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갈암(葛庵) 이현일(李玄逸)의 한시(漢詩)에 나타난 영사(詠史)의 미의식

        신두환 ( Doo Hwan Shin ) 근역한문학회 2011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32 No.-

        This paper is the study on The aesthetic consciousness to shown on The history Chinese poetry of Galam(葛庵) Lee Hyun-il(李玄逸: 1627~1704) in The Choseon(朝鮮) Dynasty period. Galam(葛庵) Lee Hyun-il(李玄逸)`s The history Chinese poetry is the elegant and refined and give chapter and verse. 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recitation history of a Chinese poem sense is the extensive knowledge of history and a metaphorical expression and symbolic words very clear evidence. Lee Hyun-il(李玄逸)`s live time is the right time for a national awakening Lee Hyun-il(李玄逸)`s The history Chinese poetry is implicated in people justice of spirit and energy and promising spirit. His poet is the sublime to gained through the a scholar well-informed and retentive in memory of life. The subject aesthetics point of view to The sense for national and The space sense for the history. Lee Hyun-il(李玄逸)`s The history Chinese poetry is have a racy flavor and individuality and a distinctive atmosphere.

      • 논문(論文) : 갈암 이현일의 한시(漢詩) 연구

        신두환 ( Doo Hwan Shin ) 안동대학교 퇴계학연구소 2011 退溪學 Vol.20 No.-

        이 논문은 17세기 조선의 격변기를 살았던 葛庵 李玄逸의 한시를 산수시·영사시·유배시로 나누어 연구한 논문이다. 그는 퇴계학맥의 정통을 계승한 성리학자이자 경세가였다. 그는 영남유학의 종장으로서 그 임무를 충실히 해 내었으며 틈틈이 시를 지었다. 그가 남긴 한시는 총 300여수로 다른 시인에 비해 많은 양을 차지하는 것은 아니다. 갈암 이현일은 파란 만장한 인생을 살았다. 그 만큼 삶의 굽이굽이에 주옥같은 시를 남겨놓고 있었다. 그의 산수시는 경관 묘사가 아름답고 구성이 신선하며 호방한 정취와 속세의 티끌먼지를 벗어난 선경의 추구에서 긴장과 이완의 카타르시스가 넘친다. 그의 영사시는 기행의 정취가 많다. 임진왜란을 비롯하여 정묘호란 병자호란의 여파로 민족의 정통성이 그 어느 때보다 강조되던 시기에 그의 역사의식을 피력한 시가로서 교훈과 당대현실에 선비의 역사의식을 유감없이 보여준 명시들이다. 그의 학문적 교유시에는 군자의 풍모가 풍겨나고 유풍진작의 의미가 합의되어 있다. 그가 유배 시기에 지은 유배시는 悲愴의 미의식이 있으며 담담하게 대처하는 대인의 풍모와 유배의 정서가 사실적으로 묘사되고 있었다. 갈암의 유배시에는 굴원의 이소에 나타나는 충신연군지정이 들어 있으며 屈騷의 미의식과 怨而不誹의 미의식이 들어있다. 갈암의 한시는 그 주제가 다양하게 전개되고 있으며 그 시어의 폭이 넓다. 그의 시문은 그의 학문 못지않게 그 문학적 위상을 지니고 있다. 갈암의 한시는 전고가 풍부하며 묘사가 뛰어나고 구상이 훌륭하여 문학적 가치가 높다. 그의 시에는 폭넓고 절실한 비유와 상징이 들어 있으며, 풍부한 박식이 바탕이 된 시상들이 사려 깊고 오묘하게 전개되고 있다. 그의 시에 나타난 품격은 전아하고 명백하며 함축된 시어에는 정감이 넘쳐난다. 그는 위대한 학자인 동시에 위대한 시인이었다. This paper is the study on The Chinese poetry of Gal-am(葛庵) Yi Hyeonil(李玄逸: 1627~1704) in The Choseon(朝鮮) Dynasty period. Gal-am(葛庵) Yi Hyeonil(李玄逸)`s The landscape Chinese poetry and The history Chinese poetry and The banishment Chinese poetry are the elegant and refined and give chapter and verse. 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recitation landscape, history, banishment Chinese of a Chinese poem sense is the extensive knowledge of history and a metaphorical expression and symbolic words very clear evidence. Yi Hyeonil(李玄逸)`s live time is the right time for a national awakening. Yi Hyeonil(李玄逸)`s The history Chinese poetry is implicated in people justice of spirit and energy and promising spirit. His poet is the sublime to gained through the a scholar we-Informed and retentive in memory of life. The subject aesthetics point of view to The sense for national and The space sense for the landscape, history, banishment. Yi Hyeonil(李玄逸)`s The landscape, history, banishment Chinese poetry is have a racy flavor and individuality and a distinctive atmosphere.

      • KCI등재

        자연과 사회에 대한 인식과 표현, 미술 교육

        이화식,박명선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13 미술교육연구논총 Vol.34 No.-

        This study aimed to introduce representative views of society by T. Hobbes (1588-1679), J. Locke (1632-1704) and J. J. Rousseau (1712-1789) and connect the visual art to such views to offer opportunities for in-depth instructions on art. The study researched to integrate the society and art by suggesting the views of society by the three scholars and relevant artworks to the views, because today's education on the society is largely divided into metaphysics and physics. The metaphysics education refers to a theoretical education on the society while the physical education means the practical education on the society. Such separated and fragmented education on the society makes the education superficial and isolated from life. Therefore, it is required to make an attempt on an integrated education on the society to associate life with education. The best form in art and education is that the art teachers have abundant knowledge on society, philosophy, ethics and history so that they run the class in the form of learning focused on various topics. Teachers may present different models for different perspectives and explain the theoretical backgrounds for the models. This will provide opportunities to students to experience new topics that break the stereotypical opinions on the topics. Moreover, since the teachers teach art, society, history, ethics and philosophy in combination, they can maximize the learning effect of students and immediately change the curriculum depending on the different teaching context. 본 연구는 홉스, 로크, 루소의 대표적인 사회관을 소개하고, 그에 따른 미술을 연결하여 동시대의 사회적.정치적 관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그래서 이번 연구는 홉스,로크, 루소의 자연관과 사회관을 제시하고 그들의 관점에 따라 미술 작품을 각각 3가지 양식으로 구분하여 사회과와 미술과의 통합을 시도하였다. 현재 우리는 사회에 대한 교육을 크게 형이상학적 교육과 형이하학적 교육으로 구분하여 지도하고 있다. 형이상학적 교육이란 사회에 대한 이론적 교육을 말하며, 형이하학적 교육은 사회에 대한 실제적 교육을 말한다. 이와 같은 사회에 대한 단절되고 분절된 교육은 교육을 피상적으로 만들고 교육을 삶으로부터 유린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래서 삶과 교육을 연관시키기 위해 사회에 대한 통합교육을 시도하는 것이 필요하다.

      • KCI등재
      • KCI등재

        TianYuanShu and Numeral Systems in Eastern Asia

        홍성사,홍영희,이승온,Hong, Sung Sa,Hong, Young Hee,Lee, Seung On The Korean Society for History of Mathematics 2012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 Vol.25 No.4

        In Chinese mathematics, there have been two numeral systems, namely one in spoken language for recording and the other by counting rods for computations. They concerned with problems dealing with practical applications, numbers in them are concrete numbers except in the process of basic operations. Thus they could hardly develop a pure theory of numbers. In Song dynasty, 0 and TianYuanShu were introduced, where the coefficients were denoted by counting rods. We show that in this process, counting rods took over the role of the numeral system in spoken language and hence counting rod numeral system plays the role of that for abstract numbers together with the tool for calculations. Decimal fractions were also understood as denominate numbers but using the notions by counting rods, decimals were also admitted as abstract numbers. Noting that abacus replaced counting rods and TianYuanShu were lost in Ming dynasty, abstract numbers disappeared in Chinese mathematics. Investigating JianJie YiMing SuanFa(簡捷易明算法) written by Shen ShiGui(沈士桂) around 1704, we conclude that Shen noticed repeating decimals and their operations, and also used various rounding methods. 중국의 명수법은 기록은 구어체를 사용하고, 계산은 산대를 사용하는 이중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또 산서는 실생활의 문제만 다루는 과정에서 수학적 구조를 나타내는 방법을 택하여 계산 과정을 제외하면 이들에서 취급한 수는 모두 명수(名數)들이어서 순수한 수론의 발전을 이룰 수 없었다. 송대에 0의 도입과 함께, 천원술의 표현에서 나타나는 계수를 산대로 표시하는 방법을 통하여, 산대가 계산 도구와 함께 추상수의 기수법(記數法)이 되는 과정을 밝힌다. 수량의 단위를 사용한 소수의 표현도 이 과정에서 산대 표현으로 대치되었다. 그러나 명대에 산대 계산이 주산으로 대치되고 천원술이 잊히게 되어 추상수의 개념도 함께 잊히게 되었다. 청대의 산학자 심사계(沈士桂)가 저서 간첩이명산법(簡捷易明算法)에서 분수의 소수표시와 계산을 하는 과정에서 순환소수를 인지하고 이들의 계산법을 확립한 것도 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