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변 Break를 이용한 코퍼스 기반 일본어 음성 합성기의 성능 향상 방법

        나덕수,민소연,이종석,배명진,Na, Deok-Su,Min, So-Yeon,Lee, Jong-Seok,Bae, Myung-Jin 한국음향학회 2009 韓國音響學會誌 Vol.28 No.2

        Text-to-speech 시스템에서 입력 텍스트로부터 운율 정보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운율구 경계, 음소 지속시간, 기본주파수 포락선 설정의 3가지 기본적인 모듈이 필요하다. Break 인덱스 (BI; Break Index)는 합성기에서 운율구의 경계를 나타내고, 자연스러운 합성음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BI를 정확히 예측하여야 한다. 그러나 BI는 문장의 의미나 화자의 읽기 습관(reading style)에 따라 임의적으로 결정되는 경우가 많아 정확한 예측이 매우 어렵다. 특히 일본어 합성기에서는 악센트 구 경계 (APB; Accentual Phrase Boundary)와 major phrase 경계 (MPB; Major Phrase Boundary)의 정확한 예측이 어렵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APB와 MPB 예측 오류를 보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BI를 고정 break (FB; Fixed Break)와 가변 break (VB; Variable Break)로 분류하여 합성단위 선택을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BI는 한번 생성되면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BI가 잘못 생성된 경우 최적의 합성음을 생성할 수 없게 되는데, VB는 생성된 BI와 그것과 유사한 BI를 함께 이용하여 합성단위 선택을 수행함으로써 합성음의 BI가 생성된 BI와 다를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APB와 MPB에 해당하는 BI에 대하여 VB인지 FB인지 CART(Classification and Regression Tree)를 이용하여 예측하고, VB인 경우 기본 주파수와 음소 지속시간에 대해 다중 운율 모델을 생성하여 합성단위 선택을 수행하였다. MOS 테스트 결과 원음이 4.99, 제안한 방법을 4.25, 기존의 방법은 4.01로 합성음의 자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In text-to-speech systems, the conversion of text into prosodic parameters is necessarily composed of three steps. These are the placement of prosodic boundaries. the determination of segmental durations, and the specification of fundamental frequency contours. Prosodic boundaries. as the most important and basic parameter. affect the estimation of durations and fundamental frequency. Break prediction is an important step in text-to-speech systems as break indices (BIs) have a great influence on how to correctly represent prosodic phrase boundaries, However. an accurate prediction is difficult since BIs are often chosen according to the meaning of a sentence or the reading style of the speaker. In Japanese, the prediction of an accentual phrase boundary (APB) and major phrase boundary (MPB) is particularly difficult. Thus, this paper presents a method to complement the prediction errors of an APB and MPB. First, we define a subtle BI in which it is difficult to decide between an APB and MPB clearly as a variable break (VB), and an explicit BI as a fixed break (FB). The VB is chosen using the classification and regression tree, and multiple prosodic targets in relation to the pith and duration are then generated. Finally. unit-selection is conducted using multiple prosodic targets. In the MOS test result. the original speech scored a 4,99. while proposed method scored a 4.25 and conventional method scored a 4.01.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improves the naturalness of synthesized speech.

      • KCI등재

        한국 경제변수에 대한 자기회귀 및 벡터자기회귀 모형의 예측성과 비교

        이진희,김덕파 한국은행 2014 經濟分析 Vol.20 No.4

        We compare out-of-sample forecasting performance across 94 forecasting models for Korean interest rate, growth rate, and inflation rate. They are 80 standard autoregressive and vector autoregressive models and 14 average forecast models based on the 80 standard models. The standard models differ in five aspects: (i) in the form of included variables (level/difference), (ii) in the way to set up estimation samples (recursive/rolling), (iii) in the timing and rule of lag order selection (once at the beginning/every period, AIC/BIC), (iv) in the estimation method (OLS/Bayesian) and (v) in the construction of multi-step ahead forecasts (iterative/direct projection). For the forecast of interest rate, Bayesian vector autoregressions using the variables in level and average forecast models are superior. For the forecast of growth rate, average forecast models are superior overall while autoregressive models tend to be better than vector autoregressive models. For the forecast of inflation rate, models with a recursive window show better performance. 본고는 한국의 이자율, 경제성장률 및 인플레이션율을 자기회귀 및 벡터자기회귀 모형을 이용하여 예측하고 그 예측성과를 비교하였다. 총 94개의 모형이 고려되었으며, 이들은 변수의 처리(수준/차분), 추정표본의 설정(구간이동/확장), 시차항의 차수를 결정하는 시점(예측원년/매 예측시점) 및 기준(AIC/BIC), 추정방법(최소자승/베이지언), 예측치의 구성방법(축차예측/직접예측) 등을 상이하게 설정하는 80개의 자기회귀 및 벡터자기회귀 모형과 동 80개 모형을 결합하여 얻어지는 14개 결합모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분석결과, 이자율의 예측은 수준변수에 베이지언 벡터자기회귀를 적용하는 모형들과 결합예측 모형들이 우수한 예측성과를 보였다. 경제성장률의 예측은 결합예측모형들이 우수한 예측성과를 보였으며 개별 모형 중에서는 벡터자기회귀 모형보다는 자기회귀 모형의 예측치가 우수하였다. 인플레이션율은 구간확장법을 이용하는 경우의 예측치가 우수하였다.

      • KCI등재

        최근 고용현황과 고용전망 모형을 이용한 예측

        이천우,김상봉 사단법인 한국신용카드학회 2019 신용카드리뷰 Vol.13 No.3

        This paper aims to present a short-term prediction model that taps into Break OLS as a tool for predicting future employment and changes to it and predict the employment in second half of 2019. Break OLS, which is an analytical method that merges the sequential determination method which identifies breakpoi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take into account the changes in the trend or structural changes which empirically influence the parameter.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breakpoint in the number of employed people were Q4 2004 and Q2 2010, and in the third regime(Q2 2010 to Q2 2019), economic growth and average wage level had statistically non-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to the number of employed people. Meanwhile, the CPI(Consumer Price Index) and the population 15 years & over, which are not influenced by breakpoint had each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and positive(+) relationship. Lastly, the study shows that the monthly average number of employed people in second half of 2019, which is predicted with the short-term prediction equation, will increase by 274,000 people from the second half of 2018. 본 연구는 향후 고용상황과 그 변동을 예측하기 위한 도구로써 Break OLS를 활용한 단기예측 모형을 제시하고, 이를 통해 2019년 하반기 고용상황을 예측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Break OLS는 전환점을 도출하는 순차적 결정방법과 다중회귀분석을 접목시킨 분석방법으로써 모수에 경험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추세의 변화나, 구조적 변화를 고려할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취업자 수의 국면전환 시점은 2004년 4분기와 2010년 2분기로 나타났으며, 3번째 국면(2010년 2분기~2019년 2분기)에서 경제성장률과 평균임금은 취업자 수에 유의하지 않은 음(-)의 관계가 나타났다. 반면, 국면전환에 영향을 받지 않는 소비자물가지수와 15세이상인구는 각각 유의한 음(-)과 양(+)의 관계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단기예측 방정식을 통해 예측한 2019년 하반기 월평균 취업자 수는 2018년 하반기보다 27만 4천명 증가할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Optimal Pipe Replacement Analysis with a New Pipe Break Prediction Model

        Park, Suwan,Lognathan, G.V. 대한상하수도학회 2002 상하수도학회지 Vol.16 No.6

        A General Pipe Break Prediction Model that incorporates linear and exponential models in its form is developed. The model is capable of fitting pipe break trends that have linear, exponential or in between of linear and exponential trend by using a weighting factor. The weighting factor is adjusted to obtain a best model that minimizes the sum of squared errors of the model. The model essentially plots a best curve (or a line) passing through "cumulative number of pipe breaks" versus "break times since installation of a pipe" data points. Therefore, it prevents over-predicting future number of pipe break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exponential model. The optimal replacement time equation is derived by using the Threshold Break Rate equation by Loganathan et al. (2002).

      • KCI등재

        상수관로의 경제적 교체시기를 산정하기 위한 통계적 방법론

        박수완 한국수자원학회 2009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42 No.6

        본 논문에서는 상수관로의 파손자료를 이용하여 관로의 위험률을 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비례위험모형의 관로의 순차적 파손시간 예측정확도를 분석하고 이를 이용하여 관로의 경제적 교체 시간구간을 산정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비례위험모형에 기초한 생존함수를 이용하여 연구대상 관로들의 순차적 파손시간을 예측하고 이들을 기록된 파손시간과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비례위험모형의 파손시간 예측 오차를 최소화하는 생존확률은 0.70인 것으로 결정되었으며 This paper proposes methodologies for analyzing the accuracy of the proportional hazards model in predicting consecutive break times of water mains and estimating the time interval for economical water main replacement. By using the survival functions tha

      • KCI등재
      • KCI등재

        알루미늄 5083의 피로균열 진전에 따른 수명예측 및 비파괴평가

        남기우(KI-WOO NAM) 한국해양공학회 2001 韓國海洋工學會誌 Vol.15 No.2

        Fatigue life and nondestructive evaluation were examined experimentally using surface crack specimen and compact tension specimen of 5083 aluminium alloy. Acoustic emission signals emanated during local failure of aluminum alloys has been the subject of numerous investigations. Possible sources of AE during deformation have been suggested as the dislocations, fracture of brittle particles and debonding of these particles from the alloy matrix. Fatigue life and penetration behavior of long surface crack can be evaluated quantitatively using K values proposed by authors. The influence of stress ratio on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AE signals were investiga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