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육과정 학회지 연구 동향 분석: 2011년부터 2020년을 중심으로

        윤옥한 ( Okhan Yoon ) 한국교육과정학회 2021 교육과정연구 Vol.3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교육과정 학회지에서 발행하는 교육과정연구 논문을 2011년부터 2020년까지 총 330편의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10년 전(2000-2010) 연구 동향과 비교 분석하여 교육과정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과정 학회지의 10년(2011년~2020년)의 연구 주제별 연구 동향을 살펴보면 교육과정 개발 및 설계의 경우 총 59편(18%), 교육과정 이론은 총 65편(20%), 둘째, 교육과정 학회지의 10년(2011년~2020년)의 연구 방법별 연구 동향은 문헌 또는 이론연구가 총 209편(63%)으로 가장 많았으며, 질적연구는 총 85편(26%), 양적 연구가 총 36편(11%)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육과정 학회지의 과거 10년(2000년~2010년)과 현재 10년(2011년~2020년)을 비교한 연구 동향은 전체 논문 편수는 10년 전총 365편에서 10년 후(2011-2020) 총 330편으로 35편(10%) 감소하였다. 연구주제별로 보면 교육과정 개발 및 설계 분야가 총 64편(52%) 감소하였다. 문헌 및 이론연구의 경우 총 34편(14%)이 감소하였으며, 양적 연구의 경우 총 12편(50%)이 증가하였고, 질적연구의 경우 총 12편(12%) 감소하였다. 향후 교육과정연구 학회지뿐만 아니라 한국통합 교육과정학회, 교육학회 등 인접 학회지와 비교 연구와 더불어 단행본, 석·박사학위논문 등도 함께 살펴볼 필요도 있다. This study’s purpose was to examine research trends in 330 curriculum research papers published by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urriculum Studies and compare these with research trends 10 years ago to study the direction of curriculum research.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 trends by subject for 10 years were 59 articles (18%) on curriculum development and design, and 65 articles on (20%). Second, in the same 10-year period of the curriculum journal research trends relating to methodology were most frequently identified with 209 articles (63%) on the literature and theoretical studies, 85 articles (26%) involving qualitative studies, and 36 quantitative studies (11%). Third, another research trend emerged when comparing the past 10 years and the current 10 years of the curriculum journal. In the first decade examined, 365 articles were published, whereas 10 years later 330 were, indicating a decrease of 35 (10%). In the future, it will be necessary to review not only journals for curriculum research, but also books, master's and doctoral dissertations, as well as comparative studies with adjoining journals such as that of the Korean Society for Integrated Curriculum and Education.

      • KCI등재

        한국박물관학회의 창립과 성과분석, 미래의 과제

        최종호 한국박물관학회 2018 博物館學報 Vol.- No.35

        This article attempted to explore the establishment process of the Korean Society of Museum Studies(KSOMS) and the main target of academic activities, the achievements of collaboration between the Korean Museum Association(KAM) and the KSOMS, the achievement and analysis of articles and bulletins printed of the KSOMS’s 20 years, the registration of citation index of the Institute of Korean Studies(KCI), the Academic Articles Contest of Traditional Cultural Heritage Studies and Museum Studies, the current assignments of the KSOMS, and sustainable activities of the KSOMS. The KSOMS suggested the proposal for execution of the amendment of the Museum and Art Museum Promotion Law and the Qualification Certification of Curatorship, co-organized the Korea Assembly of Museum Professionals and the Conference of Museum Studies, co-hosted and organized the ICOFOM Symposium of the Seoul ICOM General Conference 2004, and the KMA and the KSOMS have organized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f the KMA every year. In addition, the KSOMS participated in the centennial anniversary project of the Korea Museum’s establishment, the centennial anniversary of the Korea Museum's opening, has contributed in the amendment of museum instruments and the promotion of academic activities and the education of curatorial staffs, and has leaded to supply, share and utilize the expertise, practical experience, knowhow, etc. through the publication of books on museum studies and the publication of Bakmulgwanhakbo as Journal of Museum Studies to museum workers and experts. In the field of museology and museography, the KSOMS needs to gather the wisdom with citizens, governments, industries, schools, institutes, and groups, to develop standard curriculum for museology to educate the museum professionals as one of the tasks that needs to be done toward a common goal and needs to be used while presenting and complying with standards to enable museum projects and activities to be carried out at the global level. 이 논문은 한국박물관학회의 창립 경과와 학술활동 중점 목표, 한국박물관협회와 협력 성과, 한국박물관학회 20년간 학술활동 성과와 게재 논문․설림 분석, 박물관학보의 KCI 등재와 박물관학․전통문화유산 학술논문 공모, 한국박물관학회의 당면과제와 지속가능한 박물관학회 활동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한국박물관학회는 박물관 및 미술관 진흥법 개정과 학예사 자격제도 시행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고, 전국 박물관인대회와 박물관학 학술대회를 공동주최․주관하였고, 2004 서울세계박물관대회 국제박물관학위원회 심포지엄을 공동주최․주관하였고, 매년 한국박물관국제학술대회를 박물관협회와 공동으로 주관하여 왔다. 또한 한국박물관 100년 기념사업과 한국박물관 개관 100주년 기념사업에 참가하였고, 박물관 전문인력 국제교류 활동에 참가하여 박물관 제도 개선과 학예활동 진흥, 학예인력 양성 등에 이바지하여 왔고, 박물관학 도서 출판과『박물관학보』발간 등을 통하여 박물관 종사자들과 박물관학 전문가들에게 전문지식과 실무경험, 노하우 등을 제공하고 공유하여 활용하는데 앞장서 왔다. 박물관학과 박물관기술학 분야에서 민관산학연단이 함께 지혜를 모으고 공동의 목표를 향해서 해야 할 과업 중에 하나가 박물관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박물관학 표준 교과과정을 개발하여 세계적 수준에서 박물관 사업과 활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기준을 제시하고 이를 준수하면서 활용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