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북지역의 발레 도입 및 변천과정 연구

        김은경 ( Kim Eun Kyoung ),김달우 ( Kim Dal Woo ),이정숙 ( Lee Jeong Sug ) 한국체육사학회 2021 체육사학회지 Vol.26 No.3

        본 연구는 전북지역 발레교육의 양태 및 활동 양상을 고찰하였다. 연구결과 전북지역에서는 1945년 김미화무용연구소가 개설되어 발레가 도입되었으며 1949년 성심여학교에서 외국무용교육이 이루어졌고 특히 발레의 경우 활발하게 교육해왔던 것으로 고찰되었다. 1980년 원광대학교를 필두로 1988년 전북대학교 그리고 1989년 우석대학교 무용과가 개설 되어 대학에서의 발레교육이 이루어졌다. 대학발레단 활동은 원광대 백의선 발레단, 전북대 손윤숙 발레단 및 동문발레단인 발레라인즈 그리고 우석대 손정자 발레단이 1986년부터의 활동으로 발레공연이 활성화되었으나 현재에 이르러는 전북대 중심의 발레단만이 활동함이 드러났다. 대학 교육에 있어도 원광대는 무용교육과정이 없고 우석대학교의 경우 체육학과에서 무용교육과정 만이 교육되고 있으며 전북대학교만이 발레교육의 명맥을 유지함이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at the history and activities of ballet education in Jeonbuk province, south korea.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realized that in Jeonbuk province, Ballet was introduced with the opening of the Kim-Mi Wha Dance Research Institute in 1945 and then a serious of foreign dance education had been conducted in Sungshim girl high school and In particular, ballet education had been most actively carried out. After that, Wonkwang University in 1980, Jeonbuk National University in 1988, and then Woosuk University in 1989, the Department of Dance was opened, and ballet education began in earnest at the university. In case of performance of ballet in regional universities, from 1986 Baek Ui Sun ballet company in Wonkwang University, Son Yun Shook ballet company and Ballerines consisting of university alumni in Jeonbuk University and Son Jeong Jag ballet company in Woosuk University had been actively performed but only the Jeonbuk National University-centered ballet companies are in activity these days. In the university curriculum, Wonkwang University did not have a dance curriculum anymore, and in the case of Woosuk University, only the dance curriculum has been taught in the physical education department, and only Jeonbuk National University has maintained the legacy of ballet education.

      • KCI등재

        한국 동문발레단 애지회의 업적 연구

        이정숙 ( Jeong Sug Lee ),김달우 ( Dal Woo Kim ) 한국무용과학회 2013 한국무용과학회지 Vol.29 No.-

        본 연구의 목적은 애지회 창단 이후 30년간 활동을 살펴봄으로서 초기 동문발레단이 한국발레문화와 무용 교육일선에서의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와 1차 사료인 신문기사, 연감, 공연 팜플렛 등 문헌 등을 참고하였으며 삼각검증법을 이용하여 1차 사료에 나타나는 내용에 대하여 2인의 인터뷰을 실시하여 보다 진실성 있는 사료에 접근하였다. 무용교육가 김정욱과 1981년 그의 지도하에 창단된 애지회 활동을 대상으로 연구하였으며 이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김정욱은 한국 발레 1세대로서 애지회의 창단과 발전에 지대한 역할을 했고 우리나라 발레문화의 토착화에 힘썼다. 그는 그만의 한국적 발레 기법을 개발하였고 많은 후학들이 그의 발레기법을 전수받음으로 교육일선에서 발레교육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또한 대학동문 발레단인 애지회는 한국적 정서의 독특한 창작 발레 작품을 만들었고, 남성무용수를 적극 등용하여 다양한 공연 문화를 제공하였으며 소극장 공연 등 꾸준히 많은 무용공연을 함으로써 발레 대중화에 공헌 하였다. The present research investigated Jungwook Kim, who was a dance educator and Ae Jo Hoi that was alumnae ballet company in 1980th and 1990th. She was the first generation dance educator who put all her effort into setting the Korean style ballet in place in South Korea. She created her own ballet technique and instructed her own ballet technique to many Korean ballet dancers. Another her noticeable work was that she found “Ae-Ji-Hoi”. This ballet organization was unique in that it employed Korean themes into making creative dance, and it opened up opportunities for the talented male dancers. In addition, the organization played an important role in popularizing ballet dance in South Korea by utilizing a variety of little theaters to play perform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