은 우리나라 인문학의 외부적 환경을 일시적으로 개선하는 것에 그치고 말 가능성이 높다. 다시 말해, 인문학 자체가 바로 서지 않으면 인문학의 설득력이 강화되지 않을 것이며, 인문학의 사회적 역할이 증대되기 어려울 것이며, 그래서 인문학의 사회적 효용이 문제가 될 것이며, 결국 인문학의 외부적 환경이 다시 악화될 것이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arrange groundworks for implementing successfully the Humanties Korea(HK) Project with reviewing the diagnosis "crisis of the humanities" and the prescription "promotion of the humanities" in korea. The HK project is one of the treatments in accordance with the prescription. Does the humanities of korea face a crisis indeed? For answering to this question, the question "What is the humanities?" is asked firstly. Because the humanities is not a individual science, it is not easy to determine what the humanities is. Even if it is determined with difficulty, there are various opinions about a crisis of the humanities in korea. From the point of view, that the humanities is a science by the human being, on the human being, and for the human being, a crisis of the humanities is a desperate situation, for it ends in a crisis of human being. Even though this crisis of the humanities has to be overcome, it is probably difficult to get a satisfactory effect of promotion of the humanities and the HK project for coping with crisis of the humanities in korea, because the humanities is not an exact science but a stric science, and has a fate not able to snape wings(i.e. freedom) off human being. And yet doing something is better than doing nothing for meeting with crisis of the humanities and crisis of the human being. For overcoming crisis of the humanities, it is requested to review problems of the humanities, to consider a countermeasure against them, and enlarge social role of the humanities. For considering a countermeasure against problems of the humanities, it is necessary to enforce positivity and to secure powers of persuasion of the theories with the interdisciplinary and consilient research, and to produce utility and to prove positivity of the theories with practical instances of actual application, For enlarging social role of the humanities, it is necessary to take part in society actively with various route to spread products of research in the humanities. HK project is to revitalize field of research in the humanities and to attempt promotion of the humanities in korea. Problems of research field in the humanities of korea will get solved through improving circumstance of research and expanding researcher and with accumulating and applying products of research. But if the humanities does not try to ensure transcendentality and originality in attitude and method of research in the interdisciplinary and consilient research with other research areas, HK project improves only external circumstance of the humanities in korea. In other word, if the humanities does not put itself on a sound footing, its power of persuasion becomes weak, its social role is reduced, its social utility is doubted, finally external circumstance of the humanities is going steadily downhill.

      • KCI등재

        인문학 위기 담론과 대안에 관한 지형 연구 -학문적 차원과 산업적 차원을 중심으로-

        이미정 ( Lee Mi-jung )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2007 언어와 문화 Vol.3 No.1

        This work aims at the study on a discourse topographical map of the humanities crisis and the suggestion of the solution dividing theoretically and industrially. First, we explored theoretically the cause of humanities crisis dividing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and industrially the cause of it through the condition of the job market are employed the college graduates who studied humanities. Results are as following: First, the internal factors of the humanities crisis are the humanities’ subjectivity, the humanities scholar’s responsibility, the response of the humanities academy circle, and the humanities’ lectures and its academic program. The external factors are the change of the government’s education policy in operation and our sense of values and humanistic environment. Second, for we explored the condition of the job market are employed the college graduates who studied humanities. The result show a ratio of the lowest in wage, the percentage of employment, the percentage of regular job, an annual revenue, and the relation of the major. Second, we explored he suggestion of the solution dividing theoretical and industrial. Theoretically, we categorized the suggestions. There are the finding of humanities’ subjectivity, the suggestion of education direction, the discussion of representation humanities, making humanities contents, the supprort of policies in government, building a new paradigm through cross-studies, the conversion of Culture Science, and the advent of ecology humanities. Industrially, we categorized the suggestions of humanities’ crisis. The suggestion is developing a new job-creation.

      • KCI등재

        위기 상황 하에서 인적자원 전략이 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

        나재석(Na, Jaeseog),김현동(Kim, Hyun-Dong) 글로벌경영학회 2020 글로벌경영학회지 Vol. No.

        본 연구는 글로벌 금융위기와 같은 위기상황이 발생했을 때 기업의 인적자원과 관련한 전략이 어떻게 위기상황 이후의 기업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인적자원과 관련된 다양한 기업들의 전략과 성과 간의 관계에 대한 기존 문헌들이 다수 존재하지만, 대부분 외부상황의 요소들을 고려하지 못하거나 역인과관계에 대한 한계점을 내포하고 있다. 인적자원과 관련한 전략적인 선택의 중요성을 외생적 사건의 관점에서 살펴본 사건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기준으로 사전적인 기업의 인적자원 관련한 전략적 활동이 기업의 사후적인 초과영업이익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가지는지 살펴보았다. 먼저 인적자본이론(human capital theory)과 자원기반이론(resource-based view)에 기반하여 위기상황일수록 인적자원에 대한 효과는 더욱 커질 것이라는 점에서 금융위기 이전의 인적자원개발 활동은 금융위기 이후의 기업 초과영업이익에 긍정적인 효과를 끼칠 것으로 기대하였다. 반면 인적자원관리 전략 중의 하나인 성과급을 활용한 보상 정책은 오히려 위기 상황 속에 조직 내부의 유대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점에서 위기상황 이후의 기업 성과에 부정적인 효과를 미칠 것으로 예상하였다. 이러한 가설들을 검증하기 위해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 제공하는 인적자본기업패널(Human Capital Corporate Panel)의 설문 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기업의 인적자원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였고, KIS-Value의 재무데이터를 활용하였다. 회귀분석 결과, 실제로 기업의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의 인적자원개발 활동은 금융위기 이후 기업 성과에 양(+)의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위기상황 속에서 기업의 인적자원개발 활동이 장기적으로 경쟁우위를 확보하는 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반면 성과급 제도와 같이 조직 내 경쟁을 야기하는 시스템은 외부환경이 안정적인 상황에서는 긍정의 요소로 작용할 수 있지만, 외부환경이 불안정할 경우 오히려 기업 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금융위기와 같은 외부적인 위기 상황에서는 성과급 제도를 통해 조직 내의 경쟁을 유발하는 보상 정책보다 전사적 차원에서의 협력을 도모하는 제도들이 기업 성과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향후 외부적 위기상황이 발생할 때 인적자원에 관한 전략적인 활동을 어떻게 진행해야 하는지 기업들에게 유의미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examines how human resource strategy affects firm performance under financial crisis. While previous literature has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resource strategy and firm performance, few studies have addressed reverse causality concern. To alleviate this concern, we set an exogenous event, the 2008-2009 financial crisis, to investigate the impacts of a firm’s pre-crisis human resource activities on its post-crisis abnormal operating performance. First, we hypothesize that human resource development strategy prior to the crisis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firm performance after the crisis based on the human capital theory and resource-based view. Second, we expect that performance-based compensation, a firm’s primary human resource management strategy, under financial crisis is likely to negatively influence firm performance because this compensation structure can impede the cooperation among employees which may be necessary to overcome the crisis. Using the Human Capital Corporate Panel database, we find that a firm’s pre-crisis human resource development strategy is positively related to its post-crisis abnormal operating performance. This result implies that human resource development activity is important to improve firm performance under financial pressure. In contrast, our result shows that performance-based pay structure before the crisis 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firm performance after the crisis, suggesting that this type of compensation hinders the cooperation among employees by promoting their internal competition.

      • KCI등재

        위기 상황 하에서 인적자원 전략이 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

        나재석,김현동 글로벌경영학회 2020 글로벌경영학회지 Vol. No.

        This study examines how human resource strategy affects firm performance under financial crisis. While previous literature has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resource strategy and firm performance, few studies have addressed reverse causality concern. To alleviate this concern, we set an exogenous event, the 2008-2009 financial crisis, to investigate the impacts of a firm’s pre-crisis human resource activities on its post-crisis abnormal operating performance. First, we hypothesize that human resource development strategy prior to the crisis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firm performance after the crisis based on the human capital theory and resource-based view. Second, we expect that performance-based compensation, a firm’s primary human resource management strategy, under financial crisis is likely to negatively influence firm performance because this compensation structure can impede the cooperation among employees which may be necessary to overcome the crisis. Using the Human Capital Corporate Panel database, we find that a firm’s pre-crisis human resource development strategy is positively related to its post-crisis abnormal operating performance. This result implies that human resource development activity is important to improve firm performance under financial pressure. In contrast, our result shows that performance-based pay structure before the crisis 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firm performance after the crisis, suggesting that this type of compensation hinders the cooperation among employees by promoting their internal competition. 본 연구는 글로벌 금융위기와 같은 위기상황이 발생했을 때 기업의 인적자원과 관련한 전략이 어떻게 위기상황 이후의 기업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인적자원과 관련된 다양한 기업들의 전략과 성과 간의 관계에 대한 기존 문헌들이 다수 존재하지만, 대부분 외부상황의 요소들을 고려하지 못하거나 역인과관계에 대한 한계점을 내포하고 있다. 인적자원과 관련한 전략적인 선택의 중요성을 외생적 사건의 관점에서 살펴본 사건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기준으로 사전적인 기업의 인적자원 관련한 전략적 활동이 기업의 사후적인 초과영업이익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가지는지 살펴보았다. 먼저 인적자본이론(human capital theory)과 자원기반이론(resource-based view)에 기반하여 위기상황일수록 인적자원에 대한 효과는 더욱 커질 것이라는 점에서 금융위기 이전의 인적자원개발 활동은 금융위기 이후의 기업 초과영업이익에 긍정적인 효과를 끼칠 것으로 기대하였다. 반면 인적자원관리 전략 중의 하나인 성과급을 활용한 보상 정책은 오히려 위기 상황 속에 조직 내부의 유대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점에서 위기상황 이후의 기업 성과에 부정적인 효과를 미칠 것으로 예상하였다. 이러한 가설들을 검증하기 위해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 제공하는 인적자본기업패널(Human Capital Corporate Panel)의 설문 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기업의 인적자원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였고, KIS-Value의 재무데이터를 활용하였다. 회귀분석 결과, 실제로 기업의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의 인적자원개발 활동은 금융위기 이후 기업 성과에 양(+)의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위기상황 속에서 기업의 인적자원개발 활동이 장기적으로 경쟁우위를 확보하는 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반면 성과급 제도와 같이 조직 내 경쟁을 야기하는 시스템은 외부환경이 안정적인 상황에서는 긍정의 요소로 작용할 수 있지만, 외부 환경이 불안정할 경우 오히려 기업 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금융위기와 같은 외부적인 위기 상황에서는 성과급 제도를 통해 조직 내의 경쟁을 유발하는 보상 정책보다 전사적 차원에서의 협력을 도모하는 제도들이 기업 성과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향후 외부적 위기상황이 발생할 때 인적자원에 관한 전략적인 활동을 어떻게 진행해야 하는지 기업들에게 유의미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철학상담을 통해서 본 인문치료」에 관하여

        최현덕 대동철학회 2010 大同哲學 Vol.53 No.-

        이 글은, 강원대학교 인문과학 연구소가 한국 연구재단이 지원하는 인문한국 사업의 일환으로서 수행하고 있는 “인문학 진홍을 위한 인문치료” 라는 아젠다의 핵심적인 개념인 ‘인문치료’를 소개하고 있는 최희봉의 논문에 대한 논평문이다. 인문한국 사업은 현 한국 연구재단의 전신인 한국 학술진흥재단이 ‘인문학의 위기’에 대응하는 한 가지 정책으로 도입한 지원 사업으로서, 2010년 대동철학회는 이 사업을 수행하고 있는 인문학 관련 연구소 다섯 곳을 추계 학술대회에 초청해 함께 인문학에 대해 성찰할 기회를 마련했다. 이 글에서는, 그간에 진행된 인문학 및 인문학 위기 담론을 염두에 두면서, 최희봉의 발제문에 담긴 다음과 같은 논점에 대해 토론하면서 논의의 심화를 위한 질문을 던진다. 첫째, 인문치료 사업 역시 ‘인문학의 위기’에 대응하는 한 가지 기획으로서, 현실에 개입하고자 하는 의지에 의해 진행된다면, 인문치료 사업은 인문학을 어떠한 방향으로 변화시키게 될지 그리고 그 변화는, 현재 “인문학의 위기”라 부르는 상황에 비추어 볼 때 얼마만큼의 해결이 될 수 있는가? 둘째, 인문학을 기반 학문으로 하고 있는 ‘인문치료’가, 의학을 기반으로 하고 태동한 ‘의료인문학’보다 더 인문학적이라고 할 수 있는 지점은 무엇인가? 셋째, 이론적 학술활동을 전제로 하고 있는 인문학의 사업으로 연구재단의 지원을 받고 있으면서 실천적 활동이 핵심이 되는 사업을 수행해가는데 있어서 생길 수 있는 제약, 연구재단의 평가체제에 대한 대책이 있는가? 넷째, ‘병’과 ‘치료’의 개념이 전제로 하고 있는 사고방식의 체계, 심신이원론적 인간관은 서구의 주류의학계에서 통용되는 것과 많이 달라 보이지 않는데, 여기에 관한 인문학적 성찰을 바탕으로 하는 대안의 모색이 필요하지 않을까? 다섯째, 인간의 마음을 치유하려는 ‘인문치료’의 노력이 심리치료와 다른 점이 무엇일까, 즉 모두가 인간의 마음을 치유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고 인문학적 지식이 그 과정에서 원용된다고 했을 때, ‘인문치료’에 있어서 보다 더 인문학적 색채는 어디에서 어떻게 주장될 수 있는가? 이러한 질문들이 ‘인문학의 위기’가 거론되는 맥락에서 인문치료 사업이라는 실례를 통하여 인문학의 성격 및 의의를 보다 더 규명하는데 일조할 수 있기를 바란다. This Thesis is to discuss the article of Heebong Choi introducing the concept of 'Humanities Therapy' as the core concept of the research project of the Institute for Humanities & Sciences at the Kwangwon National Unviersity in the framework of the Humanities Korea Program supported by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The Humanities Korea Program was introduces as a counter-policy of the above foundation to meet with the situation defined as the 'crisis of humanities'. In October 2010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ltion invited five humanities institutes performing the research projects of the Humanities Korea Program to hold a symposium to reflect on the problems of humanities today. In this article I discuss several issues contained in the paper of Heebong Choi, being conscious of the context of the discourses on the humanities and the crisis of the humanities developped in the last twenty years in South Korea. Based on the discussions I raise the following five questions: (1) If the project of the 'Humanities Therapy' was launched as a counter-measure responding the 'crisis of humanities', in what extend or in what aspect it could offer a solution? Could it provoke a change of humanities itself? In which direction? (2) In comparison to the 'Medical Humanities' which has the medical sciences as its scientifical basis, does the humanities play more essential role in the 'Humanities Therapy'? In what sense? (3) The humanities projects supported by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has the assumption of the humanities as theoretical activity. However, the 'Humanities Therapy' has its place in the 'praxis'. Is there a counter-measure for a possible conflict caused by the different notions of the activities of humanities. Could it cause an excessive burden to the staff due to the competitive evaluation system of the research foundation? (4) The system of the conception presupposed in the concepts of 'disease' and 'therapy', especially the view of the human beings based on the mind-body-dichotomy seems not so much different as that of the Western orthodox medicine. Isn't it necessary to develop an alternative based on humanistic reflections? (5)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Humanities Therapy' and the psychotherapy? Where can we find the aspects more rooted in the humanities in the 'Humanities Therapy'? These questions are intended to deepen the discussion on the humanities in the face of the situation of the 'crisis of humanities'.

      • KCI등재

        언간 자료의 특징과 대중화 방안

        배영환 중앙어문학회 2018 語文論集 Vol.76 No.-

        본 연구는 조선시대 언간 자료의 특징을 살펴보고, 언간을 인문학 대중화의 한 방안으로 이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논의한 것이다. 현재 인문학은 위기에 처 해 있고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다양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그런데 인문학의 위기가 학문적으로 논의되기 시작한 시기는 1990년대 초이고, 인문학의 위기 가 피부로 느끼기 시작한 계기는 학부제 시행 때문이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인문학의 대중화가 모색되고, 정부에서도 인문학에 대한 관심을 갖기 시작하 였다. 그 결과 인문학을 일반 대중에게 보급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져 점차 인문 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지만 강단에서의 인문학의 위기는 극복되기 어 려운 상태에 놓여 있다. 그러므로 이제는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인문학의 본연 의 모습으로 돌아가 기초 자료에 대한 치밀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 연구는 인문학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기초 자료에 대한 발굴과 보급 차원에서 언간을 대중화의 한 자료로 이용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 논의한 것이다. 언 간 자료는 역사적 사실과 개인적 감정이 담겨 있는 독특한 자료이기 때문에 기 존의 자료와는 성격이 다르다. 이들을 학계는 물론 일반인들에게도 널리 알려 관심을 끌게 할 필요가 있다. 언간은 15세기부터 19세기까지 대체로 3,000여 건이 학계에 알려졌지만 그러나 여전히 이에 대한 학계나 일반인의 관심을 끌 지는 못하고 있다. 특히, 언간은 일상 생활적 특징, 정치적 특징, 지역적 특징, 여성적 특징, 경제적 특징 등 여러 가지 분류사적 특징을 보이고 있다. 그러므 로 언간에 나타난 사연을 잘 분석하면 역사 자료의 보조 자료로 충분히 이용될 수 있다. 언간은 조선시대 남녀노소, 왕실, 사대부 등 폭넓게 실용되었고, 그러 므로 언간에는 그 당시 인간의 삶의 모습이 녹아 있다. 언간의 대중화 방안에는 언간 자료를 집대성하여, 일반인들도 알 수 있을 정도로 쉽게 작성하여 널리 알 려야 하는 일이 우선 이루어져야 한다. 아울러 웹상에도 쉽게 검색될 수 있도록 언간 자료의 아카이브를 구축하여야 할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언간이 스토리 텔링이나 문화콘텐츠의 기초 자료로 이용된다면 언간에 대한 관심은 물론 조 선시대 사람들의 생활 모습 등에도 관심을 갖게 될 것이다. 언간 자료를 대중화 하기 위한 또 다른 방법 중의 하나는 언간 자료를 교과서에 수록하는 것이다. 다만, 언간 자료를 수록할 때에는 언간이 국어의 변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자 료로 이용하기보다는 그 당시의 모습을 살펴볼 수 있는 생활사 자료로 이용되 어야 한다.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Eon’gan resources of the Joseon Dynasty and the possibility of these resources being used as a method to popularize the humanities are discussed. Currently, the study of the humanities is facing a crisis, and various types of discussion to overcome the crisis are done. However, the academic discussion on the crisis of the humanities began in the early 1990s, and the serious crisis of the humanities emerged with the adoption of the academic system under which students get to choose their majors after their freshman year. The popularization of the humanities was pursued to overcome, and the government began to pay attention to the humanities. As a result, the study of the humanities is gathering attention as efforts to spread interest in the humanities are made, but still the crisis of the humanities at the university platform is difficult to overcome. Therefore, multidimensional discussions are necessary to overcome the crisis. In this study, whether Eon’gan can be used as a basic resource to overcome the crisis of the humanities through information discovery and dissemination of basic resources is discussed. Eon’gan are unique letters that contain historical facts and individual emotions, so they are different from existing resources in these characteristics. It is necessary to gather attention of not only the academic world but also the nonacademic world. Today, there are approximately 3,000 Eon’gan resources from the 15th to 19th centuries, but they fail to attract the attention of the academic world or ordinary people. Eon’gan show various classification characteristics such as daily life characteristics, political characteristics, regional characteristics, feminine characteristics, and economic characteristics. Therefore, when stories appearing in Eon’gan are well analyzed, they can be used as supplementary data of historical materials. Eon’gan were practically used widely among men and women of all ages, in royal court, and in noble society, so it reflects the lives of those who lived during those days. Regarding the popularization method of Eon’gan, it is necessary to compile Eon’gan resources and disseminate them to ordinary people by writing in accessible words. In addition, the archive of Eon’gan data should be established on the web so that people can search the documents easily. If Eon’gan are used as a basic resource for storytelling or culture contents, people will have interest not only in Eon’gan but also in the lifestyles of Joseon-era people. Another method to popularize Eon’gan is to put Eon’gan resources in textbooks. However, when Eon’gan resources are included in textbooks, they should be used as resources for human life history that describe the lifestyles of the era rather than as a means to explain the transition process of Korean language.

      • KCI등재

        ‘우물’에 빠진 철학, 탈출구는 있는가?

        이재성(Yi, Sae-Seong) 새한철학회 2015 哲學論叢 Vol.80 No.2

        인간의 위기가 상존한 한국사회를 대면하면서 필자는 ‘우물’이라는 상징을 통해 위기에 빠진 인간의 모습, 즉 영화 속의 네 주인공을 통해 대학의 위기, 인문학의 위기 그리고 철학의 위기의 속살을 비유적 방식으로 들여다보고자 한다. 우리가 대학의 위기, 인문학의 위기, 철학의 위기라고 목소리를 높이지만 사실 현상적으로 보면 이것은 대학의 기업화 및 시장화, 대학에서 인문학 전공 학생 수의 감소와 취업률 저하 그리고 철학과 등 인문학 관련 학과의 폐과라는 현실적인 생존의 위기를 뜻한다. 하지만 본질적으로 들여다보면, 이 세 가지의 위기는 각기 독립적인 지위를 갖는 것이 아니라 함께 유기적으로 연동되어 위기로 나타나는 문제를 안고 있다. 필자의 고민은 후자에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필자는 이 글에서 지금 여기 우리에게 위기로 다가온 대학, 인문학, 철학은 진정 위기인지, 그리고 위기라면 그 탈출구로서의 기회는 가능한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Faced with Korean society where human is in crisis, I will investigate the nature of university"s crisis, the humanities" crisis, and philosophy"s crisis in a figurative way on the purpose of showing appearance of human in crisis by using the metaphor of ‘a well’ through four characters in the movie. We have raised our voices about university"s crisis, the humanities" crisis, and philosophy"s crisis so far, in fact, it means that theses crises are the result of the corporatization and marketisation of the university, the decrease of students majored in humanities of university and their low employment rate, or the abolition of its related department including philosophy department in the view of phenomenon, that is, they are the crises of survival. However, looked at fundamentally, theses three crises contain problems emerging as ones connected organically all together, not as an each independent status. I am worried about the latter. In this sense, I will examine in this essay if university, humanities, and philosophy approaching us as crises now here are our real crises, and if so, whether a chance as an escapeway can be possible or not.

      • KCI등재

        인문학의 정체성 물음에 대한 전기 하이데거의 대답 - 관계개념을 중심으로

        조홍준 한국문화융합학회 2019 문화와 융합 Vol.4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causes of the crisis of the humanities in Korea in the history of human thought and to suggest ways to overcome it. Therefore, the subject of this research was the humanities. As a study of human beings, the humanities are historically linked to the concept of human freedom. However, in the context of a human-centered understanding of this concept of freedom, the humanities have resulted in the reduction and self-destruction of themselves. Thus, this study examined the history of human thought over time and analyzed how it formed and led to the current crisis. From this process I came to the conclusion that the humanities mean human freedom. The problem is that the essence of the humanities has been understood only in a human-centered and empirical way, which led to a crisis. This calls for a new perspective on freedom as the main body of the humanities. Therefore, I believe that freedom is a relation and I insist on bringing it to the agenda of the humanities. This concept of relation is derived and established from Heidegger's original concept of existence. This argument can be said to have originality, compared to the fact that research in Korea has only analyzed realistic measures to deal with the causes of the crisis.

      • KCI등재후보

        직업으로서 인문학

        김기봉(Kim Gi-Bong) 인문콘텐츠학회 2008 인문콘텐츠 Vol.0 No.11

        21세기 정보화 사회에서 인문학의 중요성은 모두가 인정하지만, 직업으로서 인문학은 위기에 빠져있다. 필자는 먼저 왜 이런 모순적 현상이 생겨났는지를 막스 베버가 1917년에 행한 〈직업으로서 학문〉을 오늘의 맥락에서 다시 생각해 봄으로써 분석해 보고자 했다. 베버는 직업으로서 학문의 길을 가려는 학생들에게 그 길이 얼마나 험난한지를 두 가지 측면에서 말했다. 첫째는 학자의 길을 갈 때 감수해야만 하는 어려움이고, 둘째는 근대에서 학문 자체가 처한 위기상황이다. 베버는 근대에서 학문은 전문화됐기 때문에 학자가 되려는 자는 고독을 감수하면서 학문에 대한 열정과 소명의식을 가져야 한다고 역설했다. 하지만 그런 소양과 사명감을 가진 사람들이 학자가 된다고해도 근대에서 학문의 위기는 극복될 수 없다고 베버는 진단했다. 베버가 했던 강연의 주제는 한마디로 모든 것을 계산 가능하게 만듦으로써 합리적으로 지배할 수 있다고 믿는 근대에서 과학이란 무엇이며 무엇을 할 수 있는가를 성찰하는 것이었다. 근대 과학은 무엇보다도 세계를 탈주술화(Entzauberung)를 기반으로 해서 성립했다. 탈주술화를 통해 인간은 초자연적인 힘에 기도하고 의지하는 대신에 과학적 지식을 믿는다. 과학은 인간을 세계를 인식하는 주체로 만드는 해방과 함께 문명의 진보를 가져다주었다. 하지만 해방과 진보의 대가는 하이데거가 말하는 ‘존재의 망각’이다. 모든 학문적 연구는 그 연구가 “알만한 가치가 있다”는 것을 선험적 전제로 해서 이뤄진다. 하지만 그렇게 말할 수 있는 근거를 과학 스스로가 증명할 수 없다는 것이 탈주술화를 통해 제 2의 ‘인식의 나무’를 먹은 근대인의 운명이다. 우리는 ‘과학적’ 세계관을 가질 수 있지만 ‘과학’ 그 자체를 세계관으로 삼을 수는 없다는 것이, 우리가 처한 실존적 문제다. 탈주술화 이후 근대인의 삶이 어떤 형이상학적 또는 종교적 준거 없이 그 자체로서 존재의 근거를 가져야만 한다면, 신들 간의 싸움은 일상적으로 일어날 수밖에 없다. 사무엘 헌팅턴은 이 같은 신들 간의 싸움을 “문명의 충돌”이라고 표현했다. 인간의 모든 인식과 가치판단은 문화의 가치이념에 의거해서 이뤄진다. 인간이란 그 자신이 짠 문화라는 거미줄에 매달려 사는 거미와 같은 존재라는 의식으로부터 베버가 그런 인간의 존재론적 한계를 초월하기 위해 제안한 인문학이 문화과학(Kulturwissen schaft)이다. 그는 우리 스스로가 깨어있는 의식을 갖고 세계에 대한 자신의 입장을 세우고, 세계에 대해 주체적으로 의미를 부여하는 능력과 의지를 가진 문화인이 되어야만 한다는 것이 모든 문화과학의 선험적 전제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그런 ‘문화인’으로 산다는 것은 사무엘 베케트(S. Beckett)가 〈고도를 기다리며(En Attendant Godot)〉에서 보여준 것처럼 견디기 어려운 일상을 초극하는 거의 불가능한 일이다. 기다림의 일상에 지쳐서 절망에 빠진 인간은 쉽게 악마의 유혹에 빠질 수 있다. 민족주의 광기와 파시즘이라는 악마가 바로 그것이다. 결국 우리 앞에는 악마와 인문학이라는 양자택일의 선택이 놓여있다. 인문학은 인문학자를 위한 하나의 직업이 아니라 이 시대를 견디며 살아야 할 모든 사람의 영혼을 각성시키는 사명을 짊어졌다. 오늘날 인문학의 중요성을 재인식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먼저 화폐가치로 환산되어야만 가치로서 인정받는 자본주의 경제학 패러다임이 바뀌어야 한다. 앨빈 토플러는 부의 창출 시스템이 서비스하는(serving) 것, 생각하는(thinking) 것, 아는(knowing) 것, 경험하는(experiencing) 것을 기반으로 하는 제 3의 물결로 바뀌면서, 개인 또는 집단이 스스로 생산(PROduce)하면서 동시에 소비(conSume)하는 ‘프로슈밍(prosuming)’ 경제가 미래의 혁명적 부(revolutionary wealth)를 창출하는 원천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현재 세계가 지속가능한 성장과 세계화로 나아갈 수 있는 가능성도 보이지 않은 경제를 추동하는 프로슈밍에 의해 열릴 수 있다고 한다고 보았다. “변하지 않기 위해서는 변해야 한다.”는 말이 있다. 이 말은 인문학에도 해당한다. 인문학이 중요하다는 것은 변하지 않는 진실이다. 하지만 오늘의 대학에서 가르치는 인문학이 디지털 지식환경 사회(digital-oriented society)에 맞춰서 변하지 않으면 직업으로서 인문학은 위기에서 벗어날 수 없다. 인문학의 위기는 인문학자만의 위기가 아니라 인류 문명의 위기다. 더 늦기 전에 인류를 구하기 위해 인문학을 구해야 한다. Although everybody acknowledges the importance of Humanities in the information society of the 21st century, humanities as a vocation is stuck in crisis. Putting “science as a vocation” of Max Weber in 1917 into the contemporary context, I want to analyze why this kind of contradictory phenomenon happened. Weber explained to the students who want to stride the way of science in two aspects how difficult it would be. The first one is the hardship of this career, and the second one is the critical situation in which science found itself in the modern time. He asserted that scientists should have passion and a calling for science, allowing for loneliness, because modern science had become specialized. However, even if such people with passion and calling become scientists, Weber diagnosed, the modern crisis of science could not be solved. The topic of Weber's lecture was, in one word, to reflect on what is science and what science can do in the modern age in which people think it is possible to explain everything rationally by making it calculable. Modern science has been established on the basis of demystification of the world. Through this demystification, people learned to believe in science, instead of relying on and praying for supernatural power. Science brought civilizational progress, making humans rational subjects of the world. But liberation and progress took place at the expense of the “oblivion of existence.” All the scientific research is performed on the a priori presumption that such kind of research is “worthy of knowledge.” However, it is the fate of the modern humans who ate from the second “tree of knowledge” through this demystification. It is the existential problem facing us that we can have a “scientific” view of world(Weltanschauung), but we cannot take the science itself as a view of world. Should modern life need to have an existential foundation for itself, the struggle between gods would occur everyday. Samuel Huntington expressed this kind of struggle between gods as “collision of civilizations.” All the human cognition and valuation are based on cultural idea of value. Considering human being as a spiderlike being who is living, hanging on the web of culture he himself webbed, Weber suggested a cultural science(Kulturwissenschaft), in order to overcome such an existential limit of human being. He asserted that it was the a priori prerequisite of all the cultural sciences that we set up our own positions towards the world by somber consciousness and become a Homo Cultura(Kulturmenschen)” having a will and a capability to imbue with a meaning. However, living as such a Homo Cultura is, as Samuel Beckett has shown us in “En Attendant Godot,” impossible just like springing over the unbearable everyday life. Desperately tired of everyday life, human beings can be easily seduced by the devil's temptation. That's the devil of the insanity of nationalism and fascism. Eventually, we have to choose between devil and humanities. Humanities are not a vocation for the scholars of humanities, but they carry a mission to purify all the people's souls who have to endure this epoch. In order to reassure the importance of humanities nowadays, the paradigm of capitalist economics which acknowledges values only in terms of monetary value. Alvin Toffler predicted that a “prosuming” economy in which individuals and groups are producing and consuming at the same time for themselves will be the origin to create the revolutionary wealth of the future, with the wealth-creating system changed into the third wave based upon serving, thinking, knowing and experiencing. He also thought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t world to proceed to a durable growth and globalization could be tapped by the prosuming which puts the invisible economy into motion. There is a saying: “Should be changed, in order not to be changed.” These words also apply to humanities. It is an unchangeable truth that humanities are

      • KCI등재

        기후위기 담론에서 인문학의 위상과 인문정책 방안

        임철희,이정철 한국기후변화학회 2022 한국기후변화학회지 Vol.13 No.5

        The humanities have been one of the most marginalized disciplines in climate crisis discourse. The humanities have often been excluded from the policy process, including international agreements, planning, and implementation. The climate change field has promoted interdisciplinary and transdisciplinary studies, but they mostly involved social science, natural science, and engineering; the humanities were generally not considered. Neither has humanities research been well-represented for its essential, unique role in climate change discourse; therefore, expansion of academic activities and participation in discussion of the humanities are necessary. In this regard,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wofold. First, it scrutinizes the weakness of the current status of the humanities in climate change discourse. Second, it proposes ways to promote participation of the humanities. In particular, it first proposes establishment of a new interdisciplinary field called "climate humanities” based on existing national research funds and projects and recommends curriculum change. There is currently very little teaching about the climate crisis from a humanities perspective. Including such materials in primary, secondary, and even higher education curricula will increase the significance of climate humanities and cultivate humanistic sensibility in future gener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