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연안경관 개선을 위한 항만재생 방안 - 부산항의 항만기능 재편을 중심으로 -
배경완 ( Bae Kyungwan ),하경준 ( Ha Gyoung-jun ),박형준 ( Park Hyung-jun ),정주철 ( Jung Ju-chul ) (사)한국경관학회 2017 한국경관학회지 Vol.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nstruct old port functions and landscapes of Busan Port and to find a harmonious port of harbors through resolving conflicts between ports and hinterland. The hinterland of Busan Port is developed along with the harbor, and industrial facilities related to ships and vessels coexist with the residence. However, the deterioration of port facilities and the negative impacts of related facilities have led to the complaints of urban residents, and the increase in demand for new value creation in the port space has led to interest and necessity for beautiful port. Therefor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ways to coexist harmoniously with the port and hinterland focusing on the landscape, which is an important factor for the port.
세계적 미항(美港)이라는 한국지방자치의항구도시슬로건이 명실상부(名實相符)하기 위한정성평가로서의 지표시안탐색: 세계박람회를 개최한 여수와 샌프란시스코를 중심으로
문윤수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013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Vol. No.
This paper explored for indicators to live up to ‘international beautiful port’,which can be the best slogan of a port city, both in name and reality. First,precedent studies were analyzed, but most of them focused on the communication of city’s slogan as ‘title’ and a simple modification was made for ‘reality’. Second, the title of international beautiful port was defined based on city slogan theory as a due diligence of substantial image of international should come first to live up to the title. Third, the condition of beautiful port were established for expression of marine nature, artificial structures, artistic revelations, history accumulation,public designs. Fourth and finally, the researcher visited two port cities (Yeosu in Korea and San Francisco in the U.S.) to explore for concrete indicators. The exploration led to a conclusion that indicators such as urban color,statues, docks, street lights, building styles, transportation means, trees,benches, art galleries, city government office, signboards, and skyscrapers as substantive images worthy of the title should be reviewed to use the title of international beautiful port as city slogan at least. Above all, the harmony between them is important, which can be interpreted as ‘orderly city’. 본 논의는 항구도시에 있어서 최고의 도시슬로건(명)이라고 할 수 있는 ‘세계적 미항’이 명실상부하기 위한 실체적 이미지(실)를 지표시안으로서 탐색하였다. 우선 선행논의를 살폈으나 대부분의 논의는 ‘명’으로서 커뮤니케이션활동만을 착수하고 있었고, ‘실’은 간단한 정비만으로도가능함을 강조하고 있었다. 따라서 본 논의는 세계적 미항이라는 ‘명’에 걸맞게 그 실체적 이미지인 ‘실’이 우선적으로 탐색되어야 함을 도시슬로건이론에 입각하여 재정의하였다. 그리고 실체적 이미지의 탐색기준을 해양표현, 인공표현, 예술표현, 역사표현, 공공표현으로 설정하였으며,무엇보다 이들은 매트릭스적인 ‘조화’로서 강조되어졌다. 그에 대한 지표시안은 특정의 두 지방자치로서 항구도시(한국의 여수, 미국의 샌프란시스코)를 직접 방문하여 관찰되어졌다. 그 결과적어도 세계적 미항이라는 ‘명’을 항구도시슬로건화 하려면 ‘실’이자 실체적 이미지로서 도시색채, 동상, 선착장, 가로등, 건축양식, 교통수단, 수목, 벤치, 미술관(예술기관), 항구도시청사, 간판, 마천루라는 지표시안정도는 점검되어져야 하며, 그 지표시안들 간의 ‘도시정돈’이라는 이념은 매우 중요한 점검요인으로 떠올랐다.
‘세계적 미항(美港)’이라는 한국지방자치의 항구도시슬로건이 ‘명실상부(名實相符)’하기 위한 정성평가로서의 지표시안탐색 : 세계박람회를 개최한 여수와 샌프란시스코를 중심으로
문윤수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013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Vol.31 No.-
본 논의는 항구도시에 있어서 최고의 도시슬로건(명)이라고 할 수 있는 ‘세계적 미항’이 명실상부하기 위한 실체적 이미지(실)를 지표시안으로서 탐색하였다. 우선 선행논의를 살폈으나 대부분의 논의는 ‘명’으로서 커뮤니케이션활동만을 착수하고 있었고, ‘실’은 간단한 정비만으로도가능함을 강조하고 있었다. 따라서 본 논의는 세계적 미항이라는 ‘명’에 걸맞게 그 실체적 이미지인 ‘실’이 우선적으로 탐색되어야 함을 도시슬로건이론에 입각하여 재정의하였다. 그리고 실체적 이미지의 탐색기준을 해양표현, 인공표현, 예술표현, 역사표현, 공공표현으로 설정하였으며,무엇보다 이들은 매트릭스적인 ‘조화’로서 강조되어졌다. 그에 대한 지표시안은 특정의 두 지방자치로서 항구도시(한국의 여수, 미국의 샌프란시스코)를 직접 방문하여 관찰되어졌다. 그 결과적어도 세계적 미항이라는 ‘명’을 항구도시슬로건화 하려면 ‘실’이자 실체적 이미지로서 도시색채, 동상, 선착장, 가로등, 건축양식, 교통수단, 수목, 벤치, 미술관(예술기관), 항구도시청사, 간판, 마천루라는 지표시안정도는 점검되어져야 하며, 그 지표시안들 간의 ‘도시정돈’이라는 이념은 매우 중요한 점검요인으로 떠올랐다. This paper explored for indicators to live up to ‘international beautiful port’,which can be the best slogan of a port city, both in name and reality. First,precedent studies were analyzed, but most of them focused on the communication of city’s slogan as ‘title’ and a simple modification was made for ‘reality’. Second, the title of international beautiful port was defined based on city slogan theory as a due diligence of substantial image of international should come first to live up to the title. Third, the condition of beautiful port were established for expression of marine nature, artificial structures, artistic revelations, history accumulation,public designs. Fourth and finally, the researcher visited two port cities (Yeosu in Korea and San Francisco in the U.S.) to explore for concrete indicators. The exploration led to a conclusion that indicators such as urban color,statues, docks, street lights, building styles, transportation means, trees,benches, art galleries, city government office, signboards, and skyscrapers as substantive images worthy of the title should be reviewed to use the title of international beautiful port as city slogan at least. Above all, the harmony between them is important, which can be interpreted as ‘orderly c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