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호남지역 점토대토기문화의 전개양상과 과제

        한수영 한국청동기학회 2021 한국청동기학보 Vol.29 No.-

        점토대토기는 호서지방에서는 원형, 만경강유역에서는 원형과 삼각형, 영산강유역에서는 삼각형점 토대토기가 중심을 이루면서 북에서 남으로의 변화상이 비교적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그동안 원형점토대토기문화는 호서지방이 중심을 이루고, 이후 점차 호남지역에 유입된 것으로 보았으나 만경강유역과 서해안 일대에서도 이른 시기의 원형점토대토기 유적이 증가하고 있으며, 호남지역 유적을 통해 원형점토대토기의 유입과 발전, 삼각형점토대토기의 출현부터 소멸에 이르는 모든 과정을 살펴볼 수 있게 되었다. 호남지역 점토대토기문화는 청동기시대 후기에서 초기철기시대를 거쳐 기원 후 1세기경까지 이어지며, 만경강유역이 상대적으로 빠르고, 이후 영산강유역, 동부섬진강유역권으로 확대되는 양상을 보인다. 이와 함께 송국리문화의 소멸도 만경강유역에서 먼저 나타나며, 영산강유역이나 동부지역에서는 상대적으로 늦게까지 확인되고 있다. 호남지역 점토대토기문화의 전개양상은 크게 4기로 구분된다. 원형점토대토기 단계의 주거지는 전주 대정Ⅳ유적의 말각장방형계(Ⅰ기), 삼각형 점토대토기 단계의 주거지는 전주 중동유적의 방형주거지가 있으며(Ⅲ기), 이를 제외하면 원형의 송국리형주거지에서 타원형수혈이나 내주공이 사라지면서 말각방형으로 바뀌고, 말각방형에서 점차 방형으로의 변화양상을 보인다. 동부섬진강유역은 송국리형주거지에서 타원형으로 바뀌는 지역적인 특징이 나타난다. 노지는 전주 대정Ⅳ유적에서 1~2기의 장축노가 조영되지만 이는 전기 청동기시대 주거지의 전통으로 이해되며, 삼각형점토대토기 소멸기인 Ⅳ기부터 조성되기 시작한다. 분묘는 Ⅰ기에는 송국리식 무덤인 석관묘와 석개토광묘·토광묘에 점토대토기나 검파형동기·경형동기 등의 청동 유물이 부장되며, Ⅱ기에 본격적으로 적석목관묘와 토광목관묘가 조성되면서 세형동검·정문경 등의 풍부한 청동유물이 부장된다. Ⅲ기는 삼각형점토대토기와 철기로 대표되는데, 토광목관묘가 주묘제로 조영되고 청동유물의 부장이 감소하며 위세품이 철기로 대체된다. 또한 대외교류가 활발하게 이루어진 시기이며, 전반적인 사회변화가 크게 이루어지는데, 이는 준왕의 남래와 그로 인한 마한사회의 변화와 연관된 것으로 해석된다. 이후 Ⅳ기는 삼각형점토대토기의 소멸기로 무덤군은 조성되지만 다른 지역과 달리 수장급의 무덤이 뚜렷하지 않으며, 이러한 양상은 기원후 2세기까지 이어진다. 최근 꾸준히 1~2세기 자료도 증가하고 있지만, 기원후 대규모 유적의 부재는 제철유적과 연관된 중심세력의 이동으로 추정해 볼 수 있다. The clay-stripe pottery is relatively-clearly showing the changes from North to South, focusing on the round clay-stripe pottery in Hoseo region, the round and triangular in Mangyeong River basin, and the triangular in Yeongsan River basin. So far, the round clay-stripe pottery culture has been regarded as mainly shown in Hoseo region, which was gradually introduced to Honam region afterwards. However, the remains of round clay-stripe pottery of the early period are increasing even in Mangyeong River basin and the west coast area. Thus, the remains in Honam region show all the processes like inflow and development of round clay-stripe pottery, and appearance and extinction of triangular clay-stripe pottery. The clay-stripe pottery culture of Honam region is continued from the late period of Bronze Age to the early period of Iron Age, and 1st century A.D. The Mangyeong River basin is relatively earlier, which is expanding to Yeongsan River basin and the eastern part of Seomjin River basin. And the extinction of Songgukri culture is also shown in Mangyeong River basin for the first time while it is shown relatively later in Yeongsan River basin or eastern area. The development aspect of clay-stripe pottery culture in Honam region could be divided into four periods. The dwelling site in the stage of round clay-stripe pottery includes the round-rectangular shape in Daejeong Ⅳ remains of Jeonju(Ⅰ period), and the dwelling site in the stage of triangular clay-stripe pottery includes the square dwelling site in Jungdong remains of Jeonju(Ⅲ period). Except for them, as the oval pit or inner-pillar hole disappears from the round Songgukri dwelling site, it is changed to round-rectangular shape that is gradually changed to square shape. The eastern part of Seomjin River basin shows the regional characteristic of changing to oval shape in Songgukri dwelling site. Even though the major-axis furnace of period 1-2 is built in Daejeong Ⅳ remains of Jeonju, this is understood as the tradition of dwelling site in the early Bronze Age, which starts being built up from the period Ⅳ when the triangular clay-stripe pottery extincts. Regarding the tombs in period Ⅰ, the bronze relics like bronze split bamboo-shaped artifacts/mirror-shaped bronze vessel or clay-stripe pottery are buried in Songgukri tombs like stone-coffin tomb and pit burial with stone cover/pit tomb. In period Ⅱ, the wooden chamber tomb with stone mound and pit burial with wooden chamber fully start being built, so the abundant bronze relics like slender bronze dagger/bronze mirror are buried. The period Ⅲ is represented as triangular clay-stripe pottery and ironware. The pit burial with wooden chamber is built as a major tomb style; the burial of bronze relics is decreased; and the elite grave goods are substituted for ironware. Also, as a period when the foreign exchange is actively performed, the overall society goes through huge changes, which is interpreted to be related to King Jun’s transfer to the south and consequent changes in Mahan society. After that, in period Ⅳ, the triangular clay-stripe pottery extincts. Even though the tombs are still built, contrary to other regions, there are no tombs of chiefs, which is continued till the 2nd century A.D. Even though the data of the 1st-2nd century is continuously increasing recently, the absence of massive remains of A.D. could be estimated as the migration of central power related to iron-making remains.

      • KCI등재

        중서부지역 청동기시대 후기 취락의 특징과 전개

        이승현 호서고고학회 2023 호서고고학 Vol.- No.56

        This paper analyzes the cultural contact and cultural change process of late Bronze Age societies in the Midwest region. First of all, the late Bronze Age was divided into three periods and examined the change in the location of settlement, subsistence economy of each location, intensity of culture contact, motives of culture contact. The settlement was initially built in the highlands, but gradually expanded to the lowlands over time. These changes in location type were closely related to subsistence economy. The strength of cultural contact between the Round Clay-stripe pottery culture and the Yeoksamdong/Songgukri assemblage also intensified with time Because the number of Suseokri-type pottery increased in Yeoksamdong/Songgukri assemblage. The background of this cultural contact is presumed to be closely related to subsistence exchange between assemblages, as can be seen from the use of utilitarian pottery. Next, This study traced the emergence and change process of exotic elements in Yeoksamdong and Songgukri assemblage settlements. In the first period, it was confirmed that a set of Round Clay-stripe pottery and Black burnished long-necked jar were mainly buried in the graves of indigenous people. It can be seen that the Yeoksamdong and Songgukri assemblage accepted foreign culture to a certain extent, but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cultural contact between assemblages was once-off event such as a one-time migration rather than a continuous cultural contact since the number of Suseokri-type pottery found in the settlements is small. In the second period, the Round Clay-stripe pottery culture settlement begin to expand the hilly location, and contact between assemblages also increases. a number of Suseokri-type pottery or a imitation pottery are found in some villages. Evidence of production of Suseokri-type pottery has been identified. These trends are believed to be associated with the resolution of conflict between assemblages and the initiation of a symbiotic relationship, leading to the activation of subsistence exchange. As a result, it is thought that cultural contact has diversified and various cultural acculturation have appeared. In the third period, the process of change to the Round Clay-stripe pottery culture beyond the symbiotic relationship between the assemblage is confirmed. In the Yeoksamdong and Songgukri assemblage settlements, foreign material culture such as Suseokri-type dwelling and wooden coffin tomb with stone mound appeared, and the proportion of foreign pottery is also higher than that of indigenous pottery. Thus, The societies in the late Bronze Age of midwest region gradually show a resolution oftombs of Pyoungyang Jinpari of Koguryo Kang, Hyun-sook conflicts and an increasing intensity of cultural contact over time, resulting in various forms of cultural acculturation. Ultimately, it can be summarized that cultural changes occurred in the Round Clay-stripe pottery culture.

      • KCI등재

        비파형동검문화 성립 이후 요서지역의 토기문화 시론-점토대토기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배현준 백산학회 2019 白山學報 Vol.0 No.113

        Double mouth rim with clay stripe pottery of Liaoxi tends to be considered the same as clay-stripe pottery of the Korean Peninsula and Liaodong area due to its formative similarity. But double mouth rim with clay stripe pottery of Liaoxi basically has the making tradition of attaching clay to the outside after making the lip. That is a fundamental difference in the manufacturing method from Liaodong area and the Korean Peninsula attaching clay without completing the lip. On the other hand, there is a flow that gradually changes from the thin clay to the thick clay in Liaoxi, and a circular or square shape appears in the process. In addition, since there are the same things as the manufaturing method of the lip, they can be included in the category of the clay-stripe pottery and called the rounded clay-stripe pottery. Its appearance cannot go above the 5th century BC, clay-stripe pottery of the zhengjiawazi type in Liaodong is considered to be influenced by Liaoxi. However, the rounded clay-stripe pottery in the northeast of China did not affect one-way from Liaoxi to Liaodong or from Liaodong to Liaoxi. It seems to have occurred as a result of being selectively accepted the motif of making the lip rounded under the traditional craftsmanship of the pottery of Liaoxi in a variety ways of the exchange. 비파형동검문화 속의 토기는 다종다양하여 어느 특정 기종 또는 특정 기종 조합이 토기문화를 구성한다고 한정해서 말하기 어렵다. 비파형동검문화는 요서지역의 십이대영자문화, 요동지역의 정가와자유형으로 대표된다. 그리고 양자를 관통하는 토기는 이중구연점토대토기라고 할 수 있다. 요서지역의 이중구연점토대토기는 형태적 유사성 때문에 한반도나 요동지역에서 확인되는 점토대토기와 동일하게 여겨지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요서지역의 이중구연점토대토기는 기본적으로 구연부를 완성한 후 외측에 점토대를 부착하는 제작전통을 가진다. 이는 구연부를 완성하지 않은 상태에서 점토대를 부착하여 점토대 자체가 구연부를 형성하는 요동지역이나 한반도의 점토대토기와는 제작방식에 있어서 근본적인 차이가 존재한다. 한편 요서지역은 구연부에 부착되는 점토대가 얇은 것에서 점차 두터워지는 흐름이 있으며 그 과정에서 구연부 단면 (타)원형 또는 방형의 형태가 등장한다. 그리고 이중에서 점토대토기의 구연부 제작방식과 동일한 것이 존재하기 때문에 이들은 점토대토기의 범주에 포함시킬 수 있으며, 대체로 원형점토대토기라고 부를 수 있다. 그 출현은 전국 전기인 기원전 5세기대보다 올라갈 수 없다. 동시기 요동지역의 정가와자유형에서 확인되는 점토대토기는 정가와자유형의 형성배경을 고려하면 요서지역의 영향을 받아 출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중국 동북지역의 점토대토기는 요서에서 요동으로, 혹은 요동에서 요서로 단선적으로 영향을 끼친 것은 아니다. 상호 간에 지속적으로 이루어진 다양한 방식의 교류 속에서 요동지역의 토기제작 전통 하에 요서지역의 구연부를 두텁게 (타)원형으로 조성하는 모티브가 선별적으로 수용된 결과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후보

        만경강유역 점토대토기문화의 전개과정

        한수영 ( Han Suyoung ) 전북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1 건지인문학 Vol.- No.31

        청동기시대 후기에 해당하는 기원전 4~3세기경이 되면 동북아시아의 급변하는 정세 속에서 한반도 일대에 큰 변화가 일어난다. 서북한 지역에는 전국계 철기문화가 유입되고, 중서부 지역은 산동반도와 요동반도 등 해로를 통한 유이민의 이주가 본격화된다. 이 과정에서 만경강유역은 토착문화를 이루던 송국리문화에서 점토대토기문화(혹은 세형동검문화)로 변화가 일어나며, 이후 초기철기문화의 중심지를 형성한다. 점토대토기문화는 점토대토기를 비롯하여 흑도장경호·파수부호·두형토기 등 새로운 토기조합이 등장하여 기존의 송국리문화를 대체하게 되며, 그 전개과정은 크게 4단계로 구분된다. 만경강유역은 점토대토기문화의 전 과정을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지역이며, 특히 기원전 2세를 전후하여 한반도에서 가장 많은 유적이 밀집분포하고 있는 중심지를 이루고 있어 점토대토기문화 연구에 있어 매우 중요한 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In the 4th-3rd century B.C. which was the late Bronze Age, the Korean Peninsula had huge changes in the rapidly-changing situation of Northeast Asia. The national iron culture was flown into the northwest Korean region while the migration of wandering people was fully started in the midwest region through the sea routes like Shandong Peninsula and Liaodong Peninsula. In this process, the Mangyeong River basin went through changes from Songgukri culture as its indigenous culture to clay-stripe pottery culture(or slender bronze dagger culture). After that, it was rising as the center of the early Iron Age. The clay-stripe pottery culture had new combinations of pottery including clay-stripe pottery, black burnished long-necked jar, mounted jar with horn-shaped handles, and mounted dish, which replaced the previous Songgukri culture, and its development process is largely classified into four stages. As an important area that shows the whole processes of clay-stripe pottery culture, especially, the Mangyeong River basin is the center where the most remains in the 2<sup>nd</sup> century B.C. are densely distributed in the Korean Peninsula. Thus, this is a very important area for researches on clay-stripe pottery culture.

      • KCI등재

        호남지역 점토대토기문화의 전개양상과 특징 -생활유적을 중심으로-

        장지현 ( Jihyoun Jang ) 호남고고학회 2015 湖南考古學報 Vol.51 No.-

        최근 호남지역에서는 점토대토기문화 단계의 주거지, 수혈유구, 구상유구 등 생활유적에 대한 조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생활유적과 출토유물에 대한 검토를 통해 본고에서는 호남지역 점토대토기문화의 전개 양상과 특징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호남지역의 점토대토기문화는 출토유물, 주거지의 구조적 특징, 방사성탄소연대 측정값 등을 통해 크게 Ⅰ·Ⅱ·Ⅲ기로 구분이 가능하다. 먼저, Ⅰ기(기원전 5세기 전반~기원전 4세기 후반)는 A유형의 주거지에서 원형점토대토기가 출토되는데, 점토대토기문화와 재지의 송국리문화가 만나는 시기로서 유적은 호남의 전 지역에서 산발적으로 발견된다. Ⅱ기(기원전 3세기 전반~기원전 2세기 중반)는 점토대토기문화가 급속도로 확산되는 시기로서 A유형 의 주거지도 확인되나 B유형의 주거지가 주를 이루게 된다. II기의 취락은 대부분 해발고도 34m 미만의 낮은 구릉 정상부나 사면 또는 말단부에 입지한다. 또한 대부분 2~5기 정도의 주거로 구성된 소규모 취락의 양상을 보이고, 전북 내륙지역, 특히 만경강유역을 중심으로 유적이 밀집·분포한다. 출토유물은 원형점토대토기를 비롯하여 조합 식우각형파수부호, 두형토기, 삼각형석촉 등이 확인되며, 삼각형점토대토기가 출토되는 유적도 일부 등장하기 시작한다. Ⅲ기(기원전 2세기 후반~기원후 2세기 전반)에는 C유형의 주거지가 주를 이루며, 광주를 비롯한 영산강 유역에 취락이 밀집·분포한다는 점에서 II기와 대조된다. 출토유물은 원형점토대토기가 극히 소량으로 확인되고 삼각형점토대토기의 비중이 매우 높아진다. 또한 조합식우각형파수 대신 우각형이나 봉상형파수로 대체되며, 경질무문토기가 다수 공반되고 두형토기의 출토율이 현저하게 줄어들면서 시루가 등장하기 시작한다. The Clay-stripe Pottery culture of the Honam region can be divided into three phases -- I, II, and III -- on the basis of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dwellings, stylistic observations of the excavated artifacts, and radiocarbon dating. In Phase I (early 5th to late 4th century BC), clay-stripe pottery with circular bands emerged. This was the period in which the indigenous Songguk-ri culture first encountered the Clay-stripe Pottery culture. Phase II (early 3rd to mid 2nd century BC) witnessed the rapid spread of the Clay-strip Pottery culture across the Honam region. Villages are mostly located on low hilltops and slopes lower than 34 meters above sea level, are small-scale with only 2-5 houses, and are densely distributed in inland Jeollabuk-do. Artifacts of this phase include assembled cow-horned jars, mounted dishes, triangular stone arrowheads as well as clay-stripe pottery with either circular or triangular bands. In Phase III (late 2nd century BC to early 2nd century AD), villages were densely distributed along the Yeongsan River around Gwangju. The ratio of clay-stripe pottery with triangular bands increased. The amount of hard Mumun pottery also increased and assembled cow-horned jars were replaced by simple cow-horned or rod-handled jars. Steamers also began to appear in Phase III.

      • KCI등재

        호남지역 마한 성립기 주거지 일고찰

        김규정 ( Kim Gyu Joung ) 호남고고학회 2021 湖南考古學報 Vol.67 No.-

        호남지역은 마한의 성립과 함께 각 지역을 중심으로 다양한 정치체가 형성된다. 호남지역 마한 성립기 주거지는 아직 조사된 유적이 많지 않아 그 실체가 명확하지 않다. 다만 중국측 기록을 따르면 늦어도 기원전 3세기에는 마한이 성립된 것으로 보인다. 마한 성립의 주체는 재지의 송국리문화가 바탕이지만 외래의 점토대토기문화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호남지역 마한 성립기 주거지는 재지의 송국리식주거지가 지속되는 한편 평면 방형에 중앙에 爐가 있는 새로운 구조의 주거지가 축조된다. 호남지역 마한 성립기 토기는 재지의 송국리식토기가 변화·발전되고 외래의 점토대토기와 점토대토기가 변화·발전된 경질무문토기를 특징으로 한다. 점토대토기는 구연부의 단면형태에 따라 원형과 삼각형으로 구분되는데, 금강·만경강유역은 원형과 삼각형점토대토기가 공반된 것으로 보아 비교적 이른 시기에 원형에서 삼각형으로 변화된 것으로 보인다. 영산강·서남해안지역과 섬진강·동남해안지역에서는 삼각형점토대토기의 삼각형점토띠가 퇴화되면서 경질무문토기로 발전한 것으로 보인다. 호남지역 마한 성립 시기는 절대연대와 출토유물로 볼 때 금강·만경강유역은 기원전 4세기로 편년되고, 동진강·중서부지역과 영산강·서남해안지역은 기원전 3세기, 섬진강·동남해안지역은 기원전 2세기로 편년된다. 호남지역 마한 정치체는 재지의 송국리문화를 바탕으로 재지집단이 활발한 대외교류를 통해 새로운 문물을 받아들이면서 발전하였다. 지금까지 출토된 외래 유물로 볼 때 기원전 4세기~기원전 2세기까지는 금강·만경강유역 정치체가 대외교류의 중심이지만, 기원전 2세기~기원전 1세기 이후에는 영산강·서남해안지역 마한 정치체가 대외교류의 중심으로 부상하면서 영산강유역 고대 정치체로 발전한 것으로 보인다. The Honam area might be divided largely into four regions according to the natural geographic features. With establishment of Mahan, various political bodies were formed around each region. There are not many ruins that have been investigated in the region to clearly testify to the real dwelling sites of Mahan during the period of its establishment, although it is only presumed that Mahan was established at the latest in the third century BCE according to the Chinese records. The main stream force of Mahan's foundation was based mostly on the local Songgukri culture, but it seems that the foreign clay stripe pottery culture also had an influence upon it. During the period of Mahan's establishment, the local Songgukri-style dwelling sites continued to prevail in the Honam area, while a new flat-square type residential area with a hearth in the center began to be built newly. The pottery of Mahan in the Honam area during the period of its establishment was characterized by the local Songgukri-style pottery which was changed and developed, the foreign clay stripe pottery, and the hard-plain pottery which was changed and developed from the clay stripe pottery. Since the clay stipe pottery can be classified into the circular and triangular type according to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mouth part, the pottery on the Geumgang and Mangyeonggang river basins is thought to have changed from the circular to the triangular type in the relatively early age, judging from the fact that both circular and triangular clay stripe earthenwares were discovered together in the same area. In the Yeongsangang and southwest coastal areas, as well as in the Seomjingang and southeast coastal areas, the triangular clay stripe pottery seems to have evolved into the hard-plain pottery while the triangular clay stripe was degenerated. The time when Mahan was established in the Honam area is recorded chronologically to be the 4th century BCE on the Geumgang·Mangyeonggang river basins, the 3rd century BCE in the Dongjingang·midwestern region and Yeongsangang·southwestern coastal regions, and the 2nd century BCE in the Seomjingang·southeast coastal regions, based on the absolute age and unearthed relics. The political body of Mahan in the Honam area developed as the local group accepted new culture and products of civilization through active exchanges with foreign countries backed up by the local Songgukri culture. On the basis of the foreign relics excavated so far, it could be inferred that the political body on the Geumgang·Mangyeonggang river basins had played a central role in exchanges with foreign countries during the period from the fourth to the second century BCE, but Mahan political body in the Yeongsangang·southwestern coastal regions developed into an ancient political body on the Yeongsangang river basin while it emerged as the center of foreign exchanges from the 2nd century until after the first century BCE.

      • KCI등재

        제주지역 점토대토기문화의 정착과 변천과정

        김경주 한국청동기학회 2018 한국청동기학보 Vol.22 No.-

        제주지역은 기존 송국리문화의 바탕위에 기원전 4세기 이후 도래한 점토대토기문화가 빠르게 융합되면서 전개된다. 이처럼 문화접변 과정을 거쳐 서북부지역에 대규모 취락이 조성되기도 한다. 서남부지역 에서는 비전형적인 송국리형주거지가 축조되면서 지역화된 양식으로 전환된다. 하지만 변형된 주거지를 축조하고 점토대토기 집단의 금속기를 교환하고 있지만 일상토기인 점토대토기는 배척되고 있다. 점토대토기 집단의 정착과정을 보면 서북부지역에서는 주민간 활발한 동화과정을 통해 재지화되는 반면 서남부지역은 상위계층간 교류가 진행될 뿐 직접적인 융합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즉 서북부지역은 원형점토대토기 집단이 쉽게 동화되지만 서남부지역에서는 점토대토기 집단과의 교류가 활발하게 진행 되지 못하고 있다. 이로 인해 삼각형점토대토기 집단은 동북부지역(종달리와 김녕리)에 거점을 확보하지만 활동영역이 축소되고 서남부지역과의 교류가 단절된다. 제주지역에서 점토대토기가 소멸하는 것은 대략 2세기경으로 추정되며 남해안지역과 궤를 같이한다. The Jeju region developed according to the fast fusion of the culture of pottery with clay stripes that was introduced in the fourth century B.C. based on the old Songgukri culture. This acculturation process led to a large settlement in its northwestern areas. Its southwestern areas witnessed the establishment of an atypical Songgukri-style dwelling, which marked a conversion into a localized style. That is, they built an altered dwelling and made exchanges with the group of pottery with clay stripes for metal instruments, but the pottery with clay striped used in the group's daily life was excluded. As for the settlement process of the group of pottery with clay stripes, they went through the Jaeji process through their active assimilation with the local residents in the northwestern areas. There was no direct fusion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southwestern areas except for the exchanges between their upper classes. While the group of circular pottery with clay stripes was easily assimilated in the northwestern areas, there was no active exchange with the group of pottery with clay stripes in the southwestern areas. As a result, the group of triangular pottery with clay stripes secured a foothold in the northeastern areas, but they shrank in their active domain and had their exchanges with the southwestern areas severed. The pottery with clay stripes became extinct in the Jeju region around the second century in the same way that happened in the southern coastal areas.

      • KCI등재

        粘土帶土器文化의 韓半島 開始年代 再考

        진영민 한국청동기학회 2016 한국청동기학보 Vol.18 No.-

        한반도의 점토대토기문화가 遼寧地域의 주민 이주로 형성된 문화라는 점에 대해서는 대부분의 연구자 들이 동의하고 있다. 그러나 이 문화 형성기의 개시연대에 대한 연구자들의 견해는 일치되지 않고 있 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문제가 현재의 편년안에서 기인한다고 보고 편년과 개시연대에 대한 전반적인 검토를 시도하였는데, 그 결과 학계에서 주류라고 판단되는 점토대토기문화 개시연대인 기원전 6세기 ~ 5세기설에는 여러모로 재고의 여지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이 시기 遼東地域에서는 雙耳 점토대토기 형식이 유행하였으며, 이 점토대토기는 한반도에서는 출토되지 않는다는 점을 주목하였다. 반면에 한 반도에서는 성립기부터 鈕耳 점토대토기가 출토되고 있으며, 이 형식의 토기는 요동지역에서 기원전 4세기 이후에 등장하는 것으로 확인된다. 따라서 주민 이주를 전제로 하는 입장이라면 개시연대가 기 원전 4세기 이전으로 상향될 가능성이 희박하다고 보았다. 그리고 요동지역에서는 지역 구분에 따라 시간성과 관계없이 점토대토기의 형식과 공반 유물에서 차이가 관찰된다. 반면 한반도 남한지역 성립 기의 유물 조합상은 전 지역에서 거의 동일하게 출토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분포는 이주 집단의 원거주지가 요동지역에서도 한정된 지역이었음을 시사하는 근거라고 판단하고, 太子河 유역의 本溪縣 일대가 이주민 집단의 기원지였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It is generally recognized that the pottery with clay stripes culture in the Korean peninsula is derived from inhabitants migration from Liaoning province, in China but it is not coincided about the beginning of this cultural formation period. This study examined generally on chronology and commencement, considering the present chronology causing confusion and in result, needs to be reconsidered that the commencement of the pottery with clay stripes culture, considered as the mainstream in academic community, is around B.C. 6-5C. On that period, it is noticed that in Liaodong area, double mouth rim pottery was famous and this type of pottery is not found in Korean peninsula, whereas, in Korean peninsula, from established, rounded clay-stripe pottery is found and it is confirmed that this kind of pottery appeared after B.C. 4C in Liaodong area. Therefore, under the premise of migration, commencement will hardly be before B.C. 4C. And more, in Liaodong area, from district division, without relation to time factors, there exist differences from the form and the association relic of the pottery with clay stripes. whereas, during establishment of south area in Korean peninsula, relic artifact are found similarities around the whole area. and from this distribution factor, it is estimated that original habitation of migration means a limited area in Liaodong area and Benxi Manchu around Taizi area is presumed as the original habitation of migration.

      • KCI등재

        만경강유역 韓 문화의 실체와 전개

        천선행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23 한국고대사탐구 Vol.45 No.-

        This study aims to integrate research findings, organize how Han韓(馬韓): Jinhan and Mahan were formed from written records, and discover archaeological substance of Han. Despite of a considerable gap in understanding of written records between archaeology and bibliographic history, they both recognize Han culture as clay-stripe pottery culture(slender bronze dagger). However, this study does not settle imbalance issues found in tombs and heritages of living cultures in the late Bronze Age when Han culture is taken as the clay-stripe pottery culture ; also, it does not show a reflection of real social structure. Thus, this study attempts to solve such issue assuming that Songgukri was sustained for a long time. It turns out Mankyoung River basin is where King Jun headed south. Han was founded as King Jun headed south and coexisted with aboriginal country Jin辰(辰國). After the fall of Gojoseon, large numbers of idle people who came from Gojoseon who shared tribalism with King Jun migrated into central and southern Korea Peninsula, which appears to make first appearance of Jinhan and Mahan. As Mahan is culturally associated with Han founded in this process, its substance seems to be coexistence and convergence between the culture of aboriginal country Jin辰(辰國) and Gojoseon. Specifically, Han culture could be defined as Gojoseon culture, which is new culture of the ruling party, overlapped on Jin culture that creates underlying culture. As indigenous people and new people who came from outside mingle with each other, they preserve and transform indigenous culture and tradition, turning into Mahan people. Sustainability of indigenous culture is reviewed through relic distribution, combination and shape of jar coffin tomb, clay source and sintering of black polished pottery with long neck, axial trace of ratating frame, and ring-shaped knife. But this study remains unsettled issue ; subdividing Songgukri culture though the physical data change and speed can’t be recognized with eyes. However, it allows Songgukri culture and existence of residents as components of Han culture to come to the surface and reifies that Han culture in Mankyoung River basin lasted until 2nd century AD. 본 논문은 그간의 연구성과를 종합하여 문헌기록 상의 韓(馬韓), 진한과 마한의 성립을 정리하고, 한의 실체를 고고학적으로 접근하여 밝히고자 작성되었다. 문헌기록에 대한 고고학과 문헌사학계의 상당한 이해 차이에도 불구하고, 한 문화를 공통적으로 점토대토기문화(세형동검문화)로 인식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한 문화를 점토대토기문화로만 규정하여서는 청동기시대 후기의 무덤과 생활유적의 불균형 문제가 해소되지 않을뿐더러, 당시의 사회구조 실상을 반영하지 못한다고 보고, 송국리문화가 오랜 기간 지속된다는 관점에서 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만경강유역이 준왕의 남래지임을 재확인하고, 한은 준왕이 남래하면서 성립하여, 토착의 辰(辰國)과 공존하였다고 보았다. 고조선 멸망이후 한씨를 표방하고 준왕과 동족의식을 가진 고조선계 유민들이 대거 한반도 중남부 곳곳으로 이주하면서 진한과 마한 명칭이 등장한다고 추정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형성된 한과 문화적으로 연결되는 마한의 본질은 토착의 진(진국) 문화, 고조선계 문화의 공존과 융합이라고 보았다. 즉, 한 문화는 기층문화를 이루는 진(진국)문화에 새로 유입된 지배층의 문화인 고조선계 문화가 중첩된 형태이며, 토착민들과 새로 유입된 유이민이 어울려 토착문화 전통을 유지하고 변형하며 마한인으로 전환되어 갔다고 보았다. 그러한 토착문화의 지속 가능성을 유적의 분포상, 옹관묘의 조합과 형태, 흑색마연장경호의 태토와 소성, 회전대 축흔, 환두(삭)도를 통해 검토하였다. 물론 물질자료의 변화속도가 눈으로 인지되지 않는 상태에서 송국리문화 세분 문제를 극복하지 못했다. 그러나 한 문화의 한 구성요소로서 송국리문화와 그 주민의 존재를 표면화시키고, 토착민과 유이민의 작용 및 변용을 거치며 만경강유역의 한 문화가 기원후 2세기까지 지속되었음을 구체화시켰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고 생각한다.

      • KCI등재

        요서지역 비파형동검문화의 전개와 교류 - 십이대영자문화를 중심으로 -

        이후석 한국청동기학회 2020 한국청동기학보 Vol.27 No.-

        The Shiertaiyingzi Culture generally refers to the Mandolin-shaped Bronze Dagger Culture in the Liaoxi Area. It was formed in the Liaoxi Area and expanded to the Liaodong Area and had the most dynamic development out of the various material cultures of the Mandolin-shaped Bronze Dagger Culture Area. In addition, related cultural elements are widely found, Therefore, we can predict that it formed a wide-spread exchange network over a long time. The Shiertaiyingzi Culture is understood through the complexity of its basic features and artifacts that define its cultural identity, including Pit tomb burial rituals that used wooden equipment, Mandolin-shaped Daggers, geometric Fan-type Axes, and native pottery. However, combining relationships with the artifacts or pottery in the Jungwian styles or Northern(Steppe) styles that can be found in its development process is slightly different. Shiertaiyingzhi assemblage and Wujiantang assemblage can be found in the early period (phase 1 and 2). We believe it was formed in the Northern Liaoxi Area and expanded southwards, it developed and centered on the Shiertaiyingzhi Culture through competition and exchange with the Upper Xiajiadian Culture. In the latter period (phase 3), it was divided into the Nandonggou assemblage and the Zhengjiawazi assemblage. While expanding to the Area of Liaoxi and Inner Mongolia, it also actively conducted exchanges with the Yuhuangmiao Culture to pass on some pottery culture. As the power base of the ruling classes of the two region types was different, it is valid to view them as different political bodies. In the latest period (phase 4), the Dongdazhangzi assemblage rose to the forefront and developed in the western regions of Liaoxi. In addition to direct material exchanges with the Yan State, we also believe there were human exchanges. The fact that several Yan State style artifacts were buried seems to have strengthened the power base of the native ruling classes through exchange networks with the Yan State. 십이대영자문화는 보통 요서지역의 비파형동검문화를 가리킨다. 요서지역에서 형성되어 요동지역까지 확산되었으며, 비파형동검문화권의 여러 물질문화 중에서도 가장 역동적인 전개 양상을 나타낸다. 또한 중국 동북지역에서 한반도에 이르도록 관련 문화요소들이 널리 확인되고 있어 장기간에 걸쳐 광범위한 교류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었다고 할 수 있다. 십이대영자문화는 목질 장구를 사용하는 토광묘계 묘제, 비파형동검과 기하학문 선형동부, 이중구연점토대토기를 주로 사용하는 토착 토기군이 그 문화 정체성을 규정하는 기본적인 유구․유물 복합체로 이해된다. 다만 전개 과정에서 확인되는 중원이나 북방 계통 유물이나 토기류의 조합 관계가 약간 달라 여러 하위유형으로 구분되고 있다. 전기(1․2단계)에는 십이대영자유형과 오금당유형이 확인된다. 최고식의 동검이나 이전 단계 문화요소의 퇴축 양상으로 보아 요서 북부지역에서 남부지역으로 확산되었으며, 이후 십이대영자유형을 중심으로 정체성을 유지하는 한편 하가점상층문화와 경쟁․교류하며 발전하였다고 생각된다. 후기(3단계) 에는 남동구유형과 정가와자유형으로 분화된다. 요동이나 내몽고의 일부 지역까지 확산되는 한편 옥황묘문화와 활발하게 교류하여 청동유물 외에 토기문화까지 일부 전해진다. 두 하위유형은 수장층의권력 기반이 다르므로 서로 다른 정치체와 관련됐을 가능성이 높다. 말기(4단계)에는 동대장자유형이부상하여 요서 서부지역을 중심으로 발전한다. 연국과는 직접적인 물적 교류 외에 인적 교류까지 있었다고 생각된다. 연국 계통 유물들이 다량 부장되는 것은 연국과의 교류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토착집단 지배층의 권력 기반이 강화되는 양상으로 추정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