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 유튜브 브이로그(Vlog) 시청자의 시청동기와 지속시청의도 관계 분석 -시청몰입과 시청만족을 매개변인으로-

        정윤주,김종무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구 시각디자인학회) 2020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71 No.-

        본 연구는 유튜브(YouTube) 브이로그(Vlog)를 시청하는 대학생들의 시청동기 요인을 파악하고, 시청동기가 시청만족, 시청몰입, 지속시청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시청동기와 지속시청의도간의 관계에서 시청 몰입과 시청 만족이 매개역할을 하는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를 위해 2019년 8월 14일부터 9월 14일까지 온라인 설문 후 오류가 없는 332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유튜브 브이로그 시청동기 요인은 외로움 해소, 매개된 관음증, 시간 보내기, 오락추구 4가지로 구분되었다. 둘째, 유튜브 브이로그 외로움해소 시청동기 요인은 시청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시청만족과 지속시청의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튜브 브이로그 매개된 관음증 시청동기 요인은 시청몰입, 시청만족, 지속시청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튜브 브이로그 시간보내기 시청동기 요인은 시청몰입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시청만족과 지속시청의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유튜브 브이로그 오락추구 시청동기 요인은 시청몰입, 시청만족, 지속시청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시청몰입은 매개된 관음증, 오락추구 시청동기 요인과 지속시청의도 관계에서 부분매개 효과를 갖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시청만족은 매개된 관음증, 오락추구 시청동기 요인과 지속시청의도 관계에서 완전매개효과를 갖고 있었다. 즉, 매개된 관음증, 오락추구 시청동기 요인은 시청만족의 매개효과가 없으면 지속시청의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지 못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대학생 유튜브 브이로그 시청자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상황에서 수용자의 이용과 충족 이론을 기반으로 실증적으로 검증함으로써 연구의 폭을 넓혔음에 의의를 가지며, 기존 선행연구의 전통/뉴미디어의 시청동기에서 파악할 수 없었던 ‘매개된 관음증’동기가 추가되었다는 점이 이 연구의 의의를 갖는다. This thesis helps understand viewing motivation factors of undergraduates who watch a Vlog on YouTube, and suggests effects of viewing motivation about viewing satisfaction, viewing flow, and persistent viewing intention. Also, in relation of viewing motivation and persistent viewing intention, It has a purpose to reveal their relationship on viewing flow and viewing satisfaction Empirically do roles as intermediation. For that, we did a questionnaire on the Internet from 14 Aug 2019 to 14 Sep 2019 and analyzed the data of 332 papers were used to an analysis of result except some papers written by unfaithful people and someone who haven't ever watched YouTube. First of all,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viewing motivation of watching a Vlog on YouTube was divided into 4 factors such as loneliness alleviation, mediated voyeurism, killing time, and entertainment motivation. Second, It is represented that loneliness alleviation by watching a Vlog on YouTube has a positive effect to viewing flow, but It doesn’t have positive effect to viewing satisfaction and persistent viewing intention. Third, It is shown that mediated voyeurism by watching a Vlog on YouTube has a positive effect to viewing flow, viewing satisfaction, and persistent viewing intention. Forth, It is presented that killing time has a negative effect to viewing flow, and viewing satisfaction and persistent viewing intention don’t have any effect to killing time motivation. Fifth, It is signified that entertainment motivation by watching a Vlog on YouTube has a positive effect to viewing flow, viewing satisfaction, and persistent viewing intention. Sixth, viewing flow have a partial mediation about a relationship of mediated voyeurism, entertainment motivation, and persistent viewing intention. Finally, viewing satisfaction have a perfect mediation about a relationship of mediated voyeurism, entertainment motivation, and persistent viewing intention. In other words, mediated voyeurism and entertainment motivation doesn’t have any direct effect to viewrs’ satisfaction, if it doesn’t have an mediated effect of viewing satisfaction. Like this results, the research of viewers who watch a Vlog on YouTube has a further significance. Because, there is scarce information about watching a Vlog on YouTube and precedented research was rarely conducted. Based on receiver’s Uses and Gratifications theory, It has a significance, because this research empirically validities a hypothesis and widens widths of a study. Also, this research has a significance, because ‘mediated voyeurism’was added which couldn’t be grasped by studying viewing motivation of traditional/new media.

      • KCI등재

        프로축구 관중의 관람동기와 관람만족, 관람태도 및 재관람의도의 구조적 관계

        신명식(Sin, Myeng-Sik),황지현(Hwang, Ji-Hyun),박대호(Park, Dae-Ho) 한국체육과학회 2014 한국체육과학회지 Vol.23 No.4

        This study has a main purpose that closely examines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viewing motivation, viewing satisfaction, viewing attitude, and re-viewing intention of professional soccer spectators. In order to achieve it, the sample from professional soccer spectators" were accumulated by using convenience sampling. The samples were 500 people, and we excluded unsuitable sheet like that were decided as untrustful one and an omission, and unclear. So the final samples were 406 people and it is the conclusions as follow. First, the viewing motivation has influence on the viewing satisfaction. Second, the viewing satisfaction has influence on the viewing attitude. Third, the viewing satisfaction has influence on the re-viewing intention. Fourth, the viewing attitude has influence on the re-viewing intention.

      • KCI등재후보

        2008 베이징올림픽 핸드볼 시청자의 동기, 태도 및 시청의도의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유재충(Yoo Jae-Choong) 한국체육과학회 2009 한국체육과학회지 Vol.18 No.1

        The principal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losely the structual equation model among seeing satisfaction, viewing motivation, viewing attitude, and viewing intention of 20aged university students viewed in rebroadcasting of 2008 Beijing Olympic handball game. The questionnaire for data collection of this study was based on those used in previous studies among seeing satisfaction, viewing motivation, viewing attitude, and viewing intention scales, whichwere used after examing the verification of validity and reliability through pilot test.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was appli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for the method of statistics. The following is conclusions brought through these analyzing methods and process in this study. Hypothesis was adapted to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seeing satisfaction, viewing motivation, viewing attitude, and viewing intention.

      • KCI등재

        관람체험이 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에 관한 구조적 고찰 - 클래식공연을 중심으로

        이샛별 한국예술경영학회 2016 예술경영연구 Vol.0 No.40

        Many previous studies of classical performances have been conducted on actor's stage-psychology, audience activation plan, cultural policy and cultural phenomena. These studies have important implications for phenomenological approach for classical performances. Classic performances are experiential products in a marketing point of view and have more influenced by viewing experiences of audiences than other performance sectors. In other words, in the classical performances, viewing experiences of audiences are very important in deciding viewing evaluations and behaviors. However, previous studies have only presented existence‧ non-existence or importance of viewing experiences and hardly have demonstrated viewing experiences and intention of audience's behaviors. In addition, there are a lot of studies examined on the performances in terms of (experiential goods) but, most of them have mainly been studied festivals, dance and sports.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provide implications in art management perspective by specifically examining the relationship among viewing experiences, enjoyment, trust, commitment and viewing intention targeting audiences who have experience of watching classical performances for recent six months. Hence, total 343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from June 15, 2016 to July 15, 2016. In this study, demographic and viewing characteristics are as follows. In the ratio of gender, male 146 people the ratio of (42.6%) was higher than female 197 people the ratio of (57.4%). In the ratio of age, audiences between 20 and 30 years of age 148 people showed the highest ratio of (43.1%) and in the education, university students/graduates 219 people showed the highest ratio of (63.8%). In the income, the range from 5 million to 10 million 103 people won showed the highest ratio of (30.0%) and in the residential areas, Busan 245 people showed the highest ratio of (71.4%) and Gimhae 30 people showed the second highest ratio of (8.7%). In the audience group, professional artists 136 people showed the highest ratio of (39.7%) and non-professional artists 105 people showed the second highest ratio of (30.6%) and lastly, general audiences 102 people showed the lowest ratio of (29.7%). In the viewing genre, orchestra 222 people showed the highest ratio of (64.7%). In the concentration, string music 104 people showed the highest ratio of (30.3%) and in the viewing frequency, frequency of 6 times or over 111 people showed the highest of (32.4%). In this study, the testing results of hypothesis are as follows. Firstly, viewing experienc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a enjoyment. Secondly, the joy had a significant impact on both trust and commitment. Thirdly, the trust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commitment. Fourthly, both trust and commitment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viewing intention. Therefore, in this study, all hypotheses have been adopted.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derives viewing experiences perceived by the audiences and provides the implications for appropriate art management in order to lead to positive viewing behaviors. 지금까지 클래식공연에 대한 많은 선행연구들은 배우(예술가)들의 무대심리, 관객활성화 방안, 문화정책연구, 문화현상연구 등과 관련하여 진행된 것들이 대부분이다. 이 연구들은 클래식공연에 대한 현상학적인 접근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시사점을 내리고 있다. 예술마케팅 관점에 있어서 클래식공연은 서비스상품이다. 또한, 관람체험을 통해생성된 관객들의 주관적인 감정으로 관람에 대한 평가가 좌우되는 경험재라 할 수있다. 즉, 클래식공연의 관람체험은 관람평가와 관람행동을 결정짓는 데에 있어서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그 간의 연구들은 관람체험의 유‧무 또는 중요성만을 제시할뿐, 관람체험과 관객들의 행동의도에 대해 구체적으로 논증한 연구들은 매우 부족하다. 뿐만 아니라, 경험재라는 관점에서 공연을 접목한 연구들은 많지만, 주로 축제, 무용, 스포츠 등에 편중되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최근 6개월 간 클래식공연을 관람한 경험이 있는 관객들을 대상으로 관람체험과 즐거움, 신뢰, 몰입, 관람의도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검토함으로써 예술경영 관점에서 시사점을 내리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6년 6월 15일~7월15일까지 총 343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본 연구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및 관람특성은 다음과 같다. 성별은 남성 146명(42.6%), 여성 197명(57.4%)으로 남성보다 여성이 높게 나타났다. 연령은 20~30세 미만148명(43.1%)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학력은 대학교 재/졸 219명(63.8%)이 가장높게 나타났다. 소득은 500~1,000만원 미만 103명(30.0%)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거주 지역은 부산 245명(71.4%), 김해 30명(8.7%)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관람집단은 전문예술인 136명(39.7%), 아마추어 예술인 105명(30.6%), 일반관객 102명(29.7%)으로 나타났으며, 관람 장르는 오케스트라 222명(64.7%)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세부 전공은 현악 104명(30.3%)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관람 빈도는 6번 이상 111명(32.4%)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가설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관람체험은 즐거움에 통계적으로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즐거움은 신뢰와 몰입에 각각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신뢰는 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신뢰와 몰입은 각각 관람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모든 가설들이 채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을 바탕으로 관객들이 지각하는 관람체험을 도출하고, 긍정적인 관람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예술경영 관점에서 시사점을 내리고 있다.

      • KCI등재

        중국 시청자의 K-Drama 시청동기가 지속시청의도에 미치는 영향 -의사사회 상호작용과 시청만족의 이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화형 ( Lee Hwa Hyung ),이정건 ( Lee Jung Gun ),이현석 ( Lee Hyun Serk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22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81 No.-

        이 연구의 목적은 중국 시청자의 K-Drama 시청동기가 지속시청의도에 미칠 수 있는 영향에 대해 의사사회 상호작용과 시청만족이 미치는 이중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규명하여, 지속가능한 K-Drama 활성화 방안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수집된 513부 자료의 다중회귀분석과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Process Macro model 4와 Process Macro Model 6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콘텐츠 우수성과 출연진 매력도는 지속시청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문화적 호기심과 관계적 요인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문화적 유사성은 부(-)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의사사회 상호작용은 문화적 호기심, 콘텐츠 우수성, 출연진 매력도와 지속시청의도 간에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문화적 유사성과 관계적 요인은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시청만족은 콘텐츠 우수성, 문화적 유사성, 출연진 매력도, 관계적 요인과 지속시청의도 간에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문화적 호기심은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의사사회 상호작용과 시청 만족은 시청동기와 지속시청의도에 이중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콘텐츠 우수성, 출연진 매력도와 지속시청의도에 부분 매개하고, 문화적 호기심, 문화적 유사성, 관계적 요인은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이 연구는 지속가능한 K-Drama 활성화 방안의 방향성과 이론적·실무적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는 시사점을 가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sustainable K-Drama diffusion through empirically examining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pseudo-social interaction and viewing satisfaction on the effect of Chinese viewers' K-Drama viewing motivation on continuous viewing intention. Process Macro Model 4 and Process Macro Model 6 were us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the collected 513 data. First, content excellence and cast attractiveness had a positive (+) effect on continuous viewing intention, cultural curiosity and relational factors had no effect, and cultural similarity had a negative (-) effect. Second, the pseudo-social interaction was found to partially mediate between cultural curiosity, content excellence, cast attractiveness and continuous viewing intention, while cultural similarity and relational factors completely mediate. Third, viewing satisfaction partially mediated content excellence, cultural similarity, cast attractiveness, relational factors and continuous viewing intention, and cultural curiosity fully mediated. Fourth, pseudo-social interaction and viewing satisfaction double mediated between viewing motivation and continuous viewing intention, partially mediated by content excellence, cast attractiveness and continuous viewing intention, and cultural curiosity, cultural similarity, and relational factors were completely mediated. Therefore, this study has the implications of suggesting a direction for a sustainable K-Drama diffusion measure.

      • KCI등재

        TV 홈쇼핑 방송의 시청동기가 시청만족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봉철(Bong Chul Kim),문주원(Joo Won Moon),최명일(Myung Il Choi) 한국광고홍보학회 2014 광고연구 Vol.0 No.100

        본 연구는 TV 홈쇼핑 방송의 시청동기가 시청만족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500명의 TV 홈쇼핑 시청자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탐색적 요인분석 및 확증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TV 홈쇼핑 방송의 시청동기는 제품구매(α=.908), 지식습득(α=.871), 시간 보내기(α=.758), 쇼핑호스트 호감(α=.758) 등 4개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중 제품구매가 가장 큰 시청동기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시청동기와 시청만족과의 관계를 보면, 제품구매, 지식습득, 쇼핑호스트 호감이 시청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시청동기와 구매의도의 관계를 보면, 제품구매, 지식습득이 구매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TV 홈쇼핑 시청동기가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서 시청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면, ``제품구매→시청만족도→구매의도``, ``지식습득→시청만족도→구매의도``, ``쇼핑호스트 호감→시청만족도→구매의도`` 등의 경로에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시간보내기 동기를 제외한 나머지 TV 홈쇼핑 시청 동기는 시청만족도를 통해 구매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explored how TV viewing motivation of home shopping affects viewing satisfaction and purchase intentio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500 viewers of TV home shopping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EFA)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CFA) were employed for data analysis. Results indicate that Viewing Motivation of Home shopping constructed with four factors, such as ``buying goods``(a =.908), ``getting knowledge``(a=.871), ``killing time``(a=.758), and ``likability to shopping host``(a=.758). Three factors - ``buying goods``, ``getting knowledge`` and ``likability to shopping host`` - significantly affected viewing satisfaction; whereas, two factors - ``buying goods``, ``getting knowledge`` - significantly affected purchase intention. Viewing satisfaction showed moderating effect in the three paths of ``buying goods``→``viewing satisfaction``→``purchase intention’, ‘getting knowledge``→``viewing satisfaction``→ ``purchase intention’, and ``likability to shopping host``→``viewing satisfaction``→ ``purchase intention’. In sum, factors of TV viewing motivation except "killing time" significantly affect purchase intention moderating by viewing satisfaction.

      • KCI등재

        한국프로야구(KBO)관람의 관람결정요인이 관람만족 및 재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 : 심판판정인식의 조절효과

        이태훈,조성균 한국사회체육학회 2024 한국사회체육학회지 Vol.- No.96

        Purpos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 of determinants of viewing in Korean professional baseball (KBO) on viewing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re-watch, and to identify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referee’s perception of judgement. Method: Data analysis employed SPSS version 25 and PROCESS Macro version 4.1, utilizing techniques such as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simple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bootstrapping (n=5000) for moderation analysis. Result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stadium factor and the viewing promotion factor, which are subfactors of the viewing decision factor,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viewing satisfac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stadium factor and the viewing promotion factor, which are sub-factors of the viewing decision factor,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the intention to re-watch. Third, it was found that viewing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the measured viewing intention. Four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cision factor of viewing and the intention to re-watch, viewing satisfaction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 mediating effect. Fif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cision factor of viewing and the intention to re-watch, the perception of judgment did not show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anticipated that the intention to continue re-watching, by attracting more visitors and enhancing viewing satisfaction, will have a significant impact if convenience facilities, cleanliness, and discount promotions at various events and baseball stadium facilities are reorganized to improve communication with fans. The introduction of AI robot referees will also alter visitors’ perception of refereeing and facilitate the development of the Korea Baseball Organization (KBO) and individual clubs.

      • KCI등재

        스포츠팬 자민족중심주의와 SNS정보제공성, 시청태도 및 시청의도의 구조적 관계

        김종우(Kim, Jong-Woo),전기제(Jeon, Ki-Jae),신승호(Shin, Seung-Ho) 한국체육과학회 2016 한국체육과학회지 Vol.25 No.4

        This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the impact among sport fan ethnocentrism, SNS information offering from sports channel, viewing attitude and viewing intention. After previews process use the results from the analysis to suggest fundamental marketing materials about the behavior of sports fans. For this paper, the subjects were England Premier League’s viewer based in in Seoul. A total of 300 surveys were received and 290 surveys (97%)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after credibility. Survey data was processed by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correlation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Sobel test. The result states, frist, sport fan ethnocentrism was found to have an impact on viewing attitude but not viewing intention. Second, SNS information offering was found to have an impact on viewing attitude but not viewing intention. Third, viewing attitude was found to have an impact on viewing intention. Fourth, viewing attitude was found to have a mediation effect on between sport fan ethnocentrism and viewing intention. Fifth, viewing attitude was found to have a mediation effect in between SNS and viewing intention

      • KCI등재후보

        문화공연 관람요인이 공연관람의도 및 관람만족에 미치는 영향

        조예진(Jo, Ye-Jin) 한국문화산업학회 2015 문화산업연구 Vol.15 No.4

        이 연구는 문화공연 관람요인이 공연관람의도 및 관람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문화공연 중 뮤지컬과 연극의 관객을 대상으로 공연관람의도와 관람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실질적 관람요인을 도출하여 문화공연 산업의 활성화에 이바지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이를 위해 서울에 위치한 뮤지컬과 연극 공연장을 선정한 후, 직접 방문하여 총 6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문항이 누락되었거나 불성실하게 기재하였다고 판단된 52부의 설문지를 제외하고 548부(91.3%)를 유효 표본으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과 AMOS 18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관계 분석, 구조방정식 모형 검정을 이용한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방법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공연 관람요인 중 품질, 장소 촉진, 배우 전문성이 공연관람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문화공연 관람요인 중 품질, 장소, 배우 전문성, 배우 인지도가 관람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공연관람의도는 관람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공연은 무형의 제품으로써 관객이 구매와 동시에 경험하면서 소멸되는 서비스와 유사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문화공연기획 단체는 관객들의 관람의도와 관람만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수준 높은 품질을 기본으로 장소, 촉진, 배우 전문성, 배우 인지도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사전에 잠재고객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어야 하며, 이를 토대로 관객의 관람의도와 관람만족을 높이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한다면 관객과의 긍정적인 관계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providing fundamental data and information on promotion of culture & arts performance industry by studying what effect of culture & arts performance viewing factor on viewing intention and viewing satisfaction. The surveywas done through 600members in performance arts center of Seoul and excluding 52 copies ran an analysis on the remaining 548(91.3%) copies. After question investigating the data which is collected used SPSS 18.0 and AMOS 18 program,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ronbach’s α,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path analysis through structural equationmodel.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quality, place & facility, promotion, performer professionalism showed significant effects on culture & arts performance viewing intention. Second, quality, place & facility, performer professionalism, performer awareness showed significant effects on viewing satisfaction. Third, viewing intention showed significant effects on viewing satisfaction. 이 연구는 문화공연 관람요인이 공연관람의도 및 관람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문화공연 중 뮤지컬과 연극의 관객을 대상으로 공연관람의도와 관람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실질적 관람요인을 도출하여 문화공연 산업의 활성화에 이바지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이를 위해 서울에 위치한 뮤지컬과 연극 공연장을 선정한 후, 직접 방문하여 총 6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문항이 누락되었거나 불성실하게 기재하였다고 판단된 52부의 설문지를 제외하고 548부(91.3%)를 유효 표본으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과 AMOS 18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관계 분석, 구조방정식 모형 검정을 이용한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방법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공연 관람요인 중 품질, 장소 촉진, 배우 전문성이 공연관람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문화공연 관람요인 중 품질, 장소, 배우 전문성, 배우 인지도가 관람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공연관람의도는 관람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공연은 무형의 제품으로써 관객이 구매와 동시에 경험하면서 소멸되는 서비스와 유사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문화공연기획 단체는 관객들의 관람의도와 관람만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수준 높은 품질을 기본으로 장소, 촉진, 배우 전문성, 배우 인지도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사전에 잠재고객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어야 하며, 이를 토대로 관객의 관람의도와 관람만족을 높이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한다면 관객과의 긍정적인 관계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providing fundamental data and information on promotion of culture & arts performance industry by studying what effect of culture & arts performance viewing factor on viewing intention and viewing satisfaction. The surveywas done through 600members in performance arts center of Seoul and excluding 52 copies ran an analysis on the remaining 548(91.3%) copies. After question investigating the data which is collected used SPSS 18.0 and AMOS 18 program,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ronbach’s α,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path analysis through structural equationmodel.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quality, place & facility, promotion, performer professionalism showed significant effects on culture & arts performance viewing intention. Second, quality, place & facility, performer professionalism, performer awareness showed significant effects on viewing satisfaction. Third, viewing intention showed significant effects on viewing satisfaction.

      • KCI등재

        The Effect of the Perceived Waiting Time of Viewers on Negative Emotions, Viewing Satisfaction, Viewing Attitude, and Continuous Viewing Intention When an e-Sports Game Pause

        이주연,김세윤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023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 Vol.1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the perceived waiting time of viewers of e-sports games affects negative emotions and how these negative emotions affect viewing satisfaction, viewing attitude, and continuous viewing intention.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200 viewers who watched e-sports games more than two to three times were targeted. 197 copies were selected as the final valid sample after excluding three of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that showed unfaithful answers. For data processing method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27 and AMOS 25. Through thi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it was found that the perceived waiting time of the viewer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viewers' negative emotions in the event of a game pause. Second, viewers' negative emotion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viewing attitudes, but not on viewing satisfaction. Third, it was found that viewing attitud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viewing satisfaction and continuous viewing intention. Fourth, it was found that viewing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ontinuous viewing intention. In other words, the more acceptable and shorter the perceived waiting time due to the suspension of the game pause, the lower the negative emotions of the viewers, and the negative emotions of the viewers ultimately affect the intention to continue watching through viewing attitude and viewing satisfa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