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The Effect of Combination of Radiation with 5-Fluorouracil on Mouse Jejunal Crypt Cells

        허승재(Seung Jae Huh),박찬일(Charn Il Park)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85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3 No.2

        방사선조사와 5-Fluorouracil(5-FU)과의 병용시 5-FU투여로 인한 마우스 공장 소낭선세포의 방사선 감수성에 미치는 영향과 방사선조사 효과 증강율을 측정하기 위하여 C_3H마우스 110마리를 대상으로 동물실험용 세시움 방사선 조사기를 이용하였다. 방사선조사 단독시행군은 1,000~1,600rad를, 5-FU와 병용군은 800~1,400rad의 방사선조사와 복강내 5-FU투여를 병용하였다. 방사선조사 단독시행 군은 조사 후 90시간 후에, 병용요법군은 120시간 후에 마우스 공장을 횡절단하여 마우스공장 소낭선 측정 법을 이용하여 평군치사선량과, 5-FU주입이 공장 소낭선세포 생존케 미치는 dose effect factor(DEF)를 측정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방사선조사 단독시행 군, 방사선조사 분전 5-FU주입군, 방사선조사 6시간 후에 5-FU주입군의 평균치사선량(Do)은 각각 135, 135, 114rad였다. 2. 방사선조사 단독시행 군에 비하여 방사선조사 15분전 5-FU주입군과, 방사선조사 6시간 후에 5-FU주입군의 DEF는 각각 1.13, 1.27이였다. The interaction of radiation and 5-Fluorouracil (5-FU) on mouse jejunal crypt cells was studied using the microcolony survival assay. 150mg/kg of 5-FU was injected intraperitoneally 15 minutes before irradiation and 6 hours after irradiation. Jejunal crypt cells of mouse survived more when 5-FU was given 15 minutes before irradiation than giving it 6 hours after irradiation. The mean lethal doses (Do) of each of irradiation alone group, 5-FU injection group of 15 minutes preceding irradiation, and 5-FU injection group of 6 hours post irradiation were, 135, 135, and 114 rad respectively. The dose effect factor (DEF) of each of 5-FU injection groups of 15 minutes preceding irradiation and of 6 hours post irradiation were 1.13 and 1.27

      • KCI등재

        유치원 수학과 교육과정과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의 연계성 분석 연구

        박교식,김지원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2015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Vol.19 No.2

        본 연구는 유치원 교육과정과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의 개발에서 두 교육과정을 연계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시사점을 찾고자, 5세 누리과정과 이에 따른 교사용 지도서의 수학 지도 내용, 그리고 현행 초등학교 1학년 수학과 교육과정 및 그에 따른 교과서의 지도 내용 사이의 연계성을 분석한 것이다. 그 결과 다음의 여섯 가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도형 영역의‘공간적 관계’나 확률과 통계 영역의 ‘자료 수집’과 같이, 5세 누리과정에서 완성되고 있는 내용을 1학년 교육과정과 연계시킬 필요가 있다. 둘째, 5세 누리과정과 1학년 교육과정이 연계되지는 않지만, 2~6학년 교육과정이 연계되는 경우, 어느 한 교육과정을 기준으로 위계를 재조정할 필요가 있다. 셋째, ≪K-지도서≫가 5세 누리과정을 준수하고 있는지 검토할 필요가 있다. 넷째, ≪K-지도서≫의 각 [활동]에서 5세 누리과정 관련 요소와 초등학교 교육과정 관련을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K-지도서≫의 각 [활동]에서 수학 지도 내용을 명시적이고 체계적으로 취급할 필요가 있다. 여섯째, 교육과정 개발에서 유아수학교육 전문가와 초등수학교육 전문가 사이의 협업 체제가 마련될 필요가 있다. In this study, connections between the NURI curriculum for 5 years old children and the contents of teacher’s manual books according to it and the contents of elementary 1st grade mathematics curriculum and textbooks was analyzed to find the implications that can help to link the two curricula in the development of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The five following implications could be obtained from the analysis. First, it is necessary to connect the contents of the NURI curriculum for 5 years old children which were completed in that curriculum like ‘spatial relation’in geometric figure domain and ‘data collection’in probability and statistics domain to the contents of the 1st grade curriculum. Second, in the case of the contents not connected between the NURI curriculum for 5 years old children and the contents of elementary 1st grade mathematics curriculum but connected between the NURI curriculum for 5 years old children and the contents of elementary 2nd ~6th grade mathematics curriculum, it is necessary to re-adjust the hierarchy based on one of the curricula. Third, it is necessary to check whether ≪K-teacher’s manual book≫ obey the NURI curriculum for 5 years old children or not. Fourth,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related elements of the NURI curriculum for 5 years old children and elementary 2nd ~6th grade mathematics curriculum in [activity] in ≪K-teacher’s manual book≫. Fifth, it is necessary to handle the mathematics contents explicitly and systematically in [activity] in ≪K-teacher’s manual book≫.

      • KCI등재

        5・18 민중항쟁과 1980년대 광주・전남 개신교계의 동향

        한규무 호남사학회 2012 역사학연구 Vol.47 No.-

        This paper traced back the movements of the Protestant communities in Gwangju and Jeonnam Province in relation to 5・18 Civil Resistance right after its occurrence in 1980 and during the Fifth Republic(1981~ 1987). The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Even though mass rallies and group activities were banned right after the occurrence of 5・18 Civil Resistance in 1980, the Christian Emergency Relief Committee of Gwangju formed among different denominations continues to cope with the situation and do relief activities till November. In addition, the religious associations such as The Presbyterian Church of Korea, The Presbyterian Church in the Republic of Korea, The Korean Methodist Church also engaged in activities such as investigating the damages and consoling the wounded. The Protestant communities of Gwangju and Jeonnam Province carried out 5・18-related activities including releasing those in custody, compensating for victims, punishing those who were responsible, investigating the event to find truth, and recovering honor from 1981 when the Fifth Republic was established to 1984. At the center of those activities were progressive religious associations and organizations such as the Religious Association of The Presbyterian Church in the Republic of Korea, Christian Association of Gwangju, NCC, EYC, YMCA and YWCA. With changes to the political situations such as the opposition party winning the 12th parliamentary election in 1985 and the opposition groups unifying around the New Democratic Party, the 5・18-related activities of the Protestant communities became even more active in Gwangju and Jeonnam Province. The participating religious associations and organizations expanded in 1987 when Park Jong-cheol was tortured and killed and Protection of the Constitution was declared on April 13. In May of the same year when the zealous fight for the revision of the Constitution was fierce, 534 ministers of 14 religious bodies in Gwangju made a statement beyond difference in denomination. Although the Protestant communities of Gwangju and Jeonnam Province had different positions(active and passive) for 5・18-related activities according to their nature(progressive and conservative) during the Fifth Republic after 5・18 Civil Resistance, they kept pace with each other in the coping and relief activities in 1980 and 5・18-related activities through fight for the revision of the Constitution in 1987. 이 논문은 1980년 5・18 직후부터 제5공화국기(1981~87) 광주・전남 개신교계의 5・18 관련 동향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그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980년 5・18 직후 대중집회와 단체활동이 금지되었지만 초교파적으로 구성된 광주시기독교비상구호대책위원회는 11월까지 수습 및 구호 활동을 계속했다. 그리고 기장・예장통합・기감 등 교단에서도 피해상황 조사 및 부상자 위문 등의 활동을 벌였다. 1981년 제5공화국의 성립 이후 1984년까지 광주・전남의 개신교계는 구속자 석방과 희생자 보상, 책임자 처벌과 진상규명 및 명예회복 등 5・18 관련활동을 전개했다. 그리고 그 중심은 기장 교단 및 광주시기독교연합회・NCC・EYC・YMCA・YWCA 등 진보적 교단・기관들이었다. 1985년 제1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야당이 승리하고 신민당을 중심으로 야권이 통합되는 등 정국이 변화되면서 광주・전남 개신교계의 5・18 관련활동도 더욱 활기를 띄었다. 1987년 박종철군 고문치사와 4・13 호헌선언 이후에는 참여하는 교단・기관도 확대되었으며, 개헌투쟁의 열기가 뜨거웠던 같은해 5월에는 광주의 14개 교단 교역자 534명이 초교파적으로 성명을 발표했다. 이처럼 5・18 이후 제5공화국기 광주・전남의 개신교계는 1970년대와 같이 교단의 성격(진보・보수)에 따라 5・18 관련활동에 대해 다른 입장(적극・소극)을 보였으나, 1980년 수습・구호를 위한 활동과 1987년 개헌투쟁을 통한 5・18 관련활동에는 초교파적으로 보조를 같이하기도 했다.

      • KCI등재

        5・18을 기억하는 아동문학의 방식

        안점옥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2017 아동청소년문학연구 Vol.- No.21

        Historical fact is recorded and historic life is remembered. We learn historical fact with record and resonated through reconstituted culture/literature with fictional imagination. 5・18 democratic movement would be the narrated historical fact the most in the modern history after the Korean War. This is because 5・18 still has valid value of reflection. The way to narrate the past history is divided into two: current representation and indirectness of memory. This study will examine the long-length stories, The Moon over the Moon-viewing Hill, The Village by the Railroad and Running in May, that adopt current presentation way in both the adults’ time and children’s time. The progress and historical truth through the adults’ time, children’s eyes and attitudes through children’s time and contact point through the change of recognition with readers can be secured. The Moon over the Moon-viewing Hill is the first long juvenile novel. The adult’s time is developed focused on Cheol-ho’s uncle, a poet and college student, which displays independent and awakening viewpoint. Cheol-ho is determined to have hope after realizing that sorrow and anger originate from love while Cheol-ho witnessing 5・18 three times. The Village by the Railroad sets in Green-light Church, community space beyond family experience that 5・18 literature mainly narrates and it represents 5・18 centered on youth’s time. Running in May adopts combined strategy of the narrative of frame and narrative of growth and two way, current representation and indirected memory, is narrated simultaneously. As four kids including Myeong-soo become the core of narrative and children’s time came to the front before adults’ time. Literature texts that intersect memories and literary imagination becomes ‘memory space’ in itself. 5・18 will be experience of the subject that advances a new history hope memory space and experience to perceive the member of community. This study attaches a chronological table of work with main theme of 5・18 in the last part. 역사적 사실은 기록되지만 역사적 삶은 기억된다. 우리는 기록으로 역사적 사실을 배우고 허구적 상상력으로 재구된 문화/문학을 통해 역사적 삶에 공명하는것이다. 5・18은 한국 전쟁 이후 현대사 중 가장 많이 서사화된 역사적 사건일 것이다. 이는 5・18이 여전히 유효한 성찰의 가치가 있기 때문이다. 이미 지나간 역사를 서술하는 방식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현재적 재현과 기억의 간접화가 그것이다. 본고에서는 현재적 재현 방식을 택한 장편동화 『달맞이언덕에 뜨는 달』, 『기찻길 옆동네』, 『오월의 달리기』 세 편을 어른의 시간과 아이의 시간으로 나누어 살펴보겠다. 어른의 시간을 통해서는 사건의 진행과 역사적 진실을, 아이의 시간을 통해서는 역사를 대하는 아이들의 시선과 태도, 인식의 변화를 통해 독자와의 접점을 확보할 수 있다. 『달맞이 언덕에 뜨는 달』은 5・18을 다룬 첫 장편 소년소설이다. 어른의 시간은 시인이자 대학생인 철호의 삼촌을 중심으로 전개되는데, 그는 5・18에 대한 주체적이고 각성된 시각을 보여준다. 철호는 5・18을 세 번에 걸쳐 직접 목도하는 과정에서 슬픔과 분노는 사랑에서 비롯됨을 자각하고 나아가 희망을 다짐하게 된다. 『기찻길 옆동네』는 5・18 문학들이 주로 가족사적 체험으로 한정되는 것을 넘어 초록빛 교회라는 공동체 공간을 배경으로 설정하면서 청년들의 시간을 중심으로 5・18을 재현하고 있다. 구체적이고 객관적으로 재현하고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아이들의 시간이 일정 정도 뒤편으로 물러나는 문제점을 보이기도 한다. 『오월의 달리기』는 액자식 구성과 성장서사와의 결합이라는 두 가지 전략을 선택하면서 현재적 재현과 간접화된 기억, 두 가지 방식을 동시에 서사화하고있다. 명수를 비롯한 네 아이의 성장이 서사의 중심이 되면서 어른의 시간보다 아이의 시간이 전면에 나서고 있다. 기억과 문학적 상상력이 서로 교차하는 문학 텍스트는 스스로 하나의 ‘기억공간’이 된다. 5・18 기억공간에 앞으로는 새로운 역사의 희망을 앞당긴 주체로서의 체험이자 공동체의 일원임을 자각한 체험이 자리하기를 기대한다. 본고에는 5・18을 중심제재로 하고 있는 작품들의 연표를 마지막에 첨부했다.

      • SCIESCOPUSKCI등재

        Developmental Switch of the Serotonergic Role in the Induction of Synaptic Long-term Potentiation in the Rat Visual Cortex

        Park, Sung-Won,Jang, Hyun-Jong,Cho, Kwang-Hyun,Kim, Myung-Jun,Yoon, Shin-Hee,Rhie, Duck-Joo The Korean Society of Pharmacology 2012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Pharmacology Vol.16 No.1

        Synaptic long-term potentiation (LTP) and long-term depression (LTD) have been studied as mechanisms of ocular dominance plasticity in the rat visual cortex. Serotonin (5-hydroxytryptamine, 5-HT) inhibits the induction of LTP and LTD during the critical period of the rat visual cortex (postnatal 3~5 weeks). However, in adult rats, the increase in 5-HT level in the brain by the administration of the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 (SSRI) fluoxetine reinstates ocular dominance plasticity and LTP in the visual cortex. Here,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5-HT on the induction of LTP in the visual cortex obtained from 3- to 10-week-old rats. Field potentials in layer 2/3, evoked by the stimulation of underlying layer 4, was potentiated by theta-burst stimulation (TBS) in 3- and 5-weekold rats, then declined to the baseline level with aging to 10 weeks. Whereas 5-HT inhibited the induction of LTP in 5-week-old rats, it reinstated the induction of N-methyl-D-aspartate receptor (NMDA)-dependent LTP in 8- and 10-week-old rats. Moreover, the selective SSRI citalopram reinstated LTP. The potentiating effect of 5-HT at 8 weeks of age was mediated by the activation of 5-$HT_2$ receptors, but not by the activation of either 5-$HT_{1A}$ or 5-$HT_3$ receptor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effect of 5-HT on the induction of LTP switches from inhibitory in young rats to facilitatory in adult rats.

      • KCI등재

        제바달다 5法의 성립배경 고찰

        염중섭(Youm, Jung-seop) 대한철학회 2009 哲學硏究 Vol.112 No.-

        提婆達破의 破法輪僧은 佛傳들에서 주장되는 것처럼 捔術爭婚에 의한 감정적인 측면에서 기인하는 것이라기 보다는 律藏 類의 전적들에서 제시되어 있는 것처럼 5法과 관련된 수행방법론적인 관점 차이에서 제기된 것이다. 그러므로 이의 핵심이 되는 5법에 대한 내용적 고찰은 파법륜승의 이해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타당성을 확보하게 된다. 5법의 구체적인 항목에 대해서는 관련전적들에 따른 편차가 크지만, 필자는 이에 관하여 「제발달다의 5法 고찰ⅠⅡ」를 통해 5법이 ‘ 衣糞掃衣, 食의 방법 乞食, 食의 금지 乳酪 肉魚, 住樹下露坐‘가 되어야 함을 고찰한 바있다. 본고에서는 이와 같은 항목적인 정리를 바탕으로 5법의 성립 來源과 내포의미를 검토한 이후, 제바달다와 붓다의 5법에 대한 관점차이 문제를 개진해 보고자 한 것이다. 5법은 新佛이 되고자 한 제바달다의 당시 불교교단에 대한 대안제시의 성격을 가지는 수행방법적인 측면이다. 그러므로 5법의 의미에 대한 정확한 인식을 통해서 우리는 당시 승단의 상황에 대한 보다 폭넓은 이해를 확보해 볼 수가 있게 된다. 또한 5법이 붓다에게 있어서도 일면 긍정되는 동시에 부정된다는 것을 통해서 붓다의 중도주의적인 관점의 특성과 5법의 차이를 파악해 보는 것이 가능해 진다. 이는 제바달다가 붓다의 계승자가 될 수 없는 타당한 이유를 설명해 주는 동시에 제바달다가 파법륜승으로 나아가지 않을 수 없었던 측면에 대한 이해를 도출케 해준다. 제바달다의 파승가는 불교적인 관점에서는 매우 문제가 많은 사건이다. 그러나 그 사건은 역사적으로 분명히 실재했던 교단사라는 점에서 이에 대한 명확한 정리는 필연성을 가진다. 그러므로 파법륜승에 대한 보다 정확한 내용 이해를 위해서라도 5법에 대한 올바른 파악은 반드시 요청된다고 하겠다. 또한 5법에 대한 학문적 접근은 우리로 하여금 붓다 만년에 관한 보다 사실에 근접한 인식을 확보하게 해 준다는 점에서도 본 연구의 의의는 존재한다고 하겠다.

      • 5·18민주화운동에 관한 고교 역사교과서의 서술과 학생의 인식

        이연선 ( Lee Yeon-sun ) 순천대학교 인문학술원 2020 인문학술 Vol.5 No.-

        5·18 민주화 운동은 민주주의에 대한 열망을 갖고 살아가는 국가와 민족의 지표가 되고 있다. 이런 5·18 민주화 운동의 역사적 가치는 세계적으로 인정되어 지난 2011년 우리나라 현대사 중 처음으로 유네스코 세계 기록 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이에 필자는 우리 학생들에게 5·18 민주화 운동에 관한 올바르고 폭넓은 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여, 이를 위해 현재까지 5.18 민주화 운동에 관한 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확인하는 작업을 수행하였다. 5·18 민주화 운동에 관한 연구는 5·18 민주화 운동 관련 단체들을 중심으로 꾸준히 진행되어 당시 기록과 사진 등 자료수집부터 인권·평화 영역까지 확대되었다. 나아가 연구는 트라우마와 치유의 문제, 기억에 관한 문제, 세대 계승에 관한 문제로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반면, 5·18 민주화 운동 교육에 관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다만, 5·18 민주화 운동이 교수·학습법을 모색하는 주제로 이용되는 경우, 고등학교 『한국 근·현대사』 6종과 대안교과서의 5·18 민주화 운동 서술을 출판사별로 비교 분석한 연구가 있었을 뿐이다. 더하여 5·18 민주화 운동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구조를 살핀 연구는 찾아 볼 수 없다. 이처럼 5·18 민주화 운동 교육의 연구는 양적, 질적인 연구가 많이 미흡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고에서는 5·18 민주화 운동 교육 연구의 초석을 다지는 작업으로 5·18 민주화 운동 교육 내용과 학생들의 인식을 고찰해 보았다. 교육 내용을 고찰해보기 위해 5·18 민주화 운동 서술이 처음 등장한 5차 교육과정부터 현재 7차 교육과정까지의 국·검정 고등학교 역사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이 작업으로 5·18 민주화 운동에 대한 서술의 내용 및 방향의 변화, 분량, 자료 사용 등을 살펴 현행 교과서의 5·18 민주화 운동 서술의 현재와 문제점을 찾아보았다. 그리고, 5·18 민주화 운동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살피기 위해 교육과정에 5·18 민주화 운동이 포함되어있는 학년의 중고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결과를 정리하였다. 중학생의 인식을 살피고 후 고등학생의 인식 살핌으로써, 우리나라 중등교육이 5.18 민주화 운동 교육에 끼치는 영향을 고찰해 보았다. 또한, 5·18 민주화 운동에 대한 지역적 인식 차이가 교육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라고 판단되어 설문 결과를 학생들의 인식을 사건이 발생한 광주광역시와 광주광역시 외 지역으로 분류하였다. 공교육 교과서 내에서 5·18 민주화 운동의 서술은 시간이 지나감에 따라 점진적으로 양적·질적 증대가 이루어졌다. 5·18 민주화 운동 서술 관점은 전두환의 정권 획득 과정이라는 것에서 우리나라 민주화의 큰 흐름이라는 것으로 변화되었고, 점차 서술의 내용 및 범위, 관련 자료가 풍부해졌다. 설문을 통해 5·18 민주화 운동에 대한 중고생의 인식이 발생지인 광주광역시와 그 외 지역으로 나뉘어 큰 차이가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는 5·18 민주화 운동에 대한 지역별 교육 기회와 교수·학습법의 차이가 원인이었다. 고등학생이 5·18 민주화 운동에 대한 지식의 폭, 가치 인식의 긍정성 등이 중학생보다 높았는데, 이는 고등학교 역사 교육의 효과일 것이다. 학생들은 지역과 무관하게 5·18 민주화 운동에 대한 학습의 욕구가 높았고, 다양한 부문에 의문점을 갖고 있었다. 이에 비해 공교육 내에서의 5·18 민주화 운동에 대한 교육의 기회, 다양한 교수·학습법은 턱없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교과서 또한 교육의 다양성을 추구하는 검인정제가 채택되었지만, 한국교육과정 평가원의 교과서 선정기준에 맞춰 모두 5·18 민주화 운동의 서술 범위가 비슷하며 한정적이다. 5·18 민주화 운동은 우리의 삶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중요한 사건이고, 그 가치가 더 크게 인정받아 가는 만큼 공교육 주도의 5·18 민주화 운동에 관한 균형적이고 정확한 교육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5·18 민주화 운동에 대한 교과서 서술이 다양한 관점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서술 범위 또한 인물, 희생자 문제, 현대 사회에서의 역할과 의미 등으로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다양한 교수·학습법과 생동감을 주는 자료를 개발하여 학생들이 5·18 민주화 운동에 대해 올바른 가치관과 계승 의지를 갖도록 해야 한다. 5·18 민주화 운동은 학생들이 세계시민으로 나아가는데, 바람직한 역사관과 세계관을 제공하는 우리나라 민주화의 자랑스러운 유산이다. 학생들이 5·18 민주화 운동의 가치를 계승하고 발전시켜 나갈 수 있도록 하는 교육적 시도와 연구가 꾸준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고에서는 이 출발점으로 5·18 민주화 운동 교육의 현재를 살펴보고, 문제점을 짚어보았다. 이제 본고 외에도 교육계와 현장에서 5·18 민주화 운동에 관한 관심을 더욱 높여 5·18 민주화 운동에 대한 인식, 교수·학습의 실제, 교과서 서술 방향, 효과적 학생을 위한 자료 개발 등 다양한 분야의 연구가 이루어지길 바란다. The May 18 Democratic Movement has been an indicator for the people and the nation of Korea that have been having aspirations of democracy. Since this historic value of the Movement has been recognized worldwide, The May 18 Democratic Uprising was designated as a UNESCO Memory of the World in 2011, which was extremely rare for a piece of modern Korean history. As the uprising received a huge credit for its historical value, it was necessary for Korean students to be informed with proper and extensive education. Therefore, this dissertation discusses how The May 18 Uprising has been taught in history classes and lessons at secondary schools. Since the study of the movement has been continued among the 518 Movement activist group, research varied from the collection of pictures and documents to human rights. The study has been expanded to include the areas of traumatic experiences, the problem of memory, and the problem of generational succession On one hand, research on the education of the May 18 movement is hard to find. But the movement as a topic of learning and teaching is only discussed for six different high schools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Textbook” and “Alternative Textbook”, which compares and analyzes the descriptions of the movement in different textbooks. Furthermore, it is hard to find any study on structure of recognition of students regarding the May 18 democratic movement. The quantity and quality of studies on this topic are quite insufficient. This dissertation examined research on how students are educated on the May 18 Movement and how the students view the uprising by laying the foundation for the study of education on the movement. The textbook description was analyzed from the Period of 5th Educational Course which was the first time for the democracy to be mentioned up until the Period of 7th Educational Course. Also included in the research were the recent awareness and problems presented by the description of the May 18 Democratic Movement in current textbooks based on the statements of the Uprising and directions of changes, quantity and the use of documents. In order to examine the awareness of Korean students of the Movement, a survey of the secondary students who studied the Movement in their curriculum was conducted and the results organized. The impact of Korean secondary education on the education of the Democratic Movement was studied from middle school students to highschool students. Also becuase the regionally different awareness of the Uprising could be the reason for the education, the result of the survey is divided into two groups; Gwang-ju and outside of Gwang-ju. The description of the May 18 Democratic Movement in public education textbooks has been gradually improved in terms of quantity and quality. The perspective of the description of the Movement has been transformed from the process of protests against Chun Do-hwan’s military regime to a huge wave of South Korean democracy. Also the description has been rich in quality. Through survey, the difference of perspectives of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was examined based on the regional deviation; Gwang-ju and outside of Gwang-ju. The results were organized by the level of educational opportunity and teaching-learning style. The group of high school students had more knowledge of the Movement and thought of it more positively than the group of middle school students, a result of studying history in high school. Regardless of their regions, students had high interest and desire to learn about the Movement and had questions in a variety of areas. On the other hand, public education did not offer enough opportunities or variable teaching-learning methods. The current public education textbooks could not solve the questions students had due to the limited and generally similar descriptions of the Uprising. Since the May 18 Movement is a critical historic event and is still being recognized gradually, it is necessary for public education to provide a balanced and accurate education about the Movement. In order to do so, it needs to have diversified views on how to describe the Uprising and the description should be extended to the historic figures, the issues of victims and the meanings in modern society. Also, various authentic teaching-learning methods need to be studied to imbue a right sense of value and succession to students. The May 18 Democratic Movement is a part of the proud legacy of Korean democracy for students to be global citizens and offer a valuable view of history and the world. There should continue to be educational trials and studies of the event for students to inherit and develop the spirit of the Movement. This dissertation goes through the current state of teaching the Movement and points out the problems. There is the hope that the secondary curriculum also focuses more on the Democratic Movement and helps to bring greater awareness of the Movement, teaching-learning methods, the correct description of the issue in textbooks and developing effective teaching materials for students.

      • KCI등재

        5.31 교육개혁방안 중 ‘교육재정 GNP 5% 확보’의 성과와 과제

        송기창(Song, Ki Chang)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15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24 No.4

        이 연구는 5.31교육개혁안의 일환으로 교육개혁위원회가 발표했던 교육재정 GNP 5% 확보방안의 성과를 평가한 후, 교육재정의 과제를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정부의 교육재정 관련 통계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고, 관련 선행연구와 각종 법령정 보를 고찰하였다. 교육재정 GNP 5% 확보를 위하여 1995년말에 「교육세법」과 「지방교육재정교부금 법」을 개정하였고, 1995년말에 「학교용지확보에 관한 특례법」과 「교육환경개선특별회 계법」을 제정하였으며, 1996년 4월에 「시 · 군 및 자치구의 교육경비보조에 관한 규정」 을 제정하였다. 목표연도인 1998년까지 3년 동안 62조 3,954억원을 확보할 계획이었으 나, 실제로 확보한 재원은 56조 6,425억원으로 계획 대비 90.8%였으며, 1998년 GNP 대비 교육재정의 비율은 4.3%였다. 1998년까지 교육재정을 GNP 5% 수준까지 확보하는 데는 실패했다 하더라도 교육 재정 GNP 5% 확보방안의 일환으로 입법되었던 교육재정 관련법령이 1999년 이후에 도 지속되었고, 국민의 정부의 교육재정 GNP 6% 확보방안과 맞물려서 교육재정 확 충을 견인하는 밑바탕이 되었다. 그러나 지방교육채 발행을 통한 재원조정 관행의 고 착화, 지방교육재정 확보 책임의 전가 구조화, 지방교육자치와 일반지방자치의 통합 촉진, 지방교육재정구조의 복잡화와 재원의 불안정화, 교육재정 확충 논리의 실종 등 교육재정 GNP 5% 확보방안의 부정적 결과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The purposes of the study are to evaluate the outcomes on ‘the Measure for Increasing Educational Budget to 5% of GNP’(hereinafter, "GNP 5% Measure") of 「5.31 Education Reform Program」, and to present tasks to improve the educational finance system. To accomplish these purposes, the government statistics of educational finance, earlier studies, and information of acts and subordinate statutes were analyzed. In 1995, the Government and the Assembly amended the Local Education Finance Subsidy Law and Education Tax Law, and enacted the Law on the Special Cases Concerning the Procurement, Etc. of School Sites and the Law on Special Accounts for the Improvement of Educational Environment, to increase the educational budget to five percent of GNP. In 1996, the Government amended Regulations on the Financial Support of Counties and Cities for the Schools’ Expenses. As a result, the Government planned to secure the educational budget of 6,239.54 billion won, but actually secured educational budget was 5,664.25 billion won, that is 4.3% of GNP, from 1996 to 1998. The government did not accomplish to increase the educational Budget to 5% of GNP in 1998, but acts and subordinate statutes for GNP 5% Measure contributed to raise the educational budget increase since 1999. In spite of many outcomes of GNP 5% Measure, the tasks to reduce negative any outcomes of GNP 5% Measure are as follows: the habitual practices to cover revenue shortfall by issuing local education bond, the structure to shift responsibility of securing local education budget upon local government, the trend to go ahead with a plan to merge local educational autonomy system and local autonomy system, the more complicated structure to secure the local education budget, the unstable change of revenue source of local education budget, and the absence of the logic to secure the more educational budget.

      • KCI등재

        5·18문학 40년 연구사의 맥락과 재해석

        최현주 ( Choi Hyun-ju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20 감성연구 Vol.0 No.20

        이 글에서는 5·18문학에 대한 40년간의 연구사를 고찰하고 5월문학의 미래를 전망하고자 하였다. 이 글은 각각의 연구성과들이 지닌 정치적 시선과 이데올로기적인 힘들의 배치에 주목하면서 분석하였다. 그간의 5월문학에 대한 연구는 역사적 실체와 진상규명, 살아남은 자들의 죄의식에 초점을 두었으며, 가치중립적인 문예미학을 기초로 하여 전개되어 왔다. 그리고 2000년대를 넘어서는 치유와 애도의 문학들에 대한 정동 이론 등에 기초한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다. 하지만 그간의 5월문학 연구는 5월문학의 기원이자 정체성이라 할 수 있는 정치성과 운동성에 대해 폄하하는 경향이 강했다. 진정한 5·18문학의 현재화를 위해서는 5월 정신과 5월문학의 기원을 환기하고 그 의의를 되새겨야 한다. 기존의 견고했던 자본주의와 독재권력의 압박에 투항하지 않았던 저항과 전환의 문학정신, 다양한 장르 확장과 창작방법의 모색이 5월문학의 기원에 자리잡고 있었다. 5월문학은 광주를 넘어 여순 10·19, 제주 4·3, 대구항쟁, 부마항쟁 등의 담론들과 교섭하고 연대함으로써 인권·민주·민족·민중·평화·통일이라는 담론의 적극적인 생산활동이 필요하다. 더불어 문학의 위기와 문학의 죽음을 넘어서기 위한 노력들, 특히 영상 매체들과의 통섭을 통해 다양한 창작방식과 장르 확산에의 예술적 노력들이 필요할 것이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것은 다중, 대중이 참여하고 실천하는 문화예술이자 실천운동의 장으로서 5월문학이 거듭나야 한다는 점이다. In this article, I tried to look into 40 years of research history for 5·18 literature and forecast the future of May literature. This paper focuses on the political gaze and the ideological forces of each study. The study of May literature has reconstructed fact finding and guilt, and has been developed based on value-neutral literary aesthetics. And over the 2000s, studies based on the theory of affection on the literature of healing and mourning have been conducted. However, the May literature study has tended to disparage political and motility, which is the origin and identity of May literature. May literature needs to actively engage in discourses on human rights, democracy, nation, people, peace, and unification by negotiating and solidifying with discourses such as Yeosun 10·19, Jeju 4·3. In addition, efforts to overcome the crisis of literature and the death of literature, especially through the communication with the media, will require artistic efforts to spread diverse creative methods and genres.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hat the May literature should be reborn as a culture and arts field where the multitude and the public participate and practice.

      • KCI등재

        5.18 기억과 구술사 : 기억공동체에서 기록공동체로

        윤택림 한국구술사학회 2021 구술사연구 Vol.12 No.2

        구술사는 한국 사회에서 근현대사 관련 기억 투쟁의 중심에 서 있다. 1980년대 말 부터 억압된 개인들의 사적 기억들이 집합 기억을 형성하면서 군사정부의 공식적 기 억에 저항하는 대항 기억이 되었다. 이 대항 기억들 중 공공 기억이 되어 기억 투쟁을 통해 공식적 역사에 편입된 대표적인 것이 바로 5.18 기억이다. 이 글은 한국사회의 기억 투쟁의 흐름 속에서 5.18 기억을 자리매김하고 기억의 정치학의 특징들을 살펴 본다. 그리고 1990년대부터 구술 증언을 통하여 형성된 5.18 기억공동체가 특별법 제정을 통해 기념공동체가 되는 과정을 정리해본다. 또한 이 과정에서 대항기억에서 공식적 기억이 된 5.18 기억에서 드러난 기억의 제도화와 지역화의 문제점을 지적한 다. 그리고 구술 증언으로 시작된 5.18 기억공동체가 현재 여러 기관에 흩어져 있는 구술 자료들을 목록화하고 구술 아카이브를 구축하여 다양성과 다성성을 담보하는 기 록공동체로 거듭날 것을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5.18 기억이 지역화에서 벗어나서 국 가폭력에 맞서는 기억공동체로서 다른 기억공동체들과의 연대를 도모할 것을 제안 한다. Oral history i n Korean society has been a t the center of the politics of memory concerning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The 5.18 memory is a main example of coun ter-memories that have been incorporated i n to the official history. 5.18 oral testimonies from personal recollections formed a collective memory which became a counter-memory against the military government’s official memory. This article seeks to situate 5.18 memory in the context of the flow of Korean society’s struggle of memory and illustrates the features of politics of memory. It also reconstructs the transitional process of the community of 5.18 memory to the commemorative community since the 1990s. While doing so, it deals with the problems and conflicts accompanied by the institutionalization and localization of 5.18 memory. It argues that the 5.18 community of commemoration should become a community of record by constructing the oral archives of 5.18. Oral testimonies of 5.18 community of memory have been scattered in several local institutes which need to be catalogued and serviced through the oral archives including various and multiple voices of the 5.18 participants. Lastly, it suggests that the 5.18 community of memory should overcome the problems of institutionalization and localization, and make an effort to consolidate other communities of memory against state violence, marching toward the memory solidar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