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려 말기 형정의 상황과 개편 방향

        윤훈표 연세사학연구회 2022 學林 Vol.50 No.-

        This paper examines the confusions that occurred in the penal administration operating system in the late Goryeo period in relation to social change. In addition, it considers the contents and results of the reform of the penal administration system that was pursued to resolve these confusions. In the first place, chaos was in full swing in the penal administration operating system during the period of The Military Regime, when the top-level device that coordinated and controlled the whole was paralyzed. With repeated abnormal regime changes, principles were shaken, and both fairness and consistency were destroyed. This trend spread further during the Yuan Intervention Period. After King Gongmin ascended to the throne, he pursued reorganization, but as socio-economic contradictions intensified and internal divisions grew, chaos ensued. As a result, his reform work failed. It encouraged the application of private laws, which only aggravated the harm. King Wu, who ascended abruptly to the throne after King Gongmin, hastily undertook reorganization. However, as the unstable state of affairs intensified in the second half of his reign, his reform efforts failed. After the change of government following the army march back from Wihwa Island(威化島回軍), reorganization work resumed. Under the leadership of radical reformers, a different level of reform was promoted. The goal was to establish a consistent operating system. First, China's latest criminal code, the Great Ming Code( 大明律 ), was adopted as the basic criminal code. Subsequently, repairing work on the equipment was also promoted. This opportunity set the task of reorganizing the role and jurisdiction of the penal administration on the right track. The reorganization work in the late Goryeo period continued to accommodate new elements along with the changes of the previous system. As a result, although there were similarities in appearance, there were in fact different aspects in the nature of the operating system. This was because it was not limited to the reform of the system, but was carried out in connection with changes. In particular, the change was remarkable in that it was an evolution in the cognition of the penal administration. In conclusion, the direction of the penal administration reorganization work following the conversion of the penal administration in the late Goryeo period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penal administration reorganization work of the next dynasty, the Joseon Dynasty. In other words, it set the direction for the path that would be followed in the future. 본 논문에서는 고려 말기의 형정 운영 체계에서 발생했던 혼란상을 사회 변동과 연관해서 검토했으며 이를 수습하기 위해 추진했던 개편 작업의 내용과 성격, 형정관의 전환, 역사적 의미 등을 살펴보았다. 형정 운영 체계의 동요는 무신집권기에 들어와서 전체를 조율하고 통제하는 최상위 장치가 마비되면서 본격화되었다. 비정상적인 정권 교체가 거듭되면서 전임자들이 이뤄냈던 성과들이 부정되고 그 과정에서 원칙이 흔들리며 공정성이 훼손되고 일관성도 무너졌다. 그런 풍조는 원간섭기에 더욱 확산하였다. 마침내 담당 기구나 조직 체계가 변질되고 그에 따른 혼란이 초래되면서 일관된 처결이 곤란해졌다. 법 적용의 사사로움에 따른 불공정성이 증대되고 그로 인한 폐해가 확대되면서 신뢰마저 잃었다. 거기에 원률의 적용 문제까지 겹치면서 상황이 악화하였다. 말기에 이를수록 사정이 더욱 어려워지면서 근본적인 혁신 없이는 사회의 안정과 통치체제에 대한 불만을 해소하기 힘들게 되었다. 공민왕 즉위 이후 반원 정치와 함께 개편 작업을 추진했으나 사회 경제의 모순이 격화되고 내부 분열이 심해지면서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형벌의 명확한 조례를 만들기 위해 노력했으나 도리어 사사로운 법 적용만 부추기면서 폐해만 가중시켰다. 이로 말미암아 형정 운영에서 발생한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면 체제 개혁을 이루기 어려운 상황에 부닥쳤다. 갑자기 실행된 우왕의 즉위 직후부터 개편 작업에 착수하였다. 사전 준비가 철저하지 않았지만 급하게 정국을 안정시키려는 조치로써 단행되었다. 하지만 후반기 국정의 난맥상이 심화되면서 실패했다. 재개된 것은 위화도 회군으로 정권이 교체된 뒤였다. 급진 개혁파가 주도하면서 전과 다른 차원의 작업이 추진되었다. 먼저 토대 분야에 대한 선제 조치가 시도되었다. 그 바탕에서 주무 부서인 전법사를 축으로 하는 일관성을 갖춘 운영 체계를 수립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기준 형서로 대명률을 채택하였다. 또 다른 중요 법사였던 사헌부의 경우, 당시 제정된 개혁 신법을 법전 형태로 만들어서 간행하고 그것을 위반하는 자 등을 다스리는 역할을 부여했다. 말기의 개편 작업은 이전 체제의 변경과 함께 새로운 요소의 수용이라는 측면을 동시에 간직하였다. 그로 인해 외양에서는 유사한 측면이 없지 않으나 운영 체계의 성격에서는 다른 면모를 보여주고 있다. 그것은 제도의 개편에 국한되지 않고 사회 변동과 연관시키며 진행되었기 때문이다. 특히 형정관의 전환이라는 점에서 두드러진다. 그 결과 조선에 들어와 대명률이 즉각 적용될 수 있었다. 더불어 표면화되지 않았으나 자세히 보면 기미 같은 것이 존재하는데 미리 제거하지 않으면 장차 손대기 어려운 악의 근원이 될 수도 있다. 즉 미발의 상태이지만 세상이 어지러워지면 크게 발할 소지가 다분하므로 형을 써서 미리 방지하는 것이 당연하다는 논리가 일부에서 제기되었다. 형이 정치를 보좌하는 법의 범위를 넘어서서 기능하는 면모를 취하기도 했음을 알 수 있다. 그런 부분은 조선에 들어와서 내부 분열과 갈등이 격화되면서 종종 재현되기도 한다. 따라서 말기 형정관의 전환에 따른 형정 개편 작업의 방향은 조선에서의 모색에 직접적인 원형을 제시하는 것이었고 나아가 장차 전개되는 길을 암시하는 척도이기도 했다.

      • KCI등재

        양벌규정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김용섭(Kim Yong-Sup) 행정법이론실무학회 2007 행정법연구 Vol.- No.17

        According to the overflowing of the administrative penal provisions, there are about 350 joint penal provisions and they're rapidly increasing together with the enactment of the administrative act. But there is no clear basis between the law with joint penal provisions and the law without joint penal provisions. In case of the administrative punishment including joint penal provisions checks the sanction of the administrative law violation and the comprehensive system of the administrative sanction for a duty realization under the administration. And that sanction method shouldn't be excessive, also meets the case, and has a effect to control the violation of law. For ensuring the effectiveness must avoid the over sanction, it is the problem that the sanction can't control the illegality restraint, because of the weak sanction. The joint penal provisions basically pursue the fundamental right's guarantee and the administrative object's achievement. The type of the standing joint penal provisions imposes a fine on the corporation as same as the offender. and this is the most general legislation type. But if the joint penal provisions are unified by the basic type without the immune provision, the party's legal position will be weak, and the corporation will be slightly punished, because the corporation's fine is the same as the offender's. Considering this problem, we should enact that the corporation's punishment don't connect with person's punishment. And it is necessary that the diverse immune provisions should be connected with the joint penal provisions.

      • 법인의 양벌 규정 위헌판결에 대한 고찰 -헌법재판소 2009.7.30 선고 2008헌가24판결을 중심으로-

        박창석 ( Chang Seok Park ) 순천향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0 사회과학연구 Vol.16 No.1

        현대국가에서 법인은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법인에 의한 행정법규의 위반이 있을 경우 법인 자체에 대한 규제의 문제가 대두될 수 있는데, 법인의 업무주에 대한 책임을 규제하는 방식이 종래의 전가벌 규정약식(법인 또는 개인의 사용자, 종업원 등이 해당 업무와 관련하여 법령위반행위를 한 경우 행위자인 종업원을 처벌하지 않고 법인 또는 개인을 처벌하는 취지의 규정)을 탈피하여 양벌규정에 의하여 처리하는 것이 일반적인 경향이다. 그런데 해당 법인의 종업원, 직원 등이 위법행위를 저질렀을 때 행위자뿐 아니라 해당 법인이나 영업주까지 함께 처벌하도록 하고 있는 이러한 양벌규정에 대하여 `양벌규정이 법인에 어떤 잘못이 있는지를 전혀 묻지 아니하고 형벌을 과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책임주의의 원칙에 반한다`는 이유로 위헌논의가 제기되어 왔었으나, 종래 헌법재판소는 직접 위반행위를 하지 않은 법인 등도 종업원 등에 대한 감독책임을 인정하여 합헌으로 해석하고 있었다. 그러나 2009년에 헌법재판소는 이러한 태도를 바꾸어 의료법, 사행행위 등 규제 및 처벌 특례법, (구)도로법, 청소년보호법,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 (구)건설산업기본법 등에서 규정한 법인의 양벌규정에 대하여 위헌판결을 하였다. 위헌판결의 이유는 위의 법률들에서 종업원의 위반행위에 대하여 법인의 업무관련성이나 법인의 책임 등에 상관없이 해당 행위자와 동일한 형벌 등을 부과하는 것은 책임주의의 원칙에 반한다는 것이다. 헌법재판소의 판결 이후 실제로 법을 적용함에 있어서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혼란의 해결방안과 추후의 입법론적 개선방안까지 법인의 양벌규정, 행정벌의 문제 등에 대한 정리와 더불어 고민하였다. According to the overflowing of the administrative penal provisions, there are about 350 joint penal provisions and they`re rapidly increasing together with the enactment of the administrative act. But there is no clear basis between the law with joint penal provisions and the law without joint penal provisions. In case of the administrative punishment including joint penal provisions checks the sanction of the administrative law violation and the comprehensive system of the administrative sanction for a duty realization under the administration. And that sanction method shouldn`t be excessive, also meets the case, and has a effect to control the violation of law. For ensuring the effectiveness must avoid the over sanction, it is the problem that the sanction can`t control the illegalty restraint, because of the weak sanction. The joint penal provisions basically pursue the fundamental right`s guarantee and the administrative object`s achievement. The type of the standing joint penal provisions imposes a fine on the corporation as same as the offender. And this is the most general legislation type. But if the joint penal provisions are unified by the basic type without the immune provisions, the party`s legal position will be weak, and the corporation will be slightly punished, because the corporation`s fine is the same as the offender`s. Considering this problem, we should enact that the corporation`s punishment don`t connect with person`s punishment. And it is necessary that the diverse immune provisions should be connect with the joint penal provisions.

      • KCI등재

        고대 유가(儒家)의 형정론(刑政論)에서 ‘수치심(恥)’의 의의

        정희철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22 儒學硏究 Vol.59 No.-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investigate the significance of ‘shame’ in the Confucian theory of penal administration, which means the character of ‘sham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hame’ and ‘penal administration’. Justin Tiwald thought Confucians pursued the ‘autonomous shame’. He explained that Confucians tried to avoid punishment because the reign which foregrounds punishment hinders autonomous shame. However, this explanation has a fundamental problem. In Lunyu (論語), the main text of his study, there are many parts that strongly deny the moral autonomy of ordinary people. To analyze the significance of shame in the Confucian theory of penal administration, we should focus on the ‘shame of ordinary people’. Confucians thought ordinary people gain the sense of shame by unconsciously emulating the politicians of the upper class. In this sense, the main character of ordinary people’s shame is non-autonomous. The concrete relationship between the shame of ordinary people and ‘penal administration’ is drawn from this point. As ordinary people can’t cultivate shame autonomously, there should be a reformation before enforcing penal administration. The criticism of the reign which enforces punishment before cultivating shame by reformation, and assertion that penal administration should be enforced after cultivating shame to ordinary people, this is a significance of ‘shame’ in Confucian theory of penal administration. 이 글의 목적은 유가의 형정론(刑政論)에서 수치심(恥)이 어떤 의의를 지니는지, 즉 수치심(恥)이 구체적으로 어떤 성격을 지닌 것이며 형정(刑政)과 어떤 관계에 놓여있는지 규명하는 것이다. 이 문제에 대해 저스틴 티왈드(Justin Tiwald)는 유가가 ‘자율적 수치(autonomous shame)’ 개념을 제시했다고 보았다. 형벌을 전면에 내세우는 통치는 이것의 배양에방해가 되기에, 유가는 형벌을 최대한 지양했다는 것이 그의 설명이다. 그러나 여기에는 근본적인 한계점이 있다. 당장 그가 주된 분석의 대상으로 삼는 논어에는 민(民)의 도덕적 자율성을 정면으로 부정하는 대목들이 빈출하기 때문이다. 유가의 형정론(刑政論)에서 수치심(恥)이 어떤 의의를 지니는지 파악하려면 ‘민(民)’의 수치심(恥)에 집중해야 한다. 유가는 민(民)이 위정자의 행위와 덕목을 무의식적이고 자연스럽게 본받으면서 수치심(恥)을 지니게 된다고 보았다. 이런 점에서민(民)의 수치심(恥)은 ‘비자율성’을 그 성격으로 지닌다. 여기에서 민(民)의 수치심(恥)과 형정(刑政)의 구체적인 관계가 도출된다. 민(民) 은 자율적으로 수치심(恥)을 길러낼 수 없기에, 형정(刑政)을 시행하기 전에는 필수적으로 교화가 이뤄져야 한다. 교화를 통해 민(民)에게 수치심(恥)을 배양해주기 이전에 형벌을 사용하는 통치에 대한 비판, 그리고 민(民)에게 수치심(恥)을 심어준 이후에야 형정(刑政)이 본격화되어야 한다는 강변, 이것이 바로 유가의 형정론(刑政論)에서 수치심(恥)이 가지는 의의인 것이다.

      • 조선시대 형벌 그림의 전개와 의미

        신선영(Shin, Sun-young) 한국민화학회 2019 한국민화 Vol.- No.11

        형벌의 시각화는 동서양을 막론하고 금기시되었기 때문에 자주 이루어지기 어려운 것이었다. 드물게 제작되었던 형벌 그림의 목적이나 기능은 미술의 보편적인 기능인 감상이나 자기감정의 표현 등을 위해 제작되지 않았다. 형벌의 입안과 집행은 국가의 독점권한이었고 백성을 통제하려는 정치권력의 통치수단이었기 때문에 봉건시대 형벌 그림은 정치성을 띨 수밖에 없었다. 조선시대 세종과 정조연간에 제작·반포되었던 〈고신도〉나 「형구지도(刑具之圖)」·「곤제지도(棍制之圖)」 등은 형정 책임자인 관리들을 교육하기 위한 지침서로 제작되었다. 국가권한인 형벌 집행이 조선시대 전시기에 종종 사적으로 남용되었던 사례들 때문에 통치자인 왕으로서는 백성들을 통제하는 권한이 중간 책임자인 관리나 신분적인 지배층인 양반이 아니라 국가라는 사실을 강조할 필요가 있었다. 그리고 죽은 사람의 영혼을 천도하는 불교의식에 사용되었던 독특한 구성의 불화인 감로탱화에도 형벌 그림이 묘사되어 있다. 조선시대 오형(五刑) 중 태·장형, 참형과 고문형인 신장이 주로 표현되어 있다. 인간 과오의 업보로서 형벌이 표현되었고 이를 극복할 수 있도록 신자들을 독려하는 감로탱화에서도 정치적 성격의 일면을 볼 수 있다. 그러나 19세기 말 이후 제작되었던 김준근의 형벌 그림과 김윤보의 ≪형정도첩(刑政圖帖)≫은 정치권력이나 종교권력에 의해 제작된 것이 아니라 일반 화가들이 제작한 것이었고 그 수요자는 국내인이 아니라 외국인들이었다. 김준근의 풍속화는 조선의 풍속과 생활에 흥미를 가진 서양인들에게 시각화된 민족지(民族誌)로서 역할을 했다. 그리고 김윤보 ≪형정도첩≫은 그 일부가 일제강점기 조선의 형무관이었던 나카하시가 저술한 『조선시대의 형정(朝鮮舊時の刑政)』 이라는 연구서에 실려 조선시대 형정에 대한 독자들의 이해를 도왔다. 조선을 방문했던 서양인들이나 우리나라를 침탈한 일본인들은 고문과 같은 전근대적 형벌 풍속을 가진 조선의 풍속에 대해 우월감을 가졌고 더욱이 일제의 침략의 정당성을 지지하기 위한 문화적 우위를 드러내고 있어 이들의 형벌 그림 역시 정치적 성격에서 벗어날 수 없는 것이었다. The penal visualization was difficult to make frequently because it was taboo in both East and West. The purpose or function of penal paintings produced rarely were not for universal appreciation or self-emotional expression. The penal painting in the feudal period was forced to be political because drafting and enforcing punishment was the exclusive power of the state and it was governing means of political power to control the people. 〈Gosindo〉, Hyeonggu Jido, and Gonje Jido, which were produced and distributed in reign of King Sejong and King Jengjo of Joseon Dynasty, were made as instructions for the officials in charge of penal administration. It was necessary to emphasize the fact that, as a ruler, an authority to control the people is on the state, not the officials or Yangban, ruling class, because of the examples of punishment execution, that is the state authority, often misused in private during the wartime of Joseon Dynasty. And the penal painting is also described in Nectar Ritual Painting, a Buddhist painting with unique composition, which is used in the Buddhist ritual for the spirit of the dead to heaven. It was expressed mainly the lashing and flogging, beheading, and Sinjang, torturing with a cudgel, among five punishments in the Joseon Dynasty. The punishment was expressed as a karma of human error, and it showed a part of political characteristic even in Nectar Ritual Painting that encourage believers to overcome it. However, Kim Jung-geun’s penal painting and Kim Yoon-bo’s ≪Hyeongjeongdocheop≫ after the end of 19th century were not produced by political power or religious power, but they were painted by ordinary painters and consumers were foreigners not local people. Kim Joon-keun’s genre painting took a role of visualized ethnography to Westerners who were interested in Joseon’s custom and life. The part of Kim Yoon-bo’s ≪Hyeongjeongdocheop≫ also helped readers understand the penal administration in the Joseon Dynasty in the study report of the penal administration in the Joseon Dynasty written by Nakahashi who was a prison officer of the Joseon in Japanese colonial era. Westerners who visited Joseon and Japanese who invaded Korea felt their superiority to Joseon’s custom which had the outdated penal custom such as torturing and, moreover, as they showed the cultural superiority to legitimize Japanese invasion, their penal paintings were also forced to have political characteristics.

      • KCI등재

        조선후기 사학(邪學) 이해와 지방의 사옥(邪獄) 형정(刑政)

        윤영현 (재)천주교수원교구 수원교회사연구소 2024 교회사학 Vol.- No.24

        조선은 개국부터 성리학을 정학으로 삼고, 이를 이식하고 수호하기 위해 여타의 사상을 사학으로 규정하여 억제하였다. 국가 질서에 심각한 위협이 되지 않는다면, 사학을 저지른 죄인은 중형으로 다스리지 않고 교화시키고자 했다. 그러나 서학은 국가 질서의 심각한 위협이었고, 이에 조선은 서학을 사학으로 지칭하며 형정의 대상으로 삼았다. 배교하면 감형하였지만 그렇지 않으면 중형으로 엄히 다스렸다. 지방에서는 관찰사나 절도사가 지시하면 영장과 수령이 사학죄인을 체포하였다. 세 차례 심문 후 관찰사가 임금에게 계문하면, 조사와 결안 작성에 대한 명령이 내려졌다. 이후 다시 차례로 심문을 하여 다짐을 받으면 결안을 작성하여 보고하였다. 그리고 임금이 승인하면 사형을 집행하였다. 1866년 이후 영장은 포도청과 같이 형정의 종결까지 담당하는 실질적인 주체가 되었는데, 그 근거를 선참후계령과 전시에 적용하는 법령에 둔 것으로 여겨진다. The Joseon Dynasty set Neo-Confucianism to the right way from the beginning. And other ideas was set to the wrong way and control in order to implant and protect Neo-Confucianism. The western study was a serious threat to the order, so the Court called it the Sahak(邪學, study in the wrong way) and handled it for the penal administration. If the criminals negated Sahak, they were reduced their penalty. Otherwise, they got heavy penalties. At the provinces, Yeongjang(營將) and Sureong(守令) arrested the sahak criminals after Ganchalsa(觀察使) or Jeoldosa(節度使) instructed the arrest. The interrogations were thrice, and Ganchalsa inquired the admission for the penal administration from the king. Then, the king ordered to investigate it and to made out the document for the end of the penal administration. After 1866, Yeongjang became a practical subject in charge of the end of the penal administration. The basis would be on the laws applied to wartime and the ordinance to report the penal administration after execution.

      • KCI등재

        순조 즉위 초 서교 금압책의 형정적 전환과 사옥(邪獄)

        강슬기 (재)천주교수원교구 수원교회사연구소 2018 교회사학 Vol.0 No.15

        The thesis demonstrated how the prohibition policy against Catholicism has been gradually developed in the Early Period of The King Sunjo(純祖)'s Regime. It focused on the primary cause that the government in the 19th Century adopted the expulsion of wickedness, the most extreme and conservative, as their keynote among various layers of Catholic policy and implemented a penal administration named ‘Saok’, In order to control the religion. By doing so, the paper sought to shed light on the early stages of the 19th century's ‘Chuksawijeong(斥邪衛正)’ theory, the background and process of its formation. The spread of Catholic groups in Joseon heightened the authorities’ anxiety over the overthrow of the system. The government had come to regard Catholic faith as a serious crime. They tried to turn traditional policy of enlightenment against heresy into a punishment centered on penal administration. In order to rationalize it, the Catholicism was conceptualized as an inevitable subject for the penal administration and the theory of expulsion of wickedness was established. The government also pushed ahead with ‘Saok’, a nationwide ban, despite the problems of legal legitimacy, various social negative effects and the dangers of public betray. In 1801, the Saok was developed in a total of four stages. First, it was the arrest of Nam-in(南人) and men and women related to Jeong Yak-jong, second, the nationwide search for Catholic, third, the arrest of Father Zhou Wen-mo and the inquiry into suspicion of revolting, fourth, the exposure of high treason of Yoo Hang-gum, Hwang Sayoung, etc. and settlement of it. The Saok became a specific and clear standard for the punishment of Sahak(邪學), and it was legalized through Queen Jeong Soon's proclamation of ‘Tosabankyomun(討邪頒敎文)’. This was considered Joseon Dynasty's basic policy for the Catholic over the next 80 years as a norm of the ever-present for correction of Catholic. Although the government has achieved its desired results in the suppression of Catholic through Saok that is more institutionalized than before, that revealed the limitation of not accepting the growth of public consciousness and social change in the late 19th century, but merely using the Saok as a temporizing measure, and repeating only rigid responses. 본고는 순조 즉위 초 조선 정부가 서교 대응의 다양한 층위에 있어 가장 극단적·보수적 형태인 척사를 서교 정책의 기조로 채택하고, 사옥이라는 형정을 도입하여 서교도들을 징치하게 되었던 원인과, 19세기 척사위정론의 초기 단계, 그 원형이 형성되는 배경 및 과정을 서교 금지방안의 단계적 변화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밝혀보고자 하였다. 서교 집단의 확산이 체제 전복에 대한 불안을 가중 시키자, 정부는 서교 신앙을 심각한 범죄행위로 인식하게 되었다. 그들은 정조대의 전통적 이단 교화정책을 형정 위주의 징치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그것을 합리화 하기 위해 서교를 형정이 불가피한 대상인 사학(邪學)으로 개념화하며 척사의 논리를 세워갔다. 또한 법적 정당성의 문제, 각종 사회적 폐단과 그로 인한 민심 이반의 위험을 무릅쓰고도 전국적인 규모의 서교 금압책인 사옥을 강행하였다. 1801년의 신유사옥은 총 네 단계의 과정으로 전개되었다. 첫째, 남인사대부 및 정약종 관련 인물 체포, 둘째, 전국적 범위의 서교도 색출, 셋째, 주문모 신부의 체포와 모반 혐의의 추궁, 넷째, 유항검, 황사영 등의 체포로 인한 대역모반죄의 처결이었다. 사옥은 구체적이고 명확한 사학 처벌기준이 되어 정순왕후의 토사반교문 반포를 통해 법제화 되었고, 이는 항상적인 서교징치의 규범으로서 이후 80년 동안 서교 대응에 대한 국가의 기본 정책으로 간주되었다. 정부는 이전보다 제도적으로 향상된 서교 금압책인 사옥을 통해 서교 탄압에 대한 소기의 성과를 거두었으나, 이후 위정(衛正)의 방안으로 확립된 사옥의 집행을 거듭하며 19세기 말 민의식의 성장과 사회의 변화를 수용하지 못하고 경직된 대응만을 고식적으로 되풀이 하는 한계를 드러내었다.

      • KCI등재

        한말 형정권(刑政權)의 남용과 국가체제 모순

        노혜경 역사실학회 2019 역사와실학 Vol.68 No.-

        Joseon has strictly managed the penal regime, which exercises physical force directly to the people to maintain social order. However, the sudden changes in the economic structure and society in the late Joseon Dynasty caused the division of the penal regime. In government offices and private households, "Guryugan" were created to force debt delinquents, debt collection and payment of public offerings, not in government offices or in government offices equipped with prisons. The rapid increase in crime in the 19th century was the result of changes in the economic structure of the late Joseon Dynasty, such as the dissolution of different identity systems and the disorder of the system. However, the Joseon government cited the cause as lax discipline. Specific reasons included excessive use of the amnesty decree, neglect of duty by government officials and poor quality of frost. The government's response to the resolution was to strictly enforce it according to the law. Such strictness has led to an increase in hanging up the head of a decapitated criminal, due to the expectation that strong punishment could prevent discipline. Accordingly, excessive response by the government offices and abuse of sentences were also accompanied. The most serious problem was the extortion that involved violence in the process of collecting taxes. Residents have said they will correct the closure on their own, as they will not have faith in the law, law enforcement and sentencing. The Joseon government's sense of problem and countermeasures were limited to traditional problems of judicial administration. Accordingly, it faced the total problems of the 19th century Joseon society, which was the result of the contradictions of the state system. 조선은 사회질서 유지를 위해 직접적으로 국민에게 물리력을 행사하는 형정권을 엄격하게 관리해왔다. 그러나 조선후기의 급변한 경제구조와 사회변화로 인해 형정권 분화 현상을 보였다. 형정권이나 감옥을 갖추지 못한 관청이나 일반 사가에서 ‘구류간’이란 불법적인 감옥을 만들어 채무 불이행자, 채무추심, 공물 봉납 등을 강제했다. 영조의 구류간 혁파령으로 인해 일시적으로 사라졌지만 결국 고종 때까지 존재했다. 19세기 급격한 범죄증가는 조선후기 경제구조의 변화에 다른 신분제 해체, 제도의 문란 등 사회 전반적인 인식변화의 결과였다. 그러나 조선 정부는 그 원인을 기강해이로 지목했다. 구체적 원인으로 사면령의 남발, 관원의 근무태만, 서리의 자질 저하 등을 들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정부의 대응방향은 법대로 엄하게 집행하는 것이었다. 이런 엄형주의는 효수의 증가를 불러왔는데, 강력한 처벌이 기강해이를 막을 수 있다는 기대 때문이었다. 이에 따라 관청의 과잉대응, 형정의 남용도 동반되었다. 구류채를 공식화시킨다던가 한성부의 오부가 사송기관처럼 행동했고, 복잡한 사건에 대해서도 현상적이고 임시방편적인 보여주기식 처결로 일관했다. 가장 심각한 문제는 세금수취 과정에서 폭력을 수반한 수탈이 벌어진 것이다. 주민들은 법에 대한 신뢰, 법 집행, 형정에 대한 믿음을 갖게 않게 되면서 스스로 폐단을 바로잡겠다고 나섰다. 19세기 말 수취제도 관행으로 말미암아 벌어진 민란은 형정 남용의 결과였고 민의 저항과 반발이 현실화된 것이다. 조선정부의 문제의식과 대책은 전통적인 사법행정의 문제로 국한되어 있었다. 전통적인 국가통치방식을 고수하는 처리방식으로 일관한 까닭에 19세기 조선 사회의 총체적 문제에 직면했고, 이는 국가체제 모순의 결과였다.

      • KCI등재

        『만물유취』 「추관문(秋官門)」과 순암 형법관의 기초

        박지현 ( Park Ji-hyun ) 한국실학학회 2018 한국실학연구 Vol.0 No.35

        이 글은 『만물유취』 「추관문」의 편집과정에 반영된 순암 안정복의 형법관이 기본 입장을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추관문」은 형법과 재판 등에 관한 항목을 모아 놓은 것으로, 일종의 형법전문 유서의 성격을 갖는다. 유서는 책의 특성상 편찬자의 사상이나 이론을 재구성하는 것은 한계가 있지만, 항목을 설정하고 분류하여 기사를 추출하여 배열하는 과정에서 편찬자의 의도가 반영되어 있을 수 있다고 기대하기 때문이다. 순암은 지방행정을 위한 목민서로 『임관정요』를 편찬했는데, 여기서 그는 형법의 순기능과 형정의 적극적 활용을 강조하였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순암의 향정론은 寬難의 현실인식에 기초하여 實情과 법의 경중을 따른 형법운영원리에 따라 수립된 것이다. 순암이 목민관의 형정 운영에 형법의 순기능을 강조한 것은, 민생 안정을 위협하는 권력자들의 전행을 막기 위해 엄격한 형벌의 필요성을 주장한 성호 이익의 관난의식에 기초를 둔 것이다. 「추관문」은 하위 항목으로 詞訟·刑獄·赦宥·禁防·賞罰·罪及·寬猛 등 7개의 표제어에 따라 각각 기사를 분류 발췌하여 수록하고 있다. 대체로 주자가 제시한 ‘교화를 통해 인륜을 밝히고 형벌을 써서 보조한다(聖人之治, 爲之敎以明之, 爲之刑以弼之)’라는 明刑弼敎의 기본 원칙에 따라 여러 기사를 다양하게 인용하여 수록했다. 법 집행자로 갖추어야 할 도덕적 태도에 대해 주렴계의 ‘明達果斷’에 입각해 관련된 기사를 수록하고 있다. 특히 刑獄편은 수록된 기사가 가장 많고, 刑政의 시행에 직접 관련된 형벌과 옥사에 관한 내용이므로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순암이 형옥에 ‘尙德不尙刑’이라는 부제를 붙이고 있는데, 상덕불상형은 순암이 「추관문」을 편집하는 기준이자 원칙이다. 「추관문」은 先敎後刑, 先德後刑, 禮主刑輔 등으로 표현되는 유가의 전통적인 입장에 따라 편집된 것으로 볼 수 있다. This article aims to ascertain the basis of AnChong-bok`scriminal law ideas reflected in the editing process of the Manmulryuchwi(萬物類聚) Chugwanmun(秋官門). The Chugwanmun is a collection of items related to criminal law and trials. There is a limit to this type of book that reconfigures an editor's ideas or theories. However, it is possible that the editing process reflected the editor's intent. He has edited a book for local administration. In this book, he emphasized the positive function of criminal law and active use of punishment. According to a prior study, his theory of local governance was established based on the knowledge of reality and according to the operating principles of criminal law according to the gravity of the law. It is based on Seongho(星湖) Yi-Ik(李瀷)’s view that strict criminal law enforcement is necessary to stabilize people's livelihoods. The Chugwanmun is classified according to seven subclauses. In general, various articles were classified and edited according to the basic principle of “Myeong-Hyeong-Pil-Gyo(明刑弼敎)” presented by Zhu Xi(朱熹). It also contains articles based on Zhou Dun-Yi`s(周敦頤) “Myeong-Dal-Gwa-Dan(明達果斷)” principles about the moral attitude of law enforcement officers. In particular, there are a lot of articles on punishment and prison for “Hyung-ok (刑獄).” Therefore, the main focus was on the section “Hyung-ok.” The subtitle of “Sang-Deok-Bul-Sang-Hyeong(尙德不尙刑)” in the “Hyung-ok” is his editorial standard and principle. The Chugwangmun was edited according to the Confucian traditional principles, which are expressed as “Seon-Gyo-Hu-Hyeong(先敎後刑)”, “Seon-Deok-Hu-Hyeong(先德後刑)” and “Ye-Ju-Hyeong-Bo(禮主刑輔)”.

      • KCI등재

        양벌규정의 확대 적용에 대한 비판적 고찰 -양벌규정을 근거로 부과한 행정처분의 문제점을 중심으로-

        이백휴 ( Baek Hyu Lee ) 한국법정책학회 2010 법과 정책연구 Vol.10 No.3

        This paper focused on the problems of administrative disposition based on the joint penal provision. According to the overflowing of the penal provisions in the administrative law, many people are being penalized with a variety of sanctions. The purposes of this article were to examine that an administrative organ take an administrative measure carefully, thereby to reduce the conflict between two parties. The joint penalty provision punishes the business proprietor when their employees are determined to have violated the law or committed a crime. This regulation is to secure the effectiveness of the administrative law. However, there are rooms for broad applications in the interpretation of ``liability for offense``, ``range of employee``, ``punishment on the direct offender``, ``job relevancy``, etc. Furthermore, the punishment and administrative actions are to be dealt with separately, there have been many cases that the punishment and administrative actions were overlapped. Since the joint penalty provision has been adopted for the purpose of closing the legal loophole for sanctions on the corporation, it is not justified to understand reasons for the extended punishment. Followings are the reasons why administrative disposal based on the joint penalty provision cannot be justified. Firstly, in the Acts, the joint penalty provision is provided not in the chapter of administrative disposal, but in the chapter of punishment. In other words, in terms of the legal system, it is not valid to impose the administrative disposal based on the joint penalty provision related with the punishment. Secondly, in the administrative acts. when the punishment and the administrative punishment are overlapped, the application of the joint penalty provision as a tool of the additional sanctions against the offense, or violation of the law can be criticized as double sanctions. Thirdly, under the law, punishment of suspending license is only applied to the case when the license holder himself or herself violated the laws. Thus, suspending license result from employee`s offense is against the principle of self responsibility. Fourthly, it is not fair that individuals are dealt with somehow heavily than the corporate. If it is admitted, in order to avoid the administrative disposal, they will propose of the official procedure on the summary order. therefore, this will result in the meangless summay order. In conclusion, administrative disposition to the business proprietor based on joint penal provision can not be justifi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