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립학교 과잉규제의 위헌성에 관한 연구

        명재진 한국교회법학회 2023 교회와 법 Vol.10 No.1

        Private schools provide special and diverse education that public schools cannot provide, and through this, parents give their children a wide range of opportunities to receive education.* Professor of Law School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Since the freedom to establish private schools is guaranteed by the constitution and laws, the autonomy and autonomy to operate the schools according to the founding ideology must be recognized. However, the Private School Act has few provisions to nurture and protect the autonomy, speciality, and creativity of private schools, and has too many regulations for state supervision and regulation. Private schools are losing freedom of operation due to the open director system and the appointment of directors through the Private School Dispute Mediation Committee. The Constitutional Court and the courts, through many rulings, demand the public nature of private schools and infringe on the freedom to operate private schools. Christian universities are also being deprived of freedom of religion due to the ban on chapels issued by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Korea. Chapel classes at Christian universities are being conducted as a missionary work to maintain the university's identity, so it is not a matter for the state to intervene, and banning them is against the constitution. Due to the recent revision of the Private School Act, the superintendent of education obliges teachers to take a written test, which limits private schools' freedom to hire teachers. Currently, private schools are in danger of losing their identity as private schools due to excessive restrictions on freedom by the state and being converted into public private schools.

      • KCI등재

        사학 민주화와 사학개혁의 과제

        정대화 한국사회과학연구회 2014 동향과 전망 Vol.- No.90

        Although Korean education is composed of national-public school and private school, the ratio of private school is absolutely higher than national-public school i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The corruption of private schools arisen from the excessive ratio and undemocratic atmosphere of private schools has been the most radical issue. The issue about the corruption of private schools started as part of educational democratization, and to solve that corruption the interim director was dispatched. In this respect the interim director system was considered as a transitional system for educational democratization. So at that time some efforts for the reform of private schools law were continued. But the interim director system was collapsed because of return of the old private school foundations. In addition, nowadays the issue of private school corruption retreats because of university restructuring. To solve the problem of private schools, there is a need for a paradigm shift that private schools is not a private property but a public institutions. Moreover the ratio of private schools must be cut down, and the national-public schools must be expanded. And also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public director, to introduce the public management university model, to legislate the private schools corruption prevention law, to abolish the PSDR. Finally government beware lest university restructuring retain the undemocratic management of private schools. 우리 교육은 국공립과 사학의 혼합체제로 이루어져 있지만 고등교육에서 사학이 차지하는 비중은 압도적으로 높다. 사학의 과도한 비중과 더불어 사학의 비민주성에서 비롯된 사학비리는 우리 교육의 가장 첨예한 쟁점으로 부각되어 있다. 사학비리는 1980년대 민주화의 과정에서 교육 민주화의 일환으로 부각되었고, 사학비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임시이사 체제가 도입되었다. 임시이사 체제는 교육 민주화의 과도기적인 체제로 간주되었다. 이 과정에서 사립학교법 개정을 통해서 사학의 민주성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 또한 병행되었다. 그러나 사학분쟁조정위원회에 의해 모든 임시이사 파견대학에 구재단이 복귀하게 되었으며 그 결과 사학비리가 면죄부를 받고 과도기적 민주체제인 임시이사 체제는 붕괴되었다. 최근에는 대학대란에 대응하기 위한 대학구조조정이 부각되면서 사학의 비민주성과 사학비리의 쟁점이 후퇴하고 있는 상황이다. 사학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사학을 사유재산으로 간주하는 관점에서 벗어나 국가 공교육을 담당하는 공공기관으로 바라보는 인식의 전환이 있어야 하며, 이를 바탕으로 과도한 사학의 비중을 줄이고 국공립의 비중을 높이면서 사학의 민주성과 투명성을 확보하기 위한 정책을 실시하여야 한다. 공익이사제를 강화하고 공영대학 모델을 도입하는 것, 사학부패방지법을 제정하는 것, 비리재단을 복귀시키는 사분위를 폐지하는 것 등이 필요하다. 대학구조조정 과정에서도 대학구조조정이 사학의 비민주성을 온존시키는 수단이 되지 않도록 유의하여야 한다.

      • KCI등재후보

        A study on the occupational happiness of teachers in private primary schools in China

        Lei Yingzi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문화예술콘텐츠연구소 2020 문화와예술연구 Vol.15 No.-

        21세기 이래, 중국은 ‘교육 강국’이라는 구호를 내걸고 국가와 정부 는 교육 사업을 우선적으로 발전시키고 있다. 중국은 9년제 의무교육 을 실시하고 공립초등학교는 국가에서 전액 지원하고 있다. 그러나 사립초등학교는 독립적으로 운영되며 중소학교교육의 불가결의 일부 분이다. 이는 공립학교의 스트레스를 완화시켰을 뿐만 아니라 학교운 영의 특색도 형성하였다. 중국에서는 공립ㆍ사립 초등학교가 모두 입 시 위주의 교육 아래 같은 응시 과정을 실시한다. 그러나 법에 의해 설립된 교육기구로서 중국의 사립초등학교는 국가의 전액재정보조가 없기에 독립적인 관리, 독립적인 모집과 교직원 관리가 필요하다. 공 립초등학교 교원과 비교할 때 작업강도가 높고 사회적 지위와 인정 도가 낮기 때문에 중국 사립 소학교의 교원은 일반적으로 불안정하 다. 이 연구는 중국 강서성의 5개 사립초등학교 교사 360명을 대상으 로 341개의 유효한 표본을 수집했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 직 업행복감>을 측정도구로 사용하였다. 조사 데이터를 기초로 본 연구 는 강서성 사립초등학교 교사들의 직업 행복감의 현황과 사립초등학 교 교사들의 직업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차원 총체적 특징을 분석했다. 연구결과에 대한 데이터분석을 통해 중국 사립 초등학교 교사들의 사회지지와 자아실현의 어려움이 교원직업의 행복체험에 영향주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 결과를 보면 중국에서 사립 초등학교 여자 교사의 직업 행복감이 남자 교사보다 높았고, 청년 교 사의 직업 행복감이 교사 연령이 긴 교사보다 높았음을 알 수 있다. 문학, 수학, 영어 과목은 초등학교 주요 시험 과목이다. 3개 주요 시 험 과목의 교사들은 사회적 지원을 받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직업 행 복도가 높게 나타나고 있다.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다음과 같은 대책을 제기한다. 첫째, 사회에 대한 인식을 전환하고 사립초등학교 교원의 사회적 지위를 제고시켜 야 한다. 둘째, 사립 초등학교는 자기의 독특한 학교 운영 특성을 수 립할 때 교원의 주체역할을 강화하고 교원의 관리역할을 충분히 발 휘시켜야 한다. 셋째, 사립 초등학교 교원에 대한 관심을 강화해야 한다. 학교 관리자들은 인문 배려를 통해 교원의 수요를 만족시키고 교원의 친근감과 학교에 대한 귀속감을 제고해야 한다. 남녀 교사, 청년 교원, 수업 연한이 긴 교원 및 각 학과 교원에게 적합한 직업발 전환경을 제공해야 한다. Since the 21st century, China has put forward the slogan— Education makes a country strong. The national government calls for giving priority to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In China, the nine-year compulsory education is implemented. Public primary schools and junior middle schools are funded by the state in full amount. However, private primary schools and junior middle schools operate on their own,which are also an indispensable part of 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 It not only relieves the pressure of public schools, but also forms their own unique school-running characteristics. In China, both public and private primary schools implement the same examination-oriented curriculum under the background of examination-oriented education. However, as educational institutions established in accordance with laws and regulations, private primary schools in China do not have the full financial subsidy from the state and need to conduct independent management, independent recruitment and faculty management. Private primary schools in China generally have unstable staffs because of the heavy workload, lower social status and recognition than public primary school teacher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360 teachers from 5 private primary schools in Jiangxi province, China, and 341 valid samples were collected. <Primary School Teachers' Occupational Happiness Scale> was used as the measuring tool in this study. Based on the survey data, this paper analyzes the current situation of private primary school teachers' occupational happiness in Jiangxi province, and analyze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dimensions that affect the teachers' occupational happiness in private primary schools. Through the data analysis of the research results, it can be seen that the teachers of private primary schools in China are troubled by social support and self-actualization which influence experiencing occupational happiness. Known from the results, in China, the occupational happiness of female teachers in private primary schools are higher than that of male teachers, and that of young teachers are higher than that of teachers with long teaching experience. Literature, mathematics and English courses are the main exam subjects in primary school. Teachers of these three main exam courses can feel social support, so their occupational happiness is relatively high.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following countermeasures are proposed: First, to change social cognition and improve the social status of private primary school teachers. Second, private primary schools are supposed to strengthen the principal role of teachers and give full play to the management role of teachers when establishing their own unique school-running characteristics. Third, the sense of belonging of private primary school teachers should be valued. School administrators also need to meet the needs , to strengthen the humanistic care and to consider providing a suitable working environment for the career development, not only for male and female teachers, new and experienced teachers, but also the teachers in different subjects.

      • KCI등재

        대학교육의 법체계와 사립대학법의 제정

        임상혁 법과사회이론학회 2022 법과 사회 Vol.- No.69

        In Korea, the proportion of private schools is very large, especially in universities. According to the “Korean Educational Statistics Service,” 82% of general universities are private, which are in charge of educating 77% of university students. However, our university society has no problem-free day, and most of the complications happen in private school management. Here it is examined that legislative factors including the absence of laws regulating the private universities are mainly located in the operation of disruptive national public educ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the legal system and review of legislative history. In fact, the legal system of education does not consistently regulate schools in charge of public education. This is because of the obstacle called the “Private School Act.” When the Acts relating to education were reorganized in 1997, it was neither dealt with together nor put into the system of public education legislation. In the enactment stage of the Private School Act, its attitude of pursuing the independence of private schools as an exception to public education pronounced and has been operated as such by granting the board of directors full personnel rights. Non-educational crimes such as corruption in entrance exams and teacher recruitment, which are constantly problematic in private schools, cannot exist without the fact that private schools are completely dominated. Now, we have to recognize the unrest in the university as a whole rather than a simple individual private problem. The legal system of our education includes the “Framework Act on Education” as the basic law on education, and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Act”,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ct”, and the “Higher Education Act” are established in accordance with the regular education process, which is quite a systematic composition. The existence of the “Private School Act” as comprehensive special legislation, however, makes it difficult to figure out the education regulation. It controls even the universities in the same way as kindergartens,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t inevitably makes even the operation of the university inferior, furthermore going against its characteristics. In the end, it is almost said that there is no practical law that regulates private universities, and that they may be excluded from the public education system by law. Now it is time to reorganize the public education legislation. Education in schools in charge of the regular curriculum should be public education which in nature cannot be changed depending on who the school founder is. The current system has a form of pursuing it, but it has not been implemented due to related laws and realities. First of all, legislation is needed to the extent that it is operated normally. Needless to say, the most urgent thing is to bring the most important university education into a normal public education system through the enactment of the <Private University Act>. For systematic harmonization, it is desirable to enact it in a form attached to the Higher Education Act which should restore the status as a basic university law under the Framework Act on Education. 대한민국은 사립학교의 비중이 무척 크며, 특히 대학은 80%가 넘는 수가 사립일 정도이다. 우리 대학사회는 분규 없는 날이 없고, 그 대부분은 사학 경영에서 일어난다. 이런 사태의 핵심에 사립대학에 관한 법률이 부재하다는 법제적 요인이 있다는 것을 법체계의 분석과 입법사적 검토를 통해 따져보았다. 교육 법령의 체계는 교육의 기본법으로 「교육기본법」이 있고, 그 부속 개념의 법률로 「유아교육법」, 「초・중등교육법」, 「고등교육법」이 유치원, 초・중・고교, 대학이라는 정규교육 과정에 맞추어 제정되어 있어, 나름의 일관된 체제를 갖춘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사립학교법」이 그와 별도로 존재하여 교육법의 체제가 제대로 작동하는 데 결정적인 걸림돌이 되고 있다. 1997년 「교육기본법」 중심의 체제로 개편할 때에 「사립학교법」을 함께 다루어 공교육 법제의 체제 안으로 집어넣는 작업을 하지 않았던 것이다. 「사립학교법」은 1963년의 제정 단계에서 이미 공교육의 예외로서의 사학의 독립을 추구하는 태도를 법조문에서 드러내었고, 재단 이사회에 전면적인 인사권까지 부여함으로써 실질적으로 그를 보장하였다. 입시부정, 교원 채용비리와 같은 비교육적 범죄들은 사학이 완전히 장악된 현실을 기반으로 하지 않고서는 있을 수 없는 일이다. 더구나 「사립학교법」은 유치원과 초・중・고교까지를 포함하는 규율 방식으로 대학까지 다룬다. 이는 질적으로 다른 차원의 교육이 이루어져야 하는 대학의 특성에 거스르는 운영을 부른다. 결국 사립대학을 그에 걸맞게 규율하는 실질적인 법제는 없다고 할 지경이고, 또한 공교육 체제에서 배제될 여지가 입법상 갖추어져 있는 셈이다. 사립대학 문제의 해결은 결국 공교육의 체제를 회복하는 데로 이어져야 한다. 정규교육과정을 담당하는 공교육의 실현을 현행 체제가 형식적인 마련은 하였으나, 구시대적인 특별법과 현실이 그를 가로막고 있다. 우선은 이를 정상 가동되도록 하는 정도의 입법이라도 필요하다. 가장 시급한 것은 말할 필요도 없이 사립대학법의 제정을 통해 가장 중요한 대학 교육을 정상적인 공교육 체제 안으로 끌어들이는 일이다. 현 체제에서 체계적인 조화를 위해서는 「교육기본법」 체제 하의 「고등교육법」이 대학기본법의 위상을 가질 수 있도록 일단 사립대학법을 그에 부속하는 형식으로 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KCI등재

        사학의 자주성과 공공성에 대한 사립학교법의 주요 개정내용 분석

        황동연 대한교육법학회 2019 敎育 法學 硏究 Vol.31 No.3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which analyzed the revision of the Private School Law in terms of ensuring the independence of private schools and strengthening public character, are as follows. First, in the Lawmaking Period (1961-1993), it can be seen that the government has continuously strengthened its public character of prioritizing open values for private schools. Second, in the period of Extended Self-reliance (1993-1997), instead of easing regulations on the number of directors of school corporations, the Private School Law on the Introduction of an External Audit System for the Accounting of School Firms was amended to enhance the independence of the Board of Directors through the enhancement of professionalism and to increase the public nature and transparency of the operation of private schools. Third, in the period of the conflict between self-reliance and public nature (1998-currently), under the progressive administration there was a revision of the law to establish a university council and introduce an open board system to improve the nepotistic management system of private schools despite conflicts between progressive and conservative camps, whereas under the conservative administration there was a revision of the law that clearly classified school expenses, corporate and fund accounts based on tuition. The Moon's government also revised the law to reinforce the supervisory authority for both private schools and educational foundations, which avoid disciplinary action from the competent authority. The overall trend over the past 60 years has gradually reduced the government's authority to supervise and supervise, and on the contrary, it is steadily increasing the autonomy of the school corporation, the main body of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private schools. 이 연구는 사립학교법의 제정과 개정과정에서 사립학교의 자주성과 공공성이 어떻게 반영되어 왔는지에 대한 탐색을 통하여 자주성과 공공성, 어떤 측면이 강조되어 왔는지를 분석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개정 시기별 주요 개정의 주요 내용에 대한 분석결과는 ①「법제정기」(1961년∼1993)에서는 사립학교에 대한 공익적 가치를 우선시하는 공공성 강화에 중점을 두었으며, ②「자주성 신장기」(1993-1997)에서는 학교법인 이사 수에 대한 규제를 완화하는 대신에 전문성 증진을 통한 이사회 자주성 신장과 더불어 사립학교 운영의 공공성과 투명성을 높이기 위하여 학교법인 회계에 대하여 외부 감사제도 도입하는 법 개정을 하였으며, ③ 「자주성과 공공성 갈등기」(1998-현재)에서는 진보진영과 보수진영의 갈등에도 불구하고 사립학교의 족벌운영 체제 개선을 위한 대학평의회 설치 및 개방이사제도 도입의 법 개정이 있었고, 등록금을 기본으로 하는 교비회계, 법인회계. 기금회계 등을 명확하게 구분하는 법 개정이 있었고, 관할청의 징계요구를 면탈하는 사립학교와 학교법인에 대한 지도・감독권 강화하기 위한 법 개정이 있었다. 사립학교법 개정의 주요 특징은 ① 사립학교법의 제정과 개정은 일부 사학의 비리와 부조리가 여전히 재현되는 실정에서 자주성 보다는 공공성 강화를 주요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② 사립학교법 개정의 주요 쟁점은 학교법인의 거버넌스의 개선, 교원의 신분보장, 재정 운영의 투명성 확보, 관할청의 지도・감독권, 기타 사립학교 운영 및 제도개선 등이며, ④ 자주성과 공공성의 갈등이 심각하게 표출되었던 사립학교법 개정은 대학평의회와 학교운영위원회의 도입, 개방이사 도입관련 개정이었으며, ⑤ 진보진영은 지속적으로 사학운영주체인 이사회의 거버넌스에 관심을 자진 반면에 보수진영은 사학재정의 투명성 확보에 상대적으로 많은 관심을 보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 KCI등재

        사립학교법과 기독교 사학 - 사립학교의 자율성과 정체성을 중심으로 -

        이종원 한국대학선교학회 2023 대학과 선교 Vol.57 No.-

        본 소고에서는 그동안 개정된 사립학교법의 특징과 방향을 살펴보면서 최근 개정된 사립학교법에서 발견되는 문제점을 비판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사립학교법은 공공성과 자율성에 근거하여 개정되었지만, 사립학교의 자율성보다는 공공성 강화에 더 치우치고 있다. 이로 인한 문제점을 살펴보면서 이에 대처하는 대응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2021년 개정된 사립학교법은 공공성 확보 차원에서 공영화 추진으로 일관되고 있어 문제시된다. 이러한 공공성 강화 및 공영화 추진 정책은 여러 문제점을 드러낸다. 첫째, 종교계 사립학교를 포함한 기독교 사립학교의 자율성을 제한하고, 둘째, 기독교적 정체성을 약화시켜 학교의 건전한 발전을 저해할 수 있는 부작용을 초래한다. 셋째, 모든 사립학교에 대한 일률적 규제로 인해 사학이 가진 장점, 즉 특수성과 자주성, 다양성이 속박당하면서 우수 사학의 자주성이 침해되고 교육력 저하를 초래하게 될 가능성이 크다. 바람직한 사립학교법의 방향은 사학의 자율성과 공공성이 서로 상반관계가 아니라 상호보완적 관계로 보아야 한다. 사학의 공영화가 아니라 우수 사학이 특수성과 자율성을 자발적이고 창의적으로 구현할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더욱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방식이다. 기독교 학교 스스로 다른 사립학교나 공립학교보다 더 높은 윤리적 책임 의식을갖고 수준 높은 윤리강령을 마련하여 실천해야 한다. 아울러 기독교 학교의 정체성을 수호하기 위해 교회가 관심을 갖고 교단 차원을 넘어 교계 전반과 한국교회 전체로 확산시켜 협력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또한 바람직한 사립학교법 개정을 위해 다양한 연구 및 사업을 적극적으로 진행할 필요가 있다. In this paper, I intend to critically analyze the problems found in the recently revised private school act while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and direction of the Private School Act that has been revised so far. ThePrivate School Act was revised based on publicity and autonomy, but it is more focused on strengthening publicity than on the autonomy of private schools. I want to investigate these problems and suggest an effectivecounterplan toward this. The private school act revised in 2021 collectivized consistently in order to retain it’s publicity. We can find many problems in these reinforce policy of collectivization and publicity. First, there are problems that would limit the autonomy of christian private schools, including the religious private schools. Second, this law cause christian identity of the christian private school to be weaken and then obstructs healthy development. Third, regulation which applied in all cases give rise to infringement toward the autonomy of the excellent private school and cause to decline of the educational power. Because this law restrains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and independence and diversity of these schools. In order to establish a desirable direction of this law, we must consider autonomy and publicity of the private school not competing but complementary relation. The more reasonable and effective solution is not collectivization but creating an creating an atmosphere in which the excellent private school can realize with their distinct characteristics and independence voluntarily and creatively. And also christian private school themselves prepare code of ethics with more higher ethical responsibility than other private school or public school. To protect the identity of the christian private school, churches take an active interest in this problem, and need to effort of cooperative plan spreading the whole of Christianity beyond religious body. To revise of reasonable private school act, we must unfold various research and works positively.

      • KCI등재후보

        사립학교법 개정에 대한 신학적 고찰: 사회적 삼위일체론에 근거한 교육 공공성과 사립학교 자율성의 재개념화

        함승수 ( Seungsoo Ham ) 한국교회법학회 2021 교회와 법 Vol.7 No.2

        한국 사회의 근대 교육을 이끌었던 중심에 사립학교가 있었고 사립학교의 중심에 기독교학교가 있었다. 기독교학교는 서구 근대교육이 이식되는 적극적인 통로였을 뿐 아니라, 민족정신의 중요한 거점으로 실력과 신앙을 겸비한 기독교적 인재를 양성하여 나라발전의 화수분이 되어왔다. 그러나 오늘날 기독교학교는 평준화 정책 등의 영향으로 심각한 정체성 위기에 직면해 있다. 기독교 건학이념을 구현할 수 없는 기독교학교는 상상할 수 없다. 그러나 평준화 정책 이후 사립학교의 자율성을 제한하는 교육정책이 지속적으로 시행되어 오늘날 건학이념을 구현할 기독교학교의 자율성은 상당히 훼손되어 있다. 특히 현 정부에서는 교육의 공공성 증진과 투명성 강화를 목적으로 사립학교들을 공영화 시키는 정책이 추진되고 있고, 21대 국회에서는 이를 뒷 받침하는 사립학교법 개정안을 발의하여 처리하고 있다. 일방적인 사학 공영화 정책을 바라보며 과연 이 땅에 기독교학교는 존립할 수 있는지 근본적으로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 본 연구는 기독교학교의 정상화를 위한 존립기반을 모색하기 위해 시작되었다. 기독교학교를 포함한 사립학교의 위기는 교육 공공성과 사립학교 자율성이 상호 대립적으로 개념화 되어 있는 것에서 출발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이를 재개념화 할 수 있는 동력을 신학의 사회적 삼위일체론에서 찾으려 하였다. 사회적 삼위일체론은 국가와 학교의 직선적 위계구조를 극복하고, 다양성 안의 일치 원리를 통해 공공성과 자율성을 상호 보완적으로 재개념화 할 수 있는 공동체의 원형이 되기 때문이다. 한국교회와 기독교학교들은 다음세대들이 학교에서도 기독교 가치관에 따라 교육 받을 수 있도록 체계적이며, 전문적인 대응을 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점을 거듭 강조한다. 그래서 이번 사립학교법 개정으로 촉발된 기독교학교에 대한 관심과 위기의식은 오히려 이 땅에 기독교학교의 정체성이 회복되고 온전한 기독교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는 새로운 토대가 될 수 있길 소망한다. Private schools were at the center of modern education in Korean society and Christian schools at the center of private schools. The Christian school has not only been an active channel for Western modern education to be transplanted, but it has also been a source of national development by cultivating Christian talent who combines talent and faith as an important base of national spirit. Today, however, Christian schools face a serious identity crisis. It is impossible to imagine a Christian school that cannot implement the founding philosophy of Christianity. After the Equalization Policy, education policies that limit the autonomy of private schools have been continuously implemented, and the autonomy of Christian schools that will realize the founding ideology today is considerably undermined. In particular, the current government is promoting a policy of making private schools public schools for the purpose of enhancing publicity and enhancing transparency in education. The 21st National Assembly has proposed and is processing amendments to the Private School Act to support this. Looking at the unilateral private school policy, I am fundamentally worried about whether Christian schools can exist in this land. This study was initiated to seek a foundation for the normalization of Christian schools. The crisis in private schools, including Christian schools, was recognized as starting with the conflicting conceptualization of educational publicness and private school autonomy, and sought to find the power to re-conceptualize it in the 'Social Trinity theory' of theology. This is because social trinity theory is the archetype of a community that can overcome the unilateral hierarchy of the state and schools and mutually reinvent public and autonomy through the principle of 'Unity in Diversity'. Korean churches and Christian schools should be able to respond systematically and professionally so that the next generation can be educated in accordance with Christian values in schools. I hope that the interest and sense of crisis in Christian schools triggered by the revision of the Private School Act will serve as a new foundation for the restoration of the identity of Christian schools and full Christian education on the land.

      • KCI등재후보

        사립학교의 자주성과 공공성-학교법인의 사학의 자유를 중심으로

        김하열 ( Ha Yurl Kim ) 고려대학교 법학연구원 2009 고려법학 Vol.0 No.52

        Since 2005, critics and supporters of the amendment to the Private School Act and the constitutional complaint against it have been trading blows in political and social arguments. It is fundamentally derived from the difference of views concerning the two conflicting values, the independence of the private school and the public characteristics of the private school. It is a basic problem which is associated not only with the settlement of the constitutional complaint but also with the settlement of conflicts which occurs among those involved such as the government, educational foundations, schools,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in the educational decision-making process or legislative proceedings. In this paper, a basic legal character and structure of independence and public characteristics of the private school has been analysed, especially around legislative regulations on the management of foundation itself and of private school. The private schools in Korea are thoroughly incorporated in the system of public education by the Constitution and the laws, and the legal character of private school could be, in terms of the administrative law, explained that it is a kind of chartered corporation which will be established and managed for the public service called "education". Consequently, the freedom of private school is under more possibility of legislative regulations. The independence of education should be respected, but there are strained and cooperative relations between independence and public characteristics. In the matter of independence, multi-layered problems arise from the collision of various values, such as the freedom of educational foundations, the autonomy of school, and the teacher`s and student`s(or parent`s) right to participate in education. The right of educational foundations to establish and manage private school is based on Article 10, Article 34 section 1 and 4 of the Constitution, not on the property right from Article 23. This basic right can be restricted by the government which has responsibility for enhancing the public characteristics of the private school, by the request for the autonomy of school, and by the rights of teachers and students(parents) to participate. It can be largely shaped and restricted by legislation unless it is infringed essentially or excessively. The main disputes around the constitutional complaint is how far may the legislative regulations reach against educational foundations, concerning the free formation and management of its organizations and agencies. Shaping a system to raise the public characteristics in this area lies within the limits of legislative power since the foundations are intrinsically burdened with the public characteristics of the education.

      • KCI등재

        사립학교법 논쟁점과 기독교사학의 대처 방안 연구

        조은식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2023 장신논단 Vol.55 No.1

        The private school law amended in 2005 and the private school law revision bill proposed in 2020 are strongly resisted by Christian schools and Korean churches. Those who insist on revising the Private School Act argue that it is necessary to prevent corruption in private schools and to eradicate corruption. However, it is pointed out that the attempt to revise the Private School Act under the guise of private school corruption lacks legitimacy, as private school corruption can be dealt with by the regulations of the Supervisory Office and can be dealt with through the civil and criminal laws. The problem is that the two amendments in common emphasize the public nature rather than the autonomy of private schools and strengthen the intervention of the competent authority. The emphasis on publicness infringes on the autonomy of private schools and overlooks the specificity of private schools. In that case, it can become an obstacle in realizing the founding ideology of Christian schools and realizing Christian identity. This raises doubts about whether there is an intention to actually control private schools and make them comply with government policies through the publicization policy of private schools. In this controversy, first, Christian schools should operate transparently so that they are not misunderstood as corrupt schools. To do so, Christian schools themselves must form a self-purification committee and set an example for other schools. In particular, the revision of the Private School Act should be improved to promote the sound development of private schools rather than regulation and control. In the revision of the Private School Ac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dual legislative policy of regulation and support by dividing corrupt private schools from excellent private schools rather than one-sided revision to treat all private schools uniformly. Above all, it is desirable to take the lead so that private schools can be operated independently by considering the special characteristics of private schools. 2005년에 개정된 사립학교법과 2020년 발의된 사립학교법 개정법률안에 대한 기독교학교와 한국교계의 반발이 심하다. 사립학교법 개정을 주장하는 측은 사립학교 비리 예방 장치와 비리 척결을 위해 필요하다는 논리를 내세운다. 그러나 사학비리는 감독청의 규정으로 처리될 수 있고 민법과 형법으로도 대응할 수 있기에, 사학비리라는 미명아래 사학법 개정시도는 정당성이 부족하다는 지적이다. 문제는 두 가지 개정안이 공통적으로 사립학교의 자주성 보다는 공공성을 더 강조하며 관할청의 개입을 강화하고 있다는 점이다. 공공성 강조는 사학의 자주성을 침해하게 되고 사학의 특수성을 간과하게 된다. 그럴 경우 기독교학교의 건학이념을 실현하고 기독교 정체성을 구현하는데 걸림돌이 될 수 있다. 이것은 사립학교의 공영화 정책을 통해 실질적으로는 사립학교를 통제하고 정부 정책에 순응하도록 하려는 의도가 있는 것이 아닌가 하는 의구심을 갖게 한다. 이런 논란에서 먼저 기독교학교는 비리학교로 오해받는 일이 없도록 투명한 학사운영을 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 기독교학교 스스로 자정위원회를 구성하여 타학교의 모범이 되어야 한다. 특히 사립학교법 개정은 규제와 통제보다는 사학의 건전한 발전을 도모할 수 있는 내용으로 개선되어야 한다. 사립학교법 개정은 모든 사립학교를 일률적으로 다루려는 일방적 개정보다는 비리사학과 우수사학을 구분하여 규제와 지원이라는 이원화된 입법정책을 세우는 것이 필요하다. 무엇보다 사립학교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자주적 운영을 할 수 있도록 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KCI등재후보

        私立學校法에 나타난 私學의 自主性과 公共性에 대한 敎育關聯集團의 認識

        金秉柱(Kim Byoung-Joo),金銀我(Kim Eun-Ah),安庄子(Ahn Jang-Ja) 동아인문학회 2008 동아인문학 Vol.13 No.-

        Adverse criticism is not ceasing the 35th revised Private School Law and the private school being the publicness and independence. This study analyzes the differential perception and major contents of private school law promulgated in December 29, 2005 and the private school. The law was established to have objects in extending transparency and democracy, publicness of school operation; however there were some problems related to the private school and those who have something to do with the private school. The next is the results which are the analysis of the differential perception in the 35th revised Private School Law and the private school following background variations. First, the average numerical value of the private school being the independence is more high than the average numerical value of the private school being the publicness in the all ages except 20's. Second, the average numerical value of the private school being the publicness is more high than the average numerical value of the private school being the independence in the all places except a big city. Third, the average numerical value of the private school being the publicness is more high than the average numerical value of the private school being the independence in only teacher's group. Fourth, the average numerical value of the private school being the publicness is more high than the average numerical value of the private school being the independence in the primary school teac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