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베르그송 철학에서 직관의 위치

        김윤제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과문화연구소 2010 철학과 문화 Vol.20 No.-

        이 글의 목적은 베르그송의 철학에서 직관이 갖고 있는 고유함을 드러내는 것이다. 잘 알려져 있듯, 베르그송의 철학은 이전의 철학이 시간을 공간화를 통해 파악한 것을 비판하며, 이에 대해, ‘지속’이라는 실재적 시간을 회복을 시도하는 철학이라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베르그송의 지속에 대해 숙고하고자 할 때, 지속에 어떻게 도달할 수 있는지에 대한 물음이 제기된다. 베르그송에 따르자면, 지속은 그 자체가 순수한 운동이며 변화이고, 그렇기에 이질적인 것들 자체이다. 따라서 지속은 그것의 외부를 돌면서는 파악될 수 없으며, 이러한 접근은 오히려 실재적 시간으로서 지속을 다시금 공간화 시켜버릴 뿐이다. 베르그송의 직관이 갖는 독특성은 이러한 철학적 숙고에서 드러난다. 여기서 우리는 베르그송의 직관이 갖는 독특함을 철학사적 접근을 통해, 특히 세계의 인식에 집중했던 근대철학자들이 직관을 어떻게 파악해왔는지, 그리고 그들의 입장에 대한 베르그송의 전반적인 비판은 무엇인지를 검토하면서 그 독특함을 드러내고자 한다. 이러한 비판은 자연스럽게 지성과 직관의 관계로 이끌린다. 이전의 철학자들이 시간을 파악함에 있어서 비번하게 사요했던 방식은 모든 것을 공간화시키는 지성에 의한 것이기 때문이다. 베르그송에게 있어 지성은 제작인(homo faber)으로서 인간을 잘 드러내는 역능이다. 지성은 인간의 생존을 도우며, 도구의 제작을 통해 인간을 물질의 지배자로 만든다. 사실 지성은 유용성에 입각해 있으며, 베르그송은 이러한 지성은 지속을 파악하기 위해 그것을 자신에게 용이하게 바꾸고자 하며 이러한 결과가 지속의 공간화라 본다. 지성과 달리 직관은 무관심한 본능이며, 지속에 직접 침투하는 것이다. 직관은 항상 운동하여, 변화하는, 그리고 이질성인 지속에 직접 닿는 것이기에 섬세의 역능이다. 결국 지속에 침투하는 직관을 자신의 철학에 있어 주요한 위치에 정립하면서 베르그송의 철학은 총체적인 경험주의, 미래성을 향한 철학이라는 고유한 특징을 드러낸다. 그리고 이야말로 베르그송의 철학 내에서 직관이 갖는 함축이다. A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manifest a characteristic of the intuition in Bergson's philosophy. As well known, Bergson's philosophy criticizes a former philosophy that grasps the time by spatializing the time. On the contrary, it is a philosophy that attempts to restore the duration(la durée) as a real time. But when we try to consider the duration, it makes a problem. 'How can we reach to the duration?" According to Bergson, the duration is pure movement, pure variation, so that it is the heterogeneous itself. For tills reason, the duration is not grasped by going around the outside of it, and it just spatializes again the duration. A characteristic of the intuition in Bergson's philosophy appears this philosophical deliberation. In this article, this characteristic will be manifested by the historical access of philosophy. Especially we will see a notion of intuition of some modern philosophers who concentrate on the cognition of the world, and Berson's critique to them. This critique is leaded to the relation between the intelligence and the intuition. To cognize the time, former philosophers use the intelligence what spatializes everything. On Bergson's philosophy, the intelligence is capability that makes homo faber of human. It helps human to survive, it makes a dominator of human. The intelligence in fact, is based on the utility, Bergson understands this intelligence as a agency of the spatializing of time, because it easily modifies the duration for grasp of the duration. Unlike the intelligence, the intuition is an disinterested instinct, it permeates directly the duration. And it reaches the duration that always moves, changes, so that it is capability of fineness. After all, to posing the intuition what permeates the duration for a principal position, the philosophy of Bergson manifests the integral empiricism and the philosophy toward futurity as proper characters. And this is the philosophical implication of the intuition in Bergson's philosophy.

      • KCI등재

        베르그손의 자연관에서 본 생태학적 예술의 잠재성

        김성하 ( Sung Ha Kim ) 한국미학예술학회 2013 美學·藝術學硏究 Vol.39 No.-

        본 논문은 베르그손(Henri Bergson)의 자연관에서 생태학적 철학관을 도출하여 생태학적 패러다임으로의 전환을 예술로서 사유한다. 이러한 사유의 개진은 베르그손의 창조적 진화의 자연관과 생성의 과정으로서의 예술, 즉 <콜라주 기계(Collage Machine)>을 통하여 생태학적 대안예술을 모색하고, 이러한 흐름 속에서 예술의 존재 의미를 재정의 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창조적 진화의 관점에서 본 베르그손의 생태학적 자연관은 궁극적으로 모든 존재에 자유의 근거를 확립하고자 하는 철학적 기획이다. 베르그손의 이러한 의도는 결국 모든 존재 자체의 긍정을 의미하며, 이러한 모든 존재의 긍정은 생태학적 패러다임으로의 전환에서 필수 불가결한 요소이다. 또한 이것은 모든 존재의 무한한 자유와 행복의 실현이라는 끝없는 지향점을 향한 변화의 과정이다. 왜냐하면 생명체의 무수한 이질적 차이들의 변화, 생성의 과정 그 자체는 지속하는 생명체의 본성을 의미하며, 그것은 곧 자유이기 때문이다. 철학이나 과학과 마찬가지로 예술도 세계를 이해하고 표상하는 작업이므로, 이러한 생태학적 패러다임으로의 전환에서 예술의 역할은 예술과 환경, 인간과 세계에 대한 근본적인 통찰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생태학적 대안예술은 생명과 자연에 대한 근원적인 사유를 드러내는 ``대상으로서의 예술``이 아니라 ``생성으로서의 과정``을 보여주는 예술이어야 한다. 이러한 생성으로서의 관계를 드러내는 작품은 베르그손의 창조적 진화 자연관의 예술적 실현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인간의 활동인 예술, 그 중에서도 생태학적 대안예술은 그 역할과 기능이 무수한 차이를 생성하는 자유를 의미함과 동시에 자유의 실천이어야 한다. 그러므로 예술의 존재의미, 개념과 정의 또한 끊임없는 생성과 변화의 과정 중에 창조적으로 진화하고 있는 것이다. This thesis draws out the ecological philosophy within Bergson`s view of nature and addresses art to interpret this ecological paradigm shift. The processes within this thesis include, seeking of ecological alternative art through Bergson`s view of nature of creative evolution and generative art of generative processes(i.e. Collage Machine). With these findings, the meaning of the existence of art is redefined. By taking Bergson`s ecological view of nature through the creative evolution viewpoint, ultimately, Bergson is producing a philosophy, where the grounds for freedom of all existence is established. Bergson`s eventual intention is to show existence itself as positive. And this becomes the indispensable factor within the ecological paradigm shift. Also, Bergson expresses this as the endless directions that the processes of change can take, which is the infinite freedom of all existence and the realization of happiness. And this is because, the change of countless heterogeneous differences in life and the processes of generation itself signifies the durational nature of life, which is itself, freedom. As is philosophy or science, art too, tries to understand and represent the world. Therefore, art within the ecological paradigm shift, must penetrate to express the essence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art and environment, and humans and the world. Hence,?ecological alternative art mustn`t be art that expresses as objects but art, which expresses through the generative process. The realization of Bergson`s creative evolutional view of nature is within art, which reveals through this generative relationship. Within this context, art being one of many human actions, ecological alternative art`s role and function must be: works that generate countless differences, which signifies freedom, and simultaneously, praxis of this freedom. Therefore, the meaning of art`s existence, its concept and its definition, is a creative evolution consisting of the processes of constant generation and change.

      • KCI등재

        중국 근대불교에 미친 베르그송 철학의 영향

        김제란 한국불교학회 2021 韓國佛敎學 Vol.98 No.-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Bergson's philosophy on Modern Chinese Buddhism, focusing on modern Consciousness-Only theory and Neo Consciousness-Only theory. Bergson's philosophy was accepted as anti-feudalist in the early thoughts of Lee Dae-jo and Jin Dok-soo during the May Fourth Movement. It is presumed that this acted as a positive factor for Bergson’s philosophy and helped it to be actively accepted. In the study of Consciousness-Only theory that took place along with the revival of Modern Chinese Buddhism, it was judged that Bergson's philosophy and Consciousness-Only theory helped to clarify each other's ideas. However, in new Consciousness-Only theory, there are aspects of Bergson's philosophy which are both accepted and criticized. New Consciousness-Only theory and Bergson's philosophy have many similarities regarding substance-function theory and methodology. They both consider the universe as a dynamic force of life and the mechanism of non-stop creation. They classify the universe into two types of forces: life energy and material energy. The two theories also utilize a similar philosophical methodology. However, there is one great difference between the two ideas. According to the main theory of new Consciousness-Only theory Bergson’s theory of substance is instantaneously both alive and extinct. Life is also different from blind impulses and congruent impulses. Furthermore, moral cosmology raises questions against Bergson’s immoral universe. This paper maintains that these differences are more important than the similarities. This is because the decisive difference between Eastern and Western philosophy depends on whether the universe is viewed as moral or non-moral. Xiong Xhi-li proclaimed that modern Confucianism and modern Buddhism are superior to Western philosophy. 이 글은 중국 근대불교에 미친 앙리 베르그송(Henri Bergsong, 1859-1941)의 철학을 웅십력(熊十力, 1885-1968)의 신유식학을 중심으로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베르그송 철학은 5.4 신문화운동 시기에 이대조, 진독수의 초기 사상에서 반(反)봉건주의 역할을 하며 받아들여졌다. 이는 베르그송 철학에 대한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하여 이후 적극적인 수용에 도움이 되었으리라 짐작된다. 중국 근대불교의 부흥과 함께 일어난 유식학 연구에서는 베르그송 철학과 유식학이 서로의 사상을 분명히 밝히는 데 도움이 된다고 판단하여 함께 연구가 진행되었고, 웅십력 신유식학에서도 베르그송 철학이 새로운 철학의 완성에 활용되었다. 신유식학에서는 베르그송 철학에 대한 적극적인 수용의 측면과 비판의 측면이 동시에 존재하였다. 신유식학과 베르그송 철학은 본체론과 방법론에서 유사한 점이 많다. 우선 두 사상은 우주를 생명의 약동, 쉬지 않고 생성하는[生生不息] 메카니즘으로 동일하게 파악하고, 우주를 생명 에너지와 물질 에너지, 또는 흡벽(翕闢)이라는 두 가지 힘으로 분류하며, 직관과 성지(性智)라는 유사한 철학적 방법론을 가진다. 동시에 두 사상은 차이점도 크다. 본체론에서 베르그송의 지속에 대하여 신유식학에서는 찰나에 생멸하는 것으로 보고, 생명 역시 맹목적 충동과 합목적적 충동으로 차이가 나며, 베르그송의 무도덕적 우주에 대해 신유식학은 도덕적 우주론을 제기하였다. 논자는 이러한 차이점이 유사점보다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동서양 철학의 결정적 차이가 우주를 도덕적인 것으로 보는가, 도덕과 관련없는 무도덕적인 것으로 파악하는가에 달려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베르그송 철학의 수용과 비판을 통해 웅십력은 결국 서양철학보다 현대신유학, 또는 현대신불교가 보다 뛰어난 사상임을 천명하였다.

      • KCI등재

        앙리 베르그송의 기억 해석 이론을 바탕으로 한 루이스 부르주아의 조형 표현 연구

        김현진(Kim, Hyun-jin),조윤진(Cho, Yun-jin),최주현(Choi, Ju-hyun)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8 조형디자인연구 Vol.21 No.4

        앙리 베르그송(Henri Bergson, 1859~1941)은 기억을 정신의 본질이라 보았다. 그는 의식이 곧 기억이며, 연속되는 흐름으로 우리 경험의 전체를 의미하므로 의식상태의 지속이 곧 기억이라고 설명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루이스 부르주아(Louise Bourgeois, 1911~2010)의 작품을 분석하고 그녀의 과거에 대한 기억이 작품 속에서 어떻게 시각화 되고 표현되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기억에 대한 개념의 해석은 앙리 베르그송의 저서『물질과 기억』에서 제시한 개념을 바탕으로 고찰하였다. 첫째, 앙리 베르그송의 기억 개념을 통해 과거의 기억이 현재까지 이어져 서로 긴밀하게 미치는 상호적 관계에 대해 살펴보았다. 둘째, 베르그송의 기억 개념 본질에 대해 구체적으로 고찰하였다. 셋째, 기억에 대한 오브제를 작품으로 시각화한 루이스 부르주아의 조형작품을 통해 앙리 베르그송의 기억이론을 재해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19세기 앙리 베르그송의 기억해석 이론과 현대 섬유미술의 대표주자인 루이스 부르주아의 오브제 작품 간의 연결 고리를 살펴봄으로써, 향후 다양하고 깊이 있게 표현된 시각적 작품들이 여러 철학이론으로 해석되기를 기대한다. Henri Bergson(1859~1941) regarded memory as the essence of the mind. He explained that consciousness is a memory, and that memory represents the whole of our experience in a continuous stream, so the continuation of consciousness is a memo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Louise Bourgeois s work and learn how her past memories are visualized and expressed in her work. The interpretation of the concept of memory was based on the concepts presented by Henri Bergson s book, Material and Memory. First, through the memory concepts of Henri Bergson, we looked at the mutual relationship in which memories of the past have continued to date and become close to each other. Second, we specifically discussed the nature of the memory concept of Bergson. Third, I tried to reinterpret the memory theory of Henri Bergson through Louise Bourgeois sculpture, which visualized the memory object as a work. Through this study, we hope that many philosophy theories will be expressed as diverse and deep visual works by examining the theory of memory analysis by Henri Bergson in the 19th century and the connection between works by Louise Bourgeois, the representative of contemporary textile art.

      • KCI등재

        아나키즘과 생명의 발현으로서의 일본 후기인상파: 『시라카바』를 통해 발표된 후기인상파 담론을 중심으로

        이애선 미술사학연구회 2014 美術史學報 Vol.- No.43

        This study aims to examine Post-impressionism, newly introduced to Japan during 1910 and 1920s. It was adopted by literary magazine Shirakaba, which published its first issue in April, 1910. Japanese Post-impressionism was rolled with two central axis, 'destruction of ancien regime' and 'expression of personality'. That is supposedly founded by anarchism, and this by influence of Henri Bergson’s philosophy. By examining Japan Post-impressionism between the end of Meiji and early Taisho period, this study can suggest as below. Firstly, the words ‘zingaku(人格)’ ‘kosei(個性)’, ‘ziko(自己)’, which Post-impressionists frequently applied, are more likely of Bergson’s translated ‘personnalité’, that contained no ethical undertone. Secondly, ‘expression of personality’ would also be their understanding of Bergson’s particular image, in other words, the body. Thirdly, therefore what they called ‘Post-impressionism’ ‘Expressionists’ can be read as shown in Bergson’s body and memory rather than the influence of German Expressionism. Fourthly, Japanese postimpressionists considered post-impressionists as anarchists. This is the second axe. Lastly, as anarchism and Bergson’s philosophy combined, artists who were anti-academism or created new form or style are included in Post-impressionism. Because of this, not only Paul Cezanne, Van Gogh and Paul Gauguin, but as well as Henri Matisse, Auguste Rodin, Henri de Toulouse Lautrec, Edvard Munch can be understood as Postimpressionists artists. Young Japanese artists who accepted Shirakaba group’s Post-impressionism discourse as their view of art, refused Japanese-pleinairisme and impressionist’s presentable, illusory and realistic style. They had been practicing destruction of shape, déformation. With the inf luence of Bergson’s philosophy denying mechanism and teleology, through many works, they showed intuitive color by rejecting usage of complementary color, evasion of imitation, and simplification. 이 논문은 『시라카바』가 중심이 되어서 1910-20년대 일본에 새롭게 유입된 후기인상주의가 ‘구체제를 파괴’와‘인격의 표현’이라는 두 가지 중심축으로 이루어졌음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첫 번째의 근간에 아나키즘(anarchism)이, 그리고 두 번째 축에 베르그송(Henri Bergson, 1859-1941)의 철학이 있음을 제시하고자 했다. 메이지 말기에서 다이쇼 초기의 사상계를 경유한 일본의 후기인상주의 고찰을 통해서, 다음과 같은 가능성을제시했다. 첫째, 후기인상주의의 수용자들이 빈번히 사용했던 ‘인격’/‘개성’/‘자기’라는 단어는 윤리적 함의가 없는 베르그송의 personnalité의 번역어일 가능성이 높다. 둘째, ‘인격의 발현’ 역시 베르그송의 신체라는 특별한 이미지의 실천에 대한 그들의 이해로 볼 수 있다. 셋째, 따라서 그들이 후기인상주의를 표현파라고 부른 것은, 독일표현주의보다 베르그송의 신체와 기억의 관계에서 나타난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넷째, 베르그송의 철학과 더불어 후기인상주의 담론의 근간이 된 아나키스트로서의 후기인상주의였다. 다섯째, 아나키즘과 베르그송의 철학이 결합되면서, 반아카데미즘 또는 새로운 형식을 창조한 화가들은 모두 후기인상주의 화가에 포함시켰다. 이 때문에, 폴 세잔, 반 고흐, 폴 고갱뿐만 아니라, 마티스(Henri Matisse, 1869-1954), 로댕(Auguste Rodin, 1840-1917),로트렉(Henri de Toulouse Lautrec, 1864-1901), 뭉크(Edvard Munch, 1863-1944)까지도 후기인상파 화가로 이해할수 있었다. 시라카바파의 이러한 후기인상주의 담론을 예술관으로 수용한 일본의 청년화가들의 작품에는 아나키즘의입장에서, 사실묘사를 추구하는 외광파와 인상파 모두를 거부하고, 형태변형 데포르마시옹을 중요한 조형원리로삼았다. 그리고 기계론과 목적론을 거부하는 베르그송의 철학으로부터, 모방의 회피, 단순화, 보색원리를 벗어난직관적 색채라는 특징을 보인다.

      • KCI등재

        들뢰즈의 베르그송 연구

        진기행 대동철학회 2008 大同哲學 Vol.45 No.-

        질 들뢰즈의 『시네마』는 방대한 양의 각종 영화와 수많은 영화이론을 한 축으로 하고, 베르그송과 칸트 그리고 퍼스와 스피노자 등 여러 철학자들의 사상을 다른 한 축으로 하여 구축된 난해한 영화철학서이다. 본 논문은 『시네마』의 중요한 바탕을 이루고 있는 베르그송에 대한 연구를 하기 위해, 들뢰즈의 초기 저작으로부터 시작하여 『시네마』에 이르기까지, 들뢰즈의 베르그송에 대한 연구의 내용과 그 변화의 과정을 추적한 것이다. 특히 『베르그송주의』와 『차이와 반복』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마지막에 『시네마』에 대해서는 간략하게 언급하였다. 『베르그송주의』에서는 들뢰즈의 ‘차이의 존재론’에 끼친 베르그송의 영향을 살펴보았고, 『차이와 반복』에서는 들뢰즈가 베르그송의 사상을 계승하면서도 비판하는 지점을 ‘재인’과 ‘강도’라는 개념으로 파악하여 살펴보았다. 그리고 『시네마』에서는 베르그송의 영향으로 형성된 개념인 ‘운동-이미지’와 ‘시간-이미지’가 영화의 쇼트와 관련하여 어떤 의미를 갖는지 규명해 보았다. 하지만 본 연구는 『시네마』에 대한 구체적이고 심도 있는 연구를 하기 위한 준비 작업을 성격을 띠고 있기 때문에, 『시네마』속에 드러난 들뢰즈의 베르그송에 대한 상세한 연구는 다음의 과제로 미루어 두었다. G. Deleuze's Cinema is a difficult book of cinema philosophy structured one by the thoughts of various philosophers such as Bergson, Kant. Peirce, and Spinoza; and another by tremendous volume of several movies and countless number of movie theories. Thus this paper is on the track of the transforming process of Delueze and Bergson's content and study to demonstrate Bergson's research from the beginning of Deleuze's early writings to Cinema, the critical foundation of its movie. Especially I focused on his writings like Bergsonism and Difference and Repetition; and lastly I commented shortly on Cinema. In Bergsonism, I investigated the effects of Bergson influenced on ontology of difference; and in Difference and Repetition, I mainly explicated the concept of intensity and recognition in which Deleuze took over as well as criticized Bergson's thoughts. And in Cinema, I demonstrated what significance of "Movement-Image and Time-Image" can hold which was formed by the effects of Bergson. This paper, however, takes on a different characteristics for the preparation of more specific and profound research. Because of that, somebody has to grab an opportunity for deeper study about Cinema.

      • KCI등재

        왕양명의 양지와 베르그손의 직관에 대한 유사성에 관한 연구

        권영화 한국동서철학회 2019 동서철학연구 Vol.0 No.91

        This paper examine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Bergson’s and Wang Yangming’s concept of Liang-Zhi. The Human mind is complicated in that it has vitality which implies that the mind keeps changing and cannot be fixed. Specifically, the intuition power of the human mind is the most unique characteristic of human beings that cannot be replaced by machines. By comparing the Western and Eastern philosophies, Yangming’s arguments about intuition can make up for the weakness of Bergson’s metaphysic theory. Human beings keep pursuing the conditions and reasons of existence themselves. Yangming defines the intuition as a way of countering subject and object. Basically, a human is a being of intuition and a concept of intuition, allowing people to understand things directly can be found in both Bergson’s and Yangming’s theories. According to Bergson, intuition is a definite recognition that object and subject are united in the object’s area. This is because all the things already exist in our minds. Therefore, intuition happens in our minds without any medium but by the recognition of itself. However, Bergson’s intuition theory does not consider the fact that living things are moral subjects. It is significant in that morality of living things explains their dignity, compared to machines and material. Therefore, Yangming’s liang-zhi theory will make up for the weakness of Bergson’s argument for it includes the moral act of subject, rather than understanding of the truth. Moreover, for Yangming, liang-zhi is an innate knowledge which allows human to perceive the truth intuitively. Facing the Artificial Intelligence (AI) period, it is necessary to research the unique talents of the human mind and intuition notions from Bergson’s metaphysics and Yangming’ mind theory which will help the understanding of human’s transcendental cognition, dignity and their uniqueness. Then, we can figure out the solution for the social problems of AI period. 이 연구는 베르그손의 직관과 왕양명의 양지 개념의 유사성과 차이성을 엄밀하게 검토 분석하는 작업이다. 인간의 마음에 관한 연구는 매우 복잡한 주제이다. 왜냐하면 마음은 고정되지 않으며 계속 변화하는 생명력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마음의 영역 중에서 직관과 양지는 기계가 결코 가질 수 없는 인간의 고유한 능력이다. 베르그손과 왕양명의 직관과 양지 개념의 비교 연구를 통해서 왕양명의 心 개념이 인식론적 측면에서 어떻게 보편적 원리인 理를 파악할 수 있는지를 자연과학적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동‧서양의 두 철학을 비교하려는 목적은 베르그손 철학이 갖는 단점들을 왕양명의 철학으로 보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믿기 때문이다. 논의가 전개되면서 왕양명의 양지 개념은 베르그손의 실증적 형이상학의 근거를 제시한다. 인간은 자신의 존재론적 조건과 근거를 끊임없이 추구해왔다. 주관과 대상이 만나는 그 방법이 직관이다. 인간은 주체적으로 직관하는 존재이다. 대상을 직접 파악하는 직관 개념을 우리는 베르그손의 직관과 양명의 양지에서 발견할 수 있다. 베르그손의 직관은 대상 안에서 대상과 완전히 하나가 되는 절대적 인식이다. 왜냐하면 모든 지속되는 대상은 이미 우리 안에 존재하기 때문이다. 이처럼 어떤 매개물도 필요 없는 자신에 대한 자신의 인식으로써 직관이 발생한다. 그러나 베르그손의 직관은 생명체가 도덕적 존재라는 사실을 잊고 있다. 생명체가 기계나 물질보다 존엄한 이유는 그것이 도덕적 존재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를 보완할 수 있는 것이 왕양명의 도덕적 양지개념이다. 왕양명의 양지는 진리에 대한 인식보다는 도덕에 대한 영역을 담당하고 있다. 왕양명의 양지는 도덕주체의 작용이다. 양지는 인간이 지닌 선천적 것으로써 진리를 선험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능력이다. 인공지능시대를 맞아서 인간의 고유한 선천적 능력에 대한 연구와 관심이 요구된다. 우주만물이 모두 물질로 설명되어지는 현대사회에서 물질과 정신을 하나로 인식하고자 했던 베르그손의 형이상학과 양명의 심학은 이 시대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가 인간의 직관 능력인 양지를 논의할 때 인간의 존엄성과 고유성에 관한 새로운 이해를 심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인공지능시대에 일어날 혼란스러운 문제들에 대한 답을 끌어낼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과학’이 ‘실종’된 다이쇼(大正) 생명주의 연구 -베르그손의 ‘실증적 형이상학’을 중심으로

        유봉희 한국현대소설학회 2022 현대소설연구 Vol.- No.88

        This article has a strong characteristic of the author's "Evolution Theory and Daisho Lifeism in the 1920s" published in the 94th edition of the International Language and Literature Association (International Language Literature, 2022). I would like to recall Bergson's philosophy of life, which was not completed there. In particular, it will be noted that 'empirical metaphysics' is based on science. Bergson examined the evolutionary theories of the time in detail, including Darwinism, (new) Lamarckism, clove evolution, and mutation theory. Here, the famous hypothesis of "Ellan Vital" was presented. Bergson did not distinguish metaphysics from science. His unique philosophy of life, "Motor is real," is based entirely on science. First, I would like to extract the gist of Bergson's philosophy of life through his perception of metaphysics and science, and compare it with Daisho Biology. Through this, we intend to derive the problems of existing research that fixates Daisho biologicalism to a romantic perspective. It is believed that these problems prevented various interpretations of Daisho's biologicalism. In particular, we will confirm the inertia of identifying Bergson's biologicalism with Emerson and Oiken's philosophy, which was popular during the Meiji and Daisho periods, and find the background. It is hoped that this will provide an opportunity to rediscover Bergson's “life as science”. 이 글은『국제어문』제94집(국제어문학회, 2022)에 발표한 필자의「진화론과 1920년대 다이쇼 생명주의」에 대한 보론(補論)의 성격이 짙다. 거기서 다하지 못한 베르그손의 생명철학의 방법론을 새삼 환기하고자 한다. 특히 과학에 바탕을 둔 ‘실증적 형이상학’에 주목할 것이다. 베르그손은 다윈주의을 비롯해 (신)라마르크주의·정향진화설·돌연변이설 등 당대의 진화이론을 상세히 고찰했다. 여기서 그 유명한 ‘엘랑 비탈(élan vital)’이란 가설이 제시됐던 것이다. 베르그손은 형이상학과 과학을 구분하지 않았다. “운동은 실재”란 그의 독특한 생명철학은 철저히 과학을 바탕으로 구성되었다. 먼저 형이상학과 과학에 대한 베르그손의 인식을 통해 그의 생명철학의 요지를 추출하고, 이를 다이쇼 생명주의와 비교해 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다이쇼 생명주의를 낭만주의 시각에 고정시켜 바라보는 기존 연구의 문제점을 도출할 생각이다. 이러한 문제점이 다이쇼 생명주의의 다양한 해석을 가로막았다고 본 것이다. 특히 베르그손 생명주의를 메이지에서 다이쇼기에 걸쳐 유행했던 에머슨·오이켄의 철학과 동일시하는 관성을 확인하고, 그 배후를 찾아볼 생각이다. 이를 통해 베르그손의 ‘과학으로서의 생명주의’를 재발견하는 계기가 마련되기를 희망한다.

      • KCI등재

        베르그손의 예술철학 연구 1 : 예술의 방법, 체험, 진리, 창조에 대하여

        주재형 한국미학예술학회 2020 美學·藝術學硏究 Vol.60 No.-

        Art occupies a unique position in Henri Bergson's philosophy. Because it is central and peripheral at the same time. Though his thinking was based on art, Bergson did not write an independent book about art, but we can reconstruct an original philosophy of art from his fragmentary texts on art. This study is an attempt at such a reconstruction. To this end, we will begin by analysing a sentence defining art in Bergson's first work, Time and Free Will. From this analysis, we will show that Bergson defines a method of art in close connection with techniques of hypnosis, and characterizes the experience of art as that of the artist's human emotions, ideas, and efforts. This view of art can be regarded as a re-formulation of classical art theories such as Plato's and Kant's in Bergson's own language. After examining some of the issues raised by these conceptions of art, we will end our study with the notion that art allows us to experience Bergson's “Durée” through creative means. 베르그손의 철학에서 예술은 중심적이면서도 주변적이다. 그의 사유는 예술을 모델로 하고 있으면서도 베르그손은 예술에 관한 독립적인 저작을 남기지 않았다. 그러나 우리는 예술에 관한 그의 단편적인 언급들로부터 매우 독특한 하나의 예술 철학을 재구성해볼 수 있다. 이 연구는 바로 그러한 재구성의 시도이다. 이를 위해서 우리는 먼저 베르그손의 첫 저작인 『의식에 직접 주어진 것들에 관한 시론』에서 예술을 정의하는 하나의 문장에 대한 분석에서 논의를 시작할 것이다. 이 분석을 통해서 우리는 베르그손이 예술의 방법을 최면 기법과의 밀접한 연관성 속에서 규정하며, 예술 작품의 감상을 작가의 인간적인 감정, 관념, 노력에 대한 체험으로 특징짓고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베르그손의 이러한 예술관은 플라톤, 칸트 등의 고전적인 예술론을 베르그손 자신의 언어로 재정식화한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하지만 베르그손의 예술 이해는 또한 몇 가지 문제들을 제기한다. 예술은 존재의 진리에 대한 인식이라는 예술 진리론과 예술은 작가의 감정에 대한 체험이라는 예술 감정론 간의 충돌, 베르그손의 지속 형이상학과 그의 예술론 간의 관계, 저자의 죽음이라는 현대 미학적 관점과 베르그손의 관점 간의 외관상의 대립, 그리고 끝으로 진리 인식으로서의 예술과 창조적 활동으로서의 예술 간의 모순 등이 베르그손의 예술론을 재구성하는 과정에서 우리가 마주하게 될 문제들이다. 우리가 보기에, 예술은 창조적 수단들을 통해서 인간을 포함한 모든 존재자의 내밀한 본질인 지속을 체험하도록 해주는 것이라는 관념이 이 모든 문제들에 대한 대답의 단초를 제공한다.

      • KCI우수등재

        베르그손의 지속 개념에 대한 재고찰

        주재형(Jae-Hyung Joo) 한국철학회 2021 철학 Vol.- No.149

        이 연구는 베르그손의 지속 개념을 새로운 관점에서 해명하고자 한다. 이 개념은 주관적이고 의식적인 시간을 가리키는 것으로 이해되어 왔으나, 베르그손의 텍스트를 면밀히 독해하면 후설과 마찬가지로 그의 지속은 시간 자체의 구조에 대한 보편적인 철학 이론을 지향한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우리는 지속 개념이 처음 등장하는 베르그손의 첫 저작 『의식에 직접 주어진 것들에 관한 시론』을 살펴보면서 지속 개념이 등장하는 이론적인 논의 배경, 지속 개념 자체의 내용을 차례로 서술할 것이다. 이를 통해 지속 개념은 의식 상태를 양화하려는 모든 시도에 대한 비판을 통해 드러나는 공간과 시간의 근본 대립 위에서 제기된다는 점, 따라서 본질적으로 시간적인 의식 상태는 과거가 현재로 연장되어 현재를 구성하는 연속적 통일체라는 점이 밝혀질 것이다. 다음으로, 지속 개념에 함축된 이러한 시간 이해의 철학적 타당성을 검토해보기 위해 우리는 메를로퐁티가 후설의 시간 의식 이론에 기초하여 베르그손에 가하는 비판을 검토해볼 것이다. 이를 통해 베르그손의 지속과 후설의 시간 의식 간의 차이가 분명하게 드러날 뿐 아니라, 베르그손의 시간 이론이 갖는 차별성과 이론적 설득력 또한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This study seeks to elucidate Bergson’s concept of duration from a new perspective. This concept has been understood to refer to subjective and conscious time, but a closer reading of Bergson’s text leads to the realization that, like Husserl, his duration is oriented toward a universal philosophical theory of the structure of time itself. Looking at Bergson’s first work, Time and Freewill, where the concept of duration first appeared, we will describe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concept of duration and the content of the concept itself. Through this, It will be shown that the concept of duration is founded on the fundamental opposition between space and time revealed through criticism of all attempts to quantify the state of consciousness, and that the state of consciousness, which is essentially temporal, is a continuous unity in which the past extends into the present and constitutes the present by this extension. In order to examine the philosophical validity of this understanding of time implied in the concept of duration, we will review the critique that Merleau-Ponty put on Bergson based on Husserl’s theory of temporal consciousness. Through this, not only will the difference between Bergson’s duration and Husserl’s time-consciousness be clearly revealed, but also the originality and theoretical validity of Bergson’s theory of time will become clear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