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옥천 대천리의 신석기시대 집자리 연구

        구자진(Koo, Ja-Jin) 한국상고사학회 2005 한국상고사학보 Vol.47 No.-

        옥천 대천리 신석기시대 집자리를 통해 우리 나라 신석기시대 집자리(장방형)의 구조 및 생계방식, 생활상에 대한 복원이 어느 정도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대천리 신석기시대 집자리 내부에서는 화덕자리와 저장구덩을 비롯하여 많은 기둥구멍이 조사되었으며, 이들 기둥구멍과 내부시설의 위치를 검토해 본 결과 대천리 신석기시대 집자리는 계획된 설계와 측량을 통해 집을 지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대천리 집자리는 맞배지붕의 세마루(3량)구조에 해당하는 지붕형태로 복원하였으며, 벽체와 지붕이 분리된 구조를 띤다. 대천리 신석기시대 집자리는 내부를 생활공간과 부속공간으로 분할하여 사용하였다는 점에서 매우 발전된 구조를 지니고 있다. 또한 대천리 집자리와 동일한 구조를 띠고 있는 신석기시대 집자리가 대전 관평동 유적을 비롯하여 청원 쌍청리, 보령 관창리 유적에서도 확인되고 있어, 이러한 집자리를 「대천리식 집자리」로 그 성격을 설정하였다. 대천리 집자리의 구조를 통해 내부공간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는데, 각 공간의 규모와 내부시설 및 출토유물을 통해 생활공간과 부속공간으로 나뉘어질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하였다. 생활공간과 부속공간은 칸막이기둥으로 나뉘어지며, 생활공간은 다시 취사·난방의 역할을 중심으로 한 공간(작업공간)과 휴식이나 잠자리의 역할을 중심으로 한 공간(거실공간)으로 세분될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부속공간은 저장구덩과 출토유물(갈판, 갈돌, 숫돌, 뒤지개류, 대형의 민패토기)으로 판단할 때, 곡물을 가공하거나 갈무리하는 장소로 활용되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신석기시대 장방형 집자리 중에는 내부시설과 기둥구멍 배치의 정형성으로 보아 집자리 내 공간을 분할하여 사용하였으며 내부공간의 활용에 있어서도 여러 가지의 기능이 분담되어 이루어졌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결국 신석기시대 장방형 집자리는 대부분 기원전 3,500년 이후부터 본격적으로 등장하기 시작하여 신석기시대 후기를 거쳐 청동기시대 전기의 (세)장방형 주거지로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는 그동안 관심의 대상이었던 신석기시대에서 청동기시대로의 전환문제를 해결하는데 있어 중요한 자료로 판단된다. This study has focused on clarifying the dwelling site's function analysing the structure and the excavated remains from the Daechon-ri Neolithic dwelling site. We found that structure of dwelling site and the living condition can be restored since interior facilities and post-holes of Daecheon-ri Neolithic dwelling site have been well preserved. The dwelling site has become restored as having a rectangle plan with gabled roof. The wall is known as being exposed on the earth and the roof distanced from the earth, also. And the living space and the attached space are seen to have been separated in the interior structure of the dwelling site. Moreover, the living place seems to have been divided as two spaces;the working space for cooking and heating, and the living space for resting and sleeping. Another example excavated at Gwanpyeong-dong(官坪洞), Daejeon(大田) showed the same style of dwelling, so those sites of the same style were named as the Daecheon-ri Type dwelling site(大川里式 住居址), which is marked by the distinctive interior division structure and the popped out oval pit. In addition to the Daecheon-ri Neolithic dwelling site, structure and the remains of a number of Neolithic dwelling sites excavated in inland and southern Korea were investigated. And it is ascertained that the interior space of a dwelling site was divided in many ways according to the functional difference, and accordingly the remains from a dwelling site showed difference in subsistence strategy. The Neolithic rectangular dwelling site had begun to appear after 3,500 B.C., and lasted throughout Neolithic period, and succeeded into the long-rectangular dwelling site of Bronze Age. Therefore it is regarded as an important material in solving the conversion process from the Neolithic to the Bronze Ages..

      • 익산 삼담리 상북지유적 조사개요

        김중엽,김성욱,김승재 원광대학교 마한백제문화연구소 2014 馬韓, 百濟文化 Vol.24 No.-

        The present article deals with summing up of the excavation research for Sangbukji relics in Samdam-ri, Iksan-si located within the construction site for an access road to Iksan General Industrial Complex. The relics are placed around Samdam-ri, Nangsan-myeon and its surroundings, on one of many ridge lines branching off toward south and north from the top of the mountain that has long slopes in the east-west direction. Sangbukji village is located to the west of the mountain. So far, 5 dwelling sites of the Bronze Age, 18 pit remains, 13 pit remains of Joseon Kingdom, 2 ditch remains and 2 waste disposal sites have been investigated in the Sangbukji relics. This study puts focus above all on the dwelling sites and pit remains of the Bronze Age in this area. A total of 5 dwelling sites of the Bronze Age investigated might typically be classified as Songguk-ri type in which oval pits are arranged in a circle on the plane. They are placed in a single line in the east-southwest direction along the summit of the hill ridge. Each dwelling site was constructed with short distance of about 3 meters with each other and most of dwelling sites have been flatted off as a whole. Pit remains have been excavated mostly near the dwelling sites along the summit of the hill in circular·oval form from the plane angle and flask form from horizontal section, similar to the pits of Songguk-ri-type settlements in terms of shape and characteristics. Besides, the research also found that there are firing traces together with large amount of charcoal inside the pits (pitfall remains) which have very narrow bottom with long rectangular·oval form on the plane. From the excavation research this time, it could be confirmed that Sangbukji relics are the remains of the settlements in the middle of the Bronze Age and, among others, the northern areas of Iksan-si (Mangseong-myeon and Nangsan-myeon) were the main basis of livelihood for the people of that age. 본고는 익산일반산업단지 진입도로 개설공사 내 유적인 익산 삼담리 상북지유적에 대한 발굴조사개요이다. 유적은 낭산면 삼담리 일원에 위치하고 있다. 지형은 동-서 방향으로 길게 뻗어 내린 능선의 정상부를 중심으로 남-북 방향의 많은 가지능선 중 하나에 유적이 위치하고 있으며, 서쪽으로 상북지마을이 자리하고 있다. 상북지유적은 청동기시대 주거지 5기, 수혈유구 18기, 조선시대 수혈유구 13기, 구상유구 2기, 폐기장 2기 등이 조사되었다. 본고에서는 이중에서도 청동기시대 주거지와 수혈유구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청동기시대 주거지는 총 5기로 평면형태 원형에 주거지 내 타원형 수혈이 배치되는 전형적인 송국리형 주거지이며, 구릉의 능선 정상부를 따라 북동-남서 방향으로 1열로 배치된 양상을 보인다. 각 주거지는 이격거리가 3m정도로 근거리에 축조되어 있으며, 주거지 대부분은 삭평이 이루어진 상태이다. 수혈유구는 대부분 구릉 정상부를 따라 주거지에 인접하여 분포하고, 평면형태가 원형 · 타원형이며, 단면형태는 복주머니형(플라스크형)으로 그 형태나 특징이 송국리유형 취락에서 확인되는 수혈들과 유사하다. 그밖에 평면형태 장방형·장타원형에 바닥면이 굉장히 좁은 형태의 수혈(함정유구)과 내부에서 다량의 목탄과 더불어 소성이 이루어진 흔적이 보이는 수혈 또한 확인되었다. 이번 발굴조사를 통해 상북지유적이 청동기시대 중기의 취락유적이며, 무엇보다 익산시 북쪽(망성면, 낭산면) 일원이 청동기시대 당시 주된 생활의 터전이었음이 확인되었다.

      • 익산 어량리 중발유적 조사개요

        옥창민,김성욱,김승재 원광대학교 마한백제문화연구소 2014 馬韓, 百濟文化 Vol.23 No.-

        The present paper sums up the excavation research of Jungbal relics in Eoryang-ri, Iksan which were unearthed during construction of an access road to Iksan General Industrial Complex. The relics were found on the top and western slope of the two hills stretching westward in Jungbal village, Eoryang-ri, Mangseong-myeon, Iksan city. Jungbal relics were excavated at the site where remains of lots of the Bronze Age settlements came into view together with 14 dwelling places, 10 pit remains and 2 jar-coffin tombs. Besides, pit-type abodes of the Proto-Three-Kingdom period, residential areas of Koryo and Chosun Kingdom period were also unveiled at the same site. Excavation investigation was performed in two sections: 'A' and 'B' which we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about 200m in the direction from north to south. The settlements of the Bronze Age were gathered in cluster atop the hills or along the middle of the ridge, grouped in 2~5. Pit remains were found close to the south of the dwelling places. The residential areas of the Bronze Age unearthed in 'A' section were arranged in a single line with distance of about 5~10m from each other. Among the remains of the Bronze Age settlements found in 'B' section, those located on the summit of the hill were grouped in 2~3 in cluster format in the direction from east to west, while those unearthed on the middle of the ridge had circular and square forms overlapped. The circular form of settlements was found to be dominant compared to the square one. Lots of relics presumed to belong to the middle Bronze Age such as patternless earthenware·red dagger·stone arrowhead with single column·stone axe·ring-formed stone axe·triangle stone dagger· dolmen of various forms were found inside of the remains of settlements and pits. Since Jungbal relics showed that residential areas and pits coexisted as a residential-centered type of village, they seemed to be a nice base for studies on culture of the Geumgang river basin during the Bronze Age. The present excavation investigation could help us conclude that the area in Mangseong- myeon, Iksan city near Geumgang River was one of the main dwelling sites during the Bronze Age. 본고는 익산 일반산업단지 진입도로 개설공사 내 유적인 익산 어량리 중발유적에 대한 조사개요이다. 유적은 익산시 망성면 어량리 중발마을에서 서쪽으로 뻗어 내린 2개의 구릉 정상 및 사면에 해당된다. 중발유적은 청동기시대 주거지·수혈유구가 다수 확인된 청동기시대 취락유적으로 주거지 14기·수혈유구 l0기·옹관묘 2기 등이 조사되었다. 이외에 원삼국시대 수혈유구, 고려~조선시대 주거지와 수혈유구·토광묘 등이 조사되었다. 발굴조사는 ‘가’구역과 ‘나’구역으로 구분하여 조사하였으며, 두 구역 간에는 남-북으로 약 200m 정도 이격되어 있다. 청동기시대 주거지는 구릉 정상부 및 능선 중간부분에 2~5기씩 군집을 이뤄서 분포하고 있으며, 수혈유구는 주거지 남쪽에 인접해서 위치하고 있다. ‘가’구역에서 확인된 청동기시대 주거지는 5~10m 정도 거리를 두고 1열로 배치되어 있다. ‘나’구역에서 확인된 청동기시대 주거지 중 구릉 정상에 위치한 주거지는 동-서 방향으로 2~3기씩 군집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능선 중간부분에서 확인된 주거지는 원형과 방형이 중복되어 있으며, 원형주거지가 방형주거지에 비해서 선행하고 있다. 주거지 및 수혈유구 내부에서는 무문토기·홍도·일단병식석촉·편인석부·환형석부·삼각형석도·지석 등 청동기시대 중기에 해당하는 다양한 유물이 출토되었다. 중발유적은 주거지와 수혈유구가 공존하는 주거지 중심 취락유형으로 금강유역 청동기시대 문화 연구에 좋은 자료로 판단된다. 또한, 이번 발굴조사를 통해 금강과 인접한 익산시 망성면 일원이 청동기시대 당시 주된 생활 터전임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호남지역 점토대토기문화의 전개양상과 특징 -생활유적을 중심으로-

        장지현 ( Jihyoun Jang ) 호남고고학회 2015 湖南考古學報 Vol.51 No.-

        최근 호남지역에서는 점토대토기문화 단계의 주거지, 수혈유구, 구상유구 등 생활유적에 대한 조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생활유적과 출토유물에 대한 검토를 통해 본고에서는 호남지역 점토대토기문화의 전개 양상과 특징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호남지역의 점토대토기문화는 출토유물, 주거지의 구조적 특징, 방사성탄소연대 측정값 등을 통해 크게 Ⅰ·Ⅱ·Ⅲ기로 구분이 가능하다. 먼저, Ⅰ기(기원전 5세기 전반~기원전 4세기 후반)는 A유형의 주거지에서 원형점토대토기가 출토되는데, 점토대토기문화와 재지의 송국리문화가 만나는 시기로서 유적은 호남의 전 지역에서 산발적으로 발견된다. Ⅱ기(기원전 3세기 전반~기원전 2세기 중반)는 점토대토기문화가 급속도로 확산되는 시기로서 A유형 의 주거지도 확인되나 B유형의 주거지가 주를 이루게 된다. II기의 취락은 대부분 해발고도 34m 미만의 낮은 구릉 정상부나 사면 또는 말단부에 입지한다. 또한 대부분 2~5기 정도의 주거로 구성된 소규모 취락의 양상을 보이고, 전북 내륙지역, 특히 만경강유역을 중심으로 유적이 밀집·분포한다. 출토유물은 원형점토대토기를 비롯하여 조합 식우각형파수부호, 두형토기, 삼각형석촉 등이 확인되며, 삼각형점토대토기가 출토되는 유적도 일부 등장하기 시작한다. Ⅲ기(기원전 2세기 후반~기원후 2세기 전반)에는 C유형의 주거지가 주를 이루며, 광주를 비롯한 영산강 유역에 취락이 밀집·분포한다는 점에서 II기와 대조된다. 출토유물은 원형점토대토기가 극히 소량으로 확인되고 삼각형점토대토기의 비중이 매우 높아진다. 또한 조합식우각형파수 대신 우각형이나 봉상형파수로 대체되며, 경질무문토기가 다수 공반되고 두형토기의 출토율이 현저하게 줄어들면서 시루가 등장하기 시작한다. The Clay-stripe Pottery culture of the Honam region can be divided into three phases -- I, II, and III -- on the basis of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dwellings, stylistic observations of the excavated artifacts, and radiocarbon dating. In Phase I (early 5th to late 4th century BC), clay-stripe pottery with circular bands emerged. This was the period in which the indigenous Songguk-ri culture first encountered the Clay-stripe Pottery culture. Phase II (early 3rd to mid 2nd century BC) witnessed the rapid spread of the Clay-strip Pottery culture across the Honam region. Villages are mostly located on low hilltops and slopes lower than 34 meters above sea level, are small-scale with only 2-5 houses, and are densely distributed in inland Jeollabuk-do. Artifacts of this phase include assembled cow-horned jars, mounted dishes, triangular stone arrowheads as well as clay-stripe pottery with either circular or triangular bands. In Phase III (late 2nd century BC to early 2nd century AD), villages were densely distributed along the Yeongsan River around Gwangju. The ratio of clay-stripe pottery with triangular bands increased. The amount of hard Mumun pottery also increased and assembled cow-horned jars were replaced by simple cow-horned or rod-handled jars. Steamers also began to appear in Phase III.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