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익소송에서 소송비용 패소자부담 원칙의 개선에 관한 소고

        김나루 한국법학원 2023 저스티스 Vol.197 No.-

        In principle, the Civil Procedure Act requires the losing party to bear the litigation costs, but the Civil Procedure Act and the rules on the inclusion of litigation costs for attorney fees make exceptions to the loser-pays rule. Applying the loser-pays rule in the public litigation can excessively limit the right to trial of the socially disadvantaged. Furthermore, it could cause problems such as weakening the function of public debate and social ventilation of related issues, improving legislation, realizing rights and interests, and shrinking public interest activities. In addition, the loser-pays rule is likely to violate the principle of equality in the case of public interest litigations. Of course, there are exceptions to the loser-pays rule, but it is not easy to alleviate the litigation cost burden of the losing party in the public interest litigation because there are no exceptions that take into account the public interest of litigation. Accordingly, the loser-pays rule is still a factor that puts an excessive burden on the party who would like to file a public interest lawsuit. In order to improve this situation, it is necessary to specify the definition of public interest litigation in the law or the categories and requirements of public interest litigation and to reduce and exempt the litigation cost of the losing party. In addition, it is essential to specify the type of litigation as a professional litigation such as medical treatment, industrial accident, environment, consumer’s right with difficulty in proving damage to alleviate the ambiguity of regulations. 민사소송법은 원칙적으로 패소한 당사자가 소송비용을 부담하도록 하고 있으나, 민사소송법 및 변호사보수의 소송비용 산입에 관한 규칙 등을 통하여 몇가지 방식으로 소송비용의 패소자부담 원칙에 대한 예외를 두고 있다. 이러한 민사소송법상 소송비용의 패소자부담 원칙을 사회적 약자․소수자의 권익보호, 국가권력으로부터 침해된 국민의 권리를 구제하여 불합리한 사회제도를 개선하고 국가권력의 남용을 억제하는 데에 도움이 되는 소송을 의미하는 ‘공익소송’에도 동일하게 적용하는 것은 사회적 약자 등의 재판청구권을 과도하게 제한할 수 있다. 더 나아가, 공익소송을 통한 관련 사안의 공론화 및 사회적 환기 기능, 법제 개선 및 권익 실현 기능 약화, 공익활동 위축 등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또한 일반 소송과는 다른 특징을 가진 공익소송의 경우에 일반 소송과 마찬가지로 소송비용을 패소자에게 부담하도록 하는 것은 평등의 원칙에 위반될 가능성이 있다. 물론 소송비용의 패소자부담 원칙에 대한 예외가 존재하지만, 명시적으로 소송의 ‘공익성’을 고려하여 예외를 두고 있지는 않기 때문에 실제로 공익소송에서 패소한 당사자의 소송비용 부담을 완화시키기는 쉽지 않다. 이에 따라, 소송비용의 패소자부담 원칙은 여전히 공익소송을 제기하고자 하는 당사자에게 과중한 부담을 주는 요인이 되고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는 법률상에 공익소송의 정의를 명시하거나 공익소송의 범주 및 요건을 구체화하여 공익소송의 패소당사자가 부담해야 할 소송비용을 감면하는 것이 필요하다. 즉 어떠한 경우에 패소자의 소송비용 부담의무를 면제하거나 완화시켜야 하는지, 소송의 공익성 여부를 판단할 때 고려해야 하는 요건 및 요소들을 구체적으로 정해야한다. 그리고 공익소송의 범주를 정함에 있어서 포괄적인 용어를 사용하여 규정하기보다는 피해 증명의 어려움이 있는 의료소송, 산업재해소송, 환경소송, 소비자권리구제소송 등의 전문소송으로, 소송의 종류를 구체화하는 것이 규정의 모호성을 완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Losers’ Consent or Non-Voter Consent? Satisfaction with Democracy in East Asia

        Timothy S. Rich 서울대학교행정대학원 2015 Asian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Vol.23 No.3

        How do electoral outcomes influence views on democracy among East Asian countries? A sizable literature assesses differences between electoral winners and losers, but few cover East Asian cases. Using cross-national survey data from the Asian Barometer (ABS), this article analyzes the extent to which losers are less satisfied with democracy. Unlike much of the literature, this analysis also addresses a third category: those that did not vote. Empirical analyses controlling for demographic and institutional factors find that both losers and non-voters consistently have lower evaluations of democracy than winners, while losers appear to have less satisfaction than non-voters.

      • KCI우수등재

        패자에 대한 경제학

        이인호 ( In Ho Lee ) 한국경제학회 2021 經濟學硏究 Vol.69 No.2

        본 연구는 패자에 대한 보상이 시장 경쟁에 가져오는 효과를 시장 참여자들에 대한 유인 제공의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경쟁에서 성공 시와 실패 시 받게 되는 보상의 상대적 차이가 기술 혁신에 대한 투자의 크기를 결정하는 모형을 분석한다. 경쟁에서 승자와 패자가 받는 보상의 차이는 흥미로운 양면적 역할을 하게 된다. 승자와 패자가 받는 보상의 차이가 경쟁에 참여하는 사람들이 열심히 노력할 유인을 제공하지만 이 차이가 너무 크다면 애초에 경쟁에 참여하는 것을 방해할 가능성이 있다. 기업들의 경쟁 참여 유인을 주기 위한 방법으로 패자가 겪게 되는 상대적인 손해는 유지하면서 전체적인 보상의 수준을 동일하게 올리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This paper analyzes the effect of compensation for losers on competition in terms of providing incentives to market participants. We consider a model in which the relative difference between the rewards received in case of success and failure in competition determines the size of investment in technological innovation. The difference in rewards between winners and losers in competition plays an interesting dual role. While the difference in rewards between winners and losers provides incentives to work hard, if the difference is too large, it prevents them from participating in the competition in the first place. To encourage participation in competition, we suggest increasing the overall level of compensation while maintaining the relative loss suffered by losers.

      • KCI등재후보

        한국의 소비자본주의 시대 개막과 루저들의 탄생

        서은경(Suh, EunKyoung) 돈암어문학회 2016 돈암어문학 Vol.29 No.-

        2003년 독특한 외모와 장르적 전통을 와해시키는 서사 기법으로 눈에 띄게 등장한 박민규는 그간 한국의 주요 문학상을 휩쓸면서 거대 작가로 발돋움했다. 동시에 그는 대중적 인기를 누리는 작가이기도 하다. 특히 본고에서 다룬 두 권의 장편소설 『삼미 슈퍼스타즈의 마지막 팬클럽』과 『죽은 왕녀를 위한 파반느』는 박민규만의 냉소와 해학으로 자본주의의 핵심을 짚어냈다는 점에서 문학성과 대중성 모두를 확보한 작품이다. 등단부터 박민규의 문학적 관심은 소비자본주의 사회에서 밀려난 개인들의 삶이다. 본고에서 위의 두 장편에 주목한 것은 이들 작품이 이후 박민규의 문학적 행보를 설명해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와 ‘미’라는 자본주의 핵심 권력을 정면에서 다루었기 때문이다. 박민규는 한국에서 소비자본주의가 본격적으로 열린 1980년대 문화와 일상의 회고를 통해 평범한 개인들이 어떻게 자본주의 논리를 내면화해 나가는지 보여주었다. “부와 아름다움은 우리를 지배하는 가장 강력한 이데올로기”라 지적한 저자는 『삼미 슈퍼스타즈의 마지막 팬클럽』을 통해 중산층의 부상과 자본주의 성장 논리를, 『죽은 왕녀를 위한 파반느』를 통해 외모지상주의의 한국 사회를 정면에서 비판했다. 만년 꼴찌 야구팀 ‘삼미 슈퍼스타즈’의 야구를 통해 저자는 승자독식의 자본주의 사회에서 평범하게 산다는 것과 패배자로 전락하는 삶의 의미를 묻고 있다. 박민규는 만년 꼴찌 ‘삼미’의 입장에서 세계를 바라보는 과정을 통해 약육강식의 말단부를 차지하고 있는 루저들을 평범한 개인들로 복원시켜 놓았다. 또한 『죽은 왕녀를 위한 파반느』는 못생긴 여자를 사랑한다는 설정만으로도 획기적인 내용이라 할 수 있다. 인간의 신체마저 상품이 되는 자본주의 사회에서 추녀는 경제적 무능력자와 마찬가지로 패배자로 살아갈 수밖에 없다. 오로지 태생적 외모만으로 많은 것이 결정되는 외모지상주의 사회의 폭력성을 자본주의 논리로 읽어낸 박민규의 해석은 날카롭다. 결국 위 두 작품은 ‘부끄러움’과 ‘부러움’을 동력으로 돌아가는 소비자본주의 사회에 무비판적으로 순응해가는 보통 사람들의 이야기이다. 나아가 냉소와 해학으로 자본주의의 본질을 갈파한 박민규는 이들 작품에서 연대의식과 사랑이라는 인간구원의 방법을 제시하였다. In 2003 Park Min Gyu made a striking appearance with unique appearance and outstanding narrative methods that broke up the genre tradition and has become a great writer with extensive winnings of various literature awards in Korea. At the same time, he enjoys popularity. Two full-length novels including Last fan club of Sammi Superstars and Pavane for a Dead Princess secured both literary value and popularity as they pointed out the key of capitalism with sarcasm and humor. Park’s literary interest from his debut lied in the life of individuals who were isolated from consumer capitalism. The reason why this study focused on the above two novels is because those could explain his literary journey. Park demonstrated how ordinary individuals internalized capitalistic logics by reflecting the culture and routine in 1980s at a time when consumer capitalism began in earnest in Korea. By pointing out that “wealth and beauty are the most powerful ideologies that reign over us”, he criticized rise of the middle class and logic of the growth of capitalism through Last fan club of Sammi Superstars and also criticized lookism of Korea through Pavane for a Dead Princess. Through the baseball play of ‘Sammi Superstars’, an always losing baseball team, the author remarked that the ordinary living of capitalistic society of winner-takes-all and raised a question of meaning of life falling to a loser. Park restored losers who occupied at the bottom of the law of the jungle as ordinary individuals through the process of looking the world from the perspective of ‘Sammi’ an always loser. And, Pavane for a Dead Princess is epoch-making as the set-up is to love an ugly looking woman. In a capitalism society where human body becomes a commodity, an ugly looking woman has to live as a loser like economic incompetency. His interpretation is sharp as he read violence of lookism society, where innate appearance decides many things, from the logic of capitalism. Ultimately, the above two works are stories of ordinary people who adapted themselves to the consumer capitalistic society that are driven by ‘shyness’ and ‘envy’ as fuel. Furthermore, Park revealed the essence of capitalism with sarcasm and humor and suggested solidarity and love as the solution of human salvation. It is a clearly novel idea considering his literary journey criticizing the capitalistic system.

      • KCI등재

        연구논문 : 승자와 패자의 정치관용에 대한 인식 차이와 그 효과

        조진만 ( Jin Man Cho ),윤종빈 ( Jong Bin Yoon ),가상준 ( Sang Joon Ka ),유성진 ( Sung Jin Yoo )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2011 韓國 政治 硏究 Vol.20 No.2

        대의민주주의가 공고화되기 위해서는 선거를 통한 정권 교체의 가능성이 항상 열려 있고, 선거경쟁에서의 승자와 패자가 비슷한 수준의 정치관용을 보이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대의민주주의 하에서 선거를 통하여 필연적으로 양산하게 되는 승자와 패자로서의 지위가 정치관용의 문제와 관련하여 어떠한 관계를 형성하고 있는가를 경험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이를 통하여 본 연구는 한국에서 정치관용은 어떠한 특징들을 보이는가에 대한 이해를 돕고, 그 수준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접근과 노력들이 요구되는지에 대하여 제안하고 있다. 연구결과, 한국에서 승자와 패자의 정치관용에 대한 인식은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는 점을 목격할 수 있었다. 그리고 다중 회귀분석의 결과를 놓고 볼 때에도 승자 또는 패자로서의 지위는 개인의 정치관용 수준을 결정짓는데 있어 일정 수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향후 한국정치가 파행적인 국면으로 전개되는 것을 방지하고 대화와 토론에 기반하여 협의적인 방향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승자와 패자 간에 존재하는 정치관용에 대한 인식 차이를 좁힐 수 있는 방안들을 다각적으로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보여진다. 특히 이를 위해서는 승자독식의 정치문화를 개선하고, 좀더 합의제적인 방향으로 제도 설정을 하는 것이 긴요할 갓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ly analyze the perception gap on political tolerance between the winner and the loser. In addition, this study analyzes its effects in Korean politics. In this vein, this study will be helpful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political tolerance as well as to suggest what kinds of approaches or efforts are needed for improving the level of it in Korea. Depending on the statistic analyses, we can witness that a significant perception gap on political tolerance between the winner and the loser does exist in Korea. Also, it effects to determine the level of political tolerance of the individuals. Considering the empirical findings, reducing the perception gap on political tolerance between the winner and the loser is necessary to ameliorate the winner-takes-all culture as well as to adopt the more consensual institutions.

      • KCI등재

        실직자의 가족탄력성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적극적 대처방식의 매개효과 검증

        김현정,함경애,이동훈 한국상담심리학회 2014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family resilience and active coping strategies on post-traumatic growth among job losers. A sample of 275 job losers(133 men, 142 women) who visited government unemployment service centers at Busan and Gyeongnam regions were surveyed. For this study, scales including Korean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K-PTGI), Family Resilience Scale, and Active Coping Strategies Scale were implemented by participants. Correlation analysi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obel test were employed to investigate the hypothe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ing: First, positive relationships were found between family resilience and post-traumatic growth, between family resilience and active coping strategies, and between active coping strategies and post-traumatic growth respectively. Second, active coping strategies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job losers' family resilience and post-traumatic growth. Finding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실직자의 가족탄력성과 적극적 대처방식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부산, 경남에 소재하고 있는 고용센터 및 근로복지공단을 방문한 실직자 275명을 대상으로 가족탄력성 척도, 스트레스 대처방식 척도, 외상 후 성장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주요 변인들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실직자의 적극적 대처방식이 가족탄력성과 외상 후 성장 간의 관계에서 매개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매개모형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밝혀진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상후성장과 가족탄력성 및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정적상관을 보였다, 또한 가족탄력성과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방식도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적극적 대처방식은 가족탄력성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실직자의 경우 외상 후 성장을 경험하며, 그들의 가족탄력성이 높고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사용할수록 외상 후 성장을 더 많이 경험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과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러-일간 영토교섭:무승부를 통한 해결방법 있는가?

        최태강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2015 중소연구 Vol.39 No.3

        This paper examines the territorial negotiation between Russia and Japan: Are there any solution to take a compromise with no apparent winner or loser. Russia and Japan marking the 70th anniversary of the end of the World War II does not sign the peace treaty due to discord of resolving the territorial dispute. Also both sides have a major obstacle for the development of the two nations because Russia has controlled the disputed islands since World War II. This paper focuses on the three aspects. First, I examine the compromise proposal of key documents relating to the territorial negotiation between both sides after the war. Second, I also analyze the position and solution between Russia and Japan in respect of the Putin’s suggestion of no winner or loser. Finally, I consider reasonable and acceptable compromises on the basis of a balance of bilateral interests. For resolving the territorial dispute with Putin’s the suggestion, Russia and Japan have established trusting relationships through close political dialogues, must have a strategic partnership in an entire field of including economic cooperation. Under the circumstances, the both sides will show thrustful will of action to find a constructive solution on the basis of principle of mutual interests. On the other hand, it is important to persuade people in the both countries for the solution of the territorial issue that is of mutual benefit to both sides. eventually, political decision of both leaders is only way to resolve the issue with the compromise proposal prepared by both government. 본 글에서는 전후 70주년을 맞이하여 러-일간 영토협상: 무승부를 통한 해결방법은 있는가를 분석하고자 한다. 전후 지금까지 러-일은 평화조약을 체결하지 않은 상태이다. 또한 러시아가 실효지배하고 있는 영토문제로 인해 양국간 협력 발전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이 글에서 3가지 측면에서 중점을 둘 것이다. 첫째, 현재까지 양국간 주요 합의 문서 등에서 나온 영토교섭 관련 타협안을 살펴본다. 둘째, 무승부에 대한 러-일의 입장과 무승부로 해결 할 수 있는 것들을 분석한다. 셋째, 양국의 이익균형과 상호수용 가능한 타협을 토대로 합리적인 해결방안이 있는지 고찰하고자 한다. 푸틴이 제시한 무승부로 해결하기 위해서 러-일 양국은 지도자간 긴밀한 정치대화를 통해 신뢰관계를 구축하고, 경제협력 등 전반적인 분야에서 양국관계를 전략적 동반자관계로 발전시켜야 한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양국은 상호이익의 원칙을 토대로 건설적인 해결책을 찾는데 적극적인 실천의지를 보여야 할 것이다. 한편으로 현안인 영토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모두의 이익이 된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도록 양국 국민들을 설득하는 것도 중요하다. 결국 양국이 마련한 타협안으로 양국 지도자의 정치결단이 이 문제를 해결하는 유일한 방안일 것이다.

      • KCI등재

        이기호의 『버니』에 나타난 현상의 이중성과 사라진 변화의 가능성

        이규일(Lee, kyu-il)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2018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학술지 어문논총 Vol.- No.33

        캐서린 흄은 작가에게 주어진 ‘사건, 사람, 상황’ 등에 대해서 ‘변형시키고 싶은 욕망’이 환상을 만들어낸다고 주장하고 있다. 서사는 발화자의 시각에 의해 선정되어 재해석된 이야기이므로 태생적으로 환상성을 지닌다. 그리고 반복된 환상은 우리를 시뮬라크르의 세계로 인도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에게 주어진 과제는 환상이 감추고 있는 실재는 무엇이며, 환상은 우리에게 어떤 작용을 하는가를 밝히는 데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가 접하고 있는 현상의 이중성과 그것의 의미를 탐구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 된다. 이런 점에서 이기호의 「버니」는 합의된 적 없는 폭력을 합법화한 현실을 환상 속에 감춰둔 좋은 예시가 된다. 그가 바라보고 있는 사회적 문제의식은 학교라는 공간에서 시작한다. 학교는 학생에게 필수 지식을 전수하여 인재로 육성하는 임무를 수행하는 기관이다. 그러나 작가의 눈에 비친 학교는 사회화라는 단어 뒤에 욕망의 거세와 가능성의 삭제가 자행되는 인형극 마당이다. 그곳에서 벌어지는 교육은 사실상 낙오자에 대한 낙인의 다른 명명이다. 「버니」는 끝없이 사회화와 비사회화의 경계를 비웃는다. 이 작품은 교육 받은 자는 낙오자를 저속하다 말하지만, 오히려 ‘나’는 교육 받은자의 위선을 경박한 리듬으로 폭로한다. 작가는 의도적으로 기의를 비틀어 경계를 지으려는 교육받은 위선자들에게 ‘바구니’라는 주인공의 별명을 되돌려준다. 「버니」는 낙오자의 한심스런 인생을 경박한 리듬으로 노래한다. 그러나 경박한 리듬 뒤에는 우리의 삶이 사회라는 극작가에 의한 인형극이 되었다는 사실이 숨겨져 있다. 그리고 누구도 이러한 마당극에서 벗어날 수 없다는 사실이 저속함을 만들어 내는 환상 속에 감춰져 있다. 따라서 이기호의 「버니」의 실험적 문체는 단순히 수사법에 관한 논의로 끝나서는 안된다. 「버니」는 교육을 통해 스스로 덮어쓴 언어의 감옥에 대한 비판의식으로 재해석되어야 한다. Kathryn Hume insisted that the desire of transformation created fantasies about events, human and situations given to a writer. A narration has a fantasy by nature since it is chosen and reinterpreted by the narrator’s point of view. Moreover, the repeated fantasy guides us to the world of simulacre. In this circumstances, we need to find out the existence that the fantasy hides and how the fantasy affects on us. Thus, this study aims to research the duality of phenomena and its meaning that we encounter. In this way, “Bunny” by Lee ki-ho could be a great example that hides the reality in fantasies. The reality legalized the violence that has never been agreed. The writer’s awareness on social problems starts from the space, a school. A school is an organization that conducts a mission of rearing students into outstanding individuals by delivering essential knowledge. However, from the writer’s point of view, the school is a puppet theater that conducts the castration of desire and the elimination of possibilities with the word of socialization. In fact, the education in school is another call for stigma to losers. “Bunny” mocks the boundary between socialization and desocialization endlessly. Even though the educated said that losers are vulgar, ‘I’ in “Bunny” disclosed hypocrisy of the educated with a frivolous rhythm. The writer gave the nickname ‘basket’ of the main character back to the educated hypocrite. Through this, the writer criticizes the educated hypocrite who try to make a boundary by twisting the signifié intentionally. “Bunny” sings the pathetic life of losers with a frivolous rhythm. However, it is hidden that our life became a puppet show by the playwriter so called a society. Also, the fact that nobody is able to get away from the puppet show is hidden in the fantasy of vulgarness. Thus, the experimental writing style of “Bunny” by Lee Ki-ho should not be discussed in a simple rhetoric matter. “Bunny” should be reinterpreted as criticism on the prison of language that is covered voluntarily through education.

      • KCI등재
      • KCI등재

        중국 B급 코미디의 흥행과 글로벌 콘텐츠로의 발전 가능성 ― 카이신마화(開心麻花)를 예로

        오명선 중국어문학회 2023 中國語文學誌 Vol.- No.82

        Through the two films mentioned in the text, “Goodbye Mr. Loser” and “Never Say Die,” the characteristics and excursiveness of Mahua Fun Age film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se two films draw the audience into the movie convention of slapstick comedy through the apparatus of ‘time slip’ and ‘body change’ in terms of narrative. In addition, they operate a popular and stable narrative that can easily reach the audience, and in terms of subject matter, they lead to a stable ending by aiming for universal human values such as the pursuit of true love. In terms of directing, they create a laughing point for the audience by using exaggerated acting, exaggerated directing techniques, and cameras of slapstick comedy. That is to say, it can be said that their films stably attract the audience through the operation of stable and familiar narratives and the directing technique of slapstick comedy. In this respect, the narrative and direction of Mahua Fun Age is not only within China, but it can also be said to be open to global audiences accustomed to slapstick comedy. However, the pun (linguistic play), which doubles the fun of movies to audiences within China, or the operation of narratives that have the background of popular culture can act as a factor blocking the influx of global audiences. This can also be said to be a limitation of a feature film with a narrative. Although a universal and plain narrative makes it easy to attract a global audience, as stable as it is, fun can be halved. The directing of laughter through pun (linguistic play) or the narrative set in a specific culture can give a big laugh to a specific audience, but it cannot secure universality. 본고에서는 두 영화를 통해 카이신마화 영화의 특징과 지엽성을 종합해보면, 서사적 측면에서 ‘타임슬립’과 ‘몸 바뀜’이라는 장치를 통해 슬랩스틱 코미디의 영화 관습 안으로 관객들을 끌어들인다. 또한 관객에게 쉽게 다가갈 수 있는 대중적으로 익숙하고 안정적인 서사를 운용하고, 주제적인 측면에서도 진실한 사랑의 추구와 같은 인류 보편적인 가치를 지향하여 안정적인 결말에 이르게 한다. 연출적인 측면에 있어서도 슬랩스틱 코미디의 좌충우돌하는 과장된 연기와 과장된 연출 기법, 카메라를 운용하여 관객의 웃음 포인트를 만들어낸다. 즉 이들의 영화는 안정적이고 익숙한 내러티브의 운용과 슬랩스틱 코미디의 연출기법을 통해 관객을 안정적으로 끌어들인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카이신마화의 서사와 연출은 중국 내에서 뿐만 아니라 슬랩스틱 코미디에 익숙한 글로벌 관객에게도 열려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중국 내 관객에게 영화의 재미를 배가시켜주는 언어유희나 대중문화의 배경을 지닌 서사의 운용은 글로벌 관객의 유입을 차단시키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이는 내러티브를 지니는 장편 영화가 지니는 한계라고도 할 수 있다. 보편적이고 평이한 서사는 글로벌 관객을 쉽게 유입시킬 수 있게 하지만 안정적인 만큼 재미가 반감될 수 있다. 언어유희를 통한 웃음의 연출이나 특정 문화를 배경으로 하는 서사는 특정 관객에게 큰 웃음을 줄 수 있지만 보편성을 확보할 수는 없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