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논문 : 원지반 부착식 판넬옹벽의 현장 적용성 평가

        민경남 ( Kyoung Nam Min ),이재원 ( Jae Won Lee ),이중관 ( Jung Gwan Lee ),강인규 ( In Kyu Kang ),안태봉 ( Tae Bong Ahn ) 대한지질공학회 2016 지질공학 Vol.26 No.1

        최근 들어 도심지 재개발과 산업단지 조성 등이 활발하게 진행되면서 깎기 비탈면의 효율적 활용과 민원방지 그리고 환경훼손을 최소화할 수 있는 공법의 필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다. 판넬식 옹벽은 지보재 보강을 통해 원지반의 전단강도를 증가시키고 전면판인 프리캐스트 판넬과 지보재를 체결하여 개별적 벽체를 형성시킴으로써 수평토압에 저항하는 공법이다. 프리캐스트판넬의 적용으로 기존 옹벽에서 발생하던 콘크리트 현장타설에 의한 공기지연과 콘크리트 품질저하 등의 문제는 다소 해결되었지만 비탈면 과다절취에 의한 사토처리 및 토취장 확보, 및 옹벽 전면 콘크리트 노출로 인한 경관성 저하문제는 여전히 미결과제로 남아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판넬식옹벽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판넬 전면을 자연암반형으로 연출하고 수직의 원지반에도 부착이 가능하도록 공정을 개선하였으며 실내 및 현장시험을 통하여 개발된 옹벽의 현장 적용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판넬에 대한 실내시험을 수행하여 자연암반형 판넬의 자체강도 및 거동특성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였으며 현장 시험시공을 통하여 수직절취 및 원지반 부착에 대한 현장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시험시공 시 보강재 및 비탈면에 대한 계측을 수행하였으며 이를 3차원 수치해석 결과와 비교·분석하였다. 실내시험 결과 사보강에 의한 판넬의 펀칭강도 증가를 확인하였으며 현장 시험시공을 통하여 원지반 부착식 옹벽의 시공성 및 현장 적용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장기계측 및 수치해석적검증을 통하여 원지반 부착식 옹벽 시스템이 시공중 및 장기적으로 안정성이 확보됨을 확인하였다. New building methods are needed to aid increased inner-city redevelopment and industrial construction. A particular area of improvement is the efficient use of cut slopes, with the minimization of associated problems. A retaining wall of precast panels can resist the horizontal earth pressure by increasing the shear strength of the ground and reinforcing it through contact with the panels. Precast panels allow quick construction and avoid the problem of concrete deterioration. Other problems to be solved include the digging of borrow pits, the disposal of material cut from the slope, and degradation of the landscape caused by the exposed concrete retaining wall.This study suggest the methods of improvement of an existing precast panel wall system by changing the appearance of the panels to that of natural rock and improving the process of adhering the panel to a vertical slope. The panels were tested in the laboratory and in the field. The laboratory test verified their specific strength and behavior, and the field test assessed the panels`` ground adherence at a vertical cutting. Reinforcement of the cutting slope was also measured and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3D numerical analysis. The results of laboratory test, identified that the shear bar increase the punching resistance of panel. And as a results of test construction, identified the construct ability and field applicability of the panel wall system adhered to in-situ ground. In addition to that, extended measurement and numerical analysis, identified the long-term stability of panel wall system adhered to in-situ ground.

      • KCI등재

        대형재하시험을 통한 원지반 부착식 패널옹벽의 거동특성

        신윤철(Yuncheol Shin),민경남(Kyongnam Min),김진희(Jinhee Kim),안태봉(Taebong Ahn) 한국지반환경공학회 2016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Vol.17 No.11

        패널식 옹벽은 지보재를 통한 선지보 개념으로 프리캐스트 패널과 체결하여 원지반 강도를 최대한 보호하며 보강하는 공법이다. 최근 건설공사에서 대규모 깎기비탈면의 형성에 따른 토공량 증가와 환경 훼손을 최소화하고 용지제한에 따른 토지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해 패널식 옹벽의 적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원지반 부착식 패널옹벽은 자연암반 질감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사용하여 경관성을 향상시키고 완전한 Top-Down 시공법을 구현하도록 개발된 공법으로 수직절취와 패널의 원지반 직접부착이 가능해 비탈면 이완을 최소화하고 터파기 및 되메우기 공종을 배제하여 시공성을 개선하였다. 본 연구는 현장시험시공을 수행하여 수직절취 및 Top-Down에 대한 시공성을 확인하고, 대형재하시험과 하중단계별 계측결과를 분석하여 원지반 부착식 패널옹벽의 거동특성을 분석하였다. A precast panel wall system resists against the horizontal earth pressure by increasing the shear strength of ground by reinforcement connected to the panel. The application of precast panel wall system is growing to lately minimize the earth work and environmental damage caused by large cut slope and to use the limited land effectively. The ground adhered panel wall system is the construction method that has the panel engraved with natural rock shape to improve the landscape. This system is developed to complete Top-Down method, and it is possible to have vertical cut, and to adhere to in-situ ground, improve construction ability by minimizing the ground relaxation and exclusion the trench and backfill process. In this study the field tests were performed to verify the construction ability about the vertical cut and complete Top-Down process and the construction behavior of ground adhered panel wall system was analyzed by large scale loading test and measurement results during loading test.

      • KCI등재

        사회과학분야 : 평생교육 댄스스포츠 프로그램 참가자의 지속 동기 및 요인 탐색

        이종길 ( Jong Kil Lee ),송대진 ( Dae Jin Song ) 한국무용과학회 2015 한국무용과학회지 Vol.32 No.1

        이 연구는 평생교육 댄스스포츠 프로그램 참가자의 참가 지속 동기 및 요인에 관한 이론적 상황모형을 제시함으로써 평생교육 댄스스포츠 프로그램의 확산에 기여할 수 있는 이론적 근거와 경험적 지식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Strauss & Corbin(1998)의 근거이론을 적용하여 6인의 D지역 C대학 평생교육 댄스스포츠 프로그램 참가자중 2년 이상 인 회원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자료수집은 심층면담과 면담노트, 서술적 관찰, 문서 수집을 활용하였고, 개 방코딩, 축코딩, 선택코딩의 과정을 수행하였다. 이를 토대로 121개의 개념과 26개의 하위범주, 9개의 범주가 도출되었 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평생교육 댄스스포츠 프로그램 참가자들은 인과적 조건인 우연, 여건, 수업의 기회 로 인하여 ‘댄스스포츠의 지속 동기’가 제공되었음이 나타났다. 둘째, 평생교육 댄스스포츠 선호의 이유가 되는 평생교 육 프로그램의 장점과 평생교육 댄스스포츠의 특성을 파악하여 ‘평생교육 댄스스포츠 프로그램 참가를 지속’하는 것으 로 나타났다. 셋째, 평생교육 댄스스포츠 프로그램에서 갈등을 극복하고, 자기 주도적 의식의 생성과 자신의 존재감을 인식하며, 삶의 만족을 느낌으로써 평생교육 댄스스포츠 프로그램에 지속적으로 참가하고, ’댄스스포츠 매니아로의 성 장‘하였음이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댄스스포츠와 같은 평생교육프로그램의 참가가 확대되고 또한 그 참가 를 지속할 수 있는 다양한 연구 시도와 현장 노력들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a theoretical model of the processes in continuous motivation and factors for attend of lifelong education dance sport programs participants; and provide practical and experiential knowledge to contribute to spreading of lifelong education dance sport program. Grounded theory as methodology (Strauss & Corbin, 1998), open, axial, and selective coding o data, that is gathered from 6 dance sport participants in lifelong education at C university. Data were obtained through two in-depth interviews of the participants, descriptive observation, and literature search. through open coding, 9 categories, 26 subcategories and 121 concepts were established.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ings: First, causal conditions were categorized as the ``motivations of adherence to dance sport participation`` from a chance to study, a given condition, by accident. Second, the main cause of ``lifelong education dance sport participants``, advantages of lifelong program and characteristics of the lifelong dance sport in the reason why lifelong dance sport. Third, ``dance sport manias′ growth`` because, conflicts overcoming to lifelong dance sport program, creation of self-lead consciousness and in his presence to recognize, participate on constantly in lifelong dance sport program cause life satisfaction.

      • KCI등재

        승마 참여자의 여가 행동 지속성에 대한 근거이론적 탐색 : 포스트 베이비붐 세대를 중심으로

        최명경(Choi, Myoung-Kyoung),윤여경(Yun, Yeo-Kyung) 한국사회체육학회 2021 한국사회체육학회지 Vol.- No.8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ontext of the phenomenon experienced in the decision making process and to specify the choice for continuing equestrian leisure sport in the decision making process. Method: Eleven equestrian participants were interviewed by applying the grounded theory of qualitative research.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the process of "open coding" and "axial coding" according to Strauss & Corbin (1998) "grounded theory" analysis method.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reason why post baby boom generation showed behavioral adherence to equestrian participation was a high level of desire in psychological needs. Second, equestrian participation should reinforce the educational trait of a leisure sport. Conclusion: In summary, findings in the study confirm that this study provided a meaningful framework applied to the theoretical basis and practice to understand the comprehensive theoretical basis of equestrian participation.

      • KCI등재

        운동그릿 형성 과정에 대한 근거이론 접근

        문영아 ( Youngaa Moon ),정지혜 ( Jihye Chung ),이보람 ( Bo-ram Lee )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23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34 No.2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실생활에서의 수많은 방해 요소에도 불구하고 오랜 기간 동안 운동을 지속할 수 있는 이유를 밝히는 것이다. 방법: 먼저 연구를 위해 오랜 기간 동안 꾸준하게 운동을 지속하는 능력을 운동그릿(exercise grit)이라고 조작적 정의한 후 그 형성 과정을 살펴보고 이론화하였다. 연구참여자는 중단 없이 3년이상 운동을 지속하고 있는 청장년층으로 여자 5명, 남자 6명, 총 11명이며 유목적 표집법에 따라 선정하였다. 연구참여자를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여 Strauss와 Corbin이 제시한 개방코딩, 축코딩, 선택코딩을 순서대로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개방코딩 결과, 상위범주 20개, 하위 범주 55개, 개념 368개가 도출되었다. 이후 실시한 축코딩에서 패러다임 모형을 도출하였다. 패러다임 모형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인과적 조건은 운동을 만나고 경험하게 된 계기로 자각한 운동 필요성, 환경적 영향이었고, 맥락적 조건은 운동이 주는 보상으로 심리적보상, 극강의 희열과 재미, 멋진 외모와 건강, 사교성 향상, 성실하고 규칙적인 생활 태도, 기술 습득 및 실력 향상 등으로 나타났다. 중심현상은 그릿 강화, 습관 형성으로 목표를 향한 의지, 가족, 지인의 지지, 운동을 향한 깊은 애정과 열정 등이었고, 중재조건은 운동 걸림돌로 주변의 부정적인 시선, 일은 운동 방해꾼 등으로 나타났다. 작용/ 상호작용은 운동을 위한 나만의 고유 전략으로 심리전략, 운동 일정 철통 사수, 유리한 환경 구축, 운동 시간 우선 확보 등이었고, 결과는 습관 유지로 삶이 된 운동, 평생의 동반자, 정신 수양 차원의 운동 등으로 나타났다. 선택 코딩에서는 모든 범주를 추상적으로 아우르는 핵심범주로 ‘삶에 유익한 변화를 주는 반려 운동’을 추출하였고 이에 따른 이야기 윤곽을 서술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론화 모형을 제시하여 운동그릿 형성 과정을 입체적으로 설명하였다. 결론: 이 연구를 통해 패러다임 모형의 맥락적 조건인 ‘운동이 주는 보상’으로 일어나는 신체, 심리,사회적 변화가 운동 그릿을 형성하고 습관으로 정착되는 것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가 이루어졌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ason that people can sustain exercise over a long period of time in spite of the numerous obstacles that may exist in other areas of their life. Methods: First of all, this study operationally defined the ability to sustain exercise activity over a long period of time as ‘exercise grit’, and then it examined its formation process and built a theory around its development.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consisted of young adults who had been consistently exercising for more than three years, with a total of 11 participants, consisting of 5 females and 6 males, being selected according to purposeful sampling. Data were then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the research participants, and these data were applied and analyzed via open coding, axial coding, and selective coding, in that order, as suggested by Strauss and Corbin. Results: The open coding findings indicated 20 upper categories, 55 lower categories, and 368 concepts. The next step involved a paradigm model derived through axial coding to extract the story outline and core categories, and then the presentation of a theoretical model. The results of the paradigm model derived through axial coding are as follows. Causality conditions refer to an opportunity to encounter exercise, and they indicate the perceived need for exercise and environmental influences. Contextual conditions refer to the rewards provided by exercise, displayed as psychological rewards, extreme joy and enjoyment, good physical looks, and health, the improvement of sociability, a faithful and stable life attitude, skill acquisition, and skill improvement. Central phenomena indicated the strengthening of grit for habit formation, which included achieving goals, receiving support from family and acquaintances, and having a deep affection and passion for sports. Mediation conditions refer to the obstacles preventing exercise, which can be viewed as a negative gaze perception that acts as an exercise disruptor. Action/interaction refer to one’s own unique exercise strategy, and it is indicated through the display of a psychological strategy, tightly keeping to an exercise schedule, the establishment of a favorable environment, the prioritization of exercise time, etc. The results refer to habit maintenance that adapted exercise into one’s regular life, lifelong partners, and mental training. Finally, selective coding refers to a core category that abstractly encompasses all categories, and this study suggested ‘companion exercise that encourages beneficial changes to one’s life’. Conclusion: In this study, a specific discussion was conducted on how the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changes that occur within a contextual condition of the paradigm model, ‘reward from exercise’, form exercise grit and create long-lasting habi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