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기물이 변하여 요괴가 된다는 인식의 표현방식: 쓰쿠모신(付喪神)의 성불과정을 중심으로

        박전열 ( Park Jeon Yull ) 청람사학회 2020 靑藍史學 Vol.31 No.-

        중세 이후 일본은 오랫동안 집에서 사용하면서 사람의 손때가 뭍은 집기에 영적인 기운이 깃든다고 여기는 사고가 전승되었고, 이는 요괴의 일종인 쓰쿠모신이라 불리며 민간신앙의 체제에 수용되었다. 이와 같은 쓰쿠모신에 대한 신앙은 인간의 내면세계에 머무르지 않고, 설화로 전승되며 나아가 구체적인 형상화의 과정을 통하여 그림에 글을 곁들인 두루말이 형태로 표현되며 오늘날까지 전해지고 있다. 쓰쿠모신 이야기는 무기물의 생활 집기인 염주, 방망이, 쟁반, 빗자루, 모자, 함지 등이 100년 가까이 사람들에게 쓰이면 인간과 유사한 모습과 속성을 지니게 되어, 인간과 같은 욕망을 지니게 되어, 악한 존재가 되기도 하고 불법을 따르는 선한 존재가 될 수 있다는 등 철저하게 인간상을 반영한 요괴로 변화한다는 것이다. 이들 요괴 가운데는 입산수도하며 철저하게 수행자하여 일찍이 성불했을 뿐만 아니라, 뒤늦게 불법에 귀의하려는 요괴를 선도하여 성불하게 한 이상적인 존재를 주인공으로 설정하여, 불교 전파를 목적으로 하는 설화로 체계화되었고 일정한 향유계층에 정착되었다. 여기서 모든 초목까지도 성불할 수 있다는 불교사상이 내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지만, 한편 물건을 아껴 써야 한다는 근검절약 정신이 이중주처럼 설화의 내부에 동시진행되고 있음이 흥미롭다. 일본에는 연말에 집안을 대청소하는 시기에 오래 동안 가정에서 쓰던 집기를 한꺼번에 내다 버리는 관습이 있었다. 인간에게 헌신적으로 일했지만 버려진 집기를 의인화하여 쓰이다가 버림을 당하는 존재의 배심감과 분노가 시간의 흐름과 더불어 변화하는 과정이 설화의 전개 동력이 되고 있다. 무생물 개체의 작은 분노가 집단을 이루어 에네르기를 결집시켜 신전을 중심으로 자신들의 신앙체계를 구축하여 인간처럼 축제를 열 정도의 커다란 힘을 모아 인간에게 도전하기도 하지만, 결국은 인간이 선점한 위대한 불법 앞에 굴복하고 만다는 설정이다. 집단을 이루어 큰 힘을 발휘하려던 요괴 쓰쿠모신이 개체로 분산되어 미약한 존재로 회귀하게 되었고, 결국 인간처럼 불법에 귀의하려 한다는 극적 구성을 이루고 있다. 개체로써의 쓰쿠모신은 입산수도 하여 수행과정을 거쳐 마침내 부처가 된다는 인과응보적 신앙체계가 쓰쿠모신 두루마리 그림으로 구현된 것이다. 기물에 영적 요소가 잠재될 수 있다는 사고체계는 물건을 아껴 써야 한다는 현대인의 생활방식에도 투영되며, 일상에서 접하는 가지가지 기물이 언젠가 쓰쿠모신이 될 수 있다는 잠재관념이 계승된다는 점은 일본인의 종교관을 이해하는 중요한 키워드가 된다고 생각된다. Since the Middle Ages, the folk belief that Japan has believed that the items used in the house for many years will change and become Tsukumosin a kind of Youkai. Faith like this is expressed in narratives and pictures, and has been conveyed to this day. The story of the Tsukumosin results in Buddhism’s concept that “every living being can be a Buddha.” People have a habit of throwing away old household items for a long time at the end of the year. Worked devotedly to humans, but abandoned household items get angry. Anger is what humans with sensibilities do, but anthropomorphic household items make a group and plan revenge. Inanimate The imagination of having such feelings leads to the production of various stories. The process by which the Tsukumosin takes revenge on humans was depicted in feature images. Revenge was not easy and failed due to the Buddha’s supernatural powers. The frustrated Tsukumosin have a happy ending that they will eventually become Buddha after becoming a monk. The belief that spirits dwell in things is reflected in the lifestyles of modern people. The idea that everyday objects can be Tsukumosin is an important keyword to understand the Japanese view of religion.

      • KCI등재

        전염병과 요괴 : 역병 예언과 퇴치 기원의 요괴

        김학순(Kim, Hark-soon)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2021 일본연구 Vol.35 No.-

        위생, 방역, 백신과 같은 현대적 의료체제에 대한 인식은 근대 이후에 발생한 것이다. 일본도 메이지시대 이후에 근대적 의료 인식이 확대되다. 그 이전까지 전염병은 역병으로 불리며 큰 공포의 대상이었다. 그리하여 에도시대에는 역병 퇴치를 기원하는 종교적 의식이 두드러지게 반영되어 퇴치에 대한 신앙적 염원이 사회, 문화적 집단 행위로 나타났다. 당시 대중들은 역병을 일으키는 존재를 신으로까지 생각하였다. 그리하여 그들을 기리는 축제인 마쓰리를 주기적으로 개최하고 전국 각지에 신사를 세웠다. 또한 역병이 돌 때에는 역병을 예언하는 요괴를 기록한 가와라반이 유행하며, 그 요괴 그림을 부적으로 사용하였다. 코로나19가 발생하여 팬데믹이 발생한 현재에도 역병 퇴치 기원의 전통은 아마비에라는 요괴의 다양한 이미지 확산과 관련 상품의 유행을 통해 지속되고 있다. 불교 전파의 영향으로 원령이 질병과 재앙을 일으킨다고 믿음이 생기며 오니 이미지가 시작되었다. 전염병이나 재앙을 일으키는 오니는 에마키에서 요괴로 변화하며 초기 역병과 관련된 요괴들은 역병을 퍼트리는 존재였다. 이러한 요괴들은 점차 계시자적 성격을 띠며 역병과 풍작을 예언하고 그 대처방법까지 전수해 준다. 바다에서 나타나 갑자기 사라지는 아마비에, 진자히메, 히메우오, 육지에서 등장하는 구단, 구다베, 예언새, 하쿠타쿠 등이 대표적이다. 특히 전염병을 예언한 요괴들은 이질, 콜레라와 같은 전염병, 외부 세계의 외국 선박이 등장하는 19세기 초부터 가와라반에 자주 기록되었다. 전염병을 간파하는 영험이 있는 요괴들은 예언자적 성격이 강하고 자신의 그림을 부적으로 사용할 것을 권하고 사라진다. 재난, 재해, 전염병 등이 유행하면 토속적이거나 주술적인 신앙적 의식과 함께, 화를 모면하고 공포심을 줄이기 위해 역병을 예언하고 사라지는 요괴들이 등장한다. 이러한 점은 요괴가 갖고 있는 플러스적인 요소가 강조된 것이다. 민간에서는 강이나 바다로 흘려보내는 역병 보내기나 가타시로라는 액막이 도구를 이용하여 마을 밖으로 추방하는 의식을 행해왔다. 전염병을 마을로부터 격리시키려고 했던 주술적 행위로 역병 퇴치에 대한 민간 신앙의 염원을 강하게 보여준다. 이와 같이 당시 대중들은 전염병을 예언하고 대책을 알려 주는 요괴들과 공동체의 민간 신앙을 통하여 개인의 심리적 위안과 사회의 안정을 추구하였다. The perception of modern medical systems such as hygiene, quarantine, and vaccines has occurred since modern times. Japan also expanded its modern medical awareness after the Meiji era. Previously, infectious diseases were called epidemics and were subject to great fear. Thus, in the Edo period, religious ceremonies to fight the plague were reflected prominently, and religious aspirations for eradication were reflected in social and cultural group activities. At that time, the public even considered the existence that caused the plague as a god. Thus, Matsuri, a festival in honor of them, was held periodically and shrines were established throughout the country. Also, when the plague was circulating, Kawaraban, who recorded a Youkai predicting the plague, became popular. A ghost painting of Kawaraban was used as an amulet. Even now, when the covid-19 outbreak caused pandemics, the tradition of the origin of the plague continues through the spread of various images of the Youkai Amabier and the trend of related products. The image began when the original spirit was believed to cause disease and disaster due to the spread of Buddhism. Oni, which causes infectious diseases and disasters, changed from Emaki to Youkais, and early plague-related Youkais spread the plague. These Youkais gradually develop a prophetic nature, predicting epidemics and good harvests, and even teaching them how to cope with them. Amabie, Zinzahime, and Uohime suddenly disappear into the sea after a prophecy from the sea. Kudan, Kudabe, Prophetic Bird, and Hakutaku appear on land and predict plague. In particular, the Youkai that predicted the epidemic were frequently recorded in Kawaraban from the early 19th century, when foreign ships from the outside world appeared, such as dysentery, cholera, and other infectious diseases. The Youkais with the inspiration to see through the epidemic have a strong prophetic personality and recommend using their paintings as amulets and disappear. When disasters, disasters, and infectious diseases are in vogue, they show common characteristics of predicting and disappearing plague to avoid anger and reduce fear, along with native or shamanistic religious rituals. The positive elements of the Youkai were emphasized. In the private sector, there have been ceremonies to send plague to rivers or seas or to banish them out of the village using an exorcism tool called Katashiro. The shamanistic act of isolating the plague from the village strongly represents the desire to fight it. This ritual of using a plague-preventing Youkai as an amulet or letting it flow may seem like an unscientific superstition from the current perspective. However, at that time, the public pursued individual psychological comfort and social stability through the shamanistic collective action of Youkais and groups who predicted the epidemic and informed them of countermeasures.

      • KCI등재

        일본문화 속의 요괴콘텐츠

        한영균 동아시아일본학회 2019 일본문화연구 Vol.0 No.72

        Japan has been using the material called ‘Youkai’ that has been built historically as a part of cultural contents representing Japan society, realizing global spread of cultural characters as an emblem of Japan with creating economic value. Therefore, it focused on the subject of Youkai, examined Japanese viewpoint and perception of it and considered the historical and cultural background, social meaning as an axis of Japanese culture. Through the development of its special religious background and historical events, the culture of Youkai has been developed with the life of the Japanese, from myths to literature, arts, language, play, and modern cultural business, regional promotion strategy. It is a cultural prototype that can be used as a means of understanding emotions, culture and values of Japanese, as a material for the cultural industry, and imply many points for the developing of cultural contents in Korea.

      • KCI등재

        『이노 모노노케로쿠(?生物怪?)』에 나타난 요괴의 유형 및 양상

        최가진 한국일본어문학회 2010 日本語文學 Vol.47 No.-

        江?時代の怪談集『?生物怪?』は1749年、三次藩の武士である「?生武太夫」の?際體驗談としてよく知られている。16?の時、7月1日から一ヶ月間、彼の前に色?な妖怪や妖怪現象が現れるが、堂?と力?く??し、ついには魔王から神秘の木槌を授けられる、という?容が全26章にわたって描かれている。本稿では???生物怪???の成立及び?容、そしてその中に現れる妖怪の類型や樣相について調べた。またその特性及び傳承樣相の考察を通して、日本の妖怪文化の一?相を明らかにしようとした。その結果、全78種の妖怪中、器物型(付喪神)35種、人間型24種、音および異常現象11種、自然物が8種を占めていることが確認された。このように器物型·人間型の妖怪が高い比率を見せる要因は、日常的な存在である器物や身近な人物たちは主人公に近付くのが容易であり、想像力といつ側面からも、モチ?フの借用がしやすい?象であるからだと考えられる。そして『?生物怪?』の特性はまず一、一連の事件は主人公が一人前の男性として生まれかわり、?生家の後繼者として認められるための通過儀禮だったという点である。二、危機を?り越えるための最大の力は人間の勇?と知?であるということを示唆している点である。最後に、?にこの怪談集が全部フィクションであっても、作家の優れた想像力と妖怪文化が流行した當時の時代的な背景とが融合して生まれた江?時代の代表的な怪談集としての?値がなお高く評?されるという点である。

      • KCI등재

        日本古代文学における「物の気」 「鬼」を韓国語でどう翻訳すべきか - 韓国語版『源氏物語』の翻訳の例を中心に

        李市埈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18 비교일본학 Vol.43 No.-

        본고는 일본의 ‘모노노케’ ‘오니’를 어떻게 번역해야 할지에 대해서, 한국의 ‘귀신’의 개념에 주목하면서 한국어판 『겐지이야기』의 번역의 용례를 살펴보았다. 들여다봤다. 그 결과를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한국어판『겐지이야기』의 경우, ‘모노노케’를 거의 전부 ‘귀신’으로 번역하고 있다. 필자는 병을 일으킨다는 ‘모노노케’의 성격을 부각시키는 의미에서, 정체를 모른 경우는 ‘병을 일으키는 귀신’으로 번역하고, 병을 일으킨 ‘모노노케’의 정체가 밝혀지고, 특히 그 사람의 원한이 명확하게 기술되고 있다면, ‘원령’이라고 번역하는 편이 글 뜻을 보다 명확히 전달할 수 있지 않을까 하고 제안했다. 한편, 한국어판 『겐지이야기』에서는 총 20사례의 ‘오니’를 전부 ‘귀신’으로 번역하고 있다. 그런데 필자가 예를 둔, 일화나 옛날이야기(소설)속에 등장하는 ‘오니’는 그 모습과 행동에 있어서 현실적이고 실체적이다. 통속적인 이미지의 ‘귀신’의 경우, 이러한 모습과 행동의 사례가 발견되지 않는 점, 또 헤이안 시대의 ‘오니’란 일종의 기호로서 그 이미지가 다양한 점 등을 염두에 두면, 무리하게 ‘귀신’으로 번역하기보다는 일본어 발음대로 ‘오니’라고 하는 편이 합리적이라고 제안했다. For many translators, it is often a confusing matter to translate a proper noun. In particular, the concept such as “mononoke” and “oni” is very different from country to country. This makes it a struggle for translators to think of the best suited translation. This study investigates the Korean translations of “mononoke” and “oni” from the Tale of Genji. This Korean version, focuses on the concept of “gwisi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is study conducted research on the “gwisin” as it appeared in “Hanguk Gubi Munhak Daegye”. As a result, there are not many descriptions of how a “gwisin” looks, as it usually appears in the human form. Also, there are few examples of a “gwisin” as a subject of worship. Four -fifths of appearances, account for the cases in which the “gwisin” appears after a person has died. In addition, in more than half of cases, the “gwisin” appears as “a ghost of revenge”. Secondly, in the Korean version of the Tale of Genji, “mononoke” in most cases is translated as “gwisin”. However, in order to accurately convey the disease causing characteristics of the “gwisin”, “mononoke” should be translated as “the gwisin which is causing the disease” when it is not identifiable. In addition, if a grudge of a person is specifically illustrated, then “mononoke” would be better translated as “a ghost of revenge.” Lastly, 20 examples of “Oni” are all translated as “gwisin.” However, “oni” usually only appear in anecdotes and tales. This study picked up on a realistic “oni” in both its shape and behavior. It is not commonly found that the “gwisin” will have similar characteristics to the “oni”. The “oni” in the Heian period is a kind of symbol that has a variety of images. Thus, it is suggested that the “oni” can be translated not as a “gwisin” but as an “oni” following its Japanese pronunciation in order to convey a more precise mea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