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2이사야서에 나타난 하나님과 거룩

        김래용(Kim, Rae-Yong)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17 신학사상 Vol.0 No.177

        제2이사야서는 유일신 하나님의 세 가지 역할(구속자; 창조자; 역사의 주)을 강조하는데, 특별히 이 역할은 ‘거룩’이라는 개념과 함께 나타난다. 첫째로 구속과 거룩이 함께 나타나는 본문(사 41:8-16; 43:1-7; 54:1-10)은 하나님의 성품과 이스라엘의 귀환을 강조하는데, 구속자는 옛 언약에 신실하여 절망 가운데 있는 포로들에게 귀환과 회복을 약속하는 분으로 묘사되며, 거룩은 구속과 연결되어 하나님의 탁월한 성품을 보강한다. 둘째로 창조와 거룩이 함께 나타나는 본문(사40:12-31; 41:17-20; 43:14-21)은 하나님의 능력을 강조하는데, 창조자는 회복과 귀환을 실행하기에 탁월한 능력을 지닌 분으로 묘사되며, 거룩은 하나님의 초월적인 능력을 보강한다. 셋째로 역사의 주와 거룩이 함께 나타나는 본문(사 45:9-13; 52:7-10; 55:1-5)은 열방과 관련되는데, 역사의 주는 고레스를 통한 이스라엘의 구원과 이스라엘의 역할을 통한 열방의 구원을 주도하는 분으로 묘사되며, 거룩은 하나님께서 우상이나 피조물에 비해 탁월하며 초월적인 분임을 보강한다. 따라서 하나님의 세 가지 역할과 거룩의 개념은 귀환과 회복을 원하는 자들에게 강력하게 위로와 희망의 메시지를 전하는 기능을 한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roles of God and the functions of holiness in Second Isaiah. For this, I chose the texts mentioning both the roles of God and the conception of holiness and analysed them. In particular, Second Isaiah emphasizes that God is one God and he plays three roles as redeemer, creator, and the Lord of history. The texts (Isaiah 41:8-16; 43:1-7; 54:1-10) including conceptions of both redemption and holiness have both “fear not” and “Holy One of Israel.” The texts focus on God’s personality and Israel’s repatriation which are gradually extended in three texts (preparation of the repatriation→process of the repatriation→place for the returnee). Here the redeemer is described as God who gives the captive the promises about both restoration and repatriation and the conception of holiness plays in supporting excellence of the nature of God. The texts (Isaiah 40:12-31; 41:17-20; 43:14-21) including conceptions of both creation and holiness have a Hebrew verb, bārā . The texts explain God’s abilities by using the conceptions of both creation and holiness, here the creator is described as God who has sufficient capability to carry out both the restoration and the repatriation of Israel because he has more excellent abilities than idols and creatures. Here the conception of holiness plays in supporting God’s excellent abilities. The texts (Isaiah 45:9-13; 52:7-10; 55:1-5) including conceptions of both the Lord of history and holiness are related to all nations, and they emphasize God’s authority. Here, the Lord of history is described as God leading the salvation of Israel by the role of Cyrus king of Persia and the salvation of all nations by the roles of Israel community. Here, the conception of holiness plays in supporting that God is more excellent deity than idols and creatures. In sum, Second Isaiah declares messages of consolation and hope to the returnee who long for repatriation and restoration by using God’s three roles an

      • 칸트의 ‘요청’으로서의 신 존재와 아스퍼스의 신 인식의 문제

        김영순 ( Kim Young Soon ) 숭실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 인문학연구 Vol.46 No.-

        본 논문은 칸트의 도덕적 행위자를 위해서 ‘요청’되어진 신의 존재의 한계를 비판적으로 지적하고 야스퍼스의 유신론적 신 존재에 대한 인식을 통하여 초월적 존재로서의 신 존재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칸트에 의하면 인간의 인식 범위는 공간과 시간이라는 감성의 형식과 범주를 통하여 마음이 포착한 감각 세계, 인지된 경험 세계 즉 현상계에만 국한 된다. 이러한 칸트의 생각에도 불구하고 전통적인 형이상학자들은 신에 대한 인식이 가능하며, 신이 존재한다는 것은 하나의 참된 인식이라고 주장한다. 그래서 칸트는 신을 이론적으로 인식하려는 노력에 반론을 제기하고 전통적인 신 존재 증명에 대한 비판을 수행했다. 칸트가 신 존재 증명의 불가능성을 주장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의도한 것은 『순수이성비판』과『실천이성비판』의 목적을 함께 살펴보아야 가능할 것이다. 칸트는『순수이성비판』에서 형이상학에 대한 제한과 부정을 통한 초월자에 대한 인식 불가능성을 규정한 것은 당위적인 것에 대한 형이상학 즉 도덕형 이상학을 세우기 위한 선행 작업이라 할 수 있겠다. 칸트에게 신의 존재에 관한 증명은 전적으로 이성 사용에 관한 문제였고 새로운 형이상학을 건설하고자 했던 그에게 이것은 다루지 않을 수 없는 불가피한 문제였다. 왜냐하면 그가 밝힌 대로 칸트의 형이상학은 자유, 영혼불멸, 신에 관한 체계이기 때문이다. 칸트는『순수이성비판』에서 현상계의 영역을 넘어선 문제들 즉 자유, 영혼불멸, 신의 존재를 실천이성의 영역으로 넘기면서 인간의 도덕적 삶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조건으로 신을 ‘요청’하였다. 칸트는 인식세계의 신은 알 수도 없고 증명되어 질 수도 없다고 하여 신 존재를 ‘요청’의 문제로 귀결하였다. 야스퍼스는 이와 같은 칸트의 신관을 극복하기 위해 유신론적, 철학적 신앙을 전개하였다. 야스퍼스에 따르면 실존을 가장 잘 해명해주는 것은 죽음 고뇌, 투쟁, 책임 같은 ‘한계상황’이다. ‘한계상황’ 가운데 죽음이야말로 인간의 현존재에게는 결정적인 종말이 되고 실존에게는 초월자 앞의 본래적 자기에게로 비약할 수 있는 가능근거가 된다. 한계상황에서 부딪히는 한계는 우리 자신의 힘으로부터 유래되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그 한계를 만든 어떤 초월자를 암시해 준다. 야스퍼스에게 있어서 이 초월자는 실재로서 인식되어지지 않고 다만 언표 될 뿐이다. 이것은 절대로 대상이 될 수 없는 어떤 숨어 있는 존재이다. 이 참된 존재로서의 초월자를 향하여 나아가는 것이 형이상학이다. 이 형이상학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방법은 ‘암호 독해’이다. 모든 지식과 모든 철학이 좌절할 때 비로소 초월자의 암호를 해독(Chiffrelesen) 할 수 있다. 칸트의 철학이 기여한 바는 철학사 전체를 통틀어 무시할 수 없는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그에 대한 철학적 입장이 종교를 바라보는 시각에 있어서는 나름대로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었다. 특히 그의 도덕적 신앙을 통해서는 초월적 존재와의 접촉을 결핍하게 만들었고 인간의 실존적 삶의 변혁을 약화시키기에 충분하였다. 그러므로 지금은 다시 유신론적 실존철학을 통한 신 인식에 대한 가능성을 살펴보지 않을 수가 없게 되었다. 실존의 위기, 삶의 총체적 위기 앞에서 단지 도덕적 행위자가 되기 위한 실천적 ‘요청’으로서의 신이 아닌 저편에서 이 세계를 향해 꿰뚫고 들어오는 계시로서의 철학적 신앙이 절실하게 요구되기 때문이다. 칸트의 ‘요청’으로서의 신 존재와 신 인식의 한계는 아래로부터의 초월적 존재에 대한 실존적, 도덕적 해명이라면, 그것을 넘어서 위를 향한 초월적 존재에 인식과 실천은 이른바 계시적 해명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도덕적 삶의 세계가 더 성숙되기 위해서 이제 철학은 야스퍼스가 말한 것처럼 계시에 직면한 철학과 실존을 더 깊이 해명해야만 하는 과제가 주어졌다고 볼 수 있다. This article aims at pointing out the limits of God’s existence which is ‘postulated’ by Kant’s moral performer, and thinking about the possibility of God’s existence as transcendental being through Jasper’s theistic understanding of God’s existence, and further thinking about the possibility of a transcendental argument in the field of the study of God’s existence. According to Kant, the range of human cognition is limited to the world of experience’, the phenomenal world, and the world of senses which is conditioned by time and space. Despite of Kant’s theory, traditional metaphysicians argue that cognition of the existence of God is possible, and also that it is the one true realization that God exists. That’s why Kant opposed the idea of understanding the God theoretically and had a critical view of the traditional demonstration of God’s existence. Kant’s ultimate goal, when he argued impossibility of the demonstration of God, must be considered using both the Critique of Pure Reason and the Critique of Practical Reason. Kant’s regulation of the impossibility of understanding transcendental being through limitations and denial of metaphysics in the Critique of Pure Reason was the groundwork to set typical metaphysics which leads to moral metaphysics. For Kant, demonstration of the existence of God was all about ‘using reason' and as one who wanted to establish new metaphysics it was an unavoidable problem. Kant states metaphysics as a structure of freedom, soul and God. In the Critique of Pure Reason Kant ‘postulated’ God as a condition to make humans moral when he argued that there is freedom beyond the phenomenal to the field of practical reason. Kant concluded his theory of ‘God’s existence by 'postulate' since there is no chance of knowing and proving God’s existence in the world of cognition. Jaspers developed his theism of philosophical faith to overcome Kant's religious point of view. According to Jaspers, it is ‘Grenzsituation’ like death, agony, strife and responsibility which explain the best existence. Death at the ‘Grenzsituation’ is indeed a decisive end of a human being and it’s a possible foundation to breakthrough to primarily self in front of transcendental to the being. The limitation that we face at the ‘Grenzsituation’ does not come from our internal mind. That suggests a transcendental being who made that limitation. To Jaspers that transcendence is not recognized as reality but just as a statement. It is a true existence which is hiding and cannot be an object ever. Questioning true existence transcendence is metaphysics. The most important way to see metaphysics is called solving a cipher’. Not until all knowledge and all philosophy is abandoned we can truly ‘chiffrelesen’(solve the cipher). Kant’s contribution to philosophy is simply undeniable through entire history of philosophy. However, Kant’s way to interpret religion unavoidably confronting a limitation. In particular, he based the lack of communication between human and transcendental being on his moral-religion and also discouraged a change in human existence. Therefore, now we must give some thought to the possibility of understanding God through theistical existence philosophy. Since not just God is ‘postulated’ to become a moral performer in the situation of the existential crisis and the crisis of our entire life, philosophical and religious revelation is strongly needed to come from the other side of the world to this side. Kant postulated God existence and limitation of the understanding God is a moral explanation of transcendental being from the bottom. Beyond and toward transcendental existent understanding and practice could be a revelation explanation. In that sense, to mature the world of moral life, philosophy now has an assignment to explain the philosophy which confronts the revelation and existence more thoroughly.

      • KCI등재

        God, Creation, and the Pursuit of Happiness

        Terence E. Fretheim(테렌스 E. 프레타임) 한국신학정보연구원 2012 Canon&Culture Vol.6 No.1

        이 논문은 행복을 하나님과 관련하여 또한 구약이 증거하는 창조와 관련하여 고찰한다. 행복은 하나님의 삶의 특징으로서 일반적인 의미에서의 신의 복된 상태에서 시작하여 신과 피조 세계의 관계성 속에 구체적으로 경험하는 즐거움까지 포괄한다. 이스라엘의 하나님은 이러한 관계들에 영향을 받는다. 피조물들이 말하고 행하는 것들이 신적인 삶에 기쁨이나 괴로움을 가져오게 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창조 사건은 하나님에게 있어서 창조주 자신과 피조물 모두의 기쁨을 지속적으로 채워가는 즐거운 작업이다. 이런 기쁨과 역동적 즐거움은 사물의 구조 자체에 깊이 배여 있어서 삶 자체를 가능하게 하는데 하나님의 삶 역시 이에 해당이 되며 이것이 하나님께서 의도하신 바이다. 하나님은 지혜에 의하여 또한 지혜를 통하여 신적 창조를 이루신 결과를 기뻐하시며 피조 세계의 미래는 하나님의 지속적인 기쁨에 의존하고 있다. 하나님의 형상으로 창조된 사람들의 삶은 행복을 선물로 받게 된다. 사람의 행복에서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가 본질적인 요소이다 더욱이 하나님이 피조 세계에 허락한 선한 선물들은 놀랍도록 다양하여 행복을 만들어낼 수 있다. 동시에 행복을 선물로 받았기 때문에 이 선물은 삶에서 중요한 차이점을 생성해낸다. 하나님의 구속 사역은 시들어버린 창조의 행복을 다시금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인간 이외의 피조물들은 하나님을 찬양하는 일에 참여한다. 그들의 행복과 기쁨이란 그들이 하나님의 선한 피조물로서 번성하는 것이며 또한 그들이 하나님과 다른 피조물들과 지속적으로 맺고 있는 관계 가운데 번성하는 것이다. 인간 이외의 피조물들을 우리의 신에 대한 담론을 깊고 다양하게 만들기 위하여 활용한다면 하나님과 인간의 행복을 논하는 데 인간 중심성을 완화시킬 수 있게 될 것이다. In this essay I address happiness as it relates to God and to creation in the witness of the Old Testament. Happiness is characteristic of the life of God, ranging from divine well-being to particular experiences of joy in the course of the God-world relationship. Israel’s God is genuinely affected by what happens in these relationships; what creatures say and do brings pleasure (or displeasure) to the divine life. More particularly, creation is a pleasurable task for God with ongoing joy-filled effects for both Creator and creature. Pleasure and playfulness are built into the very structure of things, enabling all of life, including God’s own life, to be what God intended it to be. God delights in the results of the divine creative work in and through Wisdom, and the world’s future is dependent upon God’s continuing pleasure. The life of those who are created in the image of God is gifted with happiness. Essential to such human happiness are relationships with other human beings. Even more, a remarkable variety of God’s good gifts in the creation have the capacity to generate happiness. At the same time, once gifted with happiness, what is done with the gift will make a difference in life. God’s work in redemption can revitalize diminished creational happiness. Nonhuman creatures are imaged as engaged in the praise of God. Their happiness and joy is a way of saying that these creatures are flourishing as God’s good creation and in their ongoing relationship with God and other creatures. The use of nonhuman creatures as resources for depth and variety in our God-talk has the capacity of tempering anthropocentricity in our discussions of God and human happiness.

      • KCI등재

        통일교의 하느님 말하기

        김항제 ( Hang Je Kim ) 한국신종교학회 2006 신종교연구 Vol.14 No.-

        Unification theology talks about God`s image and nature. In this aspect, it surpasses other theology by dealing not only God`s nature but also His structure. That is because conventional theologies do not deal with God`s structure. Unification theology`s `God-talk` holds value because it gives answers of faith and theology regarding the problems this age bears. By confessing God, Unification church deals not just God but all that is connected to him; His people, world and universe. In other words, confessing about the creator of this world, God, deals within the deepest relationship between every entity in this world. What understands the God`s creation, humanity, world and universe, as one grand organism in web-like relationship is Unification theology. For Unification theology teaches that God`s is God of relationship and that He exists between relationships. `Giving and Receiving relationship` is His relationship and it means God fulfills His way by interacting with humanity. This thesis attempts to discover how the theology that talks God of relationship renews God. In conclusion, Unification church`s `God-talk` reveals God simultaneously as true mother and true parents. Because the reality of today presents us problems that cannot be solved by the conventional meaning of God. In other words, as the result of conventional theology`s failure of explaining the whole image and nature of God, humanity now bears critical problems with little hope of overcoming it. Therefore, Unification church will introduce solution to today`s urgent matters by revealing God both as True parents and True mother. Because critical problems this humanity faces today are also God`s problems. For example, one of the most urgent matters we face today is the reality of human life. Destruction of environment, nature and, furthermore, life threatens God`s creation and therefore is the reality of human race and, at the same time, the reality of God. Unarguably, this is an universal pain for God. Therefore, only by talking God with His heart as True parents and especially True mother of True love we are able to relieve suffering God from the pain of this reality.

      • KCI등재

        하나님의 영과 신인식 - 이사야와 에스겔을 중심으로 -

        이사야 한국구약학회 2016 구약논단 Vol.22 No.4

        구약학에서 חור(루아흐)와 성령론은 다른 신학적 주제어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덜 연구된 것이 사실이다. 실제로 구약성서에 등장하는 שודק חור(루아흐 카도쉬/성령)에 대한 직접적인 표현은 시편 51편 13절(개역-11절), 이사야 63장 10절, 11절 뿐이다. 하지만 구약성서 특히 예언서는 신인식론적인 하나님의 영에 대해 65회 언급하고 있다. 하나님의 영과 힘으로서의 신(神)인식론적인 의미는 구약성서만이 지니고 있는 독특한 표현이다. 특히 예언자들이 말하는 하나님의 영은 하나님의 임재의 한 방법이다. 본 논문은 구약의 예언서, 특히 포로기와 그 이후에 나타나는 하나님의 영 본문들을 주석적으로 살펴보면서 그 신학적 특징들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루아흐가 구약성서의 또 다른 신학적 중심어라는 사실을 주목함과 동시에 구약의 영과 영성, 성령론에 대한 빈곤한 연구 건축에 돌 하나를 얹고자 한다. 하나님의 창조와 재창조, 절대주권, 이스라엘의 회복, 하나님의 절대 주권, 신인식에 대한 보편주의, 개인의 신앙양태의 변화는 예언서에서 하나님의 영과 맞물려 나타나는 중요한 신학적 특징들이다. 에스겔은 단순히 생기를 통한 피조물의 생명 얻음을 이야기하는 것이 아니라, 전체 이스라엘 민족의 회복을 선포하고, 생명의 호흡으로서의 하나님의 영을 통해 이스라엘의 회복과 새로운 창조를 말하면서 이스라엘의 내면적, 윤리적 변화를 요구한다. 이사야도 하나님의 영이 임재할 이스라엘 백성을 통해 본토와 민족의 회복이라는 사실에 대한 보다 폭넓은 의미를 제시한다. 그리고 전통적인 기름부음을 대신하는 영부음이 나타나고, 하나님의 이름과 영광, 손 그리고 말씀과의 연합이 나타난다. 이는 전통적인 임재의 상징이었던 법궤를 대신하는 표현들이라고 할 수 있다. 학개와 스가랴 그리고 에스겔은 성전의 재건과 회복된 공동체의 필수요건으로서의 하나님의 영을 말한다. 특히 이사야 63장의 שודק הור(루아흐 카도쉬/성령)는 하나님의 거룩함에 대한 강조가 하나님의 현현묘사까지 나아간 것으로, 이는 하나님의 영에 대한 인식이 하나님의 권능을 나타내는 도구에서 하나님의 현현을 통한 존재 자체에까지 확장되는 점에서 신인식론적인 대전환(大轉換)이라 할 수 있다. 이는 하나님에 대한 인식과 마찬가지로 하나님의 영에 대해서도 다양성과 인식의 변화가 있었음을 보여준다고 할 것이다. Studies on the theme of הור or Holy Spirit are rare in comparision with other theological themes in the Old Testament. In fact, the word Holy Spirit (שודק חור) occurs only three times in the Old Testament(Ps.51:13; Is.63:10,11). But the books of Prophets include sixty-five times of God’s Spirit of theoepistemological meaning. The theoepistemological meaning of God’s Spirit and Power is unique expression which could not find in any other near eastern texts except the Old Testament. Especially, God’s Spirit was a way of God’s presence to the prophet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make clear theological features in interpreting God’s Spirit texts in the Prophets and to prove the fact that חור is one of the theologically important themes in the Old Testament an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studies of Holy Spirit in the Old Testament. God’s creation and re-creation, supremacy, Israel’s restoration, universalism on the theoepistemology, changes of individual religious life are main theological characteristics engaging with the God’s Spirit in the Prophets. Ezekiel said not merely the creatures' life-receiving through life-giving spirit, but entire Israel's restoration and new creation(Ez.37) and required Israel’s internal, ethical changes. Also Isaiah presented the fact that the meaning of new life-giving was not restricted in natural creatures and pointed out wider meaning about the restoration of the own land and nation(Is.40:12-14; 44:1-5 etc.). And there appeared the integrated relationship between pouring of oil and presence of Ruah YHWH, so to speak, the selection of YHWH appeared through oil-pouring was replaced by pouring of Ruah YHWH. Shem YHWH, Kabod YHWH and Yad YHWH supports the presence of Him(Is.59:19; Ez.3:12,14; 43:5 etc.). These are the alternations of the ark which was traditional symbol of God’s presence. Haggai, Zechariah and Ezekiel paid attention to God’s Spirit, necessary element of the reconstruction of the temple and the restoration of the faith of Israelite community. Especially שודק חור(Is.63:10,11) was the expression of God’s presence itself (not a symbol) starting from the emphasis of God’s holiness and it could be the theological great conversion because God’s Spirit appeared as the agent of YHWH or even His own manifestation. We could see the diversity of the epistemology of God’s presence and even its changes in the prophets.

      • KCI등재

        明ㆍ淸代 福建 宗族의 神靈崇拜 ― 종족의 생존전략과 관련하여 ―

        원정식 명청사학회 2018 명청사연구 Vol.0 No.49

        명ㆍ청대 복건 종족은 엘리트와 일반 족원이란 두 바퀴로 달리는 자전거와 같았다. 이는 복건의 유동적이고 불안정한 사회경제적 환경에서 종족이 지속적 생존과 번영을 위하여 선택한 결과의 하나였다. 복건 사회는 당ㆍ송대 이래로 귀신을 좋아하고 음사가 발달하고 각종 민간 신앙이 성행하였고, 명ㆍ청대 사회적 불안이 심화되면서 민간 신앙 활동이 더욱 일상화,집단화, 민중화되었다. 이에 각종 신묘의 증가뿐만 아니라 이들 종사나 가묘조차 종교적 기능이 강화되었다. 종족은 족원들이 신봉하는 신령을 적극 수용하여 사묘를 건설하기도 하고 조상의 위패를 봉안하는 종사나 가묘에 족원들이 믿는 신령을 모시고 각종 종교 행사를 거행하기도 하였다. 또 자신의 성씨와 일치하는 신령의 위패나 신상을 봉안하거나, 자신들과 계보가 같지 않아도 사회적으로 신격을 인정받은 같은 신령을 자신들의 조상으로 삼아 종족 결집에 활용하기도 하였다. 사당은 공간이 제한되어 모든 신령을 모실 수 없었으므로 신령의 영험성, 기능, 인지도, 중요성 및 구성원의 영향력 등을 고려하여 입사를 결정하지 않을 수 없었다. 절충과 타협은 민간사회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문제 해결의 방식이었고 신령의 입사 과정에도 이 원칙이 적용되었다. 이에 사묘도 조상의 위패만 모신 전형적인 유교적 사당, 조상 위패와 더불어 복덕정신과 문창제군 등 소수의 신령만 모신 사당, 만신전과 같은 사당, 한 조상이나 신령을 모시는 전사 등 다양하게 되었다. 지역사회는 인적 구성이 복잡하여 새로운 결속 방법이 필요했으며 그 가운데 대표적이 것이 공동의 종교 활동이었다. 이 글에서는 검토한 세 가지 사례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산지의 다성 촌락인 政和縣 禾洋村의 사례다. 李姓은 이 지역의 유력 종족이지만 명성 있는 타 성씨의 신령[張巡]을 자신들의 보호신으로 삼고, 또 촌락의 공동신으로 승화시킴으로써 혈연과 계보에서 발생하는 갈등을 해소하고 타성씨들을 포용하는 동시에 그 속에서 자신들의 위상도 높였다. 둘째, 산지의 다성 지역인 南靖縣 書洋鄕 蕭姓 지역 사례다. 한 성[蕭姓]이 중심이긴 하지만 여러 성씨가 한 촌락에 거주하거기도 하고 동일 하천 연변의 여러 단성 촌락에서 살기도 하였는데, 이주 시기가 비슷하여 오랫동안 함께 믿어온 공통 신령[保生大帝, 등]에 대한 숭배 행사을 통하여 상호협력과 단결을 확보하였다. 셋째, 20개 가까운 성씨들이 모여 사는 향촌 도시 甘棠堡다. 이곳은 종족의 독자적 사묘, 소수 종족의 공동 사묘, 전체 주민 공동 사묘 등 종교적 수요나 종족별 필요에 따라 다양한 사묘 건립과 운영 형태가 공존하였다. 이는 감당보 내에 종족간의 경쟁과 분열 가능성이 엄존함을 보여 보여주는 것이다. 동시에 공통 사묘[天后廟, 虎馬將軍宮 등]의 건립과 운영을 통해 감당보 내부의 경쟁과 갈등을 조정하고 종족간의 협력을 유지할 수 있었다. 끝으로 신령 탄생일이나 절기에 행하는 집단적인 종교 행사[遊香, 巡安, 進香 등]는 종교 행사를 넘어 해당 종족이나 지역 주민을 결집하고 자신들의 세력을 대내외적으로 과시하는 정치적 행위였다. 그리고 행사를 위한 연락망 유지, 일정과 경로 확정, 비용 결정 및 징수, 대오 편성과 조직화, 지휘와 운영 등은 모두 종족과 지역사회의 조직 역량과 동원 역량을 유지하고 증강시키는 훈련이라고 할 수 있다. The Fujian lineages(宗族) in Ming-Qing period was like a bicycle running on two wheels: the elite and the general public. This was one of the results that the lineages made for sustained survival and prosperity in the fluid and unstable socio-economic environment of Fujian. Fujian society has loved ghosts and the sacrifice to unjust ghosts has developed and various folk faiths have been popular since the Tang and Song Dynasty. As the disquiet became more widespread, the activities of folk faith became more common, collective, and popularized. As a result, not only did the number of shrines increase, but also the religious functions of lineage’s shrines were strengthened. The clans actively accepted the gods that the general public believed. The clans has built the shrine for the gods that the general public adhere to, enshrined the gods in the ancestors shrine, and held various religious events. Also, they enshrined the statue of gods of their surname. Even though they do not have the same lineage, the gods that has been recognized in public accepted as their ancestor, and has been used for the gathering of lineage member. Since the shrine was limited in space and could not enshrine all gods, it was necessary to decide to take into consideration spirituality, function, awareness, importance, and influence etc. Compromise were common ways of solving problems in chinese civil society and this principle was applied to the process of enshrining the god. Therefore, in addition to the typical Confucian shrine that only enshrined the ancestral tablets, shrine became various, as the shrine of the ancestors and few gods, the shrine for one god, the Pantheon etc. The community needed a new way of tie-up due to the complexity of the inhabitant. The following three cases were reviewed. First, it is the case of Zhenghexian(政和縣) Heyangcun(禾洋村), a several village in the mountainous region. Though Clan Lee was strong in one area, they made the famous Zhangxun(張巡) the guardian god of them. They sublimated Changsun Shin to common god in the village, thereby solving conflicts in bloodline and genealogy, embracing the inhabitants of the village, and increasing their status. Secondly, it is the case of the Nanjingxian(南靖縣) Shuyangxiang(書洋鄕) Xiaoxing(蕭姓) Community in the mountains. Although the area is centered on one surname[蕭姓], several surnames reside in one village or also live in several one-surname villages on the same river. The their migration period is similar, and they have long believed in a common gods [Baoshengdadi(保生大帝), etc.] and secured mutual cooperation and unity through worship activities for gods. Third, it is a small city Gantangbao(甘棠堡) with a population of about 20. There were various shrines, namely a lineage's single shrine, a minority lineage's common shrine, a common shrine for the entire population, etc, and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shrines also is various in accordance with the religious needs and needs of the lineage groups. This shows that between lineages competition and possibility of fragmentation exist in Gantangbao. At the same time, through the common shrine of the whole inhabitants, the competition and conflict within Gantangbao were coordinated and cooperation among the lineage groups could be maintained. Finally, beyond the religious ceremonies, the collective religious activities [youxiang(遊香), xunan(巡安), jinxiang(進香) etc.] that are performed on the birthday or the feast of the gods were political activities that mobilized the lineage’s member and local people, and showed off their power both inside and outside. The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events such as network maintenance, scheduling and routing, cost determination and collection, pilgrimage organization are all training to maintain and enhance the organizational and mobilization capacities of llineages and communities.

      • KCI등재

        하나님 아버지를 넘어 다양한 하나님의 이름을 찾아

        이영미(Yeong Mee Lee) 한신대학교 한신신학연구소 2023 신학연구 Vol.60 No.2

        God is perceived through languages. Language reflects human conception and restricts human behavior and relation. In this manner, Christian theological languages in the church and worship define the way of understanding God. Among various theological terms for God, “God the Father” gains the best authority to call God’s name. The term is patriarchal and set the limit in imagining the various relationship between the divine and human being. Like an image, the name of God is important to understand God. In the Hebrew Bible, God’s name is called based on the human experience of God. The name also expresses God’s relational action toward human being. This study provides God’s Hebrew names that are contextual and relational. The example includes El Roi in Genesis 16:13, Yahweh Ropeka in Exodus 15:26, Yahweh Chidkenu in Jeremiah 23:6. The study also suggests to translate these names by transliterating the Hebrew name with its meaning in parenthesis. This translation may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Hebrew divine name that the name itself reflects the experience of the human with God. God is not an entity, fixed being in one image or name. God reveals Godself in as many names as the human call through their experiences. God is beyond human language and should not be restricted by one name such as God the Father. God’s name needs to be proclaimed relational, not existential.

      • KCI등재

        아우구스티누스와 토마스 아퀴나스의 신론 연구

        장건익 ( Chang¸ Gun-ik ) 한국가톨릭철학회 2008 가톨릭철학 Vol.0 No.10

        1. 아우구스티누스와 토마스 아퀴나스가 제시하는 신 관념은 궁극적으로 동일하다. 이들이 말하는 신은 ‘스스로 있는 자’(ego sum qui sum), 존재 그 자체(ipsum esse), 우주의 창조자이다. 표현은 다르지만 이 말들이 지시하는 바는 모두 동일하며, 또한 그것은 그리스도교의 신을 의미한다. 이들의 차이는 각자가 선택한 ‘신에 도달하는 길’과 도구로 이용했던 그리스의 철학에서 발생한다. 2. “주여, 당신을 향하도록 우리를 지으셨으니, 당신 안에서 쉬기까지는 우리 마음에 평안이 없나이다”라는 그의 고백에서 알 수 있듯이, 아우구스티누스는 신의 흔적을 자신의 내면에서 찾았다. 그 흔적은 일종의 기억이지만, 일반적인 의미의 기억이 아니라 존재론적인 기억이라 할 수 있다. 이것은 신이 새겨 넣은 기록이자 당신 자신에 대한 기억이다. 이 기억 때문에 인간은 신을 그리워하고 갈망하는 것이다. 내면의 불안과 동요는 이러한 기억이 작동되고 있다는 증거이다. 그래서 신을 만나기 전까지 인간의 마음에는 쉼이 없는 것이다. 이처럼 아우구스티누스의 철학은 신에 대한 존재론적 기억 때문에 촉발된 영혼의 운동이자 여행이다. 또한 아우구스티누스는 신이 ‘우리의 내면 가장 깊은 곳’(interior intimo meo)에 계신다고 말한다. 그래서 그는 우리가 신을 발견할 곳도 우리의 내면이라는 것이다. 물론 신을 발견하는 것은 기억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며, 이성적 사유를 통해서도 아니다. 오히려 그가 자신의 내면여행을 통해 처음 발견한 것은 신이 아니라 자기모순과 분열이었다. 자신이 진정 사랑해야 할 대상을 사랑하지 못하고, 사랑해서는 안 될 것을 사랑하는 자기모순을 통해 그는 인간은 스스로를 구원할 수 없다는 것을 깨닫는다. 그래서 그는 인간은 신의 은총과 사랑을 통해 신을 사랑할 수밖에 없다는 것을 받아드리게 된다. 이제 그의 여행은 신이 주시는 진리와 사랑을 통해 자신의 분열과 모순을 치료하는 여행이자. 선물로서 행복이 주어지는 여행이 된다. 하지만 이 여행의 온전한 주관자는 자기 자신이 아니라 하느님이라는 것이 아우구스티누스가 우리에게 말하는 역설이자 신비이다. 3. 토마스는 인간 지성의 적절한 인식대상은 물질유(物質有)의 형상이라고 말한다. 그리고 그 방법은 감각과 추상이다. 이런 관점에서 볼 때 신이라는 대상은 우리에게 적절한 인식대상이 아니다. 신은 어떤 이미지도 없으며, 추상할 형상도 없기 때문이다. 우리는 신에게 직접 다가갈 수가 없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토마스는 신에게 다가갈 수 있는 다른 길이 있다고 보았다. 그것은 신이 남긴 흔적을 추적하는 길이다. 아우구스티누스와 달리 그는 이 흔적을 우리의 내면에서 찾지 않는다. 그가 발견한 신의 흔적은 바로 그가 창조한 이 세계, 즉 외부세계이다. 그는 ‘밖으로의 길’을 통해 신을 찾아간 것이다. 이 우주가 가지고 있는 존재론적 기억은 신이 존재함을 증언하고 있다고 본 것이다. 우주를 통해 신의 존재를 입증하고, 그것을 초월함(유비와 부정의 방법)으로써 신에 대한 인식에 도달하는 철학적 길을 통해 그는 신에게로 나아간다. 토마스는 철학적으로는 이 방법이 신에게 도달하는 유일한 길이라고 생각했다. 이것이 부정의 길과 인과적 유비추리의 존재론적 배경이다. 그는 이러한 방법에 의해 비록 불완전하지만 신 인식에 도달한다. 추상이 피조물에 대해 적극적이고 직접적인 인식인 것에 비해 ,피조물을 통한 부정과 유비는 신에 대해 부정적, 간접적, 제한적 인식이며, 또한 그럴 수밖에 없다. 왜냐하면 신은 우리가 직접 인식할 수 있는 대상이 아니며, 우리의 신 인식은 피조물을 통해서만 인식하는 우회로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불완전성이 허위임을 말하는 것은 아니다. 비록 그것이 불완전하다 할지라도 그것은 인간의 다른 어떤 앎보다도 고귀하고 가치 있는 것이며, 인간이 도달할 수 있는 최고의 인식이다. 1. The ideas of God which Augustine and Thomas Aquinas propose are ultimately identical. The notions of God which they say are ‘I am Who I am(Ego sum qui sum)’, ‘Being Itself(ipsum esse)’, and ‘Creator of universe’. Although these words are different, their meanings are the same. They refer to the Christian God. Their differences arise from ‘the paths to the God’ that they chose and the Greek philosophies that they used as an instrument. 2. Augustine found the trace of God in his inner self. This trace of God is a kind of memory, but it is an ontological one, not an ordinary one. It is the record that God inscribed and the memory about Himself. Because of this memory, men miss God and long for God. Anxieties and worries in men are the evidences that this memory is working. Thus, men’s mind has no rest before they meet God. As we can see from this, the philosophy of Augustine is the movement and the journey of the Soul, which are caused by ontological memory of God. Also, Augustine says that God exists in our innermost place (interior intimo meo). So he says that the place we should find God is also our inner self. However, it is not through rational thinking that we find God. Rather, what Augustine found through his journey to the inner self was not God, but only self-contradiction and self-division. From the self-contradiction that a man does not love what he should love and love what he should not love, Augustine realized that a man cannot save himself. Thus, he accepted that a man can love God only through His grace and love. Now, it becomes the journey to cure his self-contradiction and self-division through truth and love that God gives and the journey given as a gift. However, the paradox and mystery that Augustine asserts is that the master of this journey is not a man himself but God. 3. Thomas Aquinas says that the proper object of men’s knowledge is the forms of material beings. A man acquires knowledge by abstracting the intelligible from the material and from the sensible. From this point of view, God is not the proper object of a man’s knowledge. It is because we have neither God’s sensible image, nor quiddity. We are unable to approach to God directly. Nevertheless, Thomas insists that there is another way to God. The way he suggests is to investigate the trace of God. Unlike Augustine, he does not look for the way in his inner self. The trace of God he found is the world God created, which is outer world. His way to God is not through ‘inside’ but through ‘outside’. He thought that the ontological memory this Universe has proves that God exists. He proves the existence of God through Universe, and reaches the knowledge of God by transcending it. However, even though a man can have knowledge about God, it will be very limited and imperfect, because the divine otherness and the infinity of God are beyond our understanding. We can only get some passive knowledge about God through the analogy and the negation for the properties of the creatures. Nevertheless, Thomas thought that it is the only way possible to reach God. Also, he says that although a man’s knowledge of God is imperfect, it does not mean that it is false or worthless. On the contrary, it is more valuable and worthwhile than any other human knowledge, and it is the best knowledge a man can ever reach.

      • KCI등재

        Theological and Biblical Survey on God as Parent

        Shin, Seung Beom 한국실천신학회 2015 신학과 실천 Vol.0 No.45

        God as parent desires relationship with his children. Apparently, his relationship with his children reflects his very nature, which is love.(1 John 4:8, 4:16) God’s love as parent can help humans learn what it means to be a loving parent. God loves his children. He shows the very nature of his love by sending his beloved Son, Jesus Christ. Obviously, his love toward his children is self-giving and sacrificial. In addition, his love includes discipline. Discipline is an integral part of showing God’s love and authority toward his children.(Heb. 12:8) Even Jesus, the beloved Son, was not exempt from discipline.(Heb. 12:2) The author of Hebrews clarifies that discipline is not only the validating mark of sonship(Heb. 12:7), but also a means to strengthening faith and character.(Heb. 12:11-12) Without doubt, the motive of discipline is always love. Both God’s love and his loving discipline are integral parts of God’s parenting. God provides example, direction, and the dynamics for human parents. If one seeks a model for parenting, it seems appropriate to look to God, the ultimate model parent.

      • KCI등재

        Proposal of a New God-Representation for Modern People : Selfobject God

        Park, Sang-Hee 한국실천신학회 2023 신학과 실천 Vol.- No.85

        I began this study after finding that many counsel clients were having dysfunctional God-representation as the cause for their pain. God-representation is not innate one but the one to be acquired through experiences. Freud and religious psychologists proved that it is formed for a long time based on emotions experienced with their nurturers at childhood.For individual happiness and healthiness, the wrong psychological representations should be corrected. And those ranges include the self-representation, interpersonal representation and God representation. For the change of dysfunctional God representation, the individual’s psychological bruises should be cured, and their mind-structure should be re-organized. For such objective, in this study, I focused on Heinz Kohut’s self-psychology, and especially on selfobject concept. The selfobject is defined as the object to be perceived as a part of oneself. It provides psychological oxygen to the self, helping to escape from distorted dysfunctional representation and to replace them with correct and function ones. Then, if the healthy and functional God representation is so important, which one would be the case? In this paper, I proposed “selfobject God-representation” as the one needed for bruised people of modern society. The newly suggested God-representation should differ from the conventional, patriarchal and despotic representation of God, which has inflicted the human-being for a long time. The one we need for our era should embrace relatedness and diversity, as well as providing love and protection. And in my view, it is worth paying attention to the three sound characters of selfobject, which mirrors, becomes idealizing object and becomes the existence like the twin. That is because, in many respects, it is analogous to the nature of Trinity God who loves, protects and accompanies the human-being. Therefore, proposing selfobject God-representation would cast a new paradigm fitting the current era. And by this, we would be able to re-define the nature of God which is nurturing, embracing and cooperative, while it has been historically distorted as hierarchical, unilateral and patriarchal one. To explain about the selfobject God, I employed metaphorical theology as the main theological methodology. The nature of selfobject God is relational and is in various for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