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외국영화에 투영된 불교적 사상과 특성 -국제불교영화제 상영작에 대한 유형론적 분석을 통하여-

        신광철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화예술연구소 2015 불교문예연구 Vol.5 No.-

        이 논문은 국제불교영화제 상영작의 유형과 특성에 대한 연구를 시도한 것이다. 국제불교영화제는 불교영화재단이 주관하는 국제적인 이벤트로서, 불교적 주제의 영화 또는 불교적 영감이 반영된 영화에 초점을 맞추는 불교 영화 전문 영화제이다. 필자는 유형론적 분석을 통해 몇 가지 양상을 발견하였다. 첫째, 문학작품 을 소재로 하는 불교영화나 윤회사상을 구현한 불교영화는 없었다는 점이 다. 둘째, 자주 발견되는 유형으로는 불교적 가르침의 의미를 추구한 작품, 불교 관련 인물의 전기 성격의 작품, 수행과 깨달음의 세계를 다룬 작품이 있었다. 셋째, 티베트불교 관련 작품이 다수를 점한다는 점이다. 외국의 불교영화, 특히 서구의 불교영화가 높은 수준의 성취를 이루었다 고 말하기는 어렵다. 불교문학의 영화화나 심도 깊은 해석과 날선 관점에 입 각한 윤회사상의 영화화가 이루어진다면 불교영화의 진전이 이루어질 것이 다. 서구에서의 불교의 영화화가 티베트불교에 집중되고 있는 사실에 대한 진지한 성찰도 필요하다. 서구에서 만들어진 다수의 불교영화가 티베트불교 를 다루고 있다는 사실은 서구인들의 불교 이해가 여전히 정치·사회적 양 상에 제한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This thesis tries to research on the types and characters of the movies screened in IBFF(International Buddhist Film Festival). IBFF is an international event supervised by BFF(Buddhist Film Foundation), a specialized Buddhist film festival taking focus on Buddhist-themed or Buddhistinspired films. I found some aspects through a typing research as follows. First, there is no films which filmized literary writings or embodied sam. sa-ra, the concept of reincarnation in IBFF. Second, the order of frequency of entry is as follows. (1. the films seeking to the meaning of Buddhist teachings. 2. the films to include biography of the individuals related to Buddhism. 3. the films to describe the Buddhist world of asceticism and enlightenment.) Third, the films involved with Tibet Buddhism hold a majority.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say that the Buddhist films from foreign countries, especially from the West have attained high standard. The cinematization of Buddhist literature or the idea of reincarnation with in-depth interpretation and sharp analysis can make this slow haul more speedy. It is desirable to introspect seriously about the fact that ‘the cinematization of Buddhism’in the West is converged upon Tibet Buddhism. The fact that many of the Buddhist films made in the West are dealing with Tibet shows that the Westerner’s understanding of Buddhism is still confined to the political and social aspects.

      • 불교문화콘텐츠의 개발과 활용방안

        최진구(Choi Jin goo) 동국대학교 불교사회문화연구원 2008 불교문화연구 Vol.9 No.1

        The culture in modern society has become the factor that changes human life and has ruled the world of human spirit. KUKBO 173 kinds of 307 ones and BOMUL 956 kinds of 1,469 ones, in total, 1,129 kinds of 1,776 national treasures, showing 63.6% of them, are related to Buddhism. Consequently,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Buddhist cultural contents are typical of Korea s cultural contents. It is a good thing recently, although it s late, that Buddhist experts and academics show interest in digitalization of Buddhist cultural contents. To go forward with digitalization of Buddhist cultural contents, it is necessary for believers in Buddhism to have interest in it and to draw support from Buddhist circles. Therefore it would be the best way that Buddhist TV takes the role. Buddhist cultural contents can be defined as Creatively produced cultural contents composed of Buddhist cultural heritage, Buddhist way of life, and social phenomena related to them, aiming value of Buddhism by Buddhology . Buddhist cultural contents are fully worthy of using. Buddhist cultural heritage should be popularized and industrialized by making it as digital contents, so people can contact it easily. Buddhism has been putting down roots as symbolic and universal value concept of our own. Buddhist film can be said that it began from such emotional categories. As the starting of Buddhist film was late, Buddhist cultural contents have not put down roots yet. The major problem of Buddhist film is not production but analysis, therefore, it is more important to analyze Buddhist film by Buddhist position than produce Buddhist films. Buddhist circles show interest recently in the industry of animation character. The character industry, regarded as a growth factor of future industry, attract attention of Buddhist circles as well as whole social fields. Hence experts, men of great originality and idea, should be bred up and should take roles for central growth factor leading Buddhist cultural contents. On the basis of this, I suggest that Buddhist TV should consider televise Buddhist films for the promotion of program rating and the diversification of program contents. Also it is necessary that the development of flash animation and character, the most easily approachable Buddhist cultural contents children and teenagers can. I suggest that Buddhist TV hold Buddhist Film Festival with the advantage of cable TV broadcaster. So far any religion-related film festival has not been held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If Buddhist TV hold Buddhist Film Festival through preliminary examination and preparation with the advantage of picture missionary media, it will get excellent results. Once Buddhist TV(BTN) hold Buddhist Film Festival successfully, it will grow Buddhist films as Buddhist cultural contents, and contribute to the strengthening of prestige as a Buddhist broadcaster as well as secure program contents. 현대사회에서의 문화는 인간의 생활을 변화시키는 요소로 작용할 뿐만 아니라 정신세계까지 지배하게 되었다. 우리나라의 국가지정문화재 국보 총307종 가운데 173종, 보물1,469종 가운데 956종, 합계 1,776종 중 63.6%에 해당하는 1,129종이 불교와 관련된 문화재이다. 따라서 불교문화 콘텐츠가 한국의 대표 문화콘텐츠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최근 들어 불교학계와 뜻있는 전문가들이 중심이 되어 불교문화 콘텐츠의 디지털화에 관심을 보이고 있음은 늦었지만 다행스러운 일이다 디지털화 작업들이 차질 없이 진행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불교인들이 관심을 갖도록 하여 불교계의 지원을 유도하는 역할이 필요한데 이 역할을 불교TV가 맡는 것이 가장 효과적일 것이다. 불교문화콘텐츠는‘불교철학의 입장에 서서 불교적 가치를 지향하며, 불교 문화유산·불교적 생활양식, 이와 관련된 사회적 제반 현상 등을 소재로 하여 창의적인 방법으로 제작된 문화 콘텐츠’라고 할 수 있다. 불교문화콘텐츠는 그 활용가치가 매우 높다. 따라서 전략적으로 디지털콘텐츠화하여 불교문화유산을 대중화하고 산업화하여 많은 사람들이 손쉽게 접촉할 수 있도록 하여야한다. 불교는 우리 민족의 상징적, 보편적 가치 개념으로 자리 잡고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 불교영화 역시 그러한 정서적 범주에서 출발했다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불교영화의 출발은 매우 늦었으며 아직까지 확실한 불교문화콘텐츠로 자리 잡지 못하고 있다. 앞으로 불교영화의 과제는 생산이 아니라 해석에 그 과제가 있으며 불교를 소재로 한 영화를 생산하는 것보다, 영화를 얼마나 불교적인 입장에서 해석해내는가가 관건이다. 불교계에서 최근 들어 많은 관심을 갖게 된 분야가 애니메이션 캐릭터 산업이다. 물론 불교계뿐만 아니라 미래산업의 신성장동력으로 평가 받고 있는 캐릭터 산업은 사회 모든 분야의 관심을 끌고 있다. 따라서 창의력과 아이디어가 넘치는 전문인력을 양성하여 불교문화콘텐츠를 주도하는 핵심 성장동력으로 활용하여야 한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불교TV에서도 시청률 제고와 프로그램 콘텐츠의 다양화를 위해 불교영화의 방영을 적극 고려하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어린이와 청소년들이 가장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불교문화콘텐츠인 플래시 애니메이션과 캐릭터를 개발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케이블TV 방송사라는 장점을 살려‘불교영화제’개최도 고려해볼 만하다. 현재까지 국외는 물론 국내에서도 종교영화를 주제로 한 영화제는 개최된바가 없다. 따라서 철저한 사전 조사와 준비를 거쳐 불교TV가 영상 포교 매체의 장점을 활용하여‘불교영화제’를 개최한다면 상당한 성과를 기대해 볼 수도 있을 것이다. 불교TV(BTN)가 불교영화제를 성공적으로 개최한다면 불교문화콘텐츠로서의 불교영화를 성장시켜 프로그램 콘텐츠 확보는 물론 종교방송사로서의 위상 강화에도 크게 기여 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디지털시대의 불교와 영화, 호혜적 발전방안의 모색

        박수호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화예술연구소 2015 불교문예연구 Vol.5 No.-

        이 논문은 정보통신기술을 중심으로 불교와 영화의 호혜적 발전을 위한 소통 방식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이를 위해 불교와 영화, 정보통신기술과 영화의 관계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검토하고, 영화와 불교의 호혜적 발전이 라는 맥락에서 불교와 영화의 소통 방식을 논의하였다. 선행연구들에 대한 검토 결과 불교와 영화의 관계 방식을‘불교=콘텐츠, 영화=미디어’라는 관점으로 이해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이 영화의 제작과 유통, 소비에 이르는 모든 과정에 심대한 변화를 초래 했음을 확인하였다. 이어서 디지털시대에 있어서 불교와 영화의 소통 방식을 다음과 같이 제 시하였다. 첫째, 불교문화콘텐츠의 발굴에 더욱 힘쓰고, 이를 활용하기 위해 불교 코드 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불교적 이미지와 영화적 상상을 결합해야 한다. 셋째, 불교영화의 안정적인 제작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소셜 펀딩을 활용한 제작비 모금 방식을 도입하고, 불교계의 화주 문화를 새롭게 정립하 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 또한 소셜 펀딩에 참여한 불자 커뮤니티를 조직화하 고, 마케팅과 홍보를 위해 적극 활용해야 한다. 넷째, 불교텔레비전과 불교 계의 인터넷 TV 및 IPTV, 사찰영화제 등 불교영화가 소비될 수 있는 창구 를 다양화함으로써 수익 창출 기회를 만들어야 한다. 다섯째, UCC와 참여 영상을 통해 불교를 바로 알리고 불교계의 자기성찰을 모색해야 한다. 이와 함께 현재 시점에서 불교계와 불교영화는 영화산업 전체와 마주하기 보다는 소규모의 독립적 불교영화들을 불교계 내부에서 제작하고 유통시키 고 소비하면서 다양한 불교문화콘텐츠를 확보하고, 그 중에서 상업적 성공 을 거둘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마지막으로 이 논문이 불교계의 관점에서 불교와 영화의 호혜적 발전방안 을 모색하는 시론적이고 실천적인 연구임을 밝혔다. 특히 제작비 조달과 새 로운 영화 소비 방법의 제시를 통해 영화 제작 과정에서 불교의 새로운 역할 을 제안하고, 영화를 통해 불교계의 자기성찰 가능성을 드러냄으로써 불교 계가 영화를 활용하는 새로운 방법을 모색했다는 점에서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This paper discusses the communication of Buddhism and film in the digital age. First, a review of previous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uddhism and film, an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nd the film. Then discussed the communication of Buddhism and film in the context of the reciprocal development of Buddhism and film. Prior research had to understand how the relationship between Buddhism and film in terms of‘ content=Buddhism, film=media’.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were identified that result in profound changes in every process, from the creation and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of film. In the digital age, it presented the communication methods of Buddhism and the film as follows: First, spend more strength to dig a Buddhist cultural contents, the Buddhist code development is required in order to use them. Second, utilize social funding in order to provide a stable productionbased of Buddhist film, and should make an opportunity to establish a new culture of Buddhist fundraising. In addition to organizing the Buddhist community participation in social funding, it should be leveraged for marketing and promotion. Third, we need to combine Buddhist images and cinematic imagination. Fourth, immediately inform Buddhism and should seek the self-reflection of the Buddhist community through a UCC and participatory video. Fifth, we need to create revenue opportunities by diversifying the way in which the film has been consumed such as Internet TV, IPTV, Buddhist television and temple festivals, etc. Buddhism and Buddhist film should be produced, distributed, consumpted the small and independent cinema in Buddhist community. So, it should ensure a wide range of Buddhist cultural content. Then they should find a possibility to achieve commercial success. Finally, this paper presents the Buddhist community's role in the film making process and a new film uses. The former are a new film consumption and financing method, the latter is that revealed the possibility of a Buddhist community’s self-reflection through films.

      • KCI등재

        冯小刚电影《天下无贼》中的佛教思想

        유영 한국중문학회 2022 中國文學硏究 Vol.- No.88

        Director Feng Xiaogang’s film A World Without Thieves is the first Chinese film that successfully borrows from the Hollywood melodrama model and combines marketability and commercialism with Buddhist elements. Moreover, it is a film with the small potato and ordinary people as the subject of salvation, which is universal. The film falls into the broad perspective of integrating Buddhist thoughts into the contemporary social context as a Buddhist film with realistic themes. The film is filled with various Buddhist symbols such as Buddha statues, Xiang Mo Chu, rituals, and Labrang Monastery. This paper takes the film “A World Without Thieves” as the object of study, and examines the Buddhist thoughts embodied in the film from the theme,characters and architecture. The theme of the film connotes the good and evil ethics of Buddhism, the idea of meditation, the concept of life and other Buddhist thoughts. The main characters Wang Bo, Wang Li and Sha Gen show the Buddhist thoughts of “tathagata-garbha”, “punitive justice”, “giving” and “animal concept” etc. The background image of the film’s title is a fresco from the south wall of Cave 57 in the Mogao Caves at Dunhuang. The background image features Amitabha Buddha, Arya Avalokiteshvara, Mahasthamaprapta, and two disciples, one old and one young. Among them, Amitabha Buddha is in charge of the Western Paradise, while Arya Avalokiteshvara and Mahasthamaprapta embody the Buddhist idea of the Four Unlimited Hearts. Moreover, as an important filming location of the movie, Labrang Monastery, the “Jacob’s Ladder” scene shown in the movie can reflect the spatial view of Buddhism, and the mandala pattern on the Buddhist temple can reflect the cosmic view of Buddhism. The Buddhist thoughts in the movie can not only enlighten the characters in the movie, but also enlighten the movie viewers, with practical and social significance.

      • KCI등재

        Chronological/Thematic Groupings of South Korean Buddhist Films

        Ven. Seongwon, Chanju Mun(성원스님,문찬주) 보조사상연구원 2017 보조사상 Vol.46 No.-

        필자는 본 논문에서 한국에서 1927년에서 2013년까지 만들어진 불교장편영화와 다큐멘터리 105편을 여덟 시기로 분류하였고, 그 기간 동안 만들어진 불교단편영화와 TV 드라마들 은 본 논문에서 다루어지 않았다. 필자는 3편의 필름들을 일제 강점기인 첫째 시기에, 7편의 필름들을 해방 이후 4.19 혁명 이전인 둘째 시기에, 17편 필름들을 박정희 군사 독재 정권 전반부 (1960년대)인 세째 시기에, 18편의 필름들을 동일한 정권의 후반부 (1970년대)인 네째 시기에, 6편 필름 들을 전두환 군사 독재정권 (1980-88) 인 다섯째 시기에, 13편 필름들을 반독재 반민주 정권의 성격을 지닌 노태우 정권 (198893) 인 여섯째 시기에, 10편 필름들을 민주정권 (1993-99) 기간인 일곱번째 시기에, 그리고 31편 필름들을 가장 최근(2000-13)인 여덟번째 시기에 분류하였다. 필자는 또한 본 논문에서 영화학자 또는 불교(종교)학자들인 박종천, 신광철, 최원섭와 존 왈렌-브리쥐를 포함한 여섯명의 전문가들에 의해서 이루어진 선행 연구에 기반하여 한국불교 필름들을 11개 주제로 분류하였고, 필요할 경우 하나의 필름을 한개 주제 이상으로 분류하였다. 필자는 호국불교를 주제로 만들어진16편 필름들을 첫번째 주제로, 효도를 주제로 만들어진 5편 필름들을 두번째 주제로, 불교수행을 주제로 만들어진 15편 필름들을 세번째 주제로, 전설과 설화를 주제로 만들어진 13편 필름들을 네번째 주제로, 코메디와 무술영화 를 혼합한 3편 필름들을 다섯번째 주제로, 역사적 인물을 주제로 만들어진 10편 필름들을 여섯번째 주제로, 불교 텍스트 내용을 많이 포함하는 38편 필름들을 일곱번째 주제로, 근대 소설에 근거한 31편 필름들을 여덟번째 주제로, 업, 윤회 그리고 환생을 주제로 만들어진 14편 필름들을 아홉번째 주제로, 5편 공상과학영화들을 열번째 주제로, 그리고 각종 사회 이슈를 주제로 다룬 6편 필름들을 열한번째 주제로 분류하였다. This article categorizes 105 Buddhist feature movies and documentary films, excluding Buddhist short films and TV dramas, from 1927 to 2013 in the eight periods, (1) 3 films in the colonial period (1910-1945), (2) 7 films from liberation in 1945 to the April 19 Revolution in 1960, (3) 17 films in the earlier part of Park Chung-hee’s (Bak Jeonghui) (1917-1979) military dictatorship (1961-1979), (4) 18 films in the later period of his regime in the 1970s, (5) 6 films during Chun Doo-hwan’s (Jeon Duhwan) (b. 1931) military dictatorial regime (1980-1988), (6) 13 films for Roh Tae-woo’s (No Tae’u) (b. 1932) semi-democratic and semi-dictatorial regime (1988-1993), (7) 10 films from 1993 to 1999 under the democratic governments, and (8) 31 films from the year 2000 and so on. It examines thematic groupings of Buddhist films by Buddhist (religious) scholars and film critics, and attempts to define themes in films. By incorporating thematic classifications by six specialists in religion and film including Park Jongcheon, Sin Gwangcheol, Choe Wonseop and John Whalen-Bridge, it groups 105 films sometimes interchangeably in eleven themes, (1) 16 films that include the theme of state protectionism, (2) 5 films that include the theme of filial piety, (3) 15 films that include themes related with Buddhist practices, (4) 13 films that include legends and fables, (5) 3 martial arts/comedy films, (6) 10 films that introduce historical figures, (7) 38 films that heavily contain the contents of Buddhist texts, (8) 31 films based on modern novels, (9) 14 films that include themes such as karma, retribution and reincarnation, (10) 5 science fiction fantasy films, and (11) 6 films that discuss social issues such as interfaith cooperation, class discrimination, reunification, human rights, and the environment.

      • KCI등재

        Chronological/Thematic Groupings of South Korean Buddhist Films

        문찬주 보조사상연구원 2016 보조사상 Vol.46 No.-

        This article categorizes 105 Buddhist feature movies and documentary films, excluding Buddhist short films and TV dramas, from 1927 to 2013 in the eight periods, (1) 3 films in the colonial period (1910-1945), (2) 7 films from liberation in 1945 to the April 19 Revolution in 1960, (3) 17 films in the earlier part of Park Chung-hee’s (Bak Jeonghui) (1917-1979) military dictatorship (1961-1979), (4) 18 films in the later period of his regime in the 1970s, (5) 6 films during Chun Doo-hwan’s (Jeon Duhwan) (b. 1931) military dictatorial regime (1980-1988), (6) 13 films for Roh Tae-woo’s (No Tae’u) (b. 1932) semi-democratic and semi-dictatorial regime (1988-1993), (7) 10 films from 1993 to 1999 under the democratic governments, and (8) 31 films from the year 2000 and so on. It examines thematic groupings of Buddhist films by Buddhist (religious) scholars and film critics, and attempts to define themes in films. By incorporating thematic classifications by six specialists in religion and film including Park Jongcheon, Sin Gwangcheol, Choe Wonseop and John Whalen-Bridge, it groups 105 films sometimes interchangeably in eleven themes, (1) 16 films that include the theme of state protectionism, (2) 5 films that include the theme of filial piety, (3) 15 films that include themes related with Buddhist practices, (4) 13 films that include legends and fables, (5) 3 martial arts/comedy films, (6) 10 films that introduce historical figures, (7) 38 films that heavily contain the contents of Buddhist texts, (8) 31 films based on modern novels, (9) 14 films that include themes such as karma, retribution and reincarnation, (10) 5 science fiction fantasy films, and (11) 6 films that discuss social issues such as interfaith cooperation, class discrimination, reunification, human rights, and the environment.

      • KCI등재

        자유주제 : 중생구제와 자기실현의 불교영화 -1980년대 이후의 작품을 중심으로-

        박민영 ( Min Young Park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5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47

        1980년대 이후에 발표된 한국 불교영화는 ‘중생구제’와 ‘자기실현’이 라는 두 가지 관점으로 살펴볼 수 있다. 중생구제와 자기실현은 깨달음을 지향하는 구도의 방법이라는 점에서 서로 맞물려 있다. 한국의 불교 영화는 이 두 주제를 변주하면서 발전하는데, 특히 중생구제를 통한 구도는 1980년대 암울했던 사회 분위기 속에서 불교의 존재의의를 다시금성찰하게 했다. 2장에서는 중생구제의 불교영화로서 임권택 감독의 영화 <만다라>와 <아제 아제 바라아제>를 살펴봤다. 영화 <만다라>는 법운과 파계승 지산의 대조적인 삶을 통해 진정한 깨달음이란 무엇인가라는 물음에 대한 해답을 진지하게 모색한다. 영화 <아제 아제 바라아제>는 중생구 제라는 주제를 한층 더 심화시킨 작품이다. 진성이 오로지 참선과 만행 으로써 깨달음을 얻고자 한다면, 순녀는 사랑과 베풂으로써 고통 받는 중생을 구제하고자 한다. 3장에서는 자기실현의 불교영화로서 배용균 감독의 <달마가 동쪽으로 간 까닭은?>과 배창호 감독의 <꿈>을 살펴봤다. 한국 불교영화의 주류를 이루던 중생구제의 주제는 1989년에 제작된 영화 <달마가 동쪽으로 간 까닭은?>을 전환점으로 깨달음과 자기실현 쪽으로 기울어졌다. 이 영화에서 배용균 감독은 불교라는 종교를 매개로 인간의 내면세계를 탐구하고자 했다. .삼국유사.의 조신 설화를 바탕으로 한 영화 <꿈>은 구도자의 자기실현 과정을 단계적으로 보여준 작품이다. 중생구제의 불교영화가 승과 속의 갈등 가운데서 중생과 더불어 고뇌하며 깨달음을 구했다면, 자기실현의 불교영화는 보다 개인적인 관점에서 인간 본연의 내면적인 문제에 집중했다. 일반적으로 중생구제의 영화는 불교라는 범주 안에서 공감을 공유하지만, 자기실현의 영화는 종교적 범주를 뛰어넘는 보편적 공감을 지향한다. 이렇게 한국의 불교 영화는 이웃과 더불어 깨달음을 실천하거나, 종교를 매개로 내면의 세계를 탐구하는 경향으로 심화 발전되고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Korean Buddhist films released since the 1980s from the two perspectives: relief of beings and self-realization. These two are interconnected in that both are the ways to seek after truth to reach enlightenment. Korean Buddhist films have developed, pivoting on these two themes. Seeking after truth through relief of beings, in particular, shed a light on the dark age of the 1980s, highlighting the social significance of Buddhism. Chapter Two looks at the director Im Kown-Taek’s Mandala (1981) and Come Come Come Upward (1989) as Buddhist films. The Movie Mandala tries to find the answers to the question, What is true enlightenment? by contrasting Beob-wun and a apostate named Jisan. Another film by Im Kwon-Taek, Come Come Come Upward, explores the theme, the relief of beings, with more depth. In the movie, Jinsung tries to reach enlightenment only through meditation and actions while Soonye tried to relieve all the suffering beings by giving love. Chapter Three addresses Bae Yong-Kyun’s Why Has Bodhi-Dharma Left for the East (1989) and Bae Chang-Ho’s The Dream (1990). Why Has Bodhi-Dharma Left for the East marked a turning point in the mainstream Korean films, by changing the trend from the relief of beings to enlightenment and self-realization. In this movie, Bae Yong-Kyun tries to explore human inner world through the medium of religion. On the other hand, The Dream depicts the process of a seeker’s self-realization stage by stage, based on a legend titled “Jo Shin’s Story” from 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Samgungnyusa). While the Buddhist films on the relief of beings seek enlightenment in the midst of the conflicts between holiness and secularity, those on self-realization have assumed individualistic point of view and focus on human intrinsic qualities in light of individualism. That is, while the movies on the relief of beings put forward with empathy inside Buddhism, those on self-realization pursue universal empathy that goes beyond a religious category. Since these movies, Korean films have developed to explore inner world through the medium of religions while living with neighbors and putting enlightenment into practice.

      • KCI등재

        중생구제와 자기실현의 불교영화 - 1980년대 이후의 작품을 중심으로 -

        박민영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5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47

        This study examines the Korean Buddhist films released since the 1980s from the two perspectives: relief of beings and self-realization. These two are interconnected in that both are the ways to seek after truth to reach enlightenment. Korean Buddhist films have developed, pivoting on these two themes. Seeking after truth through relief of beings, in particular, shed a light on the dark age of the 1980s, highlighting the social significance of Buddhism. Chapter Two looks at the director Im Kown-Taek’s Mandala (1981) and Come Come Come Upward (1989) as Buddhist films. The Movie Mandala tries to find the answers to the question, What is true enlightenment? by contrasting Beob-wun and a apostate named Jisan. Another film by Im Kwon-Taek, Come Come Come Upward, explores the theme, the relief of beings, with more depth. In the movie, Jinsung tries to reach enlightenment only through meditation and actions while Soonye tried to relieve all the suffering beings by giving love. Chapter Three addresses Bae Yong-Kyun’s Why Has Bodhi-Dharma Left for the East (1989) and Bae Chang-Ho’s The Dream (1990). Why Has Bodhi-Dharma Left for the East marked a turning point in the mainstream Korean films, by changing the trend from the relief of beings to enlightenment and self-realization. In this movie, Bae Yong-Kyun tries to explore human inner world through the medium of religion. On the other hand, The Dream depicts the process of a seeker’s self-realization stage by stage, based on a legend titled “Jo Shin’s Story” from 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Samgungnyusa). While the Buddhist films on the relief of beings seek enlightenment in the midst of the conflicts between holiness and secularity, those on self-realization have assumed individualistic point of view and focus on human intrinsic qualities in light of individualism. That is, while the movies on the relief of beings put forward with empathy inside Buddhism, those on self-realization pursue universal empathy that goes beyond a religious category. Since these movies, Korean films have developed to explore inner world through the medium of religions while living with neighbors and putting enlightenment into practice. 1980년대 이후에 발표된 한국 불교영화는 ‘중생구제’와 ‘자기실현’이라는 두 가지 관점으로 살펴볼 수 있다. 중생구제와 자기실현은 깨달음을 지향하는 구도의 방법이라는 점에서 서로 맞물려 있다. 한국의 불교영화는 이 두 주제를 변주하면서 발전하는데, 특히 중생구제를 통한 구도는 1980년대 암울했던 사회 분위기 속에서 불교의 존재의의를 다시금 성찰하게 했다. 2장에서는 중생구제의 불교영화로서 임권택 감독의 영화 <만다라>와 <아제 아제 바라아제>를 살펴봤다. 영화 <만다라>는 법운과 파계승 지산의 대조적인 삶을 통해 진정한 깨달음이란 무엇인가라는 물음에 대한 해답을 진지하게 모색한다. 영화 <아제 아제 바라아제>는 중생구제라는 주제를 한층 더 심화시킨 작품이다. 진성이 오로지 참선과 만행으로써 깨달음을 얻고자 한다면, 순녀는 사랑과 베풂으로써 고통 받는 중생을 구제하고자 한다. 3장에서는 자기실현의 불교영화로서 배용균 감독의 <달마가 동쪽으로 간 까닭은?>과 배창호 감독의 <꿈>을 살펴봤다. 한국 불교영화의 주류를 이루던 중생구제의 주제는 1989년에 제작된 영화 <달마가 동쪽으로 간 까닭은?>을 전환점으로 깨달음과 자기실현 쪽으로 기울어졌다. 이 영화에서 배용균 감독은 불교라는 종교를 매개로 인간의 내면세계를 탐구하고자 했다. 『삼국유사』의 조신 설화를 바탕으로 한 영화 <꿈>은 구도자의 자기실현 과정을 단계적으로 보여준 작품이다. 중생구제의 불교영화가 승과 속의 갈등 가운데서 중생과 더불어 고뇌하며 깨달음을 구했다면, 자기실현의 불교영화는 보다 개인적인 관점에서 인간 본연의 내면적인 문제에 집중했다. 일반적으로 중생구제의 영화는 불교라는 범주 안에서 공감을 공유하지만, 자기실현의 영화는 종교적 범주를 뛰어넘는 보편적 공감을 지향한다. 이렇게 한국의 불교영화는 이웃과 더불어 깨달음을 실천하거나, 종교를 매개로 내면의 세계를 탐구하는 경향으로 심화 발전되고 있다.

      • KCI등재

        한국 불교 영화에서의 승려 캐릭터 변화 연구-2000년대 이후 영화를 중심으로

        박정민(구담)(Park Jung Min(Gudam)) 동국대학교 영상문화콘텐츠연구원 2019 영상문화콘텐츠연구 Vol.17 No.-

        오늘날 현대 영화의 추세는 이야기 중심의 전달보다는 시청각 이미지의 연결을 통해 내러티브를 확장해나가는 식의 전달 방식을 중요하게 여기고 있다. 이에 따라 오랜 전통문화의 콘텐츠를 간직한 불교에서도 갈수록 대중들과의 소통과 공감을 위해 시각적 효과의 영상매체를 이용한 이야기의 활용에 관심을 높여가고 있다. 이러한 현대적 정서에 부응하기 위해 현재 불교영화에서 꼭 필요한 과제로 주인공 캐릭터에 관한 연구와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지금까지 서사를 위주로 한 주제의식에 집중하였다면 이제부터는 승려의 캐릭터에 대해서 깊은 논의가 진행되어야 한다. 이러한 승려의 캐릭터는 한국 불교영화의 수작이라고 평가하는 1981년 〈만다라〉에서 승려의 번뇌와 일탈로 정점을 찍고 한동안 침체기를 겪은 뒤 장르영화의 발전과 함께 2001년 〈달마야 놀자〉 이후, 〈봄 여름 가을 겨울 그리고 봄, 2003년〉, 〈신과 함께 1 죄와 벌, 2017년〉 등 여러 영화들에서 다양한 승려 캐릭터의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는 갈수록 플롯 보다는 캐릭터에 집중되는 현대시대의 영화 흐름을 반영하여 과거 불교영화의 사례를 기초로 한 승려 캐릭터의 해석과 활용을 참고하고, 2000년 이후 불교영화 속에서 캐릭터가 어떠한 기능과 역할을 수행했었는지 살펴봄으로써 앞으로 대중과의 정서적 공감을 위해 승려 캐릭터가 어떻게 발전해야 하는지 고찰하고자 한다. The trend of contemporary film today is that it took as important the delivery method of expanding the narrative through the connection of audiovisual image rather than story‐based delivery. Thus, in Buddhism, for communication and empathy with the public, it increases paying attention to utilize a story using visual media of visual effects as time goes on. To respond to these modern sentiments, research and development of the main character is required in the Buddhist film. From now on, the discussion in depth of the character of the monk should proceed. These characters of monks peaked in 1981, “Mandala”, which is regarded as a masterpiece of Korean Buddhist films, with the monks" defiance and deviance.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genre films, since the film, “Let"s Play, Dharma” in 2001, there has been a change of various monk characters in various films such as “Spring Summer Autumn Winter and Spring” in 2003, “Together with God 1 Sin and Punishment” in 2018. By reflecting the film flow of the modern age which is focused on character rather than plot, referring to interpretation and use of monk characters based on cases of Buddhist films in the past, and exploring what role and function the monk characters have performed in Buddhist films since 2000,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how the monk"s character should develop for emotional empathy with the public in the future.

      • KCI등재

        불교영화에 나타난 ‘죽음’의 인식

        한성열(韓聖烈)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20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85 No.-

        본고는 삶과 죽음의 문제가 하나라는 관점에서 출발한다. 죽음 이후 존재의 실상을 찾기 위한 노력에 대한 해답은 요원(遙遠)하다. 그래서 보다 쉬운 방법으로 생사의 문제에 접근하는 방법을 찾고자 한다. 어려운 불교의 교리나 사상을 영화(映畵)로 쉽게 전달할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영화 중 우리에게 잘 알려진 몇 편의 불교영화를 선정하여 그 속에 나타난 불교의 죽음 의식을 검토하였다. 현대의 불교는 영화와 같은 문화콘텐츠를 통해 깨달음의 진리를 전파하여 대중을 제도할 수 있다. 불교영화에 나타난 죽음의식이 대중들에게 어떻게 인식되고 있는지를 정리해 보면 첫째, 죽음의 문제는 불교라는 특정 종교와 매우 밀접한 것으로 서술되고 있다. 둘째, 한국불교영화에서 재현된 죽음관은 서양에서 바라보는 죽음에 대한 태도에 가깝다. 셋째, 경외롭고 초월적인 것으로서의 죽음을 재현하고 있다. 넷째, 장르영화로서의 불교영화가 성립되기 위한 존재조건으로 죽음이 등장하고 있다. This thesis starts from the perspective in which the matter of life and death is one. The answer to the efforts for finding the truth of existence after death is remote. Thus, this thesis aims to find an easier method to approach the matter of life and death. Based on the idea of easily delivering difficult doctrines or thoughts of Buddhism through films, this thesis selected several wellknown Buddhist films, and then reviewed the Buddhist perception of death shown in them. The modern Buddhism could save the public by spreading the truth of enlightenment through cultural contents like films. Summarizing the popular perception of death shown in Buddhist films, first, the matter of death is described as something very close to a specific religion which is Buddhism. Second, the view of death represented in Korean Buddhist films is close to the Western attitude toward death. Third, the death is represented as something awe-inspiring and transcendent. Fourth, the death is appearing as an existential condition for validating Buddhist films as genre fil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