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사학파의 명덕(明德) 개념 - 기정진과 최숙민의 비교를 중심으로

        양순자 (사)율곡학회 2023 율곡학연구 Vol.53 No.-

        조선 성리학은 19세기에 들어서면서 다양한 학파로 분기하는데, 노사(蘆沙) 기정진(奇正鎭, 1798~1879)의 사상을 종지로 삼는 노사학파가 그 중의 하나이다. 본 논문은 기정진과 그의 직전 제자인 계남(溪南) 최숙민(崔琡民, 1837~1905)의 명덕(明德)을 고찰한 것이다. 기정진은 명덕을 본심(本心)이라고 규정함으로써 명덕이 심 성 정을 모두 아우르는 총체적 개념이 아니라 마음의 역량임을 분명히 한다. 하지만 기정진은 명덕을 리(理) 또는 기(氣)로 규정하는 것을 경계한다. 왜냐하면 본심은 기의 지반을 떠나 성립할 수 없으므로 본심은 단순히 기라고 할 수 없지만 리라고도 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최숙민은 기정진이 명덕을 본심으로 보는 관점을 이어받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본심을 리라고 봄으로써 스승과는 다른 입장을 취한다. 최숙민은 명덕을 “거짓이 없는 참된 본체[無妄之眞體]”로 규정하면서 기가 전혀 섞이지 않는 상태로 설명한다. 또한 최숙민은 ‘령(靈)’ 개념 분석을 통해 그의 ‘심즉리(心卽理)’를 완성한다. 왜냐하면 심을 주기론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학자들이 주목하는 개념이 허령(虛靈)이기 때문이다. 최숙민은 령을 저(底)와 처(處) 두 부분으로 나누어서 신령스러운 것[靈底]은 리, 신령스러운 곳[靈處]은 기와 연관시킨다. 최숙민은 령은 ‘저’의 측면에서는 리이지만 ‘처’의 측면에서는 기이며, 더 나아가 ‘저’는 주인이고 ‘처’는 노복에 해당한다고 본다. 그런데 기정진은 ‘령’을 리와 연관시켜 논의하는 것에 반대한다. 왜냐하면 만약 령을 리라고 하게 되면 자칫 잘못하여 기를 리라고 하는 꼴이 되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최숙민은 자신의 심과 명덕에 대한 입장을 정립하는 과정에서 스승인 기정진의 영향을 받은 측면도 있지만 스승의 주리적인 경향을 더욱 강화한 것으로 평가된다. 다시 말하면 최숙민이 스승과 달리 ‘심즉리(心卽理)’의 노선을 선택한 이유는 심을 통해 리의 기에 대한 주재를 증명하고자 하였기 때문이다. In the 19th century, Neo-Confucianism of Joseon diverged into various schools, and one of them was the Nosa School, which pivoted around the ideas of Nosa Ki Jung-jin (1798-1879). This paper examines the concept of mingde of Ki Jung-jin and his previous disciple, Gyenam Choi Sook-min (1837-1905). By defining mindge as the true mind, Ki Jung-jin made it clear that mingde is not a total concept encompassing xin, xing and qing, but a capacity of the mind. However, Ki Jung-jin was wary of defining mindge as li or qi. This is because the true mind cannot exist outside the ground of the qi, so it cannot be simply called as qi or li. However, Choi Sook-min took a different position from his teacher by considering Ki Jung-jin's true mind as li even though he inherited the view of mindge as his true mind. Choi Sook-min regarded mindge as a "true body without lies" and explained it in a state where qi is not mixed at all. In addition, Choi Sook-min completed his theory of “xin is li.”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oncept of ‘ling(靈).’ This is because xuling (虛靈) is the concept that the qi-centered theorists paid attention to. Choi Sook-min divided the ling into two parts, di[底, thing] and chu[處, place], and associated a spiritual thing with li and a spiritual place with qi. Choi Sook-min believed that ling is li in terms of thing but qi in terms of place and furthermore, di is the owner and chu is the salve. However, Ki Jung-jin opposed discussing 'ling' in connection with li. This is because if we say “ling is li.”, it is almost same as if we say “qi is li.” In conclusion, Choi Sook-min was influenced by his teacher Ki Jung-jin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his position on mind and mingde, but it is evaluated that he further strengthened the li-centered ideas of his teacher. In other words, unlike his teacher, Choi Sook-min chose the line of "xin is li" because he wanted to prove li’s presidency of qi through xin.

      • KCI등재

        慶尙右道 蘆沙學派의 南冥學尊崇 樣相과 그 本質에 대한 考察 -趙性家, 崔琡民을 중심으로-

        김익재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10 남명학연구 Vol.30 No.-

        趙性家와 崔琡民은 경상우도 蘆沙學派의 핵심 인물이라 할 수 있다. 그들은 南冥學派의 본거지인 경상우도에서 태어나 蘆沙 奇正鎭의 문인이 되었고, 기정진의 학문을 전파하고 확장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던 사람들이다. 그래서인지는 몰라도 이들의 행적을 돌이켜보면 그들에게서 남명학적 사상과 언행을 적지 않게 발견할 수 있다. 하지만 일부에서는 이들의 이러한 언행을 순수하게 보지 않고 있다는 점도 부인할 수 없다. 그 이유는 그들의 이러한 행위가 진정으로 남명학을 존숭해서가 아니라, 남명학적 사상이 뿌리 깊게 자리 잡은 경상우도에서 자신들의 학파세력을 확산하기 위해서는 의도적으로 그렇게 행동할 수밖에 없었기 때문이었다는 것이다. 그렇지만 기록에 남아있는 여러 가지 증거와 정황으로 볼 때, 경상우도 노사학파를 대표한다 할 수 있는 조성가와 최숙민은 실제로 남명 조식을 존숭하였고 그의 사상을 자신의 내면에 깊이 간직하고 있었다. 뿐만 아니라 그의 사상을 더욱 더 발전․확산시키기 위해 다방면에 걸쳐 노력했던 인물들이었다는 것도 분명하게 드러나고 있다는 점에서 남명학 존숭과 관련된 그들의 언행은 진정성에 바탕을 둔 것으로 인식해야 한다. Cho sung-ga and Choi sook-min is the most remarkable persons of the Nosa-school in East Kyoung-sang district. They were born in the East Kyoung-sang district, the stronghold of Nammyoung-school, and became the students of Nosa Ki jung-jin. They put in a great deal of effort to spread and expand the academic theory of Ki jung-jin. But the second thought of their whereabouts, we can find out the considerable evidence that they have a lot of Nammyoung-school's ideas and behavior. And we can't deny that some of us partly agree that. Because the behavior of Cho sung-ga and Choi sook-min is taken as not purely efforts for the Nammyoung-school's ideas but as a pretentious actions to spread and expand the academic theory of Ki jung-jin. It may be so, but Cho sung-ga and Choi sook-min the representative of Nosa-school in East Kyoung-sang district, actually speaking they really respected Nammyoung Cho-sik and really kept his academical ideas in their mind. Furthermore we have to realize that Cho sung-ga and Choi sook-min did their many-sided efforts to develop and spread the Nammyoung-school's ideas and behavior.

      • KCI등재

        기획논문 : 경상우도 노사학단(蘆沙學團) 조성가(趙性家),최숙민(崔琡民)을 중심으로 ; 경상우도(慶尙右道) 노사학파(蘆沙學派)의 남명학존숭(南冥學尊崇) 양상(樣相)과 그 본질(本質)에 대한 고찰(考察) -조성가(趙性家), 최숙민(崔琡民)을 중심으로-

        김익재 ( Ik Jae Kim )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2010 남명학연구 Vol.30 No.-

        趙性家와 崔琡民은 경상우도 蘆沙學派의 핵심 인물이라 할 수 있다. 그들은 南冥學派의 본거지인 경상우도에서 태어나 蘆沙 奇正鎭의 문인이 되었고, 기정진의 학문을 전파하고 확장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던 사람들이다. 그래서인지는 몰라도 이들의 행적을 돌이켜보면 그들에게서 남명학적 사상과 언행을 적지 않게 발견할 수 있다. 하지만 일부에서는 이들의 이러한 언행을 순수하게 보지 않고 있다는 점도 부인할 수 없다. 그 이유는 그들의 이러한 행위가 진정으로 남명학을 존숭해서가 아니라, 남명학적 사상이 뿌리 깊게 자리 잡은 경상우도에서 자신들의 학파세력을 확산하기 위해서는 의도적으로 그렇게 행동할 수밖에 없었기 때문이었다는 것이다. 그렇지만 기록에 남아있는 여러 가지 증거와 정황으로 볼 때, 경상우도 노사학파를 대표한다 할 수 있는 조성가와 최숙민은 실제로 남명 조식을 존숭하였고 그의 사상을 자신의 내면에 깊이 간직하고 있었다. 뿐만 아니라 그의 사상을 더욱 더 발전·확산시키기 위해 다방면에 걸쳐 노력했던 인물들이었다는 것도 분명하게 드러나고 있다는 점에서 남명학 존숭과 관련된 그들의 언행은 진정성에 바탕을 둔 것으로 인식해야 한다. Cho sung-ga and Choi sook-min is the most remarkable persons of the Nosa-school in East Kyoung-sang district. They were born in the East Kyoung-sang district, the stronghold of Nammyoung-school, and became the students of Nosa Ki jung-un. They put in a great deal of effort to spread and expand the academic theory of Ki jung-jin. But the second thought of their whereabouts, we can find out the considerable evidence that they have a lot of Nammyoung-school`s ideas and behavior. And we can`t deny that some of us partly agree that. Because the behavior of Cho sung-ga and Choi sook-min is taken as not purely efforts for the Nammyoung-school`s ideas but as a pretentious actions to spread and expand the academic theory of Ki jung-min. It may be so, but Cho sung-ga and Choi sook-min the representative of Nosa-school in East Kyoung-sang district, actually speaking they really respected Nammyoung Cho-sik and really kept his academical ideas in their mind. Furthermore we have to realize that Cho sung-ga and Choi sook-min did their many-sided efforts to develop and spread the Nammyoung-school`s ideas and behavior.

      • KCI등재

        계남(溪南) 최숙민(崔琡民)의 교유(交遊)와 학술 토론

        김낙진 ( Nak Jin Kim ) 율곡학회 2010 율곡학연구 Vol.21 No.-

        영남의 남인 출신 유학자인 최숙민은 호남의 노론 율곡학자인 奇正鎭의 문하생이다. 본래 心身의 문제에 관심을 갖고 있었던 그는 기정진의 문도가 된 이후 理主氣僕의 철학과 겉으로 드러나는 현상보다는 이면의 원인을 이해하여야 한다는 학문 방법을 배웠다. 스승의 견해에 바탕을 두고 영남에서 유행하던 심설을 결합함으로써 순선한 본심의 측면을 강조하는 心卽理說을 받아들였다. 이것에 合理氣說을 더함으로써 心氣를 경계해 마지않던 전통적인 학문 정신도 수용하였다. 그는 이런 학설을 스스로 연구하였지만, 또한 견해가 상통하는 학자들과의 교유를 통해 문제의식과 이해의 정도를 심화시켜 나갔다. 학문 연원을 같이 하는 노사학단의 동문들은 물론 활동공간을 같이 한 한주학파의 학자들, 경기도에서 활동한 화서학파의 학자들이 그의 학문적 동료들이었다. 이들과 위정척사 의식을 함께 소유하며 마음의 본질에 관한 주리적 학설을 공유한다. 당쟁으로 얼룩진 과거를 반성하면서 학파와 당파를 떠난 단합을 도모하던 이들이 공유하려던 정신이 이것이다. 따라서 지금까지 한말 위정척사의 학자들이 주리론적 견해를 공동 소유한다고 보았던 논의를 세밀하게 가다듬으면 본심에 관한 주리론적 해석을 공유한다고 말할 수 있다. 이것이야말로 유학의 세계가 영속하기를 바라던 이들이 의리의 정신으로 외세에 맞서 투쟁하고, 나라가 망하더라도 유학의 도를 언젠가는 회복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하는 최종 근거였다. Choi Sook Min who his family were belonged to South Party was a disciple of Ki Jeong Jin. He originally take an interest in the problem of Mind and Body. He learned the spirit of Li ju Ki bok(the theory that Li is supervisor, conversely Ki is servant) and the method of study that attach importance to the inside cause of the present condition. As the result, he received the theory of Sim jeuk Li(Li is the important content fact, and Ki is only assistance in Mind). Moreover he added the theory of Sim hap Li Ki(Mind is composed of Li and Ki), so he inherited the spirit that kept a strict watch on Mind. He went deep into this study by oneself, and deepened the theory through academic exchange with congenial scholars. His academic partners were the fellow students who studied under the same teacher, scholars belonged to Hanju school and Hwaseo school. They held in common the consciousness of Wijeong-Cheoksa(the ideas on the preservation of true science and the expulsion of wickedness) and the theory of essential Mind undersood by an angle of Ju-li-ron. They criticized the history of disunion and hostility provoked by party strife in late Cho-sun, so they devised union of Confucianism world. The basis of union was the theory of essential Mind. It was the ultimate foundation of struggle against foreign power and the recovery of Confucian Tao.

      • KCI등재후보

        溪南 崔琡民의 交遊와 학술 토론

        김낙진 (사)율곡학회 2010 율곡학연구 Vol.21 No.-

        Choi Sook Min who his family were belonged to South Party was a disciple of Ki Jeong Jin. He originally take an interest in the problem of Mind and Body. He learned the spirit of Li ju Ki bok(the theory that Li is supervisor, conversely Ki is servant) and the method of study that attach importance to the inside cause of the present condition. As the result, he received the theory of Sim jeuk Li(Li is the important content fact, and Ki is only assistance in Mind). Moreover he added the theory of Sim hap Li Ki(Mind is composed of Li and Ki), so he inherited the spirit that kept a strict watch on Mind. He went deep into this study by oneself, and deepened the theory through academic exchange with congenial scholars. His academic partners were the fellow students who studied under the same teacher, scholars belonged to Hanju school and Hwaseo school. They held in common the consciousness of Wijeong-Cheoksa(the ideas on the preservation of true science and the expulsion of wickedness) and the theory of essential Mind undersood by an angle of Ju-li-ron. They criticized the history of disunion and hostility provoked by party strife in late Cho-sun, so they devised union of Confucianism world. The basis of union was the theory of essential Mind. It was the ultimate foundation of struggle against foreign power and the recovery of Confucian Tao. 영남의 남인 출신 유학자인 최숙민은 호남의 노론 율곡학자인 奇正鎭의 문하생이다. 본래 心身의 문제에 관심을 갖고 있었던 그는 기정진의 문도가 된 이후 理主氣僕의 철학과 겉으로 드러나는 현상보다는 이면의 원인을 이해하여야 한다는학문 방법을 배웠다. 스승의 견해에 바탕을 두고 영남에서 유행하던 심설을 결합함으로써 순선한 본심의 측면을 강조하는 心卽理說을 받아들였다. 이것에 合理氣說을 더함으로써 心氣를 경계해 마지않던 전통적인 학문 정신도 수용하였다. 그는이런 학설을 스스로 연구하였지만, 또한 견해가 상통하는 학자들과의 교유를 통해문제의식과 이해의 정도를 심화시켜 나갔다. 학문 연원을 같이 하는 노사학단의동문들은 물론 활동공간을 같이 한 한주학파의 학자들, 경기도에서 활동한 화서학파의 학자들이 그의 학문적 동료들이었다. 이들과 위정척사 의식을 함께 소유하며마음의 본질에 관한 주리적 학설을 공유한다. 당쟁으로 얼룩진 과거를 반성하면서학파와 당파를 떠난 단합을 도모하던 이들이 공유하려던 정신이 이것이다. 따라서지금까지 한말 위정척사의 학자들이 주리론적 견해를 공동 소유한다고 보았던 논의를 세밀하게 가다듬으면 본심에 관한 주리론적 해석을 공유한다고 말할 수 있다. 이것이야말로 유학의 세계가 영속하기를 바라던 이들이 의리의 정신으로 외세에 맞서 투쟁하고, 나라가 망하더라도 유학의 도를 언젠가는 회복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하는 최종 근거였다.

      • KCI등재

        계남(溪南) 최숙민(崔琡民)의 시세계 고찰

        김기림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24 동방학 Vol.- No.50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veal the poetic tendencies and significance of Choi Sook-min, a student of Nosa's school in Yeongnam. Choi Sook-min learned Neo-Confucianism and the spirit of Wijeongcheoksa from Ki Jeong-jin, and the spirit of practice from Jo Sik. When Japan violated Joseon's sovereignty, he thought that Joseon would turn into barbarians. As a writer, he expressed his perception and feelings about his life, studies, and reality through his poetry. In his poetry, he distinguishes between civilized people and barbarians, and describes the deeds of those who practiced respect for civilized people, a clean mind when mountaineering, self-reflection, anger at reality and criticism of government officials, and respect for Jo Sik. expressed. His poetic world contains the consciousness of trying to overcome the national crisis by inducing awareness of the situation of the times and restoring and strengthening ethics.

      • KCI등재

        일신재 정의림의 시세계 성향 고찰

        김기림(Kim Girim)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12

        이 글은 정의림의 시세계 성향을 밝히는 데에 목적이 있다. 정의림은 노사학파 3대 제자 중 한 사람이다. 화순 능주에서 태어나 능주 지역에서 후학을 양성함으로써 노사학파 형성에 큰 역할을 하였다. 그는 기정진 학설을 비판한 기호학파의 전우의 논의를 반박하여 스승의 학설을 수호했고, 항일 의병 활동을 적극적으로 지지했다. 또 후학을 길러내는 일을 자신의 책무로 삼아 실천했다. 그는 시에서 유학-성리학을 연구하려는 강한 열망을 담았고, 학문적 토론과 강학하는즐거움도 표현했다. 또 조선의 국권이 일본에 의해 침탈당하는 상황을 목격하면서 나라를 팔아버린 위정자들에 대해 분노를 토로하고 한편 나라 잃은 울분과 백성을 걱정하는 마음을 표출했다. 이처럼 그의 시들은 삶의 행적에 부합한다. 따라서 그의 시세계는 자연 현상 속에서 이치를 찾으려 했던 김석구나 정재규의 시, 유람하며 기행시를 많이 남긴 최숙민등 다른 노사학파 문인들의 시와는 다른 면모를 지닌다. 이는 노사학파 문인들의 시세계의 다양성을 보여준다고 할 수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Jeong Eui-rim’s poetic world. Jeong Eui-rim is one of the three major students of the Nosahagpa( ). He was born in Neungju, taught junior students who lived in Neungju. So He played a major role in the formation of the Nosahagpa in the Neungju area. When Jeon-woo who were scholars of Gihohagpa( ) criticized the theory of Ki Jeong-jin, he defended his master’s doctrine by raising objections. He actively supported anti-Japanese military activities. And he made it his responsibility to teach the younger generation and practiced it. He expressed his strong desire to study Confucianism and Neo-Confucianism, the pleasure of having academic discussions and lecturesin his poetry. On the one hand, while witnessing the situation in which the sovereignty of Joseon was being usurped by Japan, he was outraged at the rulers who surrendered their entire country to Japan and expressed his sorrow for losing his country and his concern for the people in his poems. In this way, his poetry was in harmony with his life. Therefore, his poetry is different from that of Kim Seok-gu and Jeong Jae-gyu, who tried to find reason in natural phenomena and the poems of Choi Sook-min, who left many travel poems while traveling. It can be said that this shows the diversity of the poetic world of the literary scholars of the Nosahagpa( ).

      • KCI등재

        1940년 만주 조선인 문단의 지면 논쟁 연구: 『만선일보』 학예면 소재 담론을 중심으로

        사책 민족문학사연구소 2024 민족문학사연구 Vol.84 No.-

        이 논문은 1940년 만주 조선인 문단에서 나타난 지면 논쟁과 그 형식에 대한 『만선일보』 편집부의 인식 변화를 중심으로 다루었다. ‘만주 조선문학 건설 신제의’ 기획 이후, 수석과 일민은 전망대 칼럼을 통해 ‘신제의’ 기획의 후속 부진에 대한 실망감을 표하며, 선배 문인들의 어조를 사용해 젊은 문인들에게 문학 실천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에 학예부장 이갑기는 무책임한 비평이 문단 내 모순을 초래할 수 있는 부정적 영향을 지적했고, 이후 공격적인 비평은 학예면에서 잠시 사라졌다. 그러나 『만선일보』의 지면 개편 이후 새로운 작가들이 대거 등장하면서, 만주 조선인 문단이 비평의 효과를 다시 인식하게 되고, 특정 작품이나 신작을 대상으로 한 실제 비평이 등장했다. 이 과정 중에 일민은 엄시우의 소설 「사군관」이 김영수의 「소복」을 표절했다고 비판했고, 이로 인해 김현숙과 치열한 논쟁을 벌였다. 이 논쟁은 만주 조선인 문단의 큰 관심을 끌었고, 학예부는 이러한 논쟁이 문단 활성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판단하여, 이와 같은 활동이 더 많이 나타나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서, 김우철과 최기정은 ‘제1회 연재 단편’ 칼럼에서 게재된 소설을 둘러싼 인식에 대해 여러 각도에서 치밀한 논쟁을 펼쳤다. 이 논쟁은 전반적인 만주 조선 문인들의 관심과 우려를 불러일으켰다. 협화회 계림분회 문화부의 제4차 예회에서 김우철과 최기정의 논쟁을 중요한 의제로 다루었고, 수석, 일민, 백경, 박영준, 김국진, 안수길, 한찬숙 등 만주 조선 문인들이 이 논쟁에 대한 다양한 입장을 표명하였으며, 기존 문인과 신인 작가의 구분에 명확하게 반대하고, 비평의 역할과 방식을 재고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debates within the Manchurian Korean literary circles in 1940, focusing on the discourse in Manseon-ilbo. It begins by examining the responses to the New Proposal for the Construction of Manchurian Korean Literature, a topic column discussed early in 1940. Critics such as Su-seok and Il-min advocated for practical actions. Lee Gap-gi cautioned against unconstructive criticism, which led to a temporary reduction in harsh critiques. The redesign of Manseon-ilbo reintroduced significant literary criticism and reviews of new works. During this period, Il-min claimed that Um Si-woo’s short novel Sagungwan was too similar to Kim Young-soo’s Sobok, sparking a debate between Kim Hyun-sook and Il-min on whether such imitation was beneficial. The literary community viewed these debates positively, hoping they would energize the literary scene. Further discussions about new elements in the First Serial Short Story column by Kim Woo-chul and Choi Ki-jung also gained significant attention, culminating in a major debate during the 4th meeting of the Gyerim branch of the Consonance Union. Participants, including Su-seok, Il-min, Baek-gyeong, Park Young-jun, Kim Guk-jin, An Su-gil, and Han Chan-suk, debated the differences between established and new writers. The role of criticism in Manchurian Korean literary circles was reconsidered.

      • KCI등재

        蘆沙 奇正鎭 學派의 心說에 대한 考察

        박학래 한국유교학회 2011 유교사상문화연구 Vol. No.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explanation on Sim(the heart-mind) of the Nosa School, which leaped into one of the prominent Neo-Confucian schools since the mid-19th century of Korea, by focusing on Ki, Jung-jin(1798~1879) and his major disciples. Unlike Hanju Yi, Chin-sang, Hwaso Yi, Hang-no and Kanjae Chon, U, Nosa’s disciples including Ki, Jung-jin did not provide any specific stance on the heart-mind in the debate on it, which was one of the most significant controversies since the late-19th century of Korea. However, they tried to take the li-based perspective to fortify the superintendence of li. Based on this metaphysical view of the li, they wanted to systemize realizing the moral nature of human beings through connection of the heart-mind to the li. Through such an idea of the heart-mind, furthermore, they were eager to provide theoretical foundation of practice and cultivation in the real world. The Nosa School’s explanation on the heart-mind is based upon the combination of li with ki. This is not a simple link between li and ki, but a li-based stance implying that li is the center while ki is the ground. This stance is to fortify the superintendence of li as the necessity without any exclusion of ki operating practically in the world. This is a theoretical position to emphasize the thorough going superintendence of li over ki. With emphasis on the superintendence of li, thus, Ki Jung-jin tried to shape the understanding of the heart-mind into a more distinctive idea of It without any exclusion of ki operating practically in the world. Paying attention to the heart-mind as the quintessence of ki, his disciples developed the theories of the heart-mind by attributing li and ki to its real substance(sil-ch’e) and its normative substance(tang-ch’e) respectively. Their explanation on the heart-mind is distinguished from the Kiho School, succeeding to the theoretical tradition, which insists the heart-mind is ki. At the same time, their position can be considered as having a difference from the Hanju School, holding that the heart-mind is li. Generally speaking, the reason they paid attention to the original heart-mind (or illuminative virtue (myong-duk)) is because their theoretical position is deeply related to the discussions of either the Hanju School or the Hwaso School. 본 논문은 19세기 중반 이후 畿湖學界의 주요한 학맥으로 부상했던 蘆沙學派의 心說을 奇正鎭(1798~1879)과 그의 주요 문인을 중심으로 고찰한 것이다. 기정진을 비롯한 노사 문인들은 19세기 후반 이후 성리학계 최대 논쟁 중 하나였던 심설논쟁의 과정에서 寒洲 李震相나 華西 李恒老, 그리고 艮齋 田愚 등과는 달리 특정한 학설을 제시하지는 않았다. 하지만 이들은 리의 주재를 강화하는 주리적 입장을 바탕으로 하여 심을 매개로 도덕적 본성의 실현을 체계적으로 구축하였고, 이를 통해 현실에서의 수양과 실천의 이론적 기반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대체적으로 노사학파의 심설은 合理氣에 기반을 두고 있다. 하지만 이것은 리와 기의 단순한 조합이라는 아니라 ‘理主氣資’라는 리 우위의 입장이 전제되어 있다. 현실에서 구체적으로 작위하는 기를 배제하지 않으면서도, 필연의 묘로서 리의 주재를 강화하려는 이러한 입장은 기에 대한 리의 철저한 주재를 강조하는 이기론적 입장이 반영된 결과라 할 수 있다. 그래서 기정진은 리의 주재를 강조하면서도 구체적인 현실에서 작위하는 기를 배제하지 않으면서 심에 대한 이해를 구체화하였고, 이를 계승하여 그의 문인들도 기의 精爽으로서 심에 유의하면서 리와 기를 각각 心의 實體와 當體로 구분하여 심론을 전개하였다. 이러한 노사학파의 심설은 心是氣의 전통을 계승한 당시 기호학계 일반의 논의와 구별되며, 동시에 心卽理를 주장한 寒洲 등과도 일정한 차이점이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그리고 대체적으로 리가 주재하는 本心(혹은 明德)에 보다 주목한 것은 寒洲學派나 華西學派의 의론과 깊은 연관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